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

        노희진,김동욱,백성혜,Noh, Hee-Jin,Kim, Dong-Uk,Paik, Seoung-Hey 대한화학회 2008 대한화학회지 Vol.52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 교사들의 영재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수업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이 사례 연구의 자료는 한 과학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세 명의 과학교사로부터 얻었으며, 면담과 수업관찰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과학고 운영과 교사의 수업에 관련된 다양한 자료도 함께 수집되어 상호검증을 통한 일 치도 확인 방법으로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많은 교사는 교사중심의 신념 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과학고 근무경력이 가장 적은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고, 실제 수업 역시 학생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반면 과학고 근무경력이 중간인 교사는 학생 중심의 신 념을 가졌으나, 실제 수업은 교사 중심으로 운영되어 신념과 실제 수업의 불일치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 과로부터, 학교 문화가 교사의 신념보다는 더 강하게 교사의 실제 수업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과 학고 근무 경력이 많을수록 교사의 신념은 영재교육보다는 대학 입학을 위한 지식 교육을 위한 교사 중심으로 변 화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고 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beliefs of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The data of this case study were collected from three science teachers who worked in a science high school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other various data related to science high school management and the teachers' teach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eacher of long period in-service experience in science high school had teacher-centered belief, and his classroom practices were matched with his beliefs. The teacher of short period in-service experience in science high school had student-centered belief, and her classroom practices were matched with her beliefs, also. The teacher of medium period in-service experience in science high school had student-centered belief, but her teacher-centered classroom practices were mismatched with her beliefs. From the results, it could conclude that school culture affects on teachers' classroom practices stronger than beliefs. The longer career period of science high school changed easier teachers' beliefs into knowledge education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removed from gifted educ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e suggest the need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 KCI등재

        수열법에 의한 저온 결정형 지르코니아 나노 분말의 제조

        노희진,이종국,서동석,황규홍,Noh, Hee-Jin,Lee, Jong-Kook,Seo, Dong-Seok,Hwang, Kyu-Hong 한국세라믹학회 2002 한국세라믹학회지 Vol.39 No.3

        The nanocrystalline zirconia powder was synthesized from the zirconium hydroxide precipitate by hydrothermal process with the reaction temperature range 100∼250$^{\circ}$C, reaction time 1∼48 hours and additive concentration 1, 5 N NaOH solutions. The lower hydrothermal treatment temperature, the inner spherical tetragonal zirconia was synthesized. The fraction of monoclinic phase zirconia with rod shap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hydrothermal treatment temperature. As the concentration of the NaOH solution increases, the synthesized particle in breadth and length increased; breadth and length ratio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low concentration of NaOH solution, however, the particle length became relatively larger than its breadth resulting in the rod-shaped particles with bigger aspect ratio. $ZrOCl_2{\cdot}8H_2O$ 수용액과 $NH_4OH$ 수용액을 반응시켜 얻은 지르코니아 수화물을 반응조건으로 100∼250$^{\circ}$C, 1∼48시간과 1, 5 M NaOH 수용액에서 수열합성하여 결정형 나노크기의 지르코니아 분말을 제조하였다. 수열합성 온도가 낮을 경우 구형의 정방정상 나노입자가 합성되었으며, 합성온도가 증가하면서 입자크기의 증가 및 입자모양도 막대상으로 변하면서 결정상도 단사정상을 나타내었다. NaOH 용액의 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된 입자의 폭과 길가 크며 장단축비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NaOH 용액의 농도가 낮을 경우 입자 길이가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이에 따라 장단축비가 큰 막대상 입자가 합성되었다.

      • KCI등재

        유역유출 변화에 따른 도암댐 저수지 수질 영향 예측

        노희진,김정민,김영도,강부식,Noh, Hee Jin,Kim, Jung Min,Kim, Young Do,Kang, Boo Sik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도암댐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과 호소 및 하천모형의 연계를 통해 통합모델링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국내 기후 특성상 하절기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해 댐의 건설은 홍수조절, 용수확보 및 전력생산 등의 목적에 있어서 불가피하다. 특히 이러한 목적의 댐 형태가 하천과 하천 사이에 위치할 경우에는 연계된 구간을 하나의 유역으로 보고 이를 통합적으로 모의 및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암댐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모형인 SWAT 모형을 구축하고 저수지 및 하천의 수리 및 수질 모의를 위해 EFDC-WASP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현재 도암댐 상부에서 시범가동 중인 수질개선장치 효율이 반영된 시나리오를 모의하여 통합모델링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integrated modeling system by coupling of a watershed model, a reservoir model, and a river model has been constructed in Doam reservoir watershed. Because of domestic climate characteristics, it is inevitable to construct the dam for control of flood, water use, and power production due to the heavy rain in the summer. Especially, when the dam is constructed on the stream for these kinds of purpo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is region as one watershed and also to make the integrated system for simulation and management. In this study, SWAT model was constructed for watershed modeling and EFDC-WASP model was constructed for simulating the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of the reservoir and the downstream in Doam dam watershed. Also,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equipment for demonstration was applied in the upstream part of Doam reservoir, which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integrated modeling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 기업의 육성 방안

