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라북도교육비특별회계 구조분석과 재정 안정화 방안

        박근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oncrete methods for Financial Stability according as the educational revenue of Jeollabuk-do decreases more and more for many reasons, for example, difficult situation of local education finance caused by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government's tax reduction policy, and the controversy on abolishing education tax in 2009 etc. To attain this aim, this study illuminates the experience of the financial difficult situations, such as a local educational finance prospect for guaranteeing the financial resources. These are two situations that Korea encountered: Korea was financially assisted by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 1998, and the local education finance was almost bankrupted from abolishing the educational transfer tax in 2005. After that, this study tries to set up strategies to overcome revenue crises on the basis of the special account of educational expense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tatus quo of municipal educational finance and what are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its emergency management system? Second, What are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e educational finance of Jeollabuk-do and its opportunity and threat factors based on the SWOT analysis? Third, what are the strategies to stabilize the educational finance of Jeollabuk-do?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en strategies to stabilize the educational finance of Jeollabuk-do in order to tackle the diminishing municipal tax revenu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it is recommended: 1. to set up scholarship foundations to secure private sectors' investment. 2. to introduce the communal school bus project for students with the local communities. 3. to boost financial incentives through the reserve fund to save the outcome of the revenue. 4. to secure professional and practical financial investment assessment and mid-term planning from outsourcing consultation and better develop internal capabilities. 5. to secure consistent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ies to boost their continuous investment on education. 6. to remove wasting factors through the preparatory research and quantifying the budget management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7. to raise schools' autonomous budget and schools' management budget through adjusting the direct budget of the educational offices. 8. to accept government/municipal correspondent investment projects selectively. 9. to complement private schools' management through examining the incentives system. 10. to enhance efficiency of financial management through adjusting the scholarship and students' loan systems. In completing the aim of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obtain stable finance. So, in spite of many obstacles we should do out best in order to overcome difficult economical situations. I suggest we all make good use of 10 strategies in this study.

      • 儒學의 공공철학(公共哲學)에 관한 연구 : 근세 한일 두유학자의 政治 公共性을 중심으로

        박근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story of research on publicity is not long-lived within Korean academia, which testifies to the inchoate stage of research that it is in. Currently, the research centers on the history of the concept, the history of the discourse and finding an alternative, expanding publicity to all areas of Eastern philosophy Hong-Bin Lim et al. Public Rationality of Eastern Philosophy, The Debate on Public Rationality in Eastern Philosophy, Finding New Public Rationality (Cheolhak’gwaHyeonsils,2005). . Se-Hwa Hong commented on how Korea has lost its appearance as a public nation, stating that for the past half -century the history of Korea has been ‘[that]of the loss and annihilation of publicity', In other words, Korea is a republic by constitution only; in actuality, it is a ‘republic that has lost the identity of a republic' Yonhap News. “The Pathology of Our Society,” March 14, 2008. . Such an evaluation is an explicit statement that Korean politics is straying. No one wishes for the demise of his nation or society. However, in many cases we let biases such as individual or collective selfishness, kinship or regional animosity impede national consolidation and cause conflicts. Korea has not been an exception, having experienced continuous inter-class conflicts and political inequality ever since liberation. The cause of such phenomena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publicity of each individual’s action and, above all, the anti-publicity that can be found among the leadership of Korean society .Here, ‘publicity’refers to the public gains and values of society as a whole, contrary to personal gains for the individual. According to Seung-Hwan Lee, ‘public reason,’ i.e. reason in the public world, is essentially needed in order for a nation’s polity to maintain order and security and achieve consolidation and prosperity across society. Here, ‘public reason’ refers to a collective expression of the human reason by the constituents of a polity – in other words, the common good and basic justic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public