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간 제대혈의 CD14+ 단핵구 세포 및 CD34+ 조혈모세포에서 유래된 수지상세포의 특성 비교

        정민형 ( Min Hyung Jung ),김용만 ( Yong Man Kim ),송하영 ( Ha Young Song ),김종혁 ( Jong Hyeok Kim ),김영탁 ( Young Tak Kim ),정은 ( Jung Eun Mok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11

        목적: 제대혈의 CD14+ 단핵구 및 CD34+ 조혈모세포를 이용하여 동일한 배양조건에서 수지상세포로 분화시켜 얻은 각각의 수지상세포를 형태학적, 표현형적 및 기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고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에서 어떤 세포가 적합한 전구세포인지 판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정상적인 만삭 산모를 대상으로 하여 태반이 만출 되기 전 채취된 제대혈에서 CD14+ 단핵구 (n=17)와 CD34+ 조혈모세포 (n=15)를 분리하여 GM-CSF (800 U/mL)과 IL-4 (500 U/mL)를 이용하여 수지상세포로 분화시킨 후 LPS (1 ㎍/mL) 및 IFN-γ (1000 U/mL)를 이용하여 성숙시켜 confocal microscopy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FACS를 이용하여 표현형을 분석하였다. ELISA kit를 이용하여 수지상세포에서 생산된 IL-12p70의 양을 비교하였으며 혼합림프구 반응을 통해 T cell에 대한 증식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단핵구 및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8일째 성숙 수지상세포는 형태학적으로 동일한 모양을 보였으며 CD80, CD83 및 CD86을 이용한 표현형 검사에서도 유사한 발현 정도를 보였다 (P>0.05). 기능적인 비교를 위한 혼합 림프구 반응에서도 모두 강력한 림프구 자극 작용을 보였으나 단핵구 기원의 수지상세포는 1:20의 비율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보인 반면 조혈모세포 기원의 수지상세포는 1:2의 비율에서 가장 강력한 효과를 보이며 모든 비율의 혼합림프구 반응검사에서 단핵구 기원의 수지상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증식능을 보였다 (P<0.05). IL-12p70 정량검사에서 두 종류의 수지상세포 모두 6일째의 미성숙세포에서보다 8일째의 성숙세포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보였다 (P<0.05). 또한 조혈모세포 기원의 수지상세포에서 단핵구 유래 수지상세포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높은 수치의 IL-12p70의 생산량을 보였다 (P<0.05). 결론: 이상의 결과들을 고려하면 CD34+ 조혈모세포에서 기원된 수지상세포가 항암면역요법에 적합한 세포일 수 있으나 두 세포 모두 효과적이고 성숙한 수지상세포로 분화될 수 있어 항암면역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전구 세포의 선택은 제대혈에서 얻을 수 있는 세포의 채취 효용성에 좌우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phenotyp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dendritic cells (DCs) generated from two precursor cell sources (CD 14+ monocyte and CD34+ hematopoietic stem cell)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 (UCB) under identical ex vivo generation conditions and to determine the best cellular source for DCs-based anticancer immunotherapy. Methods: CD14+ monocytes and CD34+ hematopoietic stem cells were isolated from human UCB and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DCs under identical culture conditions using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800 U/mL) and IL-4 (500 U/mL). Then maturation of DCs was induced with IFN-γ (1000 U/mL) and LPS (1 ㎍/mL). Morphology was compared with confocal microscopy and phenotypical analysis was done with FACS. The level of IL-12p70 production was determined with ELISA kit and T cell proliferation capacity was assessed with mixed lymphocyte reaction (MLR). Results: Eight-day-old mature DCs from CD14+ monocytes or CD34+ hematopoietic stem cells had identical morphology. Flow cytometric analysis revealed that CD14+ monocyte-derived DCs (M-DCs) and CD34+ hematopoietic stem cell-derived DCs (CD34-DCs) showed similar enhanced expression of CD80, CD83, and CD86 (P>0.05). The level of IL-12p70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ture DCs (8-day-old) than immature DCs (6-day-old) of either source (P<0.05),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ly elevated in CD34-DCs (P<0.05). DCs of both precursors showed potent stimulation capacity in MLR, with CD34-DCs having a maximum effect at 1:2 ratio and M-DCs at 1:20 ratio, although CD34-DCs had significantly greater proliferative effects at all ratios (P<0.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D34-DCs may be a more attractive source for DC-based immunotherapy. But because of morphologic, phenotypical, and function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ellular sources, both are good sources for generating DCs and one is not superior to the other. Thus cellular availability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DC-generation protocol to be used if all other issues are equal. Further comparative testing for these two precursors is in need.

