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표상물과 참조공간의 공간관계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표상

        민미희 ( Mi Hee Min ),이순형 ( Soob Hyung Yi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을 살펴보기 위해 유아기에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동시에 발달하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쟁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공간표상이 표상물의 종류, 즉 모형과 지도에 따라 다른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유아 40명, 4세 유아 40명, 총 80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위상적, 사영적, 유클리드 공간관계의 순서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심화되고 발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표상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방위, 각도), 유클리드 공간관계(축척)에 대해 3세 유아도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하였다. 4세 유아는 더욱 더 향상된 능력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의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는 공간관계의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는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할 때가 위상적 공간관계를 포함하지 않을 때에 비해 공간표상이 더 낮았고, 표상물과 참조공간이 0도, 90도, 180도 방위로 회전되어 배치될수록 공간관계 이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1:7 축척의 표상물보다 참조공간을 더 작게 축소한 1:16 축척의 표상물 이해가 더 어려웠다. 셋째, 공간관계에 따른 유아의 공간표상은 표상물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유아의 공간표상 발달에 있어 3세와 4세가 중요한 시기임을 밝혔고, 3세에 위상적 공간관계, 사영적 공간관계, 유클리드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세경에 보다 안정적으로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공간관계에 대한 이해가 유아기에 동시에 나타나서 점차 통합되어지고 발달되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to both types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Participants were 40 three-year-olds and 40 four-year-olds. Study results reveal that both three-year-olds and four-year-olds can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topological, projective, Euclidean). Even three-year-olds can identify various analogous locations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 and understand viewing azimuth when the scale model (or map) and the referent space are misaligned by 90° or 180°; they can also understand viewing angle, that is, the vantage point along the vertical dimension, as in viewing a space from directly overhead as well as oblique viewing angles. They also understand scale, that is, the ratio between the size of the referent space and scale model (or map) from 1:7 scale to 1:16 sca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patial product (scale model, map). Most important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children`s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the spatial product and the reference space is developmental and that spatial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of spatial relations between spatial product and reference space develop gradually from when they are three to when they turn four.

      • KCI우수등재

        2, 4세 유아의 가상놀이 수준과 가상 이해 능력

        민미희(Mi Hee Min),이순형(Soon Hyung Yi) 한국아동학회 2004 아동학회지 Vol.25 No.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nd play and comprehension of pretense by type of stipulated transformation among 2-and 4-year-olds children. Each child participated in pretend play with its mother for 10 minutes and in a stipulated task for comprehension of preten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2- and 4-year-olds in frequency and level of pretend play, and pretend play behavior was related to comprehension of pretense. Level of pretend play was positively related to comprehension of `complexity` of stipulated transformations. This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velopment of pretend play and ability to comprehend pretense based on physic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어린이집 이용 유아의 사교육 실태 및 영향요인 분석

        민미희(Mi-hee M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어린이집 만 3~5세반 이용 유아의 사교육 실태와 영향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성별, 연령, 형제자매 수, 출생순위, 부모 학력,가구 소득에 따른 유아의 사교육 개수와 비용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 변인이 사교육개수와 비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어린이집만 3~5세 반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 2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Duncan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70.0%가 사교육을 1개 이상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 총 개수는 평균 1.89개이었으며, 사교육 비용은 1인 한 달 평균114,410원이었다. 둘째, 유아 성별, 연령, 형제자매 수, 출생순위에 따라 사교육 개수와 비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학력에 따라 일부 사교육 과목의 개수에 차이가 있었고, 가구 소득에 따라 사교육 비용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성별, 연령, 형제자매 수, 출생순위가 유아 사교육 총 개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고, 유아 성별, 연령, 형제자매 수, 가구 소득이 사교육 비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current circumstances and factors related to trends in private education at childcare centers serving children ages 3 to 5. To gather data,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93 mothers of young children enrolled at childcare centers in the Seoul region. The data were analyze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70.0% of young children received private education. The averag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commitments was 1.89 per child, and monthly private education fees per child were estimated 114,410 KRW (roughly $100 USD). Second,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commitments varies depending on a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birth order,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private education fees vary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Finally, a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and birth order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commitments, and a child``s gender, age, number of siblings, and household income significantly influence private education fees.