reason is expressed is open and democratic. See Seung-Hwan Lee,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Rationality” in the East and Its Modern Modifications: The Politics of ‘Truth’ and ‘Benevolence’ in View of the Neo-Confucian Publicity,” Cheolhakyeonku(TheStudyofPhilosophy),29,2005. In a liberal democratic society, public reason can be understood as a civil trait enjoyed by equally-qualified constituents, who, in order to avoid conflict and maintain an orderly life within a pluralistic society, will create a common norm. And political coercion placed on each constituent based on such a common norm does not cause problems since it is based on social agreement. Therefore, in order for a political act to be accepted by all constituents of a society, the publicity of such a political act must be fulfilled as a premise, only through which can common norms be established through the derivation of public reason based on the publicity of the act and such norms not accepted as an ‘act of coercion’ such as tyranny even when they are forcefully placed upon citizens. This is why the publicity of politicians’ acts on the political stage needs to be studied as the antecedent to pursuing public reason. This paper aims to study how publicity developed within Confucianism, the common ideology of East Asia, and how Confucian scholars reconstructed publicity as a life problem and tried to apply it in real-life situation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review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public philosophy in Confucianism, centered on the three doctrines of mingmingde, xinmin and zai zhiyu zhishan as outlined in Ta hsüeh (“Great Learning”), a must-read Confucian classic for any aspiring politician. One can easily estimate the significance of Ta hsüeh from the way Chu-Hsi presents it as the first text of the Four Books. The meaning of mingmingde, xinmin and zai zhiyu zhishan as well as that in the context of the publicity of the act are studied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Confucian theory of human nature as it i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intellectuals’ study of the theories of publicity and their practice of it. How pre-Chin Confucianism defined the human being and understood the issue of virtue and vice is studied. The superior man and the mean man are also discussed as it points to what kind of persons should become politicians. In additi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superior man and the mean man emphasizes the legitimacy of the former’s universal publicity of act by looking at why the latter’s act is devoid of publicity.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publicity within Confucian politics, with a special focus on why politicians should pursue ‘Zhèngmíng (rectification of names)’ based on Confucius’ idea of ‘Zhèngmíng’ in relation to li (righteousness) and ren (benevolence). Whereas the concept of li and ren as well Zhèngmíng have been given importance in Confucian politics, they have not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ublicity. Zhèngmíng, as its meaning indicates, points to the importance of utter prudence required of a politician in every word spoken on the political stage. If appointing the right man to his position is Zhèngmíng, his statements cannot be but prudent; it is a responsibility placed upon a politician. In Confucianism, certain responsibilities are placed not only upon political actors but also upon the subjects. This chapter reviews the publicity entrusted to the ruler, his servants and his subjects. Finally, the fourth chapter analyzes how the intellectuals of Chosun and Japan understood the issue of publicity on the political stage, introducing Cheong Yak-Yong, the leading thinker in Chosun’s Silhak (“Practical Learning”), and Ogyu Sorai, the archetypal thinker of the Edo period who defined Confucianism as a study of politics. This chapter aims to study how politics and publicity are perceived and applied in Eastern philosophy by comparing these two thinkers. Further discussed are the two scholars’ Confucian world views and the social consolidation they both attempted to realize. In a way, social consolidation was a task given to Cheong Yak-Yong by the times in which he lived, the late Chosun. Likewise, for Ogyu Sorai it would have been a task from mid-Edo Japan when the stabilizing and prospering society showed signs of relaxation and began to see cracks in the feudal society. That is, in the end, the issue of Chosun and Japan’s ideology, society, culture and scholarship.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Confucian public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the ‘publicity of act,’ encompassing scholars from pre-modern Chosun and Japan thereby comparatively studying their pursuit of ‘publicity of political act’ within their worlds of scholarship and ideology.

      • 하이데거의 공포와 불안 개념에 대한 연구 : 자기 존재 상실에서 자기 존재 확인으로

