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건강검진 수진자에서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과 대장 선종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최원규,김상중,명석진,최승오,김정희,박상운,박상종,장은정,박주상,백현욱,김은란,김범진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1 No.4

        Background/Aim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and colorectal cancer share several risk factor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NAFLD and colorectal adenoma is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n association between NAFLD and colorectal adenoma.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3,106 subjects who had undergone colonoscopy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between April 2007 and August 2009. Results: The sex ratio (male/female) was 4.94:1 and the mean age was 50.6±9.7 years in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ma; the corresponding numbers were 2.23: 1 and 45.0±9.2 years in patients without colorectal adenoma (p<0.001). The prevalence of NAFLD was 26.0% in the adenoma group and 21.4% in the control group (p=0.013). Additionally, there were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colorectal adenoma and BMI and lipid profile. Among the risk factors selected by univariate analysis, older age (OR 2.592; 95% CI 2.087∼3.219), and being male (OR 2.470; 95% CI 1.878∼3.247)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olorectal adenoma. Patients with NAFLD had more colorectal adenomas (p=0.005) and their adenomas were located more in the proximal colon (p=0.009). Conclusions: NAFLD is not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colorectal adenoma. However, among patients with NAFLD, colorectal adenomas were likely to be increased in number and they were likely to be located in the proximal colon. 목적: 대장암의 위험 인자로 비만, 고지혈증, 고혈당, 고인슐린혈증, 인슐린 저항성이 있으며, 이러한 인자들은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에서도 중요한 병리기전이다. 하지만, 대장암의 전구 병변인 대장 선종과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의 관련성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적어,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과 대장 선종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4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분당제생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대장내시경검사와 복부초음파검사를 받은 3,10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정상이거나 과형성 용종, 기타 양성병변을 보였던 2,476명은 대조군으로, 선종이 발견된 630명은 선종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중 선종군과 대조군의 남녀비는 4.94:1과 2.23:1이었고(p<0.001), 평균 나이는 50.6±9.7세와 45.0±9.2세였다(p<0.001).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의 빈도는 선종군에서 26.0%이었고, 대조군에서 21.4%였다(p=0.013). 그 외의 변수인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등에서도 양 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들 변수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대장 선종은 50세 이상의 연령(OR 2.592; 95% CI 2.087∼3.219)과 남성(OR 2.470; 95% CI 1.878∼3.247)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의 유무에 따른 대장 선종의 특성을 분석하였을때,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이 병발한 대장 선종은 2개 이상이며(p=0.005), 근위부 대장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p=0.009). 결론: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유무에 따라 대장 선종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비알코올 지방간 질환이 병발시에 대장 선종의 개수가 증가하며 근위부 대장에 분포하는 양상을 보여, 이에 대한 향후 전향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커피관장 유발성 대장염 1예

        최진우,조윤주,김성철,명석진,이한효,송문희,김성환,박영숙,주종은,박성원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5 Clinical Endoscopy Vol.31 No.6

        A coffee enema which has been suggested as a part of a cancer treatment, has been misused as a treatment for obesity and constipation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Its proponents claim that caffeine is absorbed in the colon, which leads to vasodilatation in the liver and stimulation of the hepatocellular function to detoxify the products of the tumor cell metabolism. However,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anti-cancer effect of coffee enemas has not been demonstrated. Many side effects of coffee enemas have been reported. These include severe electrolyte imbalance, polymicrobial enteric septicemia, and even death. We experienced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abdominal pain and a bloody stool after receiving a coffee enema to relieve constipation. We report this case of coffee enema-induced colitis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암 치료의 한 부분으로서 제안되었던 커피 관장은 최근 일반인들에게 비만과 변비의 치료책으로 오용되고 있다. 커피관장 주장자들은 카페인이 대장으로 흡수되어 간에서 혈관확장을 유도하고 암세포의 대사 산물을 해독시키는 간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한다고 커피 관장의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그러나 커피관장의 항암효과 등 임상적 유용성은 증명되지 않았다. 변비 치료의 목적으로 임의로 시행한 커피관장 후에 복통과 혈변이 발생한 환자에서 대장내시경 검사 및 조직소견으로 커피관장으로 인한 직접적인 장 점막 손상이 추정되는 커피관장 유발성 대장염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후보

        반대측 경부 림프선 전이로 처음 발현한 갑상선 미세유두암 1예

        최진우,전재석,김남인,김성철,김수웅,명석진,엄우연 대한내분비학회 2005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0 No.5

        갑상선의 미세유두암은 경부의 영상검사 및 미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이용이 빈번해지면서 그 발견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예후가 매우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전이의 경우 경부 림프선 전이가 가장 흔하며 미세유두암의 처음이자 유일한 임상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저자 등은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갑상선 종양의 증거가 없이 좌측 경부의 종괴로 내원한 환자에서 갑상선 유두암의 경부 림프선 전이를 확인하였고 갑상선 전절제술을 시행하여 갑상선 우엽에서 지름 4mm 크기의 미세유두암을 발견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apillary carcinomas account for 85~90% of all thyroid cancers, with the tumor size considered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As the use of high-resolution ultrasonography and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have increased, the diagnosis of papillary microcarcinomas of the thyroid gland; def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s being less than 1 cm in diameter, has increased. They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an excellent prognosis, with distant metastasis being extremely rare. They usually remain clinically silent until their incidental histological diagnosis by autopsy or surgical material. The incidence discovered at autopsy varies between 3 and 36%.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from papillary microcarcinomas have often been discovered, which may be the first and sole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without clinical suspicion of a thyroid tumor. Herein, the case of a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diagnosed after a total thyroidectomy due to its first presentation as a contralateral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without evidence of a clinical thyroid tumor, is described

