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술 융합이 인수 합병(M&A)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반도체 산업을 중심으로

        권영택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Increasing complexity of innovation and recent technological convergence across industries have made firms to acquire external knowledge via various ways. Many global leading firms, such as Amazon and Google, have actively implemented Merger and Acquisitions (M&As) to achieve rapid technological progress, but, admittedly, many technological M&As have not ended up successful learning. In technological M&A, success will highly depend on the technological fit between the acquirer and target firms, such as how much their technologies relatedness and to what extent the acquirer can create synergy using the target firm’s knowledge. To explore this issue in-depth,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external technological relatednes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ical recombination on M&A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For this, three different data sets, 144 semiconductor international M&A deals, world patent data, and firm demographic data were integrated; consequently, data on 144 international technological M&As over the period 2005 to 2015 was analyzed. Th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ortant findings. First, the relatedness with external technology (i.e., common forward citation to acquire and target firms from external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originality (i.e., the common backward citation to external technology) positively affected the M&A deal value. Second, the relatedness and originality positively impacted the firm’s performance. but there was a time lag in this positive impact. This paper enhances our understanding on the influences technological relatedness and originality between the acquirer and target firms and provides som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최근 기술산업 전반에 걸쳐 기술혁신의 복잡성과 기술융합이 증가함으로 인해 기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지식을 흡수하였다. Amazon, Google과 같이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은 기술변화가 빠른 산업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기술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전략으로 인수합병(M&A)을 선택하고 있지만, 모든 인수합병이 당초 기대했던 긍정적인 결과를 창출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지식을 흡수할 때 기술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인수합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해야 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에서 외부기술과의 기술적 연관성과 독창성의 정도가 인수합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위해 세 가지 다른 데이터를 병합하여 사용하였다.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144건의 인수합병 건과 국제 특허 인용 데이터, 기업현황 데이터를 연계하여 통합 데이터를 구축 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외부기술 연관성(즉,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의 특허를 공통 전방인용하는 특허수)과 기술의 독창성(즉,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이 공통 후방인용하는 특허수)는 인수합병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흡수되는 모든 기술이 아니라 핵심기술, 즉 외부기술 연관성과 기술의 독창성이 인수합병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한다. 둘째, 외부기술 연관성과 기술의 독창성은 인수합병 후 장기적인 측면에서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인수기업이 외부 지식을 흡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너지를 창출하기까지 일정시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부기술과 연관되는 부분(연관성)과 얼마나 독창성이 있는가가 인수합병의 중요요소임을 제시하고 있다.

      • 이종 분야 간 기술파급 효과에 관한 실증 연구 : 항공기 기업에서 자동차 기업으로

        박준우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Technological knowledge accumulated in one field can improve productivity and enhance cost-saving in another field when spillover of technological knowledge exists. Applying this framework to the aircraft industry and the automobile industry, it is not surprisingly that the spillover from the aircraft firms positively influences the financail performance of the automobile firms.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s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low of the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aircraft and the performance of automobile industry through patent data and financial indicators of firm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BER) and Datastream, a database of Thomson Reute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low of technological knowledge of aircraft firms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market value of the automobile firms. However, it does not affect the revenue of the firms. 기술지식의 파급효과 (spillover)는 어느 한 분야에 축적된 기술지식이 다른 분야로 이동하여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지식의 이동은 기술적 연관성 (relatedness)이 높은 경우에 활발히 이루어진다. 이 프레임워크를 항공기 산업과 자동차 산업에 적용해보면, 두 산업 간 기술적 연관성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항공기 산업으로부터 자동차 산업으로 기술지식의 이동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항공기 산업으로부터 발생한 파급효과는 자동차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특허 데이터와 기업의 재무지표를 통해 항공기 기술지식의 이동과 자동차 기업의 성과 간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미경제연구소 (Th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NBER)에서 만든 특허 데이터와 Thomson Reuter의 데이터베이스인 Datastream에서 기업의 재무지표를 반출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항공기 기술지식의 이동은 자동차 기업의 시장가치를 올리는 반면에 매출액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동차 기업이 특허 활동에 있어 항공기 산업의 기술지식을 통해 기업의 시장가치를 올릴 수 있지만, 항공기 산업의 기술지식의 파급효과가 매출액으로 직결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 혁신성과와 기업성과를 기준으로 한 벤처기업군의 차별화 경영요소 연구

