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Vision을 이용한 스테이지 컨트롤 로봇 시스템 개발

        민현기 명지대학교 공과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Development of Stage Control Robot system using Vision The welding process in production process of the industrial manometer most decides the quality of the manometer is one on the process which is important. The bourdon tube which is a core parts of the industrial manometer usual processes the stainless steel plate which has a thin thickness and Mig or Tig welding process leads and produces. This affects big in quality of the manometer where the residual stress if the plate which occurs from welding process operates with an elastic force. The variation of the welding at the time of welding department is tensile stress because in compliance with the contraction of the fusion metal which occurs basically from welding process. This variation according to the deposit quantity, welding method and welding condition of welding speed etc. is visible a big difference. The security of homogeneity of like this welding condition operates with the core element of manometer production and case of the welding process which leans in the hand of the person the skillful plunger doing no matter how, the limit makes appear in homogeneity security. This research which sees leads and secures respects the homogeneity of welding condition and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of quality power raising and the product with bourdon tube fixation department the same guard post style work to recognize a processing error and the expert accomplishes the welding to analyze the image of these CCD cameras, sought the welding contour track of optimum and the robot system power feed the welding department researched. 산업용 압력계의 제작공정 중 용접공정은 압력계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 가운데 이다. 산업용 압력계의 핵심 부품인 부르동관은 보통 얇은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 판재를 가공하여 Mig나 Tig 용접공정을 통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 용접공정에서 발생하는 판재의 잔류응력이 탄성력으로 작용하는 압력계의 품질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용접시 용접부의 변형은 근본적으로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융금속의 수축에 의한 인장응력에 기인하는데 용착량, 용접 방법, 용접 속도 등의 용접 조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용접 조건의 균일성의 확보가 압력계 제작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사람의 손에 의지하는 용접공정의 경우 아무리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균일성 확보에 한계가 나타나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용접 조건의 균일성을 확보하여 품질력 제고와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부르동관 고정부와 같은 초소형 공작물을 가공오차를 인식하여 숙련자가 용접을 수행하듯이 CCD 카메라의 이미지를 분석하고 최적의 용접궤적을 찾아 용접부를 자동 이송 시켜주는 로봇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派遣勤勞에 관한 ILO의 國際基準과 主要國의 法制에 관한 硏究

        민현기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동의 유연화는 경제 및 사회정책 분야에서 경제적 자유에 대한 다양한 법적 규제를 철폐 또는 완화함으로써 시장원리의 복권을 위한 규제완화로 이해 될 수 있다. 규제완화 및 노동의 유연화 정책은 1970년대 중반 이후부터 1980년대에 이르기까지 유럽을 비롯한 선진자본주의 국가에서 경기불황과 성장의 침체, 인플레이의 심화, 대량실업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등장하였으며, 현재 거의 모든 국가에서 실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1980년대 후반 이후 규제완화 및 유연화 논의가 전개되기 시작하였으나 본격적으로 실시된 것은 1997년말 외환위기 이후부터라 할 수 있다. 1997년의 외환위기는 한국경제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초래하였다. 정부는 IMF의 금융지원을 얻기 위해 IMF가 조건으로 내세운 노동시장의 유연화 요구를 수용하여 금융기관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함께 노동관계법의 개혁에도 착수하였다. 그 결과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정리해고와 변형근로제가 도입되었고, 「파견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법률」의 제정으로 종래 금지되었던 근로자 파견이 합법화되었다. 근로자 파견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도 파견근로는 존재하여 왔다. 근로자 파견법 제정이전부터 파견근로가 존재 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87년 이후 민주화의 분위기 속에 노동조합 활동이 활성화 되고 근로자의 임금마저도 상승하자 이에 부담을 느낀 기업들은 정규 근로자의 채용을 기피하면서 저임금에 고용의 부담마저 없는 파견근로자를 선호하는 데에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파견법은 제정 당시부터 법 제정 자체 및 내용을 둘러싸고 노사간에 의견이 대립되었으며, 특히 파견근로자를 2년 이상 사용한 경우에 직접 고용한 것으로 본다는 간주규정이 적용되기 시작한 2000년 6월 말을 전후하여 법 개정을 둘러싼 갈등이 증폭되었다. 개정파견법은 노사정위원회가 2001년 7월 법률안개정에 대하여 논의한 이후 2006년 11월 30일 국회의장이 국회본회의에 직권 상정하여 의결되었다. 우리나라의 파견법은 전문적 업무에 대한 파견, 사용사업주와 파견사업주의 책임분배 등에 있어서는 일본 근로자 파견법과 유사한 측면을 갖고 있는 반면, 프랑스와 독일의 파견법을 참고한 측면도 발견된다. 일시적 업무에 대한 파견의 제한이나 균등 대우 원칙 등은 프랑스 파견법과 유사하며, 파견기간의 상한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사업주가 고용한 것으로 간주하는 규정은 독일과 프랑스의 입법례를 참고한 것이다. 파견형태의 근로관계 및 파견업에 관해서도 아직도 ILO가 협약이나 권고와 같은 명시적인 입장을 채택한 예는 없다. 