      • KCI등재

        일과 장폐색을 유발한 노인 분변 매복

        변영혜 ( Young Hye Byun ),박영숙 ( Young Sook Park ),명석진 ( Seok Jin Myung ),엄우연 ( Woo Youn Eom ),최원욱 ( Won Wook Choi ),김태헌 ( Tae Hun Kim ),조윤주 ( Yun Ju Jo ),김성환 ( Seong Hwan Kim ),송문희 ( Moon Hee Song ) 대한소화기학회 200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6 No.3

        목적: 급성 장폐색은 즉각적인 감별과 치료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응급 질환으로 비종양 원인 가운데 특히 노인 환자에서는 단순 분변에 의한 폐색도 중요한 원인이다. 급성 장폐색이 의심되었던 환자 가운데 다른 원인이 배제되고 단순 분변 매복에 의한 장폐색으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2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을지의대 노원을지병원에서 급성 장폐색이 의심되어 소화기내과로 입원한 78예 환자 가운데 단순 분변에 의한 장폐색으로 진단된 19예를 대상으로 임상 특징, 검사 소견 및 치료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남녀 비는 1:1.1로 성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79.3세로 대부분이 70세 이상의 고령이었다. 전예에서 복통과 복부 팽만감을 호소하였고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등의 다양한 증상을 호소하였다. 장음은 7예(37%)에서 항진되었고 3예(16%)에서 감소되었으며 9예(47%)에서는 정상이었다. 직장수지검사 결과 8예(42%)에서 단단한 고형변을 촉지할 수 있었으나 4예(21%)에서는 특이 소견이 없었으며, 7예(36%)에서 치핵이 의심되었다. 말초혈액검사 결과 백혈구 증가는 5예(26%), 빈혈은 10예(53%)에서 관찰되었으며 전해질 검사에서는 저나트륨혈증이 4예, 저칼륨혈증이 3예, 고칼슘혈증이 1예에서 관찰되었다. 복부 단순 촬영에서 많은 양의 분변이 확장된 장내에 관찰되었고, 13예(68%)에서 소장과 대장의 확장, 4예에서 대장의 확장, 2예에서는 소장의 확장을 보였으며 공기액체층 음영은 3예(16%), 직장에서 분변의 음영은 11예(58%)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응급 S자결장내시경 결과 Bristol I형의 단단하고 둥근 형태의 고형변을 관찰한 환자는 7예(37%)였고 전처치 후 시행한 대장내시경 결과 10예(53%)에서 굴곡이 심하고 무기력한 대장이 관찰되었으나 전 예에서 기계 폐색을 의심할 만한 병변은 없었다. 식이요법과 배변 훈련 및 약물치료를 하면서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고령 환자에서는 단순 분변 매복에 의해 대장 폐색이 유발될 수 있으며, 기질 질환과는 달리 단순히 분변 배출을 유도함으로써 신속한 증상 호전을 보이므로 만성변비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 먼저 감별이 필요한 질환이다. Background/Aims: Acute intestinal obstruction is an urgent disease to be diagnosed and treated promptly. In elderly, fecal impaction may be an important and preventable cause of colonic obstruction.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presenting with denical features of intestinal obstruction transiently due to fecal impaction. Methods: From February 2001 to March 2004, nineteen patients were diagnosed as transient intestinal obstruction due to fecal impaction. We evalu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radiologic findings, sigmoidoscopic or colonoscopic findings and managements. Results: Male and female ratio was 1:1.1. Mean age was 79.3 years. All 19 patients had abdominal pain and distension. On digital rectal examination, the hard feces was palpable in only 8 patients (42%) while others showed empty rectum. The abnormal laboratory findings included leukocytosis in 5 patients (26%), anemia in 10 patients (53%) and electrolyte abnormalities in 7 patients (37%). Simple abdominal X-rays showed diffuse small and/or large bowel dilatations. In only 3 patients (16%) air-fluid levels were definite, but most patients showed abundant feces in the rectum and colon. During emergency sigmoidoscopy, abdominal pain and distension were relieved and there were Bristol type 1 hard stool in the recto-sigmoid junction in 7 patients (37%) and multiple rectal ulcers in 1 patient. On colonoscopy, there were no mass or pathologic obstruction in all patients. Patients were discharged after the adequate medication and toilet training. Conclusions: In elderly patients, fecal impaction is odd and preventable cause of intestinal obstruction. It is often significant to differentiate fecal impaction from other pathologic conditions in patients with chronic constip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5;46:211-217)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