        노희진(Hee-Jin Noh),김인선(In-Sun Kim) 韓國經營史學會 2013 經營史學 Vol.66 No.-

        본 연구는 국내에 잘 소개되어 있지 않은 일본 사회적 기업의 현황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대하여 국내에 소개하고, 한국과의 비교를 통해 국내 사회적 기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외국 사례와 관련하여 국내에 소개되고 있는 상당 부분은 유럽이나 미국 및 남미에 치중해 있으며 일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의외로 부족하다. 그 이유는 과거 일본이 사회적 기업의 도입과 발전에 대해 비교적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일본은 그들 나름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상당한 경험과 이론적 업적을 축적하여 왔다. 특히, 일본은 한국과 같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독립적인 법 제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으나 이와 같은 활동을 지원/규제하는 내용이 여러 법률에 포함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기업을 통해 상당한 범위에서의 사회적 활동이 이루어져 왔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사회적 기업은 외환위기 이후 사회의 양극화 및 일자리 창출 필요성에 따라 정부주도의 사회적 기업 육성을 시행해 온 바, 2007년에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시행되었으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의한 이해가 부족하며, 또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개념이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기업의 개념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더하여, 사회적 기업의 지속 발전을 위한 정부 또는 기업의 보조금 이외에 민간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투자나 이를 지원하는 민간의 조직기반의 취약 이라는 문제점을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의 현황 및 정부 지원정책 등에 대하여 연대별 현황을 파악하고 한·일간의 비교를 통하여 국내 사회적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기존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가진 제도적 측면에서의 한계를 지적하고, 정부에 의한 보조금 의존적 지원 체제에서 시장을 통한 자금지원 체제로의 전환을 위해 자본시장을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Japan’s social enterprises (SEs) and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y support in this area. By comparing Japanese SEs, which are not well known in Korea, with Korean SEs, this study highlights areas of possible development for Korean SEs. Most SE-related research introduced in Korea focus on Europe, the US, and South America. Very little is known about Japanese SEs because of the misperception that Japan is passive about introducing and developing SEs. However, this is not true. In fact, Japan has accumulated considerable experience and theoretical achievements about SEs. Although Japan has no independent legal system dedicated to SEs, unlike Korea, it has many laws supporting and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SEs. Under the circumstance, diverse types of SEs have prospered, engaging in a wide range of social activities in Japan. In Korea, SEs were initially nurtured as part of government-led efforts to create jobs and to tackle the social divide in the post-Asian financial crisis era. In 2007,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was enacted. Since then, more SEs have been established and job opportun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have increased. However, Korea still lacks awareness about SEs among various stakeholders. Another problem is the narrow definition of Korean SEs: The law allows only specific types of SEs to be established, and this hinders the emergence of diversified SEs. Furthermore, Korea’s government-led, subsidy-oriented policy impedes private investments in SEs and other types of market-based platforms to support SEs.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 the history of Korean SEs and government policy in this area. By comparing this with Japan’s case, we point out the institutional limitations inherent in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Last and propose concrete measures through which SEs can tap the capital markets for market-based financing and shift away from the current funding system that depends on government subsidies.

      • KCI등재

        스크래치를 활용한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 인식

        노희진 ( Hee Jin Noh ),백성혜 ( Seoung 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1