그러나 1933년의 ‘유료직업소개소에 관한 협약’에서 유료직업소개소의 폐지 원칙을 밝히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ILO는 일찍부터 직업소개사업이 민간에 의해 영리를 목적으로 추구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취해 왔다. 그런데 근래 전 세계적인 직업안정법제의 전환을 맞아 ILO의 이사회도 1982년 이래 근로자 파견업을 규제하는 기준을 토의할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고, 1984년에 설치된 국제근로기준에 관한 작업부회의 보고서에는 파견업 규제를 위한 새로운 협약 또는 권고의 작성을 제안하였고 이사회는 이를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1997년 ILO 제85차 총회에서는 민간 취업 알선 업체에 관한 협약과 권고(제181호)를 채택하여 파견근로제를 포함하는 민간 취업 알선 업체들의 기능을 긍정적으로 인정하였다. 각국의 법제와 국제노동기구의 태도를 감안한때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파견근로자 보호를 위해서는 이번 국회를 통과한 개정법률안이 현실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이다. 그러므로 노사정은 파견근로자의 실태와 이번 입법안의 영향을 조사하여 이를 뒷받침할 보호입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또한 파견근로자의 근로삼권을 보장하여 파견근로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사용사업주와 밀접히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단체교섭을 할 수 있도록 사용사업주의 사용자성 인정 및 파견사업주와 사용사업주의 의무규정이 확립되어야 한다. Elasticization of labor can be understood as deregulation for reinstatement of market principle by abolishing or mitigating various legal regulations with respect to economic freedom in economy and social policy fields. Deregulation and labor elasticization policy has entered the stage as a measure for overcoming the critical situations of economic depression and stagnation of growth, deepening of inflation, and mass unemployment in advanced capitalistic nations including European countries from the mid 1970's to the 1980's. Currently, they are implemented in almost every country. In the case of Korea, discussion of deregulation and elasticization began after the 1980's. However, it was actively engaged when currency crisis or financial crisis occurred at the end of 1997.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gave rise to a drastic change in Korean economy. The government, in order to obtain financial support from IMF, accepted the request for elasticization of labor market that IMF set forth as a condition and implemented a large-scale restructuring. Along with this, the government engaged in reformation of labor related laws.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of the Labor Standard Act, Adjustment Dismissal and Transformation working Act were introduced, and dispatch of workers that had been forbidden was recently legalized by the enactment of regulations regarding protection of dispatch workers, etc. Even before the enactment of dispatch worker law, dispatch work existed. The reason why dispatch work could exist even before the enactment of laws regarding dispatch of workers is because after 1987 in the democratization atmosphere, corporations, burdened by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s and increase in wages of workers, began avoiding hiring permanent workers and preferred dispatch workers or casual workers over permanent workers because of low labor cost and no risk involved in permanent employment. There were conflicts regarding dispatch law from the beginning of its enactment, with respect to the enactment of the law itself and its contents. In particular, when the deemed regulation was being applied in which in the case of having hired dispatch workers for over two years, then the dispatch workers would be deemed to have been directly permanently employed by the corporation around at the end of June of 2000, conflicts surrounding the amendment of the law were amplified. The amendment to the dispatch law was decided by presenting of the bill by official authority to the Assembly plenary session by the Chairman on November 30, 2006 after the discussion of Investigation Official Committee regarding the amendment of the legal proposal in July, 2007.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Korea's dispatch law and that of Japan with respect to dispatch regarding professional duty, responsibility sharing of employment business proprietor, dispatch business proprietor etc., and also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France, and Korea and Germany as well. Restrictions on dispatch with respect to temporary works is similar to that of the French law, and the regulation that deems the employment business proprietor to have hired the workers in the event that the dispatch period exceeded the upper limit is similar to those of Germany and France. There is no example of adoption of an express position such as agreement or recommendation by ILO with respect to the labor relations of dispatch type and dispatch work.