        김은상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As venture business is understood as the cradle of job creation and the engine of growth in a country, the social and economic importance of venture firms has increased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For this reason, government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rush to implement policies to support the venture business. In spite of their significance, many of these firms disappear from the market not long before their creation. One of the reasons why they fail too often is that efforts for innovation do not guarantee innovation as a result; and innovation performance do not guarantee economic performance either. In this thesis, I intend to propose a conceptual model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venture firm and to help devise a strategy for a firm to move towards higher economic or innovation performance. I classify venture firms into nine groups by their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on the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ir management compon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work aims to offer an entrepreneur a specific strategy for moving his/her firm toward higher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For the empirical study, this thesis uses 2012 Survey of Korea Venture Firms that surveyed 2,034 of accredited venture companies. This data that contains the answers of venture firms to specific questions about management components, is reliable so the Korean government makes use of it for understand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venture business and for making policies for the venture business. With a cluster analysis on the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firms, I identify and map nine groups on the three-by-three matrix which indicate three levels of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respectively. We name each group as Dust, Surviving, Economic, Dreaming, Planet, Gathering, Potential, Practicing, and Star. Then, we assume five growth paths on the three-by-three matrix in order to get practical implications. I analyze the differences of neighboring groups along the paths in their management components by using probit analysis about six dimensions of management components: founder, organization, technology, fund, marketing, and the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The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a firm along the five paths shows that management components which a firm needs to move toward an adjacent group are different among groups on the same path as well as on different paths. For example, given a level of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 between the low and middle degree of innovation performance is different from that between the middle and high innovation performance. Likewise, given a level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 between the low and middle degree of economic performance is also different from that between the middle and high economic performance. My model provide an entrepreneur with a conceptual model to locate their position on the matrix of the economic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to conceive his/her firm strategies: how to control the management components for higher innovation and/or economic performance. 벤처기업은 국가 성장 동력 및 일자리 창출의 요람으로 그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지원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벤처기업이 창업 후 지속적으로 성장·발전하지 못하고 시장에서 사라져간다. 벤처기업이 사라지는 이유 중 하나는, 벤처기업이 신제품 개발 및 신시장 개척과 같은 혁신성과를 이루기 위해 많은 자원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혁신성과를 이루기 힘들뿐만 아니라, 이러한 혁신성과가 창출된다고 하더라도 기업성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벤처기업을 혁신성과와 기업성과라는 두 축을 기준으로 벤처기업을 분류하고 각 그룹 간 경영요소의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벤처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한 혁신성과 및 기업성과 향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실증연구를 위하여 벤처협회가 매년 대규모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벤처정밀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정부가 벤처기업의 실태 파악하고 벤처 육성을 위한 정책을 마련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신뢰성 높은 자료이며, 벤처기업들의 경영자원들에 관한 상세한 설문문항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에 대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벤처기업 혁신성과의 상, 중, 하 수준 및 기업성과의 상, 중, 하 수준에 따라 9가지 그룹(Dust, Surviving, Economic, Dreaming, Planet, Gathering, Potential, Practicing, Star)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후, 실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9가지 그룹에 대해 5가지 경로를 설정하고 프로빗 분석을 실시하여 각 경로상의 그룹 간 경영요소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연령과 기업규모 외에도 기업가, 조직, 기술, 자금, 마케팅, 외부자원활용의 6가지 차원으로 경영요소를 세분화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각 경로 간에 유의미한 경영요소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경로 내에서 이웃한 그룹 간 유의미한 경영요소 또한 그룹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의 정도에 다르게 나타났다. 