        이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수업에서 이루어졌으며,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과학 수업이 실행되었고, 이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의 자연계열을 희망하는 남학생이며, 4학급이다. 학생들이 수업과 과제를 진행하는 동안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 수업저널을 작성하였고, 이 수업저널을 분석하여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로 이루어진 학습과정, 스크래치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인식을 찾고 그에 대한시사점을 얻었다. 수업은 2단계로 진행되어졌다. 첫 단계는 과학적 문제를 스크래치로 해결해 보는 경험의 단계로,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비주얼 프로그래밍인 스크래치라는 도구를 활용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학생들이 자신의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스크래치를 활용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산출물을 생성하게 된다. 연구 결과는, 첫째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흥미가 높았다. 학생들은 높아진 흥미로 수업에 참여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자신의 산출물을 얻는 과정에서 뿌듯함을 느꼈다. 둘째 이 수업에서 실제 학생들은 3단계를 거치며 학습하고 있었다. 이 3단계는 문제 인식, 문제 해결, 산출물 생성이었으며, 특히 문제 해결과정은 반복적이었으며 학생들에게 이 과정은 복잡하고 어려운 단계이다. 이 문제해결과정은 스크래치 측면(설계, 적용)과 과학 측면(자료 수집, 자료 해석)으로 구성되어지며, 설계, 자료 수집, 자료 해석, 적용의 단계가 순서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반복적인 과정에서 설계에 따라 과학적 지식을 조사하고 이해하여 프로그래밍에 적용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재설계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과학적 지식을 더 오랫동안 기억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스크래치라는 프로그래밍 사용의 어려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러나 처음 사용해보는 것이라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해석되어지며, 이것은 학생들이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을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서 시작해 보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학생들은 이경험을 통해 자신의 미래의 직업과 관련 지었고, 컴퓨터공학 관련 직업을 갖지 않더라도 다양한 직업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결론적으로 스크래치를 활용한 과학수업은 새로운 교수학습방법으로 제안 되어질 수 있고,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적 소양, 정보적 소양이 신장될 것이다. 스크래치와 같은 프로그래밍은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해석해볼 수 있고,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자신의 문제들을 해결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디지털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며, 기술과 공학적 설계를 포함한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행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갖춘 인재를 키울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of high school science classes. These science classes progressed by using Scratch, and surveyed students` perception after finishing each cl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f male students who want to choos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in the next grade. Those classes are consisted of four classes. This study produced a journal, and contained expressions of their thinking and feeling based on experiences during attending classes and projects. Consequently, that journal was analyzed in view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Scratch using science classes, and it was also included of utilizing Scratch program. Research shows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students preferred Scratch using class to general one. They attend more active with high interest, and they felt senses of accomplishment while they make output by themselves. Second, their studies passed through three stages. These are problem perception, problem solving, and producing. Problem solving stage is especially complicated and difficult stage to students. This stage is consisted of Scratch side and Science side. Scratch side has Design and applying process, and Science side has data gathering and analyzing. Students` comprehension of scientific knowledge is increased and is preserved long time through this stage. Last, students had a hard time using Scratch. Because, it is the first time to them to use that program. Therefore, we deemed that they needed to start this kind of experience at lower grade than they are now, such as middle school stage. It is expected that this type of classes are getting more expanded and more populated as a part of students` core 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STEAM교육을 실행한 중등교사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노희진(Noh Hee Jin),백성혜(Paik Seoung 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0

        This research is going to identify how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STEAM education think of STEAM education. It will be meaningful to analyze experienced teachers thoughts: what they think of STEAM education, what experiences they have, or what difficulties they had in class. The research has targeted at 135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are experienced in STEAM education throughout the country(STEAM Leader School, STEAM Learning community). It us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t has been done with questionnaire survey. Researcher selected focus group-5 members who are representative of STEAM education. This study got 7 perceptions about STEAM education what aimed from teachers. (1) It should be related to other subjects. (2) It should be connected to the real world. (3) It should increase interests and lead to immersion in class. (4) It should introdu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5) Activities rather than lectures should be encouraged. (6) It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problems to solve, (7) It would allow students to collaborate in class. The focus group interview showed that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correlate between various subjects because they are short of knowledge of other subjects. It follows that they have difficulty designing the STEAM class. But teachers experienced in STEAM education want to increase STEAM class time, which is a meaningful result. According to this result, We strongly suggest to need self-regulating PLC(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t school. The PLC must consistent of heterogeneous teachers. Teachers are able to collaborate other subject teacher through PLC and ar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of STEAM education. Also The time and place for STEAM-PLC should be available. In conclusion, We expected that teachers practice STEAM education at their school through STEAM-PLC and schools provide them with time and space to operate STEAM. 본 연구는 융합인재교육(STEAM)을 실행한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포커스 그룹을 설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수업은 다른 교과와 관련지어지고, 실생활과 연결되며, 수업 에 대한 흥미와 참여도가 높은 학생활동 중심의 수업으로 기술과 공학이 도입되고 학생간의 협력으로 이루어지는 수업이라고 인식했다. 또한 STEAM을 실행하는데는 다른 교과와 연계가 쉬운 팀티칭의 형태가 적절하며, 현재는 교과간의 연계에 어 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것과 STEAM수업을 평가에 반영하는 것에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STEAM 수업을 준비하는 것에는 기존의 수업보다 시간과 노력이 들지만 융합수업은 증가해야 한다고 깨닫고 있었다. 이 연구는 중등교육에서 융합교육 실행을위해서는 다른 교과 교사와의 협력할 수 있는 교사의 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교사는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융합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신장해야 한다는 제언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