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주 한인들의 ‘소녀상’ 건립과 일본군 ‘위안부’운동

        문경희(Moon, Kyounghee) 한국여성연구소 2018 페미니즘 연구 Vol.18 No.1

        이 글은 민족-국가(nation-state)의 트라우마적 기억의 초국적 전환과 확산 등에 관해 설명하기 위해 최근 기억의 정치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코스모폴리탄’ 기억의 정치에 관해 살펴본다. ‘코스모폴리탄’ 기억은 민족-국가와 연동된 트라우마적 기억이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초월해서 타 국가로 확산되어 시민적 공감을 이끌어낸 기억을 의미한다. 그러한 공감은 시민들이 널리 공유하고 있는 도덕성에 기반한다. 이를 논의하기 위하여 이 글은 우선 유대인의 홀로코스트 사례와 함께 미주 한인들의 일본군 ‘위안부’ 지원 및 기림비 건립 운동 사례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다. ‘코스모폴리탄’ 기억형성에 이민자들의 초국적 민족주의 운동이 주요 동력이라는 점에서, 코스모폴리타니즘과 초국적 민족주의의 양립이라는 역설적인 현상에 관해서도 주목한다. 한편, 호주 한인들의 일본군 ‘위안부’ 운동에 관여한 다양한 주체들과 운동 담론 및 방식, 정부의 정책적 대응 등에 젠더와 에스니티시티(ethnicty) 두 정체성이 어떻게 상호 연계되어 또는 갈등적으로 투영되었는지에 관해 살펴본다. 이는 해외 한인들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초국적 민족주의 운동의 다면성과 복합성을 드러내는 데에 유효하다. 또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한국과 일본의 역사적 특수성과 개별성에도 불구하고 ‘소녀상’ 건립을 포함한 해외 일본군 ‘위안부’ 운동 측이 트라우마적 사건을 기념하고자 하는 취지가 지역, 지역민의 현재와 미래의 맥락에서 보편화될 수 있을 때 진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알려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smopolitian’ memory politics in line with the transnational movement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in order to explain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of a nation-state’s traumatic memories across national borders. The cosmopolitanization of memory involves the formation of nation-specific and nation-transcending commonalities. They include a transnational value system, such as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The people who share ‘cosmopolitan’ memories can be called as a moral community. Overseas migrants are important actors who lead an transna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form ‘cosmopolitan’ memories of their nation’s historical heritage. Paradoxically, cosmopolitanism is compatible with transnationalism in this context of transnational memory politics. Based on the literature of Jewish Holocaust and Korean American’s movement for ‘comfort women’, this paper looks into the process and formation of ‘cosmopolitan memories of ’comfort women’ in Australia. Due to the ongoing conflicts over the issues of ‘comfort Women’ between two ethnic groups, Koreans and Japanese in Australia, the memory of ‘comfort Women’ was seen as being nation-specific rather than nation-transcending. As a result, it could not be transformed as ‘cosmopolitan memories’, that are remembered and commemorated by various members of society across the ethnic boundary.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the movement focusing the actors, discourses as well as strategies, and the responses given by the Australian local and federal governments. The discussions of this paper are expected to show the dynamics of the transnational memory politics of ‘comfort women’ led by overseas Koreans, as well as the complexities and multi-dimensional aspects of their transnationalism. It also shows that the cosmopolitan memories can be effectively formed if the nation-transcending concerns of the ‘comfort women’ movement, such as women’s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become part of local experiences of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 KCI등재

        호주 인구문제의 정치화와 이민정책 : 한시적-영주이민 연계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들

        문경희 ( Moon Kyounghee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1 민족연구 Vol.- No.78

