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대학원의 케어기빙상담 전공 교육과정기준 개발 연구

        민부자,홍후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specialized in care-giver managers for a cyber graduate school. Frameworks and procedure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re followings: First, universal survey was executed to college graduates as latent clients. Based on results of survey, high needs of graduate school course was confirmed. Second, several times of expert meetings and literature review brought forth the drafts of key competencies and lists of courses. Third, 2 times survey marked by expert was implemented in order to reconfirm key competencies of care-giver manager, areas of courses such as theory, practice, and action research of caregiving, lists and names of courses, status and weight of courses, and time schedule of course offerings. Through these procedures 18 key competencies of care-giver managers under the three curriculum areas of task management, human relationships, and integration and synthesis, 18 course lists under the three curriculum areas. Finally frameworks and design model of caregiving counselling curriculum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K사이버대학교에서 대학원에 ‘케어기빙상담’ 관련 특성화 전공을 설치하는 기초연구 과정과 그 결과를 반성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대학원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에 부합하면서, 케어기빙상담자들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확인하고 이를 길러줄 수 있는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기준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과정기준개발위원회를 9인으로 구성·운영하고, 이들이 핵심역량과 관련된 교과목 중심의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이 시안을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30인의 전문가 패널로부터 2차례에 걸친 타당화 조사를 거쳐 정련하고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구체적인 개발 과정은 첫째, 교육과정기준 개발 절차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케어기빙상담 전공 특성화 과정의 개발 절차를 수립하였고, 둘째, 대학원 교육의 이념, 전공이 속한 대학원이 기르고자 하는 인간상과 교육목표를 확인하였으며, 셋째, 케어기버 및 케어기버 카운슬러의 주요 역할을 확인하여 그들의 핵심직무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핵심역량을 도출하였고, 넷째,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과목 시안 목록을 개발하였다. 다섯째, 이렇게 개발된 시안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문가 의견조사를 2차례 거쳐 3개 영역 총 18개의 핵심역량과 6개 영역 총 18개 과목을 최종안으로 확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교육복지

        민부자,윤완석,박혜림,홍후조 한국교육정치학회 2013 敎育政治學硏究 Vol.20 No.4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explore the authentic meaning of educational welfare. Korean government has rapidly expanded the amount of educational welfare such as free compulsory education of middle school, reduction of class size, and free lunch for all students. Unfortunatel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face lack of public finance including educational budget. This research compared the countable welfare with the uncountable one. Within the limited budget, the government needs to set the order of priorities about which item comes first in the educational expenditure. Usually in the educational field, uncountable welfare such as the quality of teaching by teachers and learning experience by students is much precious than the other countable one. In the compulsory education level, all students need to meet the standards of an ordinary educated person through appropriate compensatory learning opportunities in spite of their differences such as class, gender, language, etc... As another aspect, in the range of career-based educational level after the high schools, each career groups should be provided with relevant learning opportunities according to their academic and vocational career plans. That is, this study reveals the functions and purposes of schoo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on curriculum for compulsory schools and elective curriculum for high schools. Moreover the research provides the grounds for common curriculum based on basic and common education and the bases for elective curriculum that is suitable for career-specific customized curriculum. To sum up, this study insists that educational welfare means quality education from appropriate learning opportunities. 본 연구는 확대일로에 있는 교육복지를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려고 하였다. 학교의 가시적・비가시적 복지기능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측면부터 차례로 복지를 확대해갈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특히 학교의 설립․운영 목적에 비추어보면, 가르치고 배우는 기능을 충실히 하는 비가시적인 교육내적 복지가 무상급식 제공 등 가시적인 복지보다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예산으로 감당가능한 복지, 지속가능한 복지에 대한 우선순위의 정립을 위하여 교육외적 복지에 대비하여 교육내적 복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내적 복지의 중요한 측면을 교육과정 복지로 보고, 이를 초․중학교의 의무교육기와 고등학교 이후 비의무교육기의 것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의무교육기에는 학생간의 어떠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기초・기본 교육과정을 누구나 ‘차별없이 균등하게’ 제공받는 것이, 이에 대비해서 비의무교육기에는 차별이 되지 않는 차이, 즉 학생의 적성과 사회적 진로에 따라 알맞은 학습기회를 제공받는 것이 교육과정적 측면에서는 최선의 복지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에서는 기초수준 이하에 대한 보충학습 제공이, 후자에서는 진로별 학습 기회 보장이 교육과정 복지에서 각각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학급ㆍ학교 규모에 관한 시론적 연구