예를 들면, 기업성과가 낮은 그룹들 간의 분석에서, 혁신성과가 낮은 그룹과 중간인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는 혁신성과가 중간인 기업과 혁신성과가 높은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와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찬가지로, 혁신성과가 낮은 그룹들 간의 분석에서, 기업성과가 낮은 그룹과 중간인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는 기업성과가 중간인 기업과 높은 그룹의 경영요소 차이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가가 자사의 혁신성과와 기업성과의 정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향후 전략적 방향에 따라 어떤 경영요소를 고려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한국벤처캐피탈의 최고경영진 특성이 투자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승용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p management team’s characteristics on the strategies of venture capitals based on upper echelon perspective theory. The strategies include the investment on early-stage venture and the level of investment on various industries. This study also examines organizational factors moderate the investment strategies of venture capital by top management team.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venture capitals are the investment fund size and the reputation of venture capitals. This study used the survey of venture capitalists working in 54 venture capitals of all 101 ones in Korea. As the results, more top managers with start-up experience are in venture capital, the more invest in early-stage ventures. Second, more top manager with science/engineering education are in venture capital, it is less likely to invest in various industries. Third, investment fund size weaken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experience of top managers and the investment strategy of early-stage ventures. Finally, the reputation of venture capitals weaken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cience/engineering education of top managers and the investment strategy of various industries. 본 논문은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VC)의 투자전략에 영향을 주는 최고경영진의 개인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벤처캐피털의 투자펀드 운영과 벤처기업의 투자 유치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최고 경영층 관점(Upper Echelon Perspective) 이론을 바탕으로 벤처캐피털 최고경영진의 개인적 특성이 벤처캐피털의 투자전략수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벤처캐피털의 투자 전략은 초기 단계의 벤처기업 투자 여부와 다양한 분야 분산 투자 정도로 나누었다. 벤처캐피탈 투자의사결정자들의 투자전략 수립에 벤처캐피탈 조직의 특성이 영향을 주는지도 확인하였다. 벤처캐피털의 조직 특성은 투자가용재원 규모와 명성으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국내 101개 벤처캐피털 회사에 종사하는 임직원을 대상 설문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 경험이 있는 최고경영진이 많을수록 초기단계 벤처기업 투자에 적극적이다. 둘째, 이공계 학사학위를 가진 경영진이 많을수록 분산투자에 소극적이다. 셋째, 창업경험을 가진 최고경영진이 많을수록 초기 단계의 벤처기업 투자성향은 증가하지만 투자가용재원이 이를 약화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공계 학사학위를 가진 최고경영진이 많을수록 분산투자에 부정적이지만, 벤처캐피털의 명성 수준은 이를 약화시킨다. 이번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벤처캐피털 최고경영진에서 창업경험자 비율이 높을 경우 초기벤처기업에 투자할 성향이 클 수 있으므로 초기벤처기업 투자펀드를 운영할 벤처캐피탈의 선정 시에 최고경영진의 창업 경험을 주요 평가기준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벤처기업 투자에 투자가용재원의 부정적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초기 벤처기업 투자를 전체적으로 늘리기 위해서 투자가용재원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벤처캐피탈들을 더 많이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한 산업분야에 집중하는 투자펀드를 운영할 경우 분산투자 경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이공계 전공자의 벤처캐피탈 최고경영진 내 비율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명성에 따른 부정적 영향도 고려하여야 한다. 창업단계의 벤처기업들이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벤처캐피탈 최고경영진 중의 창업경험자 비율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투자가용재원 규모에 따른 부정적 영향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초기단계 벤처기업은 최고경영진의 창업경험자 비율이 높고, 투자재원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벤처캐피탈을 대상으로 투자유치의 노력을 한다면 성사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