        박근배 서강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공포와 불안 개념의 구조적 성격을 현존재의 자기성과 연관 지어 연구해 봄으로써, 공포와 불안이 어떠한 기분인지, 그리고 인간 현존재가 공포와 불안이라는 기분 속에 있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또한 공포와 불안으로의 이행에서 어떤 의미가 도출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이행의 과정을 통해 하이데거가 어떻게 자기만의 새로운 자기성 개념을 정립시키고 있는지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현존재는 공포의 기분에서 본래적인 자기성을 상실하고, 불안이라는 근본기분에서 본래적인 자기성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존재의 자기 상실에서 자기 확인으로의 여정은 바깥의 사유라는 관점을 통해 정초된다. 먼저 본 논문은 공포와 불안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현존재의 자기 개념을 분석하기에 앞서, 근대철학의 자기 개념을 확립한 데카르트의 자기 개념을 비판한다. 이 비판을 통해 하이데거만의 새로운 자기 개념인 현존재의 실존론적 자기 개념이 정립된다. 이 실존론적 자기 개념을 기반으로 논문은 하이데거의 기분 개념에 대한 분석으로 나아간다. 하이데거의 기분 개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공포와 불안 개념이 어떻게 도출되는지 살피고, 자기 존재 상실로서의 공포와 자기 존재 확인으로서의 불안이라는 관점에서 공포와 불안 개념을 분석한다. 죽음의 확실성으로 인한 공포로 인해 현존재는 자신의 존재 가능을 망각하는데, 이것이 현존재의 자기 상실, 즉 현존재의 비본래성이다. 이에 반해 불안 속에서 현존재는 자기 자신을 되찾아 자기 존재를 확인하는데, 이것이 현존재의 본래성이다. 이처럼 하이데거는 공포에서 불안 개념으로의 이행을 현존재의 자기 상실에서 자기 확인이라는 여정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이 여정은 순간 속에서 일어나는 결단을 통해 가능하다고 상정하는데, 바깥의 사유라는 관점을 통해 이 여정을 설명한다. 불안 속에서 현존재의 죽음의 경험은 현존재가 죽음으로의 선구를 통해 가능한 경험이다. 현존재가 죽음으로 앞질러 달려가보는 결단을 통해, 현존재 자신의 바깥에서 자기 자신에게 다가오는 가능성, 즉 결코 현재화될 수 없는 열려진 도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현존재가 현존재 바깥의 가능성들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 바깥의 사유이다. 하이데거의 공포와 불안 개념에 대한 연구는 바깥의 사유를 도출시키기 위한 여정이다. 현존재는 바깥의 사유로 인해 현존재 자신의 존재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깥의 사유는 이성적 사유에 의한 확실성으로 인해 금지된 이성 바깥의 존재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사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하이데거는 바깥을 사유함으로써 현존재가 존재의 진리로 향하게 만드는 결정적 전환점을 마련한다. 하이데거의 바깥의 사유로 인해 인간 현존재는 미래를 향해 자신의 가능성을 열어놓을 수 있게 된다. 즉, 바깥의 사유로 인해 인간 현존재는 이루어지지 않은 가능성을 희망하며, 꿈꿀 수 있게 된 것이다. 부서진 현대의 많은 사람들은 공포의 혼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 혼란 속에서 우리가 배워야 하는 것은 가능성으로서의 희망이다. 따라서 희망은 공포의 반대이다. 이 희망을 꿈꾸기 위해 인간 현존재는 자기 스스로 참되게 존재하기를 원하게 된다.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가능성을 기대하고, 희망하는 것이 진정으로 인간이 현재를 살고 현재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 희망이 바깥의 사유로 인해 가능해질 수 있다고 하이데거가 사유하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is aimed to stud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oncept of ‘Furcht’ and ‘Angst’ in relation to ‘Dasein’ and Self, so as to analyse how we perceive the feeling of ‘Furcht’ and ‘Angst’, what it means that human ‘Dasein’ lies in the mood of ‘Furcht’ and ‘Angst’, what can be deducted from when we indulge ourselves for ‘Furcht’ and ‘Angst’. And also this attempt to study how Heidegger found a new ingenious theory of Self. According to Heidegger, ‘Dasein’ can lose the Self in ‘Stimmung’, but can realize the Self in ‘Grundstimmung’ know as ‘Angst’. The transition from self-loss to self-realization embark on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 from outside’. Prior to analyse the concept of the Self of ‘Dasein’, this thesis makes attempt to criticise the concept of the self of Descartes. Through this critic, the existential self-concept can be defined, a new self-concept of Heidegger, can be defined. Based on this existential self-concept, this thesis can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Stimmung’-concept of Heidegger, and on studying on how the concept of ‘Furcht’ and ‘Angst’ can be deducted, and studying on both ‘Furcht’ concept and ‘Angst’ concept on the perspective of ‘Furcht’ as self-loss and ‘Angst’ as self-realization. ‘Dasein’ in ‘Furcht’ caused by the inevitability of death is to ‘vergessen’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it is self-loss, ‘Uneigentlichkeit’. whereas, ‘Dasein’ in ‘Angst’ discover the self, it is the ‘Eigentlichkeit’ of ‘Dasein’. Heidegger makes it explicit that transition from ‘Furcht’ to ‘Angst’ is the same as the one from self-loss to self-realization. In addition to it, when this transition can be occurred through the ‘Entschlossenheit’ of ‘Augenblick’ is assumed, and he undertakes it on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 from outside’. In ‘Angst’, the experience about death of ‘Dasei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previous other death experience. With the ‘Entschlossenheit’ for ‘Dasein’ of pre-death experience, ‘Dasein’ accepts the open ‘Zukunft’, which can not be realized to a present from and makes it possible for ‘Dasein’ come back to oneself from outside oneself. It is the ‘thought from outside’ that ‘Dasein’ is considered to reason the potentiality of outside. The study of ‘Frucht’ and ‘Angst’ of Heidegger is the journey which can elicit the ‘thought from outside’. ‘Thought from outside’ enable ‘Dasein’ to listen to the voice of existence. Thus Heidegger is established to create a critical turning point by reason of outside face of the truth. For the ‘thought from outside’ of Heidegger into the future due to human ‘Dasein’ their chances will be able to keep them. In other words , the dream will become able to the ‘thought from outside’ of the unfulfilled potentiality of the human ‘Dasein’. Many modern people are living in dread of the chaos. It is the potential hope that as we are likely to learn in confusion. Thus, ‘Furcht’ is the opposite of hope. Dreaming of a hope for human ‘Dasein’ are wanting to present a self. The potentiality of yet unfulfilled expectations, and would stay here to live a truly human is to exist in the present. Due to the ‘thought from outside’, it can become a reason for Heidegger’s hope.