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agreement regarding fee-charging employment agencies’ in 1933 in which principle for abolition of fee-charging employment agencies is mentioned, ILO from the beginning took the position that business of employment agencies should not be sought for the purpose of profit by the civil sectors. However, recently, facing the global turning point of job stabilization legislation, the ILO board of directors began to recognize the necessity for discussing the standard regulating the business of workers dispatching after 1982. And in 1984, in the reports of the work conference with respect to the international labor standard, a new convention or preparation of recommendation for dispatch business regulation was proposed and approved by the board of directors. According to this, in the 85th General Assembly of ILO of 1997, Convention and Recommendation Regarding Civil Employment Agencies (No. 181) was adopted and the function of civil employment agencies that involves civil employment agencies was recognized in a positive light. Considering the legal system and attitude of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s of various countries, as to how the amendment to the legal proposal that was passed this time will essentially influence the society is unknown with respect to protection of dispatch workers that is suitable for Korea's situations. Thus, the Tripartite Commission should come up with protection legal that will support it by inspecting the influence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dispatch workers and this legal proposal. Also, recognition on the part of the user of employment business proprietor and dispatch business proprietor and duty regulation of employment business proprietor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dispatch workers can form labor unions and can the right of collective bargaining with respect to the issues closely related to the employment business proprietors by guaranteeing three rights to work of dispatch workers.

      • 수변녹지 조성을 위한 식재기반 진단평가

        민현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변구역은 하천 주변에 사는 동・식물은 물론 이들의 서식처를 포함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하천 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수질을 정화하는 등 수량과 수질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또한, 추이대(Ecotone)를 보유하고 있어 높은 생물다양성과 종밀도, 생물학적 생산력으로 생태적인 측면에서도 적합한 관리가 요구되며, 이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한 일부 국가에서는 수변구역의 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수변구역은 논이나 밭 등의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거나 사람의 보행이나 이용을 위한 구조물 등의 설치로 인해 자연환경의 훼손과 생태계의 단절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례로 충남하천 제내지 토지이용현황의 경우 농경지가 61.0%, 주거지가 1 일4%, 도로가 4.0%를 차지하고 있어 약 80% 이상이 개발・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렇게 이용과 개발에 의해 훼손된 식재기반은 식생 제한인자로 인하여 식물이 생육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은 관계로 식생 제한인자의 개선 및 개량 없이 식재된 식물은 결국 생육 불량에 처하거나 때로는 고사할 수 있어 경제적 피해는 물론 수변 생태벨트 조성을 통한 생태복원 계획에도 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수변구역 녹지조성 사례가 적은 편이며, 또한, 식재기반에 대한 조사 및 개량에 대한 연구 역시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후 수변녹지 및 생태벨트 조성을 위한 식재기반 조성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조경학회 식재기반 평가기준(한국조경학회, 2007)을 토대로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자연식생은 유사한 환경 조건을 지닌 인근 지역의 생태적 복원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하여 자연식생이 잘 보전되어 있는 자연수변림의 식생기반을 조사하고, 환경부에서 수변 생태벨트 시범사업 대상지로 지정한 가평삼회지구 수변구역의 식재기반을 조사하여 훼손 유형 및 식생 제한인자를 분석・평가함으로써 수변녹지 식재기반 조성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 분포하는 자연식생은 유사한 환경 조건을 지닌 인근 지역의 생태적 복원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하여 자연식생이 잘 보전되어 있는 자연수변림의 식생기반을 조사하고, 이를 한국조경학회 식재기반 평가기준을 토대로 분석·평가하여 수변녹지 식재기반 조성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평삼회지구 수변구역의 경우 80년대 이후 자연상태의 식재기반 위에 4~5m의 콘크리트 제방을 쌓고, 자갈과 잡석으로 성토하여 주거 및 상업 시설로 20년 이상 이용한 지역으로 기존 수변구역의 제5지점, 수변 성토지역의 제6, 7지점, 성토 훼손지역의 제2, 3, 4지점 그리고 평지인 제9지점의 경우 토양이 척박하여 식물 생육이 불량해질 가능성이 있어 시비에 의한 식재기반 정비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성토 훼손지역인 제2지점의 경우 성토 시 중장비에 의한 답압으로 인해 토양이 고결된 관계로 식물 근계 형성이 곤란할 수 있어 경운 및 시비 등에 의한 식재기반 정비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 riparian zone is a system including plants and animals inhabiting around rivers and their habitats. Riparian zones are very important in terms of quality and quantity of water as they control river flows