      • 대학에 대한 정부 연구비 지원의 변화가 기술이전 수입료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잠재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관계 분석

        박근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695

        정부는 대학 연구비 지원에 기반하여, 기술사업화 정책을 추진하여 왔다. 정부지원 연구비는 대학들에게 기술사업화와 관련한 동형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었고, 동형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대학들은 기술사업화 실적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지역에 정착된 구성요소에 의해 기술의 혁신과 파급효과가 차이를 보이게 되어, 대학의 소재지역에 따라서 동형화의 불균형성을 보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서, 신제도주의 이론을 바탕으로 정부의 연구비 지원 변화가 기술사업화 성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고, 대학 소재지에 의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시간적 변화 분석에 통용되는 구조방정식 모형(SEM) 기반의 잠재성장곡선 모형(LGM)을 활용하여, 2009년~2017년 9년 간 전국 4년제 138개 대학의 종단 데이터 변수의 증가율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간 정부지원 연구비의 변화는 당해 년도와 차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증가에 영향을 미치며, 정부지원 연구비는 비수도권 대학보다 수도권 대학의 기술이전 수입료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연구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을 시사하였다.

      • 내부협력과 공급사통합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환경동태성의 조절효과

        함민주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the internal collaboration and supplier integration of a firm o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NP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pplier integration and the NPD performance.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the relational view and the supply chain integrations, three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collaboration, supplier integration, NPD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dynamism are propose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clu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department,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marketing department, information exchange and technology exchange a between supplier and a focal firm.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ree indicators are used: quality, cost and delivery. In addition, environmental dynamism is considered as a moderating variable.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of this paper are collected from 601 firms in 13 manufacturing industries. In order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est are carried out.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1) both the internal collaboration between R/D and production department and between R/D and marketing depart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2) information exchange and technology exchange between a supplier and a focal firm improve most of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s; however, (3)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environmental dynamism on the relation of supplier integration to the NPD performance does not indicate a consistent dir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이 신제품 개발(New Product Development)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공급사슬(supply chain) 측면에서 기업의 내부 부서 간의 협력과 공급사 통합이 기업이 내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 환경 동태성에 따라 공급사 통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과 관계적관점(relational view), 공급사슬 통합(supply chain integration)을 바탕으로 하였다.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변수로는 R/D부서와 생산부서간의 협력, R/D부서와 마케팅부서와의 협력, 공급사와의 정보교류, 공급사와의 기술교류를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신제품 개발 프로젝트의 성과는 프로젝트 단위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사용해 품질(quality)성과, 비용(cost)성과, 시간(delivery)성과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환경의 동태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동태성이 공급사 통합의 성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자료는 공급사슬 관계가 명확하고 연구개발 투자비 중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비율이 높은 제조업을 대상으로 하여 13개 업종, 총 601개의 기업을 분석하였으며 분석은 STATA12와 SPSS21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1)R/D부서와 생산부서의 협력과, R/D부서와 마케팅부서의 협력이 신제품 개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2)공급사와 구매사간의 정보교류와 기술교류도 신제품 개발 성과에 상당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다만 공급사 통합의 효과에 대한 환경 동태성의 조절효과는 일관된 방향을 나타내지 않아 일부분만이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도출하였다.

      • 정부 규제가 기업의 혁신투자에 미치는 영향 : 시장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창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79