      • 전례 거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구원의 현재화에 관한 연구 : 로마 미사 경본을 중심으로

        박근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교회는 매년 주일미사 참여자의 감소, 냉담자의 증가, 예비 신자의 감소 등의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일미사 참여는 신자의 성사 생활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한국 교회의 주일미사 참여율은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2017년에는 주일미사 참여율이 19.4%를 기록해, 신자들이 성사 생활을 등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한국 교회의 상황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에서 미사에 대한 의무를 지나치게 강조해, 많은 신자들이 미사 참여나 성사 생활을 의무로만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개인주의의 심화이다. 이로 인해 신앙이 교회 공동체적 차원의 힘으로 인정되지 않고, 개인적 영역의 문제로 머물게 되었다. 셋째, 한국 교회가 행정적으로 과도하게 조직화되어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와 교회의 내적인 결합을 방해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현실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교회는 현시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를 세상에 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리스도의 구원 개념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사제직의 수행인 전례를 거행하면서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를 현재화한다. 그러므로 전례는 그리스도교의 구원 개념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것이다. 전례는 그리스도께서 직접 제정하시고, 영원히 거행되기를 우리들에게 명령하신 예식이기 때문이다. 곧, 그리스도의 구원이 전례 거행을 통해 현재화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례 거행을 통해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의 구원의 현재화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전례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 양상을 살펴보아야 한다. 전례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은 세 가지 요소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첫째, 전례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이다.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셔야 교회의 활동이 성사성을 보증받기 때문이다. 둘째, 세상 창조, 그리스도의 강생과 부활에 함께 하신 성령의 역할이다. 성령께서는 그리스도께서 행하신 구원 사업이 지속되도록 교회에 활력을 불어 넣어 주기 때문이다. 셋째, 전례적 시간 개념이다. 인간 역사에 개입하는 하느님의 활동은 전례 안에서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사건으로 현재화하는 시간 개념이다. 전례 안에 현존하시는 그리스도의 주요한 현존 양상은 다음의 순서대로 나타난다. 첫째,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이름으로 모인 신자들의 집회인 교회 공동체에 현존하신다. 이는 미사의 전례기도,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의 전례기도에 드러난다. 둘째, 그리스도께서는 집전자인 사제의 인격 안에 현존하신다. 이는 미사의 전례기도, 서품 예식과 성유 축성 미사의 전례기도에 나타난다. 셋째, 그리스도께서는 교회 안에서 성경을 낭독하고 설명할 때에 당신의 말씀 안에 현존하신다. 이는 말씀 전례를 중심으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그리스도께서는 가장 완전하게 성체와 성혈의 형상들 안에 현존하신다. 이는 성찬 전례에서의 감사기도, 성목요일 주님 만찬 미사와 지극히 거룩하신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미사의 전례기도에 나타난다. 이러한 전례 안에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은 성령의 도움 때문에 가능하다. 성령께서는 전례 안에서 그리스도의 구원의 현존이 가능하도록 활동하시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현존과 성령의 역할을 통해 전례에서 드러나는 그리스도의 구원의 현재화는 전례에 참여하는 그리스도인들을 거룩하게 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성령의 활동은 미사의 전례기도와 서품 예식, 세례 예식과 견진 예식, 그리고 성령 강림 대축일 미사의 전례기도에 드러난다. 그리스도의 현존과 성령의 작용은 전례적 시간 안에서 이루어진다. 전례 안에서 우리는 세상의 시간인 Chronos에서 그리스도의 영원한 구원의 시간인 Kairos로 넘어가게 된다. 그리스도의 구원의 현재화는 단 한 번(Ephapax) 일어났던 구원 역사의 Kairos와 그것을 교회가 전례를 거행할 때마다(Hosakis) 실현하는 사이에 긴밀한 관계를 이루는 기념이라는 요소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이 구원의 현재화는 전례 안에서 오늘(Hodie) 드러나게 된다. Hodie는 지금 여기 전례 안에서 실제적인 행위로써 실현되는 기억으로 드러난다. Hodie는 여러 대축일과 축일 미사의 전례기도에 나타나는데, 특히 주님 성탄 대축일 미사와 주님 부활 대축일 미사의 전례기도에 잘 드러난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통해, 전례의 구원의 현재화에 대한 인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회의 구성원인 평신도와 사제를 대상으로 하는 전례교육을 통한 구원의 현재화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요청된다. 그리고 교회는 전례의 가치와 의미를 자세히 설명하고, 참된 신앙으로 인도하는 신비교육의 실행이 시급함을 인식해야 한다. 신자들은 능동적인 전례 참여를 위한 구원의 현재화에 대한 깊은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리고 사제는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의 전례 집전에 대한 깊은 인식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회는 그리스도의 구원 신비에 대한 체계적인 신비교육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韓国教会は毎年の主日のミサの参加者の減少、信仰生活を怠るカトリック信者の増加、洗礼志願者の減少などの問題に陥っている。特に主日のミサの参加は信者の秘蹟生活を示してくれる主な指標である。韓国教会の主日のミサの参加率は2010年以降、年々減りつつある。2017年には主日のミサの参加率が19.4%で信者たちが秘蹟生活を疎かにしているのを明らかにしている。 このような現象の原因を韓国教会の状況からみると次のようである。一番目は教会でミサに関する義務をあまりにも強調しすぎて、多くの信者たちがミサの参加や秘蹟生活を義務に思うようになったことである。二つ目は個人主義の蔓延である。信仰が教会の共同体的の次元に思われず個人的領域であると思っている人が多い現状が原因となっている。三つ目は韓国教会が組織化になりすぎてキリストの救いの神秘と教会の内的な結合を妨げていることが原因としてあげられる。 三つの問題点を克服するため、教会は現時点でイエスキリストの救いの神秘を世の中に伝えられる根本的な方法を探すべきなのである。キリストの救いの概念はキリスト教の信仰の核心である。教会はキリストの司祭職の修行である典礼を挙行しながらキリストの救いの神秘を実現するべきなのだ。そのため、典礼はキリスト教の救いの概念を著しく示してくれるものなのだ。