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와 일본어의 상적 의미 대조 연구 : ‘-고 있-’, ‘-아 있-’과 ‘-ている(-teiru)’ 를 대상으로

        노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aspectual meaning of a Korean grammatical form(‘-고 있-’ and ‘-아 있-’) has a relevance not only with aspectual features of its preceeding infinitive verbs but also with the voice of the verbs and their following ending markers(imperative and suggestion form) in a sentence. Further, this study goes on verifying semblanc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rammatical forms in light of aspectual meanings. This thesis is organized as below. In chapter 2.1, this study examines how to combine the form( ‘-고 있-’and ‘-아 있-’) with Korean verbs under the aspectual system of Korean and types of verbs. In Chapter 2.2, this paper studies how the aspectual system of Japanese is categorized and how ‘-ている(-teiru)’,an element which realizes an aspect, is combined with various types of verb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mentioned above, to authentic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spectual meanings of a Korean grammatical form(‘-고 있-’and ‘-아 있-’) in a sentence and its diverse endings and the voice of its preceeding infinitive verbs, so that this thesis explores earlier studies and thereby describes aspectual meanings of Korean grammatical form (‘-고 있-’ and ‘-아 있-’) and Japanese grammatical form (‘-ている’) according to various verbs and types of the verbs. In chapter 3.1, this study illustrates examples of Korean transitive verbs which exclusively allows ‘-고 있-’ to be combined with them and their intransitive passive counterparts, which allow both ‘-고 있-’ and ‘-아 있-’. Based on this, this paper proves that aspectual meanings of the verbs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voice of the verbs. In Japanese, when transitive verbs are combined with ‘-ている(-teiru)’, they represent <action-in-progressive>. However, when combined with 受身(ukemi, passive voice), they come to mean <result-in-progressive>. This means that aspectual meanings of Japanese verbs are also affected by the variation in voice of the verbs. When Korean and Japanes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se distributions, as for Japanese, the 受身(ukemi) form of transitive verbs are different from their intransitive counterparts and meanings also vary when they are combined with ‘-ている(-teiru)’. Korean, on the other hand, has remarkable differences from Japanese because passive form of transitive verbs are coupled with intransitive counterparts in many cases. In chapter 3.2, this study proves that verbs which can entail <progressive> <result-in-progressive> when combined with ‘-고 있-’ converge to <result-in-progressive> rather than <progressive> when they are combined with imperative or suggestion ending markers. This means an aspectual meaning of a sentence is closely related with ending markers of verbs(especially imperative and suggestion). Likely, Japanese verbs which can entail both <action-in-progressive> and <result-in-progressive> when combined with ‘-ている(-teiru)’ end up <result-in-progressive> when they are combined with clause-final modality forms(imperative and suggestion). This represents that modality forms in Japanese have relevance to aspectual meanings, which is similar in Korean. In chapter 4, this thesis makes conclusions about aforementioned research findings.