and store and purify water. Also, riparian zones keep ecotones, and require appropriate management for ecological soundness including high biodiversity, concentration of species and biological productivity, which has been considered important in some countries, where they commit more resources and efforts to managing riparian zones. As of now, however, the riparian zones at home are used for paddy and dry fields or structures installed for people's walking or convenience, destroying natural environment and breaking off ecosystems. For example, the lands within embankment areas in Chungnam are reportedly used for farmlands(61.0%), residential areas(4%/day) and roads(4.0%). That is, approximately more than 80% is developed and used. Much of planting base damaged by use and development is not appropriate for plants to grow and survive due to vegetation restriction factors. Plants set without improvement and betterment of vegetation restriction factors end up in failure or even withering to death, which results in economic damage and big barriers to ecological restoration plans through riparian eco-belts. Domestically, however, few cases of forming green space in riparian zones exist, and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planting base and its improvement are insufficient. Hence,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o build planting base for riparian green space and eco-belts. In that sense, based on the assessment criteria of planting base adopted b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7) and the observation that natural vegetation distributed in a certain area can provide basic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neighboring areas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natural riparian forest where natural vegetation is well preserved, and examined the planting base in Gapyeong Samhwei district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target zone of pilot project for riparian eco-belt to analyze and assess damage types and vegetation restriction factors so that the findings will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developing the technology to form riparian planting base.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natural vegetation distributed in a certain area can provide basic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neighboring areas that are under similar environmental condition,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lanting base in a natural riparian forest where natural vegetation is well preserved, and analyzed and assessed the results based on the assessment criteria of planting base adopted by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ing technology to build the riparian vegetation base. To sum up, the findings below were gained in the present study: In Gapyeong Samhwei district, the riparian zone has been used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for over 20 years since 1980s when 4~5-meter concrete embankment was built on the original natural planting base, which was then filled with gravels and rubble stones. The 5th site in the existing riparian zone; the 6th and 7th sites in the riparian filled-up area; the 2nd, 3rd and 4th damaged filled-up sites; and the 9th site in the flat ground had infertile soil where plant growth could fail, so improvement measures using fertilization need applying to the planting base. In addition, in the 2nd site where the filled-up area was found damaged, the traffic injury caused by heavy machinery led to compacted soil, making plant root spacing hard. Hence, improvement of the planting base by means of tillage and fertilization is required.

      • 디지털 만화 저작도구 및 모바일 전용 뷰어

        민현기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만화에 특화된 저작도구와 그에 따른 모바일 뷰어에 대하여 제안한다. 저작도구는 콘텐츠 저작자의 입장에서 저작자의 기획의도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Scene Flow와 Grid 기법을 제공하여 편의성과 효율성을 최대화한다. 또한 저작도구를 통하여 저작된 콘텐츠는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전용 뷰어를 통하여 제공되며, 저작자의 기획의도와 만화 스토리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화면전환 효과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면전환 효과는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저작자가 지정하며, 만화 스토리에 적합한 효과를 지정하는 것은 저작자의 몫으로 그에 대한 평가는 콘텐츠의 질을 좌우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만화 저작도구를 이용한 저작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저작도구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증명하고, 전용 뷰어를 통하여 이를 확인하도록 한다.

