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어 문장처리에서 청년과 노인의 실시간 인지자원 할당 양상과 읽기수행 비교

        문선현,최원일,노수림 한국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0 No.1

        문장의미 표상은 여러 수준에서 형성되며, 노화에 따라 특히 어휘의 개념과 명제적 아이디어를 표상하는 텍스트기저(textbase) 형성 능력 수준이 감퇴하면서 문장이해와 기억능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문장의 주요 구문 경계 지점과 문장 말미에서의 개념통합에 인지자원을 더 할당하는 노력(‘마무리’ 전략)은 노인의 문장이해와 기억 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으로 제안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문장처리과정에서 청년과 노인의 단어 및 텍스트기저 수준에서의 표상처리를 위한 실시간 인지자원 할당 양상을 비교하고, 문장이해와 기억 수행 능력을 평가하여 문장처리능력에서 노화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년(n=60)과 노인(n=61) 참가자는 문장이해와 회상을 위한 두 읽기조건에 따라, 목표문장 총 48개를 창문-이동형 자기조절읽기(moving- window self-paced reading)의 방식으로 읽고 이해 및 회상과제를 수행하였다. 참가자들의 어절별 읽기 시간을 측정하고 단어(철자 해독 및 어휘 접속)와 텍스트기저(개념 처리 및 문장 주요 구문지점과 종결지점에서의 개념통합) 표상 수준에 따른 인지자원 할당 양상을 살펴보았다. 문장 이해도는 목표문장의 내용 질문에 대한 정확 반응률로 측정하고, 문장 회상률은 목표문장의 총 명제 중 정확히 회상한 명제의 비율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첫째, 단어 수준 처리에서 노인은 청년에 비해 단어 수준에서의 인지자원 할당이 크게 나타났고 텍스트기저 수준에서는 청년과 노인 공통으로 이해보다 회상조건에서 문장 내 개념통합을 위한 인지자원 할당이 더 컸다. 하지만 청년은 회상조건의 문장 말미에서 인지자원 할당이 크게 나타난 반면, 노인은 청년에 비해 훨씬 적었으며 두 읽기 조건 간 인지자원 할당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노인은 청년보다 문장 이해도와 명제 회상률이 낮았는데 그중 회상 수행이 더욱 저조하였다. 셋째, 문장 내 개념통합을 위한 인지자원 할당과 노인의 문장이해 수행 간에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청년과 노인 모두 문장 내 그리고 문장 말미에서의 개념통합을 위한 인지자원 할당과 문장회상 수행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과 노인의 문장처리에서 의미표상을 위한 인지자원 할당 양상에 차이가 있으며, 텍스트기저 표상 처리와 관련하여 개념통합을 위한 마무리 전략이 노인의 문장이해와 회상 수행을 향상 시키는 데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of text arise from the construction of multiple levels of representation. It is well-documented in particular that the processes at the level of textbase, the propositional representation of the semantic content of the text, undergo age-related declines. To alleviate this difficulty in older adults, it has been suggested that greater effort be allocated to textbase processes, such as conceptual integration at major syntactic (major noun phrases, clauses) and sentence boundaries (known as “wrap-up”), as a compensatory reading strategy. The present study examines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attention allocation during Korean sentence processing as well as in sentence comprehension and recall performance. Sixty younger and sixty-one older adults read two-sentence passages covering various topics for subsequent comprehension and recall. Clause-by-clause reading times were measured, and the reading times were decomposed from index attentional allocation to word- and textbase-level processes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lder adults showed greater allocation of attention to the word-level processes for orthographic decoding and lexical access than did younger adults; in the textbase-level processes, both age groups were more likely to wrap up at an intrasentence boundary when reading for recall than for comprehension. However, older adults showed reduced wrap-up at the sentence boundary than younger adults did; additionally, unlike younger adults, who disproportionately increased the resources they allocated to sentence wrap-up when reading for recall than for comprehension, older adults did not show any such difference between reading conditions. Second, older adult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comprehension and recall, especially recall performance, than younger adults. Third, resources allocated to the intrasentence boundary wrap-up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ntence comprehension in older adults, and resources allocated to wrap-up at the intrasentence and sentence boundar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ntence recall in both younger and older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lder and younger adults exhibit different patterns of resource allocation during sentence processing, and that pausing frequently within sentences for conceptual integration plays a beneficial role in sentence comprehension and recall for older adults.