典礼はキリストが自ら制定なさり、永遠に挙行されるのを私たちへ命令なさった礼式である。つまりキリストの救いが典礼挙行を通じて実現されるのである。 このような意味で典礼も挙行を通じて成り立つキリストの救いの実現に関する研究の必要性が申し立てられる。この研究のためにはまず典礼の中でのキリストの現存の様相をみるべきなのだ。典礼の中でのキリストの現存は三つの要素を通じて成り立つ。一番目は典礼でのキリストの現存である。キリストが現存していらっしゃるからこそ教会の活動の秘蹟性が認められるからだ。二つ目は世の中の創造、キリストの降誕と復活をともにした聖霊の役割だ。聖霊はキリストが行なった救い事業が続くように教会に活力を吹き込んでくれる大事な役割を持っている。三つ目は典礼的時間概念だ。人間の歴史に介入する神様の活動は典礼の中で今ここで実現される時間の概念だ。 典礼の中に現存するキリストの主要な現存の様相は次の通りである。一、キリストはキリストの名前で集まった信者の集会の教会共同体に現存する。これはミサの典礼の祈り、聖霊降臨の主日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表れる。二、キリストは典礼を執り行う司祭の人格の中に現存する。これはミサの典礼の祈り、叙階式と聖香油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表れる。三、キリストは教会の中で聖書を朗読して説明するとき、キリストの言葉の中に現存する。これは言葉の典礼を中心に表れる。最後にキリストは聖体や聖血の形象の中に現存する。これは感謝の典礼での感謝の祈り、聖木曜日の主の晩さんの夕べのミサとキリストの至聖からなる血の祭日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表れる。 このような典礼の中でのキリストの現存は聖霊の助けがあるからこそできることなのだ。聖霊は典礼の中でキリストの救いの現存がいらっしゃるように活動しているからだ。キリストの現存と聖霊の役割を通じて典礼に表れるキリストの救いの実現は典礼に参加するキリストの人々を神々しくする原理だ。このような聖霊の活動はミサの典礼の祈りにも叙階式、洗礼式、堅振礼での典礼祈りまた聖霊降臨の主日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も表れる。 キリストの現存と聖霊の作用は典礼的時間の中になされる。典礼の中で私たちは世の中の時間であるChronosからキリストの永遠な救いの時間であるKairosに変わることになる。キリストの救いの実現はだった一度(Ephapax)行った救いの歴史のKairosとそれを教会が典礼を挙行される際に(Hosakis)実現される間に緊密な関係を作る記念という要素がなければ不可能である。この救いの実現は典礼の中で今日(Hodie)表れる。このHodieは今ここ典礼の中で実際の行為として実現される記憶に示される。これを通じて典礼の時間は人間の時間を越えた循環の時間としての意味を持つようになる。Hodieは大祝日と祝日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示されるが特に主の降誕の前日のミサと主の降誕のミサ、復活の主日の復活の聖なる徹夜祭と日中のミサの典礼の祈りによく表れる。 これまでの研究を通じて典礼の救いの実現に対する認識が絶対的に必要であること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これによって教会の構成員である信徒、司祭を対象にする典礼教育を通じて救いの現在化に対する認識の必要性が求められる。そして教会は典礼の価値と意味を詳しく説明し、正しい信仰に導かれる神秘の教育の実行が至急であることを認識しなければならない。信者たちは能動的な典礼の参加を通じて救いの実現に対する深い認識が必要であることを自覚しなければならない。そして司祭はキリストの人格の中での典礼の執典に対する深い認識を持つべきなのだ。このために教会はキリストの救いの神秘に対する体系的な神秘教育を備えるべきなのだ。 These days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facing some crucial trials with the decreasing attendants of Sunday Mass and Catechumen, where as the number of lapsed Catholics is increasing. Especially for the believers, attending Sunday Mass is a significant indicator showing their religious life. Since 2010 the participation rate of Sunday Mass has been consistently decreasing. In 2017, this ratio reached 19.4% suggesting that qualitative growth of Korean Catholic Church is degenerating. The causes of such phenomenon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many of the faithful think that attending Mass or holy sacraments is only the religious duty, because the Catholic Church has been emphasized the fidelity towards attending mass too much. Secondly, the serious problem of individualism. Many of the faithful do not consider the religious life as the communal power and reduce it to individual matter. Third, the Korean Catholic Church, too systematized, is obstructing the inner unification of the mystery of salvation and the Church. In order to overcome this realistic situation, the Church must find out a fundamental method of proclaiming the mystery of salvation of Jesus Christ to the present age. The idea of salv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Catholic faith. The Church performs the priesthood of the Christ in the liturgical celebration and in this way the mystery of his salvation is realized to present days. Therefor idea of salvation in Christian faith is presented fully in the Liturgy. The liturgy is established by Jesus Christ himself and ordered us to celebrate eternally. This is how the salvation of Christ is realized. This is the point where the need for study on the Realization of the Christ in the Liturgy is proposed. To do this first of all complexion of actual existence of Christ in the Liturgy should be treated. The existence of the Christ is consisted of three aspects. First, the existence. Christ himself must exist among the Church to obtain the sacramentality of her activity. Second, the role of the Holy Spirit who were within the creation of the world, the incarnation and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The Holy Spirit carries the crucial role in the age of the Church. The Holy Spirit inspires the Church to obtain the mystery of salvation of the Christ. Third, the concept of liturgical time. God’s action in the history of man is the concept of liturgical time which is realize in present hic et nunc(now and here). Complexion of actual existence of Christ in the Liturgy is presented in following order. Firstly, among the assembly of his followers who are gathered in his name, the Church. More