        호주의 건국 이래 이민을 통한 인구증가는 국가 생존과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당연시된 측면이 있다. 인구증가에 대한 당위성은 여전한 가운데에, 누구를, 얼마나, 무슨 경로를 통해 이민자로 수용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유례없이 선별적이고 제한적인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이민으로 인한 인구증가 완화와 산업계의 시장수요 충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기 위해 호주정부는 비자정책을 수시로 개정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구는 정치 쟁점이 되고 있으며, 이민의 경제적 논리가 한시적 이민자의 사회적 권리와 지위, 인권 논리를 압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0년이 넘는 기간을 거치며 패러다임 전환을 이뤄온 이민정책에 주목하며, 그러한 전환의 배경과 특성, 결과에 대해 살펴본다. 한시적 이민자 수 확대를 통한 시장의 생산과 소비 수요를 충족시키고, 임시-영주 비자정책 연계를 통해 다단계에 걸쳐 영주이민자를 선정하는 호주의 이민·비자 정책이 주요 분석대상이다. Immigration has been a major contributor of Australia’s population growth. The country’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would have been impossible if not for surging immigration.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recently reduced the number of permanent residency visas and broadened the regional skilled migration program in order to prevent congestion in major cities. The growth of temporary migration is one important component in the ‘paradigm shift’ which has occurred in Australian migration selection policy over the last 20 years. While greater authority is given to employers in the migration selection and visa allocation process, visa applicants need to go through ‘multi-stage’ migration with uncertaint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ustralian population issues which has been politicized in line with migration regime. Based on the discussion, it moves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paradigm shift of Australian migration programs and its impacts on temporary migran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도일과 히로시마 원폭피해, 귀환

        문경희(Moon, KyoungHee) 이주사학회 2018 Homo Migrans Vol.19 No.-

        이 연구는 1945년 8월 6일 8시 15분에 히로시마에서 피폭을 당한 합천출신 조선인 귀환자의 국경 이동과 양국 사회에서 경계인으로서의 삶의 경험에 관해 살펴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이주의 주체였던 부모세대가 아니라, 그들을 따라 현해탄을 건너갔다가 다시 건너온 자녀세대에 초점을 맞춘다. 피폭의 맥락에서 본다면, 그들은 히로시마에서 직 · 간접적으로 피폭을 당한 1세대이다. 하지만 이주의 관점에서 본다면, 그들은 이주 1세대인 부모님을 따라 도일했다가 고국으로 귀환한 1.5, 2세이다. 일본에서 출생했거나 또는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이주하여 성장한 자녀세대의 국경이동과 양국에서의 삶의 경험과 정체성은 부모세대의 그것과는 다를 수밖에 없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천지역 사람들의 히로시마로의 이주 흐름은 왜,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었는가? 둘째, 피식민지 출신 이주민 1.5, 2세의 히로시마에서의 일상과 원폭피해 당시의 경험은 어떠하였는가? 셋째, 해방직후 그들의 귀환 경험은 어떠하였으며, 히로시마에서의 이주 경험이 그들의 ‘고국’과의 첫 대면과 정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2017년 시점에 합천에 거주했었던 23명의 원폭피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구술증언을 주요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이주와 귀환의 맥락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했던 합천 출신 원폭피해 1세이자 이민자 자녀세대의 삶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소개한다는 점에서 식민지시기에 초점을 맞춘 해외이주와 귀환 연구에 기여한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가 ‘일국사적’ 관점의 민족 · 국가주의적 수사를 벗어나서 피식민자로서 ‘능동적’으로 국경을 이동한 이민자 중에서도 합천이라는 지역성과 세대, 전쟁, 그리고 원폭피해라는 요인이 그들의 이주와 귀환 후의 삶을 어떻게 관통했는지에 대해 미시적으로 보여주는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이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experience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ho returned ‘homeland’ from Hiroshima after August 15, 1945. Specifically, it pays attention to the 1.5 and 2nd generation of Korean migrants from the Hapcheon region with a focus on their border-crossing experiences and living conditions in both societies. They are the first generation of the atomic bomb victims in Hiroshima. However, in the migration context, they are the 1.5 and 2nd generation who were born and (or) raised in Japan, and repatriated to the liberated Korean Peninsula. Therefore, their identities and life experiences in both societies mus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ir parents in many aspect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m have focused on their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Yet, their life experiences as a dependent of their parents who crossed the state border back and forth on their own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those studies. This paper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ly, why and how were the migration flows to Hiroshima by the people of Hapcheon formed? Secondly, what were their living conditions in Hiroshima and particularly, their experiences of atomic bombing like? Thirdly, how did they feel when they first arrived in their ‘homeland’ and how did their life experiences in Hiroshima affected their settlement in Hapcheon? Oral interviews with 23 survivors collected from Hapcheon in 2017 a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udies of emigration and return migr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y including the first generation atomic bomb survivors with the 1.5 and 2<SUP>nd</SUP> generation migration background as a ‘new’ research subject. It is also notable that this paper provides an empirical study showing how their life conditions and identities as a (return) migrant in both Hiroshima and Hapcheon were shaped by various elements, including generation, regional affiliation, and atomic bombing, other than ethnic identity.