      • KCI등재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 (AARC) Questionnaire in a Sample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문선현,엄진섭,최원일,Allyson Brothers,노수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3

        Subjective aging, which refers to the attitudes and awareness of ag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well-being, and mortality in later life. Among several tools that measure subjective aging, the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 (AARC) Questionnaire, which is the most recently developed, measures how an individual's awareness of aging in various areas of behavior results in their awareness of age-related gains and losse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AARC (K-AARC) in the Korean population aged 40 and above. A total of 411 adults (aged 40-87 years) completed a survey on AARC, felt age, attitudes toward own aging, self-perceptions of aging, subjective well-being and Age Stereotypes scal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a two-factor structure (AARC gains and AARC losses), which was closely resembled the original model shown by Brothers et al. (2019).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AARC was similar to the original AARC, except for the Physical Health domain from the AARC gains, whic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ARC losses. Adequate convergent validity was demonstrat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AARC and felt age, attitudes toward own aging,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ARC and Age Stereotypes scales was also significant but small, providing evidence for divergent validity. The results suppor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ARC as a useful tool to capture adults' positive and negative subjective aging experiences.

      • KCI등재

        Predictive Representation for Upcoming Linguistic Input in Younger and Older Adults

        윤홍옥,문선현,노수림 한국언어정보학회 2018 언어와 정보 Vol.22 No.2

        The immediate use of the contextual information to predict the upcoming information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aspects of the linguistic and world knowledge and the cognitive ability of read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well older readers employ their linguistic and world knowledge to develop the expectation for the upcoming information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In two offline tasks (cloze and listing), older and young readers were asked to complete sentence fragments (when agents and recipients were given or when agents and patients were given). The responses were used to compute predictability measurements (structural and lexical predictability). We found no aging effect in the production of likely structural choices and likely lexical choices, meaning that the most predictable ones to older readers were also the most predictable to young readers. Significant aging effect emerged in the production of unlikely choices; older readers were more predictable to unlikely structures but less predictable to unlikely words. We discuss the contextual sensitivity of older readers in formulating their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what is coming up next.

      • KCI등재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이중매개효과

        노수림,문선현,배성아 한국청소년학회 2021 청소년학연구 Vol.28 No.6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future as open, limited, ambiguous) and academic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A total of 319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mastery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burnout was observed through the sequential process of perceiving the future as open as well as academic engagement. Thus, as university students have high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ey tend to perceive their future as open. This perception increases academic engagement which, in turn, decreases academic burnout. Seco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sequential process of perceiving the future as ambiguous as well as academic engagement. That is, as university students have lower mastery goal orientation, they tend to perceive their future as ambiguous. This perception decreases academic engagement, which, in turn, increases academic burnou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developing a program to reduce and prevent academic burnout among university students, it is critical to help them reach academic engagement by having a positive and clear view of the future. 본 연구는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미래시간조망(확장·제한·모호)과 학업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별과 학년을 공변인으로 설정하고,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래핑(bootstrapping)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대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 사이에 확장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숙달목표지향성이 확장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소진의 감소를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 사이에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단순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숙달목표지향성이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업소진의 증가를 예측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확장된 미래시간 조망과 학업열의 그리고 모호한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나 미래시간조망과 학업열의가 함께 작용할 때 학업소진이 적극적으로 증가되거나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대학생의 학업소진 예방 프로그램 개발 시 개별학생의 숙달목표지향성을 높이고 학생이 자신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증진시켜 학업열의에 이르도록 도와야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어휘력과 작업기억이 청년과 노인의 문장 읽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노수림(Soo Rim Noh),문선현(Sun Hyun M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노화에 따른 인지 기능의 변화는 읽기처리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작업기억의 감퇴는 텍스트 정보에 대한 명제적 표상 형성을 어렵게 만드는 한편, 어휘력은 철자해독과 어휘접속 등 단어 수준 표상처리를 촉진하여 인지적 부담이 큰 명제 표상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과 노인의 문장 읽기 효율성(회상률 대비 소요된 읽기 시간)을 비교하고 어휘력과 작업기억이 읽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 65명과 노인 63명은 창문-이동형 자기조절 읽기(moving-window self-paced reading) 방식으로 다양한 주제를 담은 목표문장을 읽고 회상 과제를 수행하였다. 읽기 효율성은 목표문장의 어절별 읽기 시간의 중앙값을 해당 문장의 명제 회상률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이 청년보다 명제 회상률 대비 소요된 읽기 시간이 길게 나타나 청년보다 읽기 효율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휘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작업기억 용량이 클수록 읽기 효율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력은 특히 노인집단에서 읽기 효율성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력이 높은 노인은 어휘력이 낮은 노인보다 효율적인 읽기가 가능함을 보여주며, 어휘력이 노화에 따른 읽기 효율성의 저하를 완화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entence reading efficiency of younger and older adults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on reading efficiency. Sixty-five younger and 63 older adults read the target sentences with various topics for subsequent recall. Their reading efficienc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median segment reading time by the proportion propositional recalled for a target sen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produced a lower rate of recall compared to their reading time than the younger adults did. Therefore, the reading efficiency of older ad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er adults.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efficiency, and vocabular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ading efficiency of the older adults, not the younger adults. Thus, older adults with higher vocabulary could read more efficiently than older adults with lower vocabulary. This suggests that vocabulary plays a protective role in alleviating the deterioration of reading efficiency due to aging.