specifically this existence of the Christ appears in the prayers of the Mass, especially in the Solemnity of Corpus Christi and the Pentecost. Secondly, through the personality of the celebrant, the priest, during the Liturgy of the word. Thirdly, in his Words proclaimed by the assembly. Especially in the prayers of the Mass of Priestly Ordination and the Chrism Mass. Lastly and most fully, in the form of his body and blood. This appears in Eucharistic Prayer during the Liturgy of Eucharist and also in the prayers of the Mass of Lord’s Supper and the Solemnity of Corpus Christi. Holy Spirit enables the actual existence of Christ in the Liturgy. Holy Spirit works within the Liturgy so that the Christ exist actually in the Liturgy.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through the actual existence of Christ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s a sanctification principle of Christians participating the Liturg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ppears in the prayer of the Mass of Priestly Ordination, the Sacrament of Baptism and of Confirmation, and the Mass of Pentecost. The actual existence of Christ and the action of the Holy Spirit occur in the liturgical time. Participating in Liturgy we ‘pass-over’ from Chronos, the time of secular to Kairos, the time of the eternal salvation.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can’t be possible without celebration,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Kairos, a salvation which happened once in history(Ephapax), and every celebrations of the Church(Hosakis).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happens ‘today(Hodie)’ in the liturgy celebration which means it happens ‘actually’ ‘here and now’ through the realized memory in the Liturgy. Thus the Liturgical Time gains the meaning of circular time which transcends human time. The concept if Hodie appears in the prayers of the Mass of many Solemnitis and Feasts and especially of Christmas and Easter. Through this study it is recognizable that the awareness of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is categorically necessary. Therefore, the perception of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in the Liturgy should be increased though the education on the Liturgy towards lay-people, a member of the Church and the priests. The Church must realize that mystery education which explains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the Liturgy in detail and lead the christians to the true faith is urgent. The christians should realize that a deep perception of the realization of salvation is necessary to take and active part in liturgy. The priest should be conscious that he is celebrating in the personality of Christ. For this, the Church should prepare systematic education on mystery.

      • BIM을 적용한 철도공사관리 통합시스템 구축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박근배 우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 산업의 발달에 따라 국내는 물론 해외 기업들은 모든 산업 분야에 걸쳐 정보화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IT를 활용한 건설 산업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건설업의 전산화 및 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3차원 CAD에 기초를 두는 건설정보모델기법(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은 건축분야에 도입되어 현재 상당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의 건축구조물에 의무적으로 적용되는 제도적 장치까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주로 건축분야에 적용되었던 BIM이 근래 들어 토목산업에서의 적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토목공사는 분야의 다양성과 구조물의 비정형성, 모델 대상 현장 범위 문제 등의 원인으로 라이브러리 구축과 모델링 자체의 어려움이 있어 토목공사의 BIM 적용성에 대한 상대적 관심이 적었지만, 국가의 대형공사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주되고, 이를 통해 공기 준수와 민원 문제 해결 등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BIM기반 발주의 비중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특히 BIM의 기법 중 일부인 3차원 공정관리는 일명 4D시스템이라고도 하며, 3차원 모델에 공정 데이터를 연계하여 시각적인 공정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4D는 고가의 특정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가능하며.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파일 용량 등의 시스템적인 문제로 인해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시간과 공간에 제약이 없는 웹 기반의 공사통합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철도 공사의 경우 공사비용이 천문학적인 액수에 달하며 공사의 특성상 다양한 분야의 집합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의 철도 공사에 적용되는 BIM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국내 철도 공사에 BIM을 적용한 공사관리 통합시스템 개발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BIM을 적용한 통합관리 시스템의 시공성과 물량 및 비용절감에 대한 효과를 입증 하였다.