      • KCI등재

        <베테랑>과 리메이크 영화 <“大”人物> 분석을 통한 한·중 언어문화 비교 연구

        문경희 ( Moon Kyounghee ),권순희 ( Kwon Soonhee )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film ‘Veteran’ and the Chinese remake ‘Big Shot’ by analyzing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providing educational sources for 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film ‘Veteran’ and ‘Big Shot’, the study used the qualitative analysis, which helped categoriz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video text of those movies. The two films are based on the same story, while fundamentally changing the various culturemes, social perspectives,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give the audience more immersion and realism. In this study, the focus of the main analysis is the narrative cultureme and the cultureme of language expression. In ‘Veteran’, the Korean cultural frame worked on the whole Korean society or issues related to its social system by actively reflecting social issues, conflicts and phenomena. On the other hand, ‘Big Shot’ actively reflects Chinese culturemes and social phenomena so that it seems natural for Chinese audiences to adopt those elements while basically using the story of ‘Veteran’. In particular, the study demonstrates differences in basic perspectives and social awareness of the two countries such as ‘myths regarding national organizations’. By comparing ‘Veteran’ and ‘Big Shot’,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differences between Koreans andChinese people in their universal cultural awareness and ways of thinking. (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꽃할머니』의 ‘위안부’ 재현과 감정의 정치

        문경희(Moon, Kyoung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본 연구는 『꽃할머니』 제작 및 출판 경험을 통해 드러난 한 · 일 간 일본군 ‘위안부’ 제도와 생존자의 증언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살펴본다. 또한 감정에 주목하며, 개인의 트라우마적 감정과 저항 감정이 민족주의와 연계되어 집합적 감정으로 전환되는 지점들을 고찰한다. 동시에, 고통과 분노라는 개인적인 감정이 타협과 화해라는 공적 영역의 감정으로 전환하기 위한 작가의 감정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페미니스트 반성폭력 옹호자인 권윤덕 작가는 재현을 통해 독자들에게 일본에 대한 반감을 사지 않기 위해 노력하였으나, ‘위안부’의 증언을 중심으로 한 진상규명이 문제시되어 일본 출판사 측의 출판 거부에 직면한다. 일본 출판사 측의 입장은 ‘위안부’ 생존자의 증언이 가지는 진상규명 능력에 대한 한일 양국의 입장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한편, 그러한 일본 출판사의 입장은 일본 사회의 감정적 민족주의와 성차별주의적 성향을 반영한 결과이기도 하다.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ly the issues of Korean ‘comfort’ women and the survivors’ testimonies are understood in Korea and Japan, by analysing the author Kwon Yoon-Duck’s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representing and publishing the picture book, Flower Granny.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emotion as Flower Granny is a public space where the author’s emotions are circ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readers. Emotion enters politics when it becomes collective. In this regard, by examining Kwon Yoon-duck’s work, this study reviews how an international mediator of memories represents her emotions in the picture book and what roles they play.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uthor’s strategy of not highlighting Japan as an aggressor country in Flower Granny is accepted by general readers. However, it is argued that the future of the book’s publication in Japan remains uncertain as anti Korean ‘comfort’ women sentiment based on sexism and nationalism is prevalent in Japanese society.