        Recent years have witnessed drastic market turbulence and fast-changing technological development. Firms are facing unprecedented fierce competition, but ‘Uber effect’ - rapid and cross integration of different industries - has made it more difficult for firms to shape their innovation roadmaps. In this context, the role of government regul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innovation. By nature innovation involves a high level of risks and uncertainty, and fast-changing market characteristics have made it more difficult for firms to invest in innovation. Therefore, deeper understanding on the regulation design and the impact of market characteristics on innovation is necessary, but this topic has remained as one of the under-researched themes. To address this gap,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market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regulation and innovation investment. Korean Innovation Survey 2016 data was analyzed using Heckman selection model, and the results showed that government regulations regarding R&D, new business entry, new facility investment, product specification and certification, lower firms’ expenditure on innovation. Further, the negative moderating effects of marke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ut the examined two market characteristics, market demand uncertainty and competition intensity, showe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in details. The existence of market demand uncertainty was a barrier for innovation investment, but the level of the market demand uncertainty did not impede innovation as an additional barrier However, the existence market competition was a barrier for innovation investment, and the higher the market competition is, the higher its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invest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regulation and innovation and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design regulation in a more smart way not to hamper firms’ innovation investment. 최근 몇 년간 글로벌 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변화와 속도 또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시장 경쟁에 직면해 있다. 최근에는 서로 다른 이종 산업들이 통합하여 새로운 산업을 빠르게 만들어 나가는 ‘우버 효과(Uber effect)'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은 중장기적인 혁신 로드맵을 만드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규제의 역할은 산업 전반의 혁신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질적으로 혁신은 그 자체로도 높은 수준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최근의 급변하는 시장 상황은 기업이 혁신에 투자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규제 설계와 시장 특성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깊은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국내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런 점을 착안하여, 정부 규제와 기업의 혁신 투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시장 특성에 의한 조절효과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2016년 한국기업혁신조사(제조업) 설문 응답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Heckman selection 모델(mode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R&D 투자, 신규 사업 진출, 신규 설비 투자, 제품 규격·인증에 대한 정부 규제가 기업의 혁신 지출·투자를 낮추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 특성에 의한 조절효과 역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가지의 시장 특성, 즉 ‘시장 수요 불확실성’과 ‘시장 경쟁 심화도’는 서로 다른 조절효과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규제 상황에서 시장 수요 불확실성의 존재는 기업의 혁신 투자를 저해하는 장벽(barrier)이 되었지만, 시장 수요 불확실성의 크기 및 수준이 추가적인 장벽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규제 상황에서 시장 경쟁의 존재는 기업의 혁신 투자를 저해하는 장벽이 되었을 뿐 만 아니라, 시장 경쟁 심화도가 높을수록, 혁신 투자에 추가적으로 부정적인(-) 장벽으로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규제와 혁신 간의 복잡한 관계를 실증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시장 환경이 급변하는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기업의 혁신 투자를 저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보다 더 스마트한 방법으로 규제를 재설계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태양광 기술 확산을 위한 정책 분석

        전승현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79

        화석 연료기반의 에너지 시스템의 규모가 꾸준히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화석 연료는 매장량의 한계로 인해서 고갈의 위험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자원 또한 특정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사용의 한계를 받는다.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로 80년대의 석유위기와 같은 국제 유가의 급등 문제 등 에너지 안보가 위기에 처해있다. 따라서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각국에서 제기 되고 있다.한편,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인해 나타나는 지구온난화 현상의 심각성이 논의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 각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및 기술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나, 2007년 기준 1차에너지 소비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5%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이 저조한 현상은 아직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인하며, 자본 집약형 산업으로 대형 시장을 형성하기까지 자본 비용이 매우 높아서 생산자의 손실과 위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기피하려는 경향이 초기 투자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의 성공여부는 외부 정책 지원에 영향이 많이 작용하며, 적용되고 있는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연구가 중요시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정책의 의존성이 높은 태양광에너지기술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의 효과성에 대해서 정량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존의 논문들은 정책이 신재생에너지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분석하거나, 주요 선진국가들을 대상으로 FIT제도의 효과성이나 RPS의 효과성을 단편적으로 분석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한계점을 보완하여 데이터 분석 대상의 확대와 RPS제도와 FIT제도의 효과성을 동시에 검증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FIT제도와 RPS제도가 태양광 기술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며 태양광 기술확산을 위해 요구되는 정책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 에너지 저장 장치의 기술 경제적 가치 분석

        최재훈 서강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79

        최근 전력 이용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화석 에너지 비용의 증가와 기후변화협약의 규제에 대한 대응으로 신재생 에너지원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또, 전력 수급의 불안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블랙아웃과 같은 비상 상황을 대비한 안정적인 전력망에 대한 필요성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 향상과 비상 전원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원의 전력품질을 개선 시킬 수 있다. 양수 발전(Pumped Hydro Energy Storage)은 대표적인 에너지 저장 장치 기술로 전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설 치에 따른 제약이 많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에너지 저장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여, 여러 기술간 경제성 비교가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나아가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술 변화를 경제성 평가 모델에 반영하여 투자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술 속성의 비교를 통해 에너지 저장 장치의 경제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