      • 창원지역어와 고성지역어의 대비 연구

        박근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has one main purpose to compare and contrast two regional dialects, on phonological, grammatical, and lexical dimension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Goseong and Changwon regional dialects. Four points, Hail-myeon and Goseon-eup for Goseong, and Dong-eup and Buk-myeon for Changwon, have been selected as sampling areas. Among these raw lexical entries those of Dong-eup(in the year 2005) and Hail-myeon(in the year 2004) have been collected by a direct survey of the author, while those of Buk-myeon and Goseong-eup are shown in 「Korean Dialect Materials Ⅷ(Gyeongsangnam-do Province)」, published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n 1993. Although it might be criticized as unreasonable to compare and contrast to those materials with different surveying points of two areas and different workers in addition to different periods, the present, believing that the respective informants had good mastery over their traditional native usage, did try to do so. The following facts have been expected through this analysis at the outset. First,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four points are to be revealed by the identical criterion. Second, by using the above similarity and difference, we could clarify the relative affinity of four regional dialects. Third, it could be argued through this line of analysis whether the size of surveying point is gun area which has been so far selected as the unity of field work.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rast of two areas on phonological level has been revealed as following: For simple vowel system the systematic difference can be captured in two areas, for the six-vowel-system--/i, E, ∃, u, o, a/--is prevalent in two points of Changwon area, while seven-vowel-system--/i, e. E, ∃, u, o, a/--is prevalent in two points of Goseong. All of four points have five diphthongs of /ja, j∃, ju, jo/, and /wa/, but /jE/ is unstable in Dong-eup and Goseong-eup, and /w∃/ is unstable in Dong-eup. Such phonological phenomena as tensification, complete consonant assimilation of /k/ series, drop of stem-final /[부호는 본문참조]/, complete assimilation of vowel show same aspects in four points. Yet some phonological phenomena, i.e. glide formation, glide dele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and reconstruction show slight differences. For example, ‘ju-∂ss-da’(與) is realized as ‘juuttta’ in two points of Changwon area, while ‘joottta’, in two points of Goseong area. The root of ‘lk’-series was simplified as ‘l’ in two points of Changwon area, and ‘k’ in Goseong area. For ‘lk’, it is reconstructed as ‘l’ in Dong-eup, and ‘k’ in the other three points. Second, the contrast of two areas on grammatical level has been revealed as follows: For pronominal declension, the first subject case of ‘na’ and ‘j∂’, genetive case, locative case are identical in all of areas, but in Hail-myeon ‘ro’ is peculiarly used as locative case. For the declension of case marker, four points are identical in subjective, genetive, and vocative case, but they show some differences in the realization of accusative case after vowel. It is shown as ‘r[부호는 본문참조]l’ in Dong-eup and Hail-myeon, as ‘ro’ in Buk-myeon and Hail-myeon. The comparative case marker follows in this line. For the conjugation of sentence final ending, four points show a conspicuous sameness. While haera-style, hage-style, and hapsyo-style seems stable, hao-style and haeyo-style is often fluctuating in all of four points. For conjunctive ending, most endings show almost similar aspects except that ‘[부호는 본문참조]’ of a marker of simultaneity and ‘-[부호는 본문참조]ni(kka)’ of a marker of subjective cause. Third and last, the contrast of two areas on lexical level has been revealed as follows: Considering that the contrast of lexical items is not very systematic,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is dimension is not very wide. In this aspect Dong-eup is the most heterogeneous, for the different lexical entries(number of syllables, combination components, double items, relativeness, toneme, difference of vowel and consonant) in these points amount to 56 lexical entries among 120 lexical entries which are treated as targets of analysis. On the contrary, lexical entries of Goseong-eup show the least different ones, for it has only 11 lexical entries which show drastic contrast with other three points. The peculiar lexical entries amount to 25 in Buk-myeon, and 30 in Hail-myeon. Taking the above discussion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of two areas of Changwon and Goseong is not very large, let alone that of the two in-between points of Changwon and Goseong, except of that of lexical entry.