      • KCI등재

        AI 스피커의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청년 및 중·장년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철(Seung Chul Lee),문선현(Sun Hyun Moon),노수림(Soo Rim No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인공지능(AI) 스피커는 스마트홈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가 있으나, 만족도는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만족도의 저하는 기기에 대한 지속사용의도를 감소시켜 사용자들이 더 이상 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AI 스피커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 61명(21~39세)과 중·장년 61명(42~62세)을 대상으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AI 스피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I 스피커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대화가 단절되는 경우의 영상을 촬영하여 절반의 참가자들에게는 촬영한 영상을 그대로 제공하고(통제집단), 나머지 절반의 참가자들은 촬영한 영상 내 상황과 관련된 아이콘을 AI 스피커 전면부에 합성하여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였다(실험집단). 분석 결과, 중·장년 집단에서는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호감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지속사용의도를 증가시키는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청년에서는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AI 스피커와 대화가 단절되는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중·장년 사용자들에게는 AI 스피커와 대화 단절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기기의 지속적인 사용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are widely used in smart home environments, but user satisfaction is low, which can discourage us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device. To address this, researchers have suggested adding visual feedback to AI speake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AI speaker usag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in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Videos of 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were filmed,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shown the videos (control group). The other half watched videos with visual feedback where context-related icons were added to the AI speakers (experimental group). For middle-aged group showed that visual feedback increas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which in turn increased attitude toward the AI speaker, ultimately leading to great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However, in younger participants,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eedback and usage inten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on usage intention in user-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is depends on age, whereby visual feedback is especially efficacious for augmenting the usage intention of middle-aged AI speaker.

      • KCI등재

        노인의 문장회상발화에서 나타난 언어적 비유창성 분석

        노수림(Soo Rim Noh),문선현(Sun Hyun Moon),김미숙(Meesook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문장회상 과제를 사용하여 노인의 담화산출 능력을 의미적 측면과 비유창성 발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담화산출에서 노화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노인의 비유창성 발화의 기능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비유창성 발화가 의미적 측면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노인 56명(만 63-87세)을 대상으로 일련의 목표문장을 읽고 각 문장 정보를 기억나는 대로 소리 내어 회상하는 문장회상 과제를 실시하고 산출된 담화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명제 회상률 즉 의미적 측면 발화의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비유창성 발화에는 도중 문장 중단하기, 반복, 간투사, 불명확한 대명사 사용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명제 회상률은 전반적 인지기능, 어휘력, 처리속도, 전두엽 기능 그리고 읽기폭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노인의 비유창성 총 발화율은 여러 인지기능 중 특히 어휘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비유창성 발화율은 인지기능과 독립적으로 명제 회상률에 대한 유의한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비유창성 발화가 의미적 측면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문장회상 산출과정에서 나타난 비유 창성 발화의 특성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담화분석 방법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비유창성 발화가 문장회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은 언어장애 환자뿐만 아니라 노화로 인한 의사소통장애 증상 감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course production ability of older adults by using a sentence recall task in order to examine the link between the linguistic disfluencie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the role of linguistic disfluencies in semantic aspect of sentence recall. Fifty-six older adults (ages 63-87) performed the sentence recall task in which they read short sentences and recalled the contents aloud. Fluency and disfluency in discourse production were measured by the propositional recall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types of disfluen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itional recall rate of the elderly was very low, and four types of disfluencies in utterances were frequently found. Second, the propositonal recall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vocabulary, and reading span. Third, the rate of disfluen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ropositonal recall performance independently after controlling for cognitive functio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nguistic disfluency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mantic aspect of discourse production in addition to cognitive functioning. Thus, disfluent utterances could be indicative of linguistic decline due to normal as well as pathological aging.

      • KCI우수등재

        이동 방향 정보를 이용한 DTN 라우팅 : TAILWIND

        조서익(Seoik Cho),선현(Sunhyun Kim),수훈(Soohoon Moon),한승재(Seungjae Han)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3

        In base station based networks, traffic overload at the base station is inevitable. Peerto-peer DTN which disperses the traffic overhead to each node can relieve the traffic overload at the base station. To increase the message delivery ratio and reduce the message overhead, we present novel routing using mobility information which can be obtained from each node, unlike the existing flooding based routings. In the proposed routing scheme, the routing decision metric, which is defined based on the node mobility information, is computed by using the expected distance between each node to the destination. The message is copied to other nodes that have lower expected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han the value for the node willing to copy the message. We conducted simulations by using both a random mobility model and a real mobility trace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routing scheme to the existing routing scheme that does not utilize the mobility informat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the proposed routing successfully delivers messages with 10% to 30% less copies compared to previously proposed routing sche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