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compiler의 구조적 기능에 관한 연구

        노희영,양해술 한국정보과학회 198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2 No.1

        본 논문은 Lower Level 프로그래밍 언어를 Higher Level 프로그래밍 언어로 translate시키는 Decompiler의 한 모델을 중심으로 각 구성요소의 기능 및 "Data Structure인식"과 "Program-Structuring"에 대한 기본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BL콘텐츠 특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리디의 BL웹툰 메타데이터를 중심으로-

        노희영,박지훈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과거에 일본에서 건너온 Boys’ Love (BL)은 동성애를 표방한다는 점에서 ‘음지 문화’로 여겨졌다. 하지만 웹 플랫폼의 활성화와 코로나 시기 이후 콘텐 츠 수요 증가로 인해 BL 시장은 성장세를 맞이하게 되었다. 2022년에는 드라 마로 제작된 BL웹소설인 <시맨틱 에러>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기존에 BL 콘텐츠를 제공해 왔던 리디 또한 거래액 2000억 매출을 돌파했다. BL 콘 텐츠 시장은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로도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 태국과 의 협업을 통해 적극적인 BL 콘텐츠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콘텐츠 시장에서 BL의 경제적 가치가 부상하고 있는 것과 달리, BL 콘텐츠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BL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제공되면서 메타데이터를 통해 BL 콘텐츠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리디에서 제공하는 한국 BL웹툰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BL웹툰 콘 텐츠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리디를 선정한 이유는 국내에서 BL 상업화 의 선두주자였기 때문이다. 기술통계 분석을 위해 원작 여부, 출판일, 성인 등 급 표시, BL 장르 키워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2012년부터 2023년까지의 리디에 출판된 BL웹툰의 메타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첫째, 2022년을 기점으로 BL웹툰이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 둘째, BL 웹툰이 다른 대형 플랫폼의 웹툰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연재 기간을 가지는 경 향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BL 장르의 특성상 서사가 비교적 짧다는 특징을 나 타낸다. 셋째, 다수의 BL웹툰이 성인용이라는 사실은 BL의 일부분이 성적 판 타지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넷째, BL웹툰에서 BL웹소설을 원작으로 IP를 확장하기보다는 새로운 웹툰을 만드는 비율이 높은데 기업 소유의 원작 IP를 더 생산하고자 하는 의도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BL의 장르 키워드 통 계에서는 현대극, 짝사랑, 달달BL, 다정공, 미인수 등이 가장 높은 빈도를 기 록했다. 이는 독자들이 현실적이면서도 로맨틱한 이야기를 선호하는 경향을 리디가 적극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BL콘텐츠의 특 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BL시장 동향의 특성을 전체적으로 일반화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내 정원경관이미지의 대표 형용사 선정과 분류 연구 - 식물소재와 식물조합의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

        노희영,손유진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2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8 No.1

        최근 산림청의 정원에 대한 정책 지원 확대로 다양한 규모의 정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 대상의 정원경관에 대한 시각적 평가와 정원에 대한 경관적 측면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경관연구에서는 경관이미지의 시각적 평가도구로 형용사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형용사를 활용한 경관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경관의 특성을 반영한 형용사 목록선정과 경관분류별 경관평가가 중요시된다. 그러나 국내의 정원이미지 형용사 평가연구는 기존 문헌연구에서 활용한 형용사 목록을 사용함으로써 정원경관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의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정원경관이미지의 대표 형용사를 선정하고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정원식물의 시각적 특성인 색채, 질감, 형태와 관련한 형용사를 목록화하고, 설문조사 및 요인분석을 통해 형용사를 분류하였다. 연구과정은 자료수집, 형용사 적합성 평가, 정원형용사 분류의 3단계로 구분된다. 1단계로 정원이미지 수집 및 선정, 형용사 목록화를 위해 문헌조사, 현장조사,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단계로 조경전공자를 대상으로 어의구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Method)을 활용하여 1차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형용사 적합성 평가 후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형용사를 선정하였다. 3단계로 조경전공자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정원형용사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식물의 시각적 특성에 따른 정원형용사는 총 16쌍이 선정되었다. 둘째, 정원의 대표 형용사는 ‘식물소재의 색채․형태적 특성’, ‘식재계획의 형태적 특성’, ‘식재계획의 매력성’, ‘식재밀도의 적정성’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정원경관의 시각적 평가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물의 조합으로 구성된 정원의 시각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 애니메이션 속 장애 캐릭터에 대한 이용자 인식 연구 -신체 장애 캐릭터를 중심으로-