        민부자(閔富子),홍후조(洪厚祚)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2

        이 연구는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교육과정의 구성영역인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외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과정의 이수방식인 공통 교육과정과 선택 교육과정 운영에서 학교 및 학급의 적정규모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논의한 것이다. 교육과정의 구성영역과 관련하여 교과 교육과정을 위한 활동에서는 학급당 학생수의 적정규모가 중요하지만, 교과외 교육과정의 활동에서는 학교당 학생수의 적정규모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후자의 경우 공교육의 목표는 공동체의 유지와 발전에 있고, 이를 위한 각종 집단 및 단체 활동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교육과정의 이수방식과 관련하여 초?중학교에 해당하는 공통 교육과정(2009 개정 교육과정 기준)은 기초ㆍ기본 교육의 책임지도라는 교육복지 차원에서 ‘각’ 학교가 교육목표 달성 등에 적합하도록 일정 규모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반면, 고교의 선택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진로에 맞는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면 거대규모가 되어야 가능한데, 거대 규모는 바람직하지도 않으며 각 학교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모두 제공하기 어렵다. 특히, 특수한 요구인 예체능 및 직업 과정 등을 모든 학교에 다 개설하기 어려우므로 학교‘간’ 역할분담과 협력이 필요하고, 결국 지역내 협력하는 여러 학교들의 전체 규모가 적정화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the optimal size of school and classroom is for effective curricular practice and instruction, in the curriculum area of subject-based and extra curriculum or cross-curriculum, and in the curriculum practice of common-required curriculum and different-elective curriculum. In relation to the area of curriculum, we should consider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for the subject curriculum, but the number of students per school for the extra curriculum, because the aim of public education is to develop citizenship and social capit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which provide basic education through common-required curriculum should meet the optimal size of each school for the completion of compulsory education. On the other hand, high school offer the different-elective curriculum according to learner"s aptitude and career plan. But each high school has limited educational resources such as number of teachers and classrooms. Hence, high schools cannot offer whole range of diverse curricula, so schools in the same school district should collaborate in order to provide them. Thus the total size of collaborating high schools is important.

      • KCI등재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차이 분석

        민부자 ( Bu Ja Min ),조호제 ( Ho Je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교육경력별·소지학위별로 수석교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파악한 후 IPA 격자도로 분석, 중요도와 수행도가 일치하는 영역은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그렇지 않은 영역은 수행도를 높이거나 과잉 투자를 줄이도록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수행도, 둘 간의 격차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분석 결과,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각 직무의 중요도를 조금 더 높게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행도 역시 다른 학교급에 비해 다소 높게 응답하였다. 교육경력이 많거나 높은 학위 소지자 일수록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IPA 격자도로 분석한 결과, 유지 영역과 집중 영역에 해당하는 직무들은 현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돕고, 저순위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보다 높은 수행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 수석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집중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측면에서 핵심 사항에 해당되므로 수석교사가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수 강화, 자기 연찬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과잉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중요도에 비해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므로 이 부분 역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ster teacher`s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re related to with each o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s. Elementary school master teachers have a little high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In accordance with this, the performance was also higher than other school teachers. The higher one`s teaching career and degree are, the higher the performance i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IPA difference show that careers related to maintenance and concentration domains need to help master teachers to continue their contemporary position. And we need to support master teachers in various aspects of low grade domains. Because the concentration domains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or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training and studies for higher performance. In contrast we need to reform investment for the job related to the surplus domain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에 관한 연구