      • 양자점 이종접합 구조의 정교한 제어를 통한 전계 발광 소자 특성 분석

        노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자점은 양자 구속 효과로 인해 양자점의 밴드 갭을 조절하여 발광하는 빛의 파장을 달리할 수 있으며 좁은 반치폭으로 인해 높은 색 순도를 가지고 가시광선 영역만이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 영역까지 방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양자점은 디스플레이 산업을 포함하여 포토 디텍터, 레이저, 그리고 태양 전지와 같은 소자에 응용이 되었다. 양자점은 코어와 쉘, 리간드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코어에 epitaxially 성장시킨 쉘은 코어의 트랩 사이트를 줄이고 코어와 쉘의 lattice mismatch를 줄여 광 발광 (Photoluminescence, PL)과 양자 효율 (Quantum Yield, QY)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종 접합 구조를 갖는 양자점은 높은 광 발광 특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이종 접합 구조의 양자점은 코어와 쉘의 에너지 오프셋에 의해 Type I 구조와 Type II 구조로 나뉜다. Type I 구조는 코어의 에너지 밴드 갭이 쉘의 에너지 밴드 갭에 오버랩 되어 양자 우물 형태의 에너지 밴드를 가지는 구조로 코어 쪽에 전자와 정공의 파동 함수가 제한되어 전자와 정공이 코어 안에 편재화 된다. Type II 구조는 코어와 쉘의 에너지 밴드가 계단 모양으로 정렬되어 있어 전자와 정공의 파동함수가 코어와 쉘 각각에 분리되어 전자와 정공이 분리되어 코어와 쉘에 따로 편재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특히 quasi type II 양자점은 코어와 쉘의 CBM 또는 VBM의 에너지가 한 쪽만 정렬되어 있어 전자 또는 정공의 파동 함수가 코어 안에 제한되어 전하 운반자가 갇히게 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파동 함수는 코어와 쉘에 모두 존재 할 수 있어 전하 운반자의 비편재화가 일어나는 구조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와 홀의 분리가 쉬운 quasi type II 구조의 CdSe/ZnSe 양자점과 CdSe/CdS 양자점을 합성하여 전자와 홀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한 양자점을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여 양자점 기반 소자의 효율 저하를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인 전하 불균형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dSe/ZnSe 양자점의 경우 코어와 쉘의 VBM 에너지 오프셋은 적어 홀의 이동이 쉬운 반면 코어와 쉘의 CBM 에너지 오프셋의 큰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전자는 코어 쪽에 갇히게 된다. CdSe/CdS 양자점의 경우 이와는 반대로 코어와 쉘의 CBM 에너지 오프셋 차이가 적고 VBM 에너지 오프셋 차이가 홀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홀은 코어 쪽에 갇히게 되고 전자는 코어는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다. CdSe/ZnSe와 CdSe/CdS 양자점의 광 발광 특성 및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양자점 합성법을 최적화하여 두 양자점 모두 높은 양자 효율을 확보하였다. 또 CdSe/ZnSe와 CdSe/CdS 양자점을 독립적인 발광층으로 갖는 소자와 두 양자점을 부피 비율로 혼합하여 발광층으로 사용한 소자, 그리고 HTL-CdSe/ZnSe-CdSe/CdS-ETL, HTL-CdSe/CdS-CdSe/ZnSe-ETL 순서를 갖는 소자 이렇게 3 종류의 LED를 제작하여 각각의 전류-전압-밝기 특성 및 전류 효율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최대 밝기 78,690 cd/m2, 최대 효율 15.3 cd/A를 갖는 CdSe/ZnSe 양자점 기반 소자와 최대 밝기 4,808 cd/m2, 최대 효율 1.22 cd/A를 갖는 CdSe/CdS 양자점 기반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CdSe/ZnSe 기반 소자의 경우 ZnSe 쉘이 전자의 주입을 제한하는 에너지 장벽으로 작용하여 발광층으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전하 균형이 맞아 더 높은 밝기와 전류 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CdSe/CdS 기반 소자의 경우 CdS 쉘과 ZnO 사이의 에너지 오프셋 차이가 작아 훨씬 더 많은 전자가 발광층으로 주입되어 전자와 정공의 전하 불균형으로 인해 낮은 밝기와 효율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계 발광 소자의 성능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자점 발광층으로 주입되는 전자와 정공의 전하량이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실험으로 앞으로의 양자점 기반 소자의 산업화 및 높은 수명을 얻는데 중요한 학문적 사료라 여겨진다.