      • KCI등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민미희 ( Min Mih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비롯하여,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고, 남녀 집단 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6세 유아와 어머니, 육아지원기관의 담임교사 1,042명(남아 532명, 여아 51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적 양육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및 통제적 양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거쳐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이 남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했는데 반해, 여아의 경우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이 여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 성별에 따라 어머니 양육행동이 달라질 필요가 있다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준비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warmth parenting, control parenting,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while accounting for gender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1,042 6-year-old preschoolers (532 boys, 510 girl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Secondly, mother’s warmth parenting and control parenting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self-esteem of preschoolers. Third,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elf-esteem of preschoolers to improv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Futhermore, it suggested that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needed depending on gender.

      • KCI등재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민미희 ( Min Mihe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0차년도(2017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1,367명과 어머니이며,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존중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는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집행기능 곤란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정적영향을 미침으로써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은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집행기능 곤란을 통해 미디어기기 중독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및 개입방안 마련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집행기능 곤란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s self-esteem,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and media device addi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0th(2017)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s employed(N=1,367).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e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ild’s media device addiction. Second, child’s self-esteem didn’t mediate the effect of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on media device addiction. Third, child’s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mediated the effect of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on media device addiction. Fourth,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influenced media device addiction through child’s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s self-esteem,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was important as a personal factor for child who control the negative effects of media devices.

      • KCI등재

        어머니애착 및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민미희(Mi Hee Min) 한국인간발달학회 2023 人間發達硏究 Vol.30 No.2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중단율이 매년 높아지고 있고 상당수가 학교적응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애착 및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와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한국 아동패널(PSKC)」12차년도 초등학교 5학년 1,281명(남아 662명, 여아 6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애착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애착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보였고, 학습에 대한 부모참여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애착과 학습참여에 대한 부모교육과 더불어,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school, with the rate of suspen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creasing every year.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achment,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1,281 fifth graders(662 boys and 619 girls) in the 12th year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re as follows. First, maternal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impact of maternal attachment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impact of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suggests that maternal attachment,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and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tter adapt to their school life.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민미희(Min, Mi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간의 구조적 관련성을 검증하고, 이러한 경로에 성차가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아동 1,009명(남아 513명, 여아 496명)과 어머니, 담임교사이며,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이 긍정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양육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이 긍정적 양육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긍정적 양육,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아동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령기 초기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개입에 있어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과 긍정적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하며 이때 성별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and to examine gender differences on the path. The participants were 1,009 (513 boys, 496 girls)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8th year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by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data analysis, we crea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and conducted multigroup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childre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Second,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as mediated by maternal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Finally, according to multigroup analysis,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facto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self-esteem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nd the necessity of the different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ir gender.

      • KCI등재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성취압력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민미희(Mi-Hee M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4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8 No.1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의 어려움은 대인관계 갈등과 심리적 문제로 이어져 성인기는 물론 중·고등학교 시기에도 사회적 부적응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성취압력 및 아동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한국아동패널(PSKC)」13차년도(2020년) 자료인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중인 1,217명(남 615명, 여 6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는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성취압력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자녀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성취압력은 자녀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고, 성취압력이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이는 청소년기에 진입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부모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chool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an lead to interpersonal conflicts and psychological problems, leading to social maladjustment in adulthood as well as in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arenting stress, achievement pressure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1,217 sixth graders(615 boys and 602 girls) in the 13th year(2020) data from PSKC(KIC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arental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adaptation, achievement pressur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self-esteem, and childre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chool adaptation. But achievement pressur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econd, the impact of parental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self-esteem, and the impact of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through children's self-esteem.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mportance of parental education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help parents adapt to school for seni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entering adolescence.

      • KCI등재

        가족 자원,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유아의 학업능력과 유아의 학습준비도간의 구조모형 검증

        민미희(Min, Mi-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5

        본 연구는 부모학력 및 가구소득의 가족 자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부모자녀 상호작용 및 유아의 학업능력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만 6세 유아와 어머니, 육아지원기관의 담임교사 1,012명(남아 523명, 여아 48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자원이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자원이 유아의 학업능력을 통해 학습준비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 자원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가족자원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부모자녀 상호작용과 유아의 학업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준비도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resources, parent-child interaction, academic skills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e participants were 1,012 6-year-old preschoolers(523 boys, 489 girls) and their mothers, teachers taken from the 7th year of the Korea Children"s Panel.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and examined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el using the RMSEA, SRMR, TL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family resource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parent-child interaction. Secondly, family resource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academic skills. Third, family resource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interaction and academic skills of preschoolers to improv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