      • KCI등재후보

        난소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에서의 종양 감축술 후 Platinum 항암요법에 대한 임상적 고찰

        마진영,정민,김대연,김영탁,남주현,박상민,김종혁,김용만,정은 대한부인종양학회 2005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therapeutic results and the clinical outcome of the patients treated with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and platinum-based chemotherapy for malignant mixed müllerian tumors (MMMTs) of the ovary. The evaluate the role of such treatments in ovarian MMMTs.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dical records that nine patients underwent complete surgical staging from February 1993 to January 2004 at Asan Medical Center, Korea. Seven patients received IP (ifosfamide/cisplatin) chemotherapy as a first-line chemotherapy and the other patients received other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Demographic data, pathologic findings, treatment and survival time were studied. Results : Nine patients diagnosed with MMMTs of the ovary after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stages for the 9 women were none stage Ⅰ, 1 stage Ⅱ, 6 stage Ⅲ, 2 stage Ⅳ. The median survival time of all patients was 41 months (1-76 months). The overall survival rate was 55.5% at 1 year and 40% at 2 years. Conclusion : Malignant mixed müllerian tumors of the ovary grow very rapidly and are usually in advanced stages when diagnosed. But our results of clinical experience for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after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could be a standard treatment for ovarian MMMTs. 목적 : 난소 악성 혼합 뮬러리안 종양(Malignant mixed m llerian tumor, MMMT)는 매우 드문 부인과 악성종양으로 진단당시 진행된 병기를 가지고, 그 경과 또한 빠르게 진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불량한 예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난소 MMMT치료법으로 종양감축술 및 항암치료, 방사선치료가 도입되고 있으나, 그 치료법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상태 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종양 감축술 후 조직병리학적으로 난소 MMMT로 진단 받은 환자에게 ifosfamide 및 platinum 복합화학항암요법 시행한 후 임상성적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1993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서 난소 MMMT로 진단 받은 총 9명의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 및 조직병리소견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종양감축술 및 항암치료를 받은 후 생존기간 및 생존율에 대해 알아보 았다. 결과 : 총 9명의 난소 MMMT 환자는 적절한 종양감축술을 시행 받고, 육안적 임상적으로 잔존 종양이 없는 상태에서 복합 화학항암요법을 시행 받았다. 9명의 환자에서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병기체계에 따라 분류한 바, 제 Ⅰ병기는 단 한 명도 없었고, 제 Ⅱ병기 1명, 제 Ⅲ병기 6명, 제 Ⅳ병기 2명이었다. 평균 생존기간은 41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은 55.5%, 2년 생존율은 40%이었다. 결론 : 난소 MMMT는 진단당시 진행된 병기에서 발견되며, 그 희소성으로 인 해 아직까지 확립된 치료방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최대한 잔존종양 없이 감축술 시행 후 platinum제제 복합화학항암요법으로 치료하여 좀 더 우수한 치료성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복합항암화학요법의 치료효과

        최은선,정민,김영탁,남주현,김대연,김용만,마진영,이수정,김종혁,정은 대한부인종양학회 2005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6 No.2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paclitaxel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by response rate and survival time in the treatment of recurrent endometrial cancer. Methods : From May 1995 to February 2004, 27 out of 301 cases of endometrial cancer treated at the Asan Medical Center in Seoul were recurrent. We identified 11 patients treated with paclitaxel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7 patents treated with other combination chemotherapy, and then retrospectively estimated the survival times from the chemotherapy after recurrence to the death or last visit. Results : The non-paclitaxel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group showed partial response in 1 case (14.3%) and disease progression in 4 (57.1%). In contrast, the paclitaxel group showed 7 cases (63.6%) of partial response. The median survival time for total study patients was 18.0 months, 22.0 months for paclitaxel group and 15.0 months for the non-paclitaxel group, the difference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47). Side effect of chemotherapy such as leukopenia, neutropenia and thrombocytopenia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Paclitaxel-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may be the first-line chemotherapeutic agent in recurrent endometrial cancer patients if it’s more effective than other combination chemotherapy in prolonging survival times. 목적 :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paclitaxel을 포함한 복합항암화학요법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5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에 자궁내막암으로 치료받기위해 입원한 301명의 자궁내막암 환자 중 2004년 2월까지의 추적관찰 동안 재발된 환자 2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재발 후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1명의 paclitaxel을 포함한 복합항암화학요법군과 나머지 7명의 다른 복합항암화학요법군으로 나누어 재발 후 시행한 복합항암요법의 효과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통계분석은 Kaplan-Meier 모형과 Log Rank test를 이용하여 각각의 생존률을 비교하였고 치료 후의 부작용에 대해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 비paclitaxel 군에서 7명 중 1명(14.3%)에서 부분반응을 보였고 4명(57.1%)에서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질병확산을 보였다. 그에 비해 paclitaxel군에서는 11명 중 7명(63.6%)에서 부분반응을 나타났지만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재발 후 치료부터 사망까지의 중간생존기간은 전체연구환자에서18.0개월, 비paclitaxel군에서 15.0개월, paclitaxel군에서 22.0개월로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였다(p=0.047). 복합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면에서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 재발성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항암요법치료를 시행할 경우 paclitaxel이 포함된 복합항암요법을 사용시 생존기간 측면에서 좀더 나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 이는 재발성 자궁내막암 치료에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