      • 한국어의 상적 의미와 타동성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 동사 분류를 중심으로

        노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the consideration on the meaning aspects in which the verb's semantic category, called aspect, is varied by lexical and grammatical elements in sentences. The verb lexical aspect itself(Aktionsart), grammatical form representing the aspectual meaning and temporal adverbs (clause) are acted in a complex way and in realized aspectual meaning. Previous studies have not observ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spectual meaning and the transitivity found in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the transitivity is related to the verb's own lexical aspect and realized in a sentence. The meaning opposition in the grammar form does not have stativity, but can only be found in the prototypical verb category, which indicates the dynamic situation. Non-prototypical verbs do not combine with grammatical forms that have aspectual meaning. If the non- prototypical verbs do combine with grammar forms, they do not represent aspectual meaning. Therefore, in chapter 2,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non-typical verbs in Korean with status in the temporal localization(temporal stability) category and attempted to classify them. Nouns, adjectives and verbs used in descriptive usage form a continuum in the category of temporal localization, and verbs close to nouns or adjectives on the continuum belong to non-prototypical verbs. Non-prototypical verbs are classified as a verb; they have a static and homogeneous meaning that exists permanently without being bound by time such as nouns and adjectives, but can appear as temporary in the passage of time. In chapter 3,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prototypical verbs according to the elements of meaning of prototypical transitivity. The reason for attempting to classify verbs as elements of meaning in transitivity is that the aspectual meaning of a sentence is related to the transitivity. In this dissertation, the problem of the existing definition of transitivity is realized. In a sentence with 2 or more participants in a two-participant clause, it is considered that sentences in which ‘change’ occurs in the object is of more transitivity than the ‘act’ of the agent which simply affects the object. In regards to the elements of meaning, ‘change’ is an element that distinguishes whether or not it is a transitive verb in various world languages, so the prototypical transitivity was defined as ‘an action directed toward an object and causing a change in the object’. Based on the definition of prototypical transitivity, the elements of meaning in prototypical transitivity can be categorized as ‘Juche(‘Agent/A(transitive subject function)’/‘Subject/S(intransitive subject function)’)’, ‘Gaekche(Object/O(transitive objective function))’, ‘Action’ and ‘Change’. The verbs with the highest transitivity are those that satisfy all four semantic elements, and the verbs lacking these elements have lower transitivity. When the number of agents is one, the verb representing ‘change’ is considered to have higher transitivity than the verb representing ‘action’, because ‘change’ plays a decisive role in the prototypical meaning of transitivity. Based on the elements of meaning in this prototypical transitivity, the verb with the highest transitivity is ‘Juche action and Gaekche change verbs’, followed by ‘Juche change verbs’, and ‘Juche action verbs’ in order. The element of meaning, ‘change’, is related to ‘telicity’. Telic verbs lead to a ‘changed result’ when the action reaches its ‘natural endpoint’. Therefore, all verbs with the element of ‘change’ become ‘telic verbs’, and verbs without the element of ‘change’ are ‘atelic verbs’. Among the three categories of verbs classified above,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and ‘Juche change verbs’ are ‘telic verbs’, which grasp ‘change’, and ‘Juche action verbs’ which do not grasp ‘change’ belongs to ‘atelic verbs’.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are all transitive verbs because there are more than one participant, and ‘Juche change verbs’ are all intransitive verbs because there is one participant. In these two categories, all intransitive verbs correspond to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to ‘Juche change verbs’. All other transitive verbs corresponding to Juche change verbs belong to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Juche action verbs include transitive verbs and intransitive verbs. In the case of a transitive verb, even if the agent's action affects the object, the object does not change or how the agent acts, but it is a verb that grasps only the action of the object. The progressive form of verbs ‘-go iss-’ combines with all verbs of those three categories. However, when the verbs with [-durative], then ‘-go iss-’ indicates many implicated meanings. The verbs with [+durative] combines with ‘-go iss-’ and indicates progressive, but when the verbs with [-durative] combines with ‘-go iss-’ and indicates iterative, repetition, habit and dispersive interpretation. The resultative form ‘-eo iss-’ combines with ‘Juche change verbs’.