      • KCI등재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에 대한 연구 -이주체계접근법과 이민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문경희 ( Moon Kyounghee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본 연구는 호주로의 한인 이민의 시작과 지속, 변형을 파악하고자 하는 맥락에서, 이주체계접근법에 따라 호주 한인 ‘1세대’의 이민과 정착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1세대’라는 용어는 집합적 수준의 한인 이민이 처음으로 이뤄졌던 시기인 1970년대에 호주로 이민을 간 한인들의 의미한다. 그 시기는 호주에서 백호주의가 폐지되고, 비유럽계 이민자들을 정책적으로 수용한 시기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그들 호주 한인 ‘1세대’가 누구인지, 그들의 호주 이민을 가능하게 했던 요인은 무엇인지, 그들이 어떤 방식과 경로를 통해 호주로 이민을 갔는지에 관해 고찰한다. 거시 구조적으로 유럽 국가 간의 결속 강화로 인해 호주의 정치경제적 주변화가 이뤄졌고, 그로 인해 호주는 국내 노동력 부족과 인구 증가, 시장 확대 등의 수요를 아시아 국가들과 관계 강화에 역점을 두게 되었다. 이 시기에 호주와 한국 간의 관계가 발전하면서 상품과 서비스의 거래와 더불어 인적자원의 교류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거시 구조적인 상황에 대응해서, 한인들은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이주, 영주 경로를 선구적으로 만들어 냈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뿐 아니라 호주 현지에서 한인 ‘1세대’와의 면담 분석을 통해 그들의 호주 이주·영주를 둘러싼 다양한 인식과 실천을 보여준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First-Generation Koreans’ in Australia, focusing on their immigration experiences. The ‘First-Generation Koreans’ refers to the Koreans who immigrated to Australia in the 1970s and it was when Australia just began to accept non-European immigrants by abolishing so called the ‘White Australia’ policy. They are regarded as the ‘pioneer’ immigrants in the Korean Australian community. This paper examines who they are, what factors enabled them to immigrate to Australia, and in what ways they made their path to Australia. In the macro-structural level, the weakening of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Australia and the European countries since the 1960s contributed to the Australia’s active engagement with the countries in Asia in terms of trade of goods, services, and people. Facing the industrial labour shortage and social demands to embrace people with diversity in Australia, the government tended to issue permanent visas to foreign nationals comprehensively as long as they were residing in Australia.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First-Generation Koreans’ were not passive recipients of the opportunity structures presented to them by the origin and destination states respectively. They exercised a certain degree of agency and choice in making their decision to migrate and negotiated their conditions with the actors from both states. This paper introduces the notions of the migration systems and agency of pioneer migrants in order to explain both macro- and micro-level structur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Generation Koreans’ and the state actors.

      • KCI등재

        젠더와 국제이주

        문경희(Moon, K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1

        본 연구는 호주의 한인 ‘1세대’ 여성의 이주과정과 삶의 경험을 젠더관점에서 분석한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첫째, ‘1세대’ 여성의 호주이민을 유발한 동인과 구조는 무엇인가? 둘째, ‘1세대’ 여성들은 누구이며, 이주 전 과정에서 그들은 어떤 젠더화된 경험을 하였는가? 셋째, 젠더정체성이 그들의 이민 과정을 어떻게 구조화했는가? 시기적으로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에 호주로 이주한 한인 ‘1세대’는 주로 베트남, 독일, 남미, 중동 등에서 해외이주노동을 한 경험을 토대로 호주로 ‘재이민’한 사람들이다. 주로 남성기술자와 그들의 가족을 대상으로 입국을 허용했던 호주정부의 이민정책으로 인해 여성들은 남편 또는 아버지의 초청에 의해 입국이 허용된 수동적인 이민주체로 각인되었다. 한편, 구술면담에 따르면, ‘1세대’ 여성들이 남성에게 의존적인 수동적인 이민자로서의 삶을 산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그들이 엄마이자 아내, 며느리, 노동자라는 다양한 정체성에 따라 전통적인 젠더역할의 지속적인 수행과 탈피를 요구받기도 했지만, 궁극적으로 남녀 간의 젠더권력 구조를 바꾸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점을 논의한다. 또한 본 연구는 호주 한인 ‘1세대’ 여성의 이민 경험이 거시 구조적 요인에 따라 집합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가족 구성이나 직업 등 개인적인 차이로 인해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도 주목한다. Based upon the literature on gender analysis of migration, this study examines 1) macro-structural determinants of ‘first-generation’ Korean female migration to Australia, 2) who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were and what gender-specific experiences of migration they had from the pre-departure to post-arrival periods, and 3) how gender as a social system contextualized their migration processes. Th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are the first Koreans who moved to Australia in order to live and work there, mainly from the 1970s to the early 1980s. Many of them immigrated to Australia via Vietnam, Germany,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In most of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se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s, women are either overlooked or mentioned briefly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women entered Australia as dependent family members of male migrants mainly because of male-biased immigration visa polices. Moreover,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first-generation" Korean Australian women, their life experiences differ depending on their family background, job qualifications, marital status, etc. However, this study shows their pre-migration as well as post-migration identities were constructed and renegotiated in the tension between discontinuities and continuities, disempowerment and empowerment. This implies that they were not passive subjects onto whom power relations and identities were written.