      •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민현기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을 통해 인내와 성취의 과정을 밝혀 극한 스포츠에 대한 특징 및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은 어떠한 체험 구조를 갖고 있으며 본질적인 의미 및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트라이애슬론 참여 과정에서 얻게 되는 체험적 의미들은 어떠한 매력을 갖고 있으며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에서 얻게 되는 체험적 의미와 구조들은 극한 스포츠에 대한 일반적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는가?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총 9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노트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의 분석에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3개의 상위 범주와 7개의 하위 범주 및 21개의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트라이애슬론 동호인들의 도전 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범주는 다음과 같은 3개의 ‘트라이애슬론과의 만남’, ‘트라이애슬론에 대한 도전’, ‘트라이애슬론을 통한 성장’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라이애슬론과의 만남은 ‘트라이애슬론을 시작하게 된 계기’, ‘트라이애슬론에서의 동호회’, ‘동호회에서의 대인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트라이애슬론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주변의 권유’, ‘자연스러운 만남’으로 나타났으며 트라이애슬론에서의 동호회는 ‘가족적인 분위기’, ‘동료 의식’, ‘정보 공유’로 나타났고 동호회에서의 대인관계는 ‘친근함’, ‘편안함’, ‘밝은 분위기’로 나타났다. 넷째, 트라이애슬론에 대한 도전은 ‘한계에 도전하는 스포츠’와 ‘완주에 대한 열의’로 나타났다. 다섯째, 한계에 도전하는 스포츠는 ‘도전에 대한 의지’와 ‘한계 체감’으로 나타났으며 완주에 대한 열의는 ‘시행착오’, ‘부정적 상황에서의 자세’, ‘함께하는 자신감’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트라이애슬론을 통한 성장은 ‘인내와 성취의 과정’과 ‘환경에 대한 두려움과 극복’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내와 성취의 과정은 ‘집중력 유지’, ‘훈련의 중요성’, ‘피니쉬 라인’, ‘기록 단축’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두려움 극복은 ‘오픈워터에 대한 압박감’, ‘물에 대한 공포’, ‘대회 참가를 통한 극복’, ‘훈련을 통한 극복’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uncovering the process of patience and achievement through the process of challenge in Triathlon participants to provide features and basic data on extreme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of all, what kind of experience structure does Triathlon participants' experience have and what are the essential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Secondly, what are the empirical meanings gained during the Triathlon course that affect continuing participation? Lastly, can the experimental meanings and structures gained during the participation and completion of the Triathlon participants be represented as general features of extreme sports? A total of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o reveal the process of challenge in Triathlon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research note. The Giorgi’s technical phenomenology was perform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three upper categories, seven lower categories, and twenty-one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p categories were the following three 'Meeting with Triathlon', 'Challenging to the Triathlon' and 'Growth through the Triathlon'. Second, 'The meeting with Triathlon' turned out "The reason for starting Triathlon", "Community in Triathlon club"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club". Third, 'The reason for starting Triathlon' was to be the "recommendation of surroundings", "Meeting without intentions" and 'Community in Triathlon club' appeared to be "Familial atmosphere", "The sense of fellowship", "Sharing information"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lub' was "Friendliness", "Comfort" and "Upbeat atmosphere". Fourth, 'Challenging to Triathlon' was appeared "Sports challenging to the limitation" and "Enthusiasm for the completion". Fifth, 'Sports challenging to the limitation' was shown by "Willingness to challenging" and "A sense of limitation", while 'Enthusiasm for the completion' was shown by "Trial and error", "Attitude in negative circumstances" and "Confidence in being together". Sixth, 'Growth through the triathlon' has been shown as "The process of patience and achievement" and "The fear and overcoming of the environment". Seventh, 'The process of patience and achievement' was shown as "Maintaining concentration", "The importance of training", "The finish line" and "shortening of records", while 'Overcoming the fear of environment' was shown as "Pressure on open-water", "A fear of water", "Overcoming through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and "Overcoming through training".

