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유아교육에서 관찰과 기록의 차이 탐구 :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 개정 누리과정 놀이 관찰과 기록을 중심으로
박보영(Boyoung Park),정선아(Shunah Chu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1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그동안 영유아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영유아 관찰, 레지오 교육의 기록작업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 간에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목적, 내용, 방법, 활용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 관찰은 영유아의 발달을 선결정된 틀에 따라 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형식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영유아 관찰은 곧 영유아 평가로 여겨지며 영유아의 발달을 위해 교육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은 열린 마음으로 영유아의 학습 과정에 귀 기울이는 것으로서, 영유아의 사진, 글,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이미지화 하고, 영유아, 동료 교사, 부모와의 소통, 그리고 교사 성찰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은 사건으로서 영유아의 놀이(배움)를 포착하고 의미 짓는다. 놀이 관찰과 기록의 행위주체성을 인정하며, 놀이 관찰과 기록이 교사에게 작용하여 영유아를 이해하고, 교육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 그 자체로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놀이 관찰과 기록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spoken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Accordingly, three aspects were compared: 1) the purpose and contents 2) the method and 3) the utilization. As a result, observation of children was made to explain child development stat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amework, which was described objectively and formally. In addition, observation of children is considered to be an evaluation of child and wa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The Reggio Emilia documentation is to listen to the learning process of children with an open mind. The documentation was imaged using various languages such as photography, writing, and painting of children. The documentation was used as a tool fo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fellow teachers, and parents, or as a tool for reflection by teachers. Finally,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s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captures and means the play of children as an event. It recognized the agency of the play document and believed that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would act on teacher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children and carry out educational prax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rified the meaning of observation and document by comparing differences i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aly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교육학 연구 영역의 외연(外延) 확장에 대한 학문 이론적 비판
조상식 교육비평 2023 교육비평 Vol.- No.51
This paper focuses not on the academic identity problem of science of education as a static approach to the academic internal logic and systematicity of pedagogy, but on the segmentation and specialization trends that characterize the flow of education, and diagnoses their cause and criticizes it from the academic theoretical point of view. First of all, the issue of the extension of the research area of education is related to the internal criticism of educational researchers based on self–identity, and it is necessary to seriously discuss the academic theory of education as a science. Next,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urrent status of the extension of the research area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differentiation process of the sub– discipline of education is analyzed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he specificity of the differentiation process is reveal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discipline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 of the extreme expansion of the inquiry area of education in several aspects and interprets the meaning of this phenomenon in terms of academic theory. In conclusion, the paper points out that the problem of academic identity caused by the extension of the field of educational research lies in the lack of ontological academic understanding required by the researcher. 이 논문에서는 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문제를 교육학의 학문 내적 논리및 그 체계성에 대한 정태적인 접근에서가 아니라, 교육학의 탐구 흐름을특징짓는 세분화, 전문화 경향에 주목하면서 그 원인을 진단하고 이를 학문 이론적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먼저, 교육학의 연구 영역의 외연 확장 문제에 대한 문제 제기는 교육학 연구자에게 자기 정체성을 전제로 하는 학문 내적 비판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학으로서 교육학의 학문론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함을 밝힌다. 다음으로, 교육학의 연구영역의 외연 확장의 전개 과정 및 현황을 실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위해 교육학의 하위 분과학문의 분화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다른 학문 분야와의 비교를 통해 그 분화 과정의 특이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처럼 교육학의 탐구 영역이 극심하게 확장된 원인을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현상이 학문론의 관점에서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해석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교육학 연구 영역의 외연 확장으로 인해 야기되는 학문적 정체성의 문제점은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존재론적 학문 이해의 결핍에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