      • KCI등재

        경상남도의 지역혁신과 지자체-대학 협력사업 계획과정에서의 정치동학

        문경희 ( Kyounghee Moon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구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21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2020년에 비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새롭게 도입된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과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이다. 지역혁신체계와 지역혁신의 주체로서 지역대학의 역할에 초점을 맞춰 플랫폼 사업의 배경과 특성을 설명한다. 이후 경상남도의 사례에 주목하여 플랫폼 사업 계획과정에서 드러난 거버넌스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요 논의 사항은 플랫폼 사업의 내용과 참여 주체가 기존 교육사업의 그것과 차별화 된다고 하더라도 재정지원과 평가의 주요 주체(교육부)와 대상(지자체와 대학) 간의 정치역학적 구조가 크게 바뀌지 않는다면 계획서 작성 및 평가 단계에서 실천되는 참여 조직들의 행동과 결정이 기존의 관행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정책 제도화 과정에 나타나는 조직 간 동형화 현상으로 설명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a newly introduced high-education program, called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and its governance issues. What explains the introduction of the program, which enables provincial/local governments to play a vital role in its governance. In addition, can provincial/local governments change the hierarch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universities when it comes to the government’s grant program for them.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plores the case of Gyeongsangnamdo which has won the biggest amount of gran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o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the roles of universities as well as the researcher’s personal experience involving in planning and writing the proposal.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olitical dynamism between regional/local universities and the central government is not likely to change although the provincial government participates actively in the governance. It is mainly because the ministr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still plays a role in evaluating and selecting the final winners of the project grants. A theory of Isomorphism provides an explanation for the unchanging political dynamism of universities as well as provincial/local government.

      • KCI등재

        한일 트랜스내셔널 일본군 ‘위안부’ 운동의 영화적 재현과 가시성의 정치: 관부재판과 영화 <허스토리> 사이 기억의 간극

        장찬영 ( Chanyoung Jang ),문경희 ( Kyounghee Moon ) 인제대학교 민주주의와자치연구소 2023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이 한국과 일본 시민들과 연대해서 진행한 소위 관부재판을 영화화한 <허스토리>의 시각적 재현과 기억의 간극을 고찰하였다. 일본군 ‘위안부’ 운동이라는 정치적 이슈를 관객이 보고, 느끼고, 생각하게 한다는 점에서 영화의 시각적 재현은 정치적인 효과를 가진다. 이 연구는 영화 <허스토리>가 다룬 주요 사건인 관부재판에 대해 무엇을 보여주고, 무엇을 감췄는지, 즉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정치를 파악하였다. 한국과 일본을 피해국-가해국이라는 이분화된 구도 속에 재현된 <허스토리>의 영웅서사는 관부재판의 실화를 알지 못하는 관객들에게 굴절되고 변형된 기억을 전달하며, 진정성의 환상을 가지게 하는 정치적 효과를 가진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Herstory, a film about the so-called ‘Gwanbu’ trial led by the victims of ‘comfort women’ and the women’s volunteer corps in solidarity with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ilm can be seen as a type of work, creating or reconstructing the political framework because it makes the audience see, feel, and think about the political issue of the ‘comfort women’ movemen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political power of visual representation of Herstory by analyzing both what is represented and what is not represented, namely, the politics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The hero and salvation narrative of Herstory, reproduced in the dichotomy of a victim-perpetrator country of Korea and Japan, has a political effect as it provides audiences with refracted and transformed memories of thje Gwanbu t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