        노희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0

        The drama “Extraordinary Attorney Woo” on Netflix, which features an autistic lawyer, has sparked discussions on how the portrayal of disabilities in Korean media perpetuates stereotypes and leads to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individuals. The cultivation theory proposed by Gerbner and Gross (1976), which emphasizes the longterm effects of media exposure, suggests that distorted portrayals of disabilities in the media can be perceived as reality by the public. Moreover, children’s animated films play a crucial role in shaping attitudes towards disabilities among young audiences.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nimated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calling for further explor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audiences perceive disabled characters in animation and their preference for certain character design elements. The samples are six physically disabled characters in animated films released from 1953 to 2016. And, the survey targeted adults between 20s and 30s who were familiar with animations. The data collected from 186 participants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disability of the character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preference, except for one character which may have been influenced by pre-existing perceptions. Additionally,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ype of character, whether human or animal, affected how media users perceived disabilities. Specifically, human-type characters were more likely to shape users’ attitudes towards disabilities compared to animal-type charact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erception of disabled characters in animation and their impact on media users. The findings suggest that media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attitudes towards disabilities and highlight the need for more diverse and accurate portrayals of disabled characters in the media. 최근, 자폐인 변호사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로 인해 미디어에서 한국 사회가 장애인에 대해 어떤 인식을 담고 있는지 열 띈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미디어 속 장애인의 이미지는 스테레오타입화 되어 있으며 이는 실제로 장애인들이 겪는 차별에 영향을 끼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거브너와 그로스(Gerbner & Gross)의 배양이론(cultivation theory)에 의하면, 미디어에서 특정 대상의 왜곡된 모습이 장시간에 걸쳐 노출되면 대중이 콘텐츠 수용 과정에서 그 이미지를 현실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아동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캐릭터가 장애가 있는 경우, 영화의 메시지를 직접 전달하는수행자(이찬후 · 노선영, 2006)로서 그 캐릭터는 장애 이미지 수용에 있어 어린이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속 장애 캐릭터가 미디어 이용자의 장애 이미지 인식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애니메이션에서 장애에 대한 인식 개선에 어떤 방향이 도움이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위의 문제의식과 함께 본 논문은 애니메이션 속에서 장애 캐릭터가 이용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캐릭터 자체의 선호도와 장애 캐릭터를 보고인식한 ‘장애’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설문의 대상이 되는 캐릭터는 1953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에서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것이 명확히 드러나는 6개의 신체적 장애 캐릭터를 선정하였다. 위의애니메이션을 알고 있는 20대와 30대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총 18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캐릭터의 장애 정도가 선호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의 캐릭터가 약간의 유의확률을 보였으나 캐릭터에 대한 장애 정도보다는 기존의 캐릭터에 대한 인식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캐릭터의 형태, 즉 인간형 혹은 동물형 캐릭터에 따라 상관관계 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미디어 이용자가 장애 이미지를인지하는 과정에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이용자가 사람으로서 동물형 캐릭터의 장애보다는 인간형 캐릭터의 장애를 인지하는 것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후보

        염모제의 유해성 고찰과 안전실태에 관한 연구

        노희영,김윤신 대한피부미용학회 2008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6 No.3

        One can identify factors harmful to the health of those who work in an industrial manufacturing facility, but the factor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nature of manufacturing. As the consumption culture has developed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hair care industry has grown into complex varieties. In the contemporary aging society, many people dye their white hair as youth is a means of gaining competitiveness. A variety of dying products have gained popularity and are easily accessible for home use. However, most of the dying products are made of chemical compounds and, in fact, a majority of cosmetics products are of similar materials. Chemical compounds are being used extensively in beauty salons, and people use dying products at salons and home without much concern for their potential harm. Exposure to the harmful compounds in dying materials is causing serious concerns. Reckless use of these materials is creating side-effects, skin disease, and other illnesses. This study investigates harmful elements of dying products to rais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harmfulness of dye products. It also aims to make suggestions to secure safety and to protect against bodily harm from dying, based on a close investigation of 12 chemical products and 13 color henna products among the total 25 dying products on the market, which the authors examine, in accordance with Article 65 of the Pharmacist Law (Description on Containers and Others) and Article 82 of Enforcement Rules of the Pharmacist Law (Specifications Put on Container of Medical Products and Others), the product name, name and address of the manufacturer or importer, volume or weight, manufacturing number and date, price, names of major ingredients, the phrase "non-medical" for non-medical products, caution, etc. One can identify factors harmful to the health of those who work in an industrial manufacturing facility, but the factor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y and the nature of manufacturing. As the consumption culture has developed along with economic growth, the hair care industry has grown into complex varieties. In the contemporary aging society, many people dye their white hair as youth is a means of gaining competitiveness. A variety of dying products have gained popularity and are easily accessible for home use. However, most of the dying products are made of chemical compounds and, in fact, a majority of cosmetics products are of similar materials. Chemical compounds are being used extensively in beauty salons, and people use dying products at salons and home without much concern for their potential harm. Exposure to the harmful compounds in dying materials is causing serious concerns. Reckless use of these materials is creating side-effects, skin disease, and other illnesses. This study investigates harmful elements of dying products to raise the public awareness of the harmfulness of dye products. It also aims to make suggestions to secure safety and to protect against bodily harm from dying, based on a close investigation of 12 chemical products and 13 color henna products among the total 25 dying products on the market, which the authors examine, in accordance with Article 65 of the Pharmacist Law (Description on Containers and Others) and Article 82 of Enforcement Rules of the Pharmacist Law (Specifications Put on Container of Medical Products and Others), the product name, name and address of the manufacturer or importer, volume or weight, manufacturing number and date, price, names of major ingredients, the phrase "non-medical" for non-medical products, caution,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