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existing surveying method based on gun-unit is not desirable, at least if estimated through this field work. 이 논문은 경상남도 창원과 고성의 각 두 지역인 창원의 동읍·북면, 고성의 하일면·고성읍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역어를 음운·문법·어휘 면에서 대비(비교 및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창원 동읍(2005년)과 고성 하일면(2004년)의 자료는 필자가 직접 조사한 것이고, 창원 북면과 고성읍의 자료는 1993년에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펴낸 「한국방언자료집 Ⅷ(경남남도 편)」에 실려 있는 것이다. 두 지역의 조사 지점도 다르고 조사자 및 조사 시기도 일치하지 않는 데도 이를 대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자료 제보자는 그 지역의 전통적인 언어 자료를 가장 잘 구사했을 것으로 믿고 대조하는 작업에 임했던 것이다. 따라서 이런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네 지역의 언어를 동일한 눈으로 바라봄으로써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둘째, 첫째에서 발견한 공통점과 차이점의 크기로써 네 지역 언어의 친소 관계를 밝힐 수 있다. 셋째, 이런 작업을 통해, 그 동안 방언 조사 지점을 군 단위로 잡은 점이 적절했는지의 여부를 점검해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이 이 논의를 통해 드러난 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운 면에서의 대비 결과이다. 단모음 체계는 창원의 두 지역이 i, E, ∃, u, o, a의 6모음 체계이고 고성의 두 지역이 i, e, E, ∃, u, o, a의 7모음 체계여서, 창원 지역과 고성 지역 사이의 체계적 차이를 드러낸다. 이중모음은 ja, j∃, ju, jo와 wa는 네 지역어에 공히 존재하고, jE는 동읍과 고성읍에서, w∃는 동읍에서 불안한 모습으로 존재한다. 경음화, ㄱ계 완전 자음동화, 어간 말 ‘으’ 탈락, 모음의 완전 동화 등 음운 현상은 네 지역에서 동일한 모습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활음화 및 활음 탈락과 자음군 단순화 및 재구조화라는 음운 현상에서는 일부 차이점이 발견된다. ‘주었다’(與)는, 창원 두 지역에서는 ‘주욷따’로, 고성 두 지역에서는 ‘조옫따’로 실현된다. ‘ㄺ’계 어기는, 창원 두 지역은 ‘ㄹ’로, 고성 두 지역은 ‘ㄱ’으로 단순화되고; ‘ㄺ’의 재구조화는, 동읍은 ‘ㄹ’로 나머지 세 지역은 ‘ㅋ’으로 재구조화된다. 다음으로, 문법 면을 대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명사의 곡용에서 ‘나’와 ‘저’, ‘너’의 주격, 속격, 처격형은 모든 지역에서 동일하지만, 하일면에서는 ‘로’가 처격으로도 쓰인다는 점이 특이하다. 격조사 체계는 주격, 처격, 구격, 공동격, 호격에서 네 지역은 현저한 일치를 보여주지만, 모음 뒤 대격 조사의 실현은 동읍과 하일면에서는 ‘를’로, 북면과 고성읍에서는 ‘로’로 실현되어 차이를 드러낸다. 비교격 조사도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종결어미의 활용면에서는 네 지역이 두드러진 일치 현상을 보여준다. 각 서법마다 해라체, 하게체, 합쇼체는 안정적인 실현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에, 하오체와 해요체는 동요가 적지 않다는 점도 네 지역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여준다. 연결어미에서는 동시 상황의 ‘-으면서’, 이유나 원인의 ‘-으니(까)’에서 네 지역이 조금씩 다른 어형을 보여줄 뿐, 나머지 어미는 거의 비슷한 실현 양상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어휘면에서 대비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어휘의 대비는 체계적인 것이 아니어서 지역어 별로 편차가 적지 않음이 드러난다. 어휘적 어휘와 음운적 어휘를 통틀어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120여 어휘인데, 동읍이 다른 세 지역과 구별(음절 수, 결합 성분, 복수 어휘, 연관성, 성조, 자음, 모음 등의 차이)되는 것은 56어휘나 되어 이 지역 어휘가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이질적인 양상을 많이 보여준다. 반면에, 고성읍의 어휘가 나머지 세 지역과 구별되는 것은 11어휘에 지나지 않아, 이 지역어 어휘가 주변 지역의 어휘와 가장 많은 공통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면은 25어휘, 하일면은 30어휘에서 다른 지역들과 차이가 있음을 드러내 준다. 이상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어휘 면을 제외하면 창원의 두 지역 서로 간, 고성의 두 지역 서로 간은 물론이고, 창원과 고성 사이의 언어 차이는 두드러지지 않다고 보는 것이 옳다. 단모음 체계가 다르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고 약간의 음운 현상, 약간의 문법 어형적 차이만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군을 단위로 하여 방언 조사를 하는 것은, 이 지역어들의 경우, 잘된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 면이 있다 하겠다.

      • 노동법제의 고용유연화 경향에 기인한 비정규직 문제에 관한 고찰

        박근배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 비정규직 근로자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것은 불과 얼마 되지 않았다. 기업의 인력운영상의 수요에 의한 비정규직의 사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으나, 이에 대한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였으며 그 결과 비정규직 근로자들은 이미 법의 효력범위의 사각지대에 자리잡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노동정책은 기업의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노동수요에 발맞춰 점차 고용의 유연화를 추구하게 되었으며, IMF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이러한 노동법제의 고용유연화 경향은 급속히 진전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점차 증가하는 실업률과 비정규직 근로자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인한 고용의 안정성이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정부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수년간의 논의에 논의를 거듭하며 이른바 ‘비정규직 보호법’ 을 입법화하였다. 2007년도 7월부터 시행된 비정규직 보호법은 각 이해관계 당사자들의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 실패했으나, 비정규직 근로자의 무분별한 남용 및 불법파견 등에 대해 직접고용의무를 부과하고,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차별적 처우 금지를 법제화함으로써 이의 실효성에 대한 많은 기대를 갖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법 시행 후, 1년여 남짓 지난 현 시점에서 현행 비정규직 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범주 및 최근의 비정규직 근로자의 현황을 파악해 봄으로써 비정규직 보호법의 실효성을 평가해 보고, 주요 선진국들의 입법례 및 우리나라의 각 시대별 노동법제의 고용유연화 경향을 살펴본 후, 현행 비정규직 보호법과 입법예고를 거쳐 국회통과를 앞두고 있는 비정규직 보호법 개정안에 대한 법률적 문제점을 제기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주지하다시피,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문제는 입법적 관점에서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결코 아니며, 사회·경제적 인프라 등과 연계되어 통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때에 비로소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입법적 개선과제의 관점과 사회적 인프라 확충의 관점으로 분류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