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are also telic verbs which grasp change, but the change itself is not an action but the agent, therefore, it cannot be added to ‘-eo iss-’.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ative form of Korean language ‘-eo iss-’ can only be combined with intransitive verbs among ‘telic verbs’, but these studies could not clarify as to why those verbs combined with ‘telic verbs’ of intransitive verbs. [+Telic] means ‘change’ and intransitive verbs have one participant only. This dissertation showed that the verbs are Juche change verbs which can combine with ‘-eo iss-’. ‘-eoss-’, known as a past tense marker in Korean language, but this study confirmed that ‘-eoss-’ does not include the end of an event every time for Juche change verbs through the schematization of an aspectual phase. ‘-eoss-’ of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indicates a natural endpoint, which means a lead changed result as well as the end of an event. Juche action verbs did not grasp change, therefore, they are atelic verbs. These verbs do not have a natural endpoint because it is considered only when the meaning is completed if the action has occurred, and ‘-eoss-’ means the end of an event. ‘-eoss-’ of Juche change verbs means changed results, but does not mean the end of an event. After the event, it can be realized as ‘-eo iss-’. Juche change verbs, ‘-eoss-’ means changed results that ‘-eoss-’ can be functioned as perfect(anterior) continuing. Reflexive verbs can be categorized as Juche change verbs, it seems to belong Juche actionㆍGaekche change verbs because they have two participants and the action of agent effects the changing of the object. However, changed results of the object should be included as changed results of the agent. In other words, reflexive verbs did not represent progressive phase with ‘-go iss-’ as Juche change verbs, but also did not represent resultative phase with ‘-eo iss-’. Reflexive verbs express two phases using ‘-go iss-’. This study figures that ‘-go iss-’ can indicate the phase of changed result, as the object of ‘-go iss-’ can lead the change of agent. ‘Jada(to sleep), Jukda(to die)’ can be categorized as Juche change verbs, because they are intransitive verbs which have one participant and grasp the change. However, ‘Jada, Jukda’ showed a different pattern from the aspectual phase of ‘-go iss-’, ‘-eo iss-’, and ‘-eoss-’ in the Juche change verb. The reason ‘Jada, Jukda’ shows different aspects with other Juche change verbs is that two verbs can be easily recognized as ‘change’, but they have static and homogeneous statuses which is the nature of non-prototypical verbs. Korean perception verbs, ‘Boda(to see), Deutda(to listen)’ are categorized as Juche action verbs. In strict sense, ‘Boda, Deutda’ do not indicate any action or change, however they are related to ‘volitionality’ with high transitivity, and thus considered as ‘action’ and ‘qualitative state’. ‘Volitionality’ does not include the element of meaning about prototypical transitive, but ‘human intention’ has ‘self-referential causality’, therefore it indicates ‘qualitative state change’ related to ‘action’. Differing from English, the Korean perception verbs are free to combine with ‘-go iss-’, which can be found in the prototypical transitivity. In chapter 4, this dissertation showed the meaning of ‘-go iss-’, ‘-eo iss-’, and ‘-eoss-’ which indicates progressive, resultative and perfect(anterior) continuing and clarified aspectual aspects which can be shared. As for Juche change verbs, ‘-eoss-’ expresses result derivation including the point, therefore it can be shared with the same aspectual phase as ‘-eo iss-’. When ‘-eoss-’ concurs with the adverbial ‘T buteo(from T(time))’ indicating point and duration, then ‘-eoss-’ can indicate the progressive phase including the start point among three categorized verbs, and means ‘perfect continuing’.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meaning of ‘-eoss-’ when combined with various temporal adverbial (clause) and when ‘-eoss-’ is changed to ‘-go iss-’ co-occurring with certain kinds of temporal adverbial(clause). When ‘-eoss-’ co-occurs with ‘T dongan(duration T)’, the event of ‘-eoss-’ has started before moment of speaking, but it does not include the event has terminated, so it can be replaced with ‘-go iss-’. At this moment, ‘-go iss-’ and ‘-eoss-’ do not include the point, so it can be defined as progressive. When ‘-eoss-’ co-occurs with ‘T buteo’, the event of ‘-eoss-’ has started before utterance time as ‘T dongan’, but does not include the meaning that the event has ended, so ‘-eoss-’ can be replaced of ‘-eo iss-’. However, the phase is different with ‘T buteo’ and ‘T dongan’, because ‘T buteo’ includes the exact start point of the event, so ‘-go iss-’ and ‘-eoss-’ signifies anterior continuing.