        민부자 ( Bu Ja Min ),홍후조 ( Hoo Jo Ho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기반이 되는 설계 모형을 구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첫째, 초등교육의 특징과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 둘째,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 요소에 대한 탐색; 셋째, 일선 초등교사의 의견 조사; 넷째, 초등학교 교육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 구안으로 이루어지며, 각 연구 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문헌 연구, 조사 연구, 개발 연구를 활용한다. 이를 통해 초등교육은 유치원 및 중등학교와 구분되는 기초성·형성성·통합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과정으로서의 교육`을 추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구성 요소로 첫째, 교육목표의 설정 원천인 사회·교과(학문)·학습자를 고려하고; 둘째, 교육과정 구성 영역으로 기존의 교과·재량활동·특별활동 보다는 21세기형 인재 양성을 위해 요청되는 교과·통합적 역량 개발 활동·특별활동을 제안하며; 셋째, 저학년·고학년의 두 개 학년군을 교육과정의 조정 준거로 제시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which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re are four main subjects. First, it analyzes the special features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ly, it inquires the main elements of curriculum design model. Thirdly, it surveys the idea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Fourthly, it coins out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of the elementary education. It uses three research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model development. Elementary education has special features such as the foundation and basis of education, formation of basic identity of students, and unity or integration differentiated from kindergart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o we should persue an elementary education as a procedure or process not a product. Next, it pays attention on three composition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design model. We should consider, 1) society, subjects and leaners as a basic educational sources, 2) subject, activities for building up unified competencies, and extracurriculum to cultivate men of talent for future, 3) grades to coordinate curriculum design model with students` development.

      • KCI등재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류와 교원의 요구도 분석

        홍후조,민부자,장소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연수 프로그램 구안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전국 17개 시․도교육연수원에서 이루어지는 6,600 여개의 연수 과정 분석을 통해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유형을 4개 대영역, 13개 중영역, 32개 소영역으로 분류하고, 이에 대해 15명의 전문가들로부터 분류의 타당성과 명칭의 적절성을 확인한 후 조정하였다. 이후 32개 소영역에 대해서 직급별(교단교사와 관리자・전문가), 학교급별(유치원, 초중고교, 연수원 등), 경력별(저・중저・중고・고) 연수의 실태(수행도)와 바람직한 수준의 중요도를 확인하였고, 그 차이를 기초로 Borich 교육요구도를 통해 직급별, 학교급별, 경력별 교육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급‧학교급‧경력별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교원복지, 교권, 장애학생지원, 학습부진학생지원, 진학지도, 직업지도 등의 연수 프로그램이 집중노력 영역으로, 학사관련 연수프로그램은 과잉투자 영역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실제 이루어지는 연수를 대상으로 교원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렴한 것으로, 현행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향후 바람직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일정한 시사를 주고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 for school teachers performing their job roles effectively. First, we classified teacher training program into 4 large classes, 13 middle classes and 32 small classes. Then, we asked the teachers to choose among the 32 small classes by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eacher’s welfare, teacher’s authority and rights, support service for disabled students, support service for underachieving students,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received high importance in that order whilst having comparatively low performance status. Those small classes were suggested to be in need of ‘concentrated effort.’ On the other hand, training program for miscellaneous paperwork-related was viewed as an ‘overinvestment’, having low importance and high performance status. In detail, opinions slightly vary by teacher’s status, career experience and school level.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hould have a customized plan according to teacher’s status, work experience and school level. And it is necessary for an institutional measure plan to make related persons understand that teacher’s on-the-job training program is a lifelong self-development education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it.

      • KCI등재후보

        의무교육에서 학교․교원․교육과정 제도간 불일치의 문제와 과제

        홍후조,민부자 한국교육정치학회 2012 敎育政治學硏究 Vol.19 No.1

        The Korean school system has six years of primary school, three years of middle school, and three years of high school. However, these three branches are disconnected from one another. Prim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re trained separately and only collaborate with others within their school system; currently,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for each school system are produced separately. The Korean Constitution and educational laws also perpetuate the separation and mismatch of the three branches. This mismatching has caused many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e examined the realitie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educational systems, and the struggles of integrating small-scale schools in rural area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Finland’s basic comprehensive school system due to their success in creating a school system that matches teacher supply and curriculum frameworks. In conclusion, Korea needs to create a vision and set new goals for its nine 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and strive to build unity and matching between the three educational branches in the areas of legal regulations,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supply, and curriculum. 이 논문은 6-3-3의 학제, 6-6의 교사양성 운용제, 9-3의 의무교육제, 겉은 6-3-3제이지만 속은 9-3제를 지향하는 교육과정제 등 학교교육에 기본이 되는 제도간의 불일치 문제와 이러한 제도들이 일치되었을 경우 거둘 수 있는 효과를 다룬 것이다. 먼저교육관련 법령에서 교육제도간 단절을 살펴보고 소규모학교 통합운영 사례에서 교육제도간 불일치의 실상과 문제를 다루었다. 또한 기본교육을 위한 하나의 토대로서 통합학교를 운영하는 핀란드 사례를 통해 교육제도간 상호조응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검토하였다. 의무교육기에 교육제도간 일치는 기본교육의 충실화를 낳을 수 있다. 이것은 법적으로 취학률 100% 달성, 재정적으로 기본교육비의 무상화를 넘어서 개인의 잠재력 실현과 사회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학교의 존재이유를 달성하는 일과 관계된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로 단절된 학교제도, 교육과정제도, 교사 양성 및 운용 제도는상호 연계되고 협력을 해야 충실한 의무교육, 튼튼한 기본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의무교육의 재개념화를 통해 그 내실화를 위한 목적과 지향점 설정이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법규 정비를 통한 통합학교 구축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그 일환으로 고시되는 교육과정은 학교간 연계를 유도하는 9년 일관교육과정을 지향해야 하고, 교사들은 협력이 가능하도록 양성 운용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의 정책의도가 해석되고 이행되는 방식에 관한 두 학교 사례 연구