      • 저예산 독립 SF영화의 제작과 형식미학에 관한 연구 : 단편영화 <사는게 먼지>를 중심으로

        민현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저예산 SF영화 Low budget science fiction film의 형식미학적 특징 및 제작과정의 특수성에 대해 연구하고, 이에 기초하여 저예산 단편 SF영화 <사는게 먼지>의 제작과정과 형식미학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저예산 SF영화’라 함은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SF영화의 제작구조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제작방식을 모색하여 제작된 영화를 일컫는다. 기존 SF영화에서는 화려한 CG로 구현된 블록버스터로 볼거리를 제공했다면, 저예산 SF영화는 이런 스펙터클로 평가받지 않는다. 이는 CG의 비중을 줄여 스토리와 내러티브에 집중하고 기존 SF의 형식을 변주하는 등 특유의 형식미학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사는게 먼지>는 저예산 SF 단편영화로 대기오염으로 인해 방독면 없이 살 수 없는 세상에서의 인간사회와 이런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하는 인류를 그린 작품이다. <사는게 먼지>는 제3회 환경부 환경단편영화 [숨:]과 한양대학교 교내연구지원 사업(HY-2019)에서 제작지원을 받아 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근미래의 세계관에 걸 맞는 소품, 세트제작과 진화의 표현 등을 완벽히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예산이었다. 이에 <사는게 먼지>는 성공적인 제작을 위해 기존 SF영화와 다른 저예산 SF영화만의 형식미학적 특징을 연구하여 기존 SF영화로부터의 변주를 시도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우선 ‘SF영화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정리한 뒤 SF영화의 유형을 ‘우주SF’, ‘시간여행SF’, ‘사이보그SF’, ‘디스토피아SF’로 분류한다. 이후 기존 SF영화를 저비용으로 구현한 ‘저예산 SF영화의 개념’과 ‘형식미학적 특징’에 대해 분석했다. ‘저예산 SF영화의 형식미학적 특징’은 '전략적 내러티브 기획', '미장센'으로 분류하고 ‘전략적 내러티브 기획’은 ‘세계관묘사’, ‘형식의 변주’로, 미장센은 ‘특수효과’, ‘공간, 세트 디자인’, ‘의복, 소품 디자인’으로 세분화해서 분석했다. 이렇게 분석한 저예산 SF영화의 형식미학적 특징을 토대로 <사는게 먼지>의 형식미학적 특징과 제작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사는게 먼지>의 기획과정부터 프로덕션, 전략적 내러티브 기획, 미장센 구축과정까지 효율적인 저예산 SF영화의 제작방법에 대해 탐구하였다.

      • 대학생의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민현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을 살펴보고,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4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유머대처척도(CHS), 유머스타일 척도(HSQ), 심리적 안녕감 척도 (PWBS) 사용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머대처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유머스타일의 차이는 없었다. 학년별로는 유머대처능력에서 3학년이 2학년에 비해 높았고, 2학년과 3학년이 1학년에 비해 비순응적인 유머스타일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을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고 학년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머대처 및 유머스타일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머대처와 심리적 안녕감 전체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에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유머스타일 중 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비순응적 유머와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머대처와 유머스타일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머대처는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스타일 중 순응적 유머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sponse to humor and humor styl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n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coping with humor as well as humor style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objective, 240 students attending to the universities in Capital Metropolitan Area were sampled to make a research on how to deal with humor, the humor style and the variat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as the effects of coping with humors and humor style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The result show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for the coping with humor and humor style based on the target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male students showed much better coping capacity on humors than female yet no difference in humor style by gender. By grades, the those in junior year has higher capacity in dealing with humors than the sophomores, while the sophomores and junior year students has higher non adaptive humor style than the freshmen. Secondly, in examining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based on the target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elf-acceptance among th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showed higher in male group than female, but no difference in grades. Third, the result of examining on the relation between coping with humors, humor styl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re were static correlations in the overall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coping with humors, as well as in th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such as personal growt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elf-acceptance. Also,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s between adaptive humor among humor styles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but on the contrary, a negative correlation has appeared between non-adaptive humor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Finally, the findings from studying on the effects of coping with humors as well as humor styles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coping with humors had a positive effect while the adaptive humor among humor styles had a definit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