        성열관,민부자 안암교육학회 2008 한국교육학연구 Vol.14 No.3

        Social and educational interests in after-school program have grown in Korea. For the reality-check purpose, this article has an research question on the extent to which implement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selected schools catch up with intended goals by the government. To evaluate after-school programs at real schools, two cases are selected as school-based after-school services for low-income area’s public school students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Department of Education has emphasized three goals of the program: (1) reducing parents’ burden on private tutoring, (2) bridging educational gap especially for low-income and underachieved students, and (3) increasing the availability of after-school opportunities for, so called, latchykey kids during their non-school hours. Based on collected qualitative data and information from the school sites about how this program works, it is firstly reported that after-school program at middle school level is simply recognized as supplementary lessons by students and at the same time discourses used in private cramming schools are circulated. Secondly, after-school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give more emphasis on low-income students in need of better caring and quality programs. Thirdly, caring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level plays a critical role in ensuring that this program sustains the intended goals that are originally set by the government.

      • KCI등재

        판수누적(版數累積)교과서 도입의 발행에 관한 연구

        정희엽,민부자,홍후조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1

        Textbook publication system is being simplified from government-published, government-authorized, government-approved to screening and autonom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accumulated textbook” system as a way to improve the increasing need to prepare publishers' expertise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and to improve the wasteful reality of developing and using only first-time textbooks under the 5-year curriculum period.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umulative editions of textbooks and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The results of a survey on textbook users such as teachers and readers and textbook providers such as authors and publishers were analyzed and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look at cases of cumulative textbooks with at least two editions and as many as 100 editions in other countries. The survey results highly agreed to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low-quality textbooks,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frequent curriculum revisions, strengthening the maintenance and accountability of publishers, saving textbook development costs, and securing investment capacity in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ssibility of a gap between the revised curriculum and the textbook reform and the possibility of monopolizing the textbook market by a small number of publishers were considered as problems. In some ques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xtbook users and providers could be seen. 본 연구는 서책 교과서 발행제도가 현재의 국정・검정・인정에서 장차 심사형과 자율형으로 단순화되어 발행사의 전문성과 장기발전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 교육과정의 수시개정 속에서도 학교 지식은 안정적이라는 면에서 신편, 초판 교과서만 개발하여 사용하다 폐기하는 낭비적 현실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판수 누적 교과서’ 제도를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판수 누적 교과서 관련 선행연구와 다른 나라의 판수 누적 사례를 살펴보고, 교사・독자 등의 교과서 사용자와 저자・발행사 등의 교과서 공급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나라의 경우 적게는 2판, 많게는 100판이 되는 판수 누적 교과서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판수 누적 교과서 도입과 관련하여 오류 적은 질 높은 교과서 개발 가능성, 잦은 교육과정 개정의 단점 극복 가능성, 난립한 출판사의 정비와 책무성 강화, 서책 교과서 개발 비용 절약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에의 투자 여력 확보 등에서 높은 동의를 하였다. 반면,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쇄신의 괴리 가능성과 소수 출판사의 교과서 시장 독과점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문제로 여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대부분 문항에서 교과서 공급자들은 사용자에 비해 판수 누적 교과서 발행제 도입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