      •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반응속도 측정에 대한 실험 분석 및 Small-Scale Chemistry에 기초한 실험 개선

        노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반응속도 측정에 대한 실험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small-scale chemistry (SSC)에 기초한 개선 실험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서 고등학교 10종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반응속도 측정 실험 방법을 반응에 의한 생성물 확인 방법에 따라 앙금 생성 확인법, 기체 생성 확인법, 색깔 확인법, 거품 측정법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앙금 생성 확인법과 거품 측정법 실험 방법에 따라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12명의 예비 교사들에게 실험을 수행하게 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화학반응속도에 미치는 농도와 온도의 영향에 대한 실험 방법 중 앙금 생성 확인법의 문제점으로는 다량의 이산화황 생성물 발생, 실험기구로 인한 앙금 관찰의 애매모호함, 혼합 방법에 대한 미비한 제시로 인한 실험 결과의 재현성 부족이었다. 화학반응속도에 미치는 촉매의 영향에 대한 실험 방법 중 거품 측정법의 문제점으로는 부적합한 촉매 사용과 거품 측정시의 애매모호함으로 인하여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를 얻기가 힘들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SSC에 기초한 개선 실험을 통하여 보다 더 재현성 있게 화학반응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SSC에 기초한 개선 실험 방법을 고등학교 과학 실험에 활용한다면 인체에 유해한 이산화황의 양을 줄일 수 있을뿐더러 보다 더 재현성 있는 실험 결과는 학습자들이 화학반응속도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산업재해를 경험한 이주노동자들의 삶에 관한 연구

        노지현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재해를 당한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를 겪으면서 산업재해 이전과 이후의 한국생활에서 경험과정을 분석하여 그들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그 과정을 이해하고 탐색하는 데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한국에서 산업재해를 겪은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사회 경험은 어떠하였는가?”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다양한 배경을 지닌 22명의 이주노동자들로, 이주노동자 지원단체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천가, 공공기관 이주노동자 담당자 등에게 추천받아 선정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4년 11월까지였다. 자료는 심층면담을 위주로 하면서 관찰도 수행하여 구성했다. 면담내용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유형분석, 상황모형 순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을 실시한 결과, 404개의 개념을 구성했고, 개념군들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결집하여 하위범주화 하였고, 93개의 하위범주들 중 유사하거나 공통적인 것들을 재결집하여 2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개방코딩과정에서 구성한 29개의 범주들을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패러다임 모형에 따라 재배열하여 드러난 현상은 ‘혼자 감내하며 삭히기’, ‘고단한 일상’, ‘소외된 사회적 존재’였다. 이러한 현상에 영향을 미친 인과적 조건들은 ‘사용자 선택’, ‘소모품 인식’, ‘구조적 미등록 노동자’, ‘전근대적 노동문화’, ‘의료공급자의 횡포’, ‘생산성 신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들의 맥락적 조건들로는 ‘산재상업주의 환경’, ‘반동적 정서’, ‘느슨해진 모국과의 연결고리’, ‘일상에서 산재의 재현’, ‘신기루의 삶’, ‘사회적 순치’로 상정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현상들의 중재적 조건들로는 ‘일탈공간’, ‘폐쇄적 집단이기주의’, ‘주변부로 내몰기’, ‘오만에 찬 배척’, ‘자기 지평으로 끌어들이기’, ‘소수자 연대’가 드러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들로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 ‘수단 불문하여 살아남기’, ‘생명줄로서의 산재보험 부여잡기’와 ‘주도적인 삶을 위한 준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과들은 ‘자기성 상실’, ‘자기 유폐’, ‘불안과 동거하는 일상사’, ‘타향살이 삶의 재구축’의 범주들을 상정했다. 과정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한국사회라는 공간과 시간의 흐름이라는 구조 속에서 분석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중심현상이 발현된 후 ‘생존불안 단계’, ‘퇴행과 배척의 단계’, ‘탐색과 전략구성 단계’, ‘전진과 퇴각의 반복 단계’, ‘타향살이 삶의 재구축 단계’의 다섯 단계의 경험을 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사업주의 소극적인 자세와 병원의 미온적인 태도로 인하여 사고를 당한 후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했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을 끊임없이 괴롭힌 ‘산재 트라우마’는 그들이 원직무로 복귀하는 것 자체에 대해 공포를 갖게 하면서 동시에 모국에 있는 가족의 생계문제도 역시 외면할 수 없어 미래에 대해 불안해했다. 이러한 생존불안 단계를 겪은 후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사회에 재적응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은 물신주의가 팽배한 한국사회에 물들기도 하고, 모국과의 연결고리가 느슨해지면서 생존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었다. 노동력이 일부 상실된 연구참여자들은 온전한 대우를 받지 못해 병원에서는 심심풀이 대상이 되기도 했고, 산재를 당하기 전에도 존재했던 내국인들의 배척은 더욱 강해졌다. 이러한 ‘퇴행과 배척의 단계’를 겪은 후 연구참여자들은 산재의 충격에서 벗어나 한국에서 다시 살아가기 위한 ‘탐색과 전략구성 단계’에 진입했다. 이 과정에서 내국인들의 차별대우도 경험했지만, 자신의 불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모국 네트워크를 활용하거나 자신의 재능을 좀 더 살릴 수 있는 대안들을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레질리언스가 발현되었으나 내국인들의 지속적인 차별과 한국사회의 구성원들, 행정시스템, 산업제도 등에 의해 꾸준히 감시당하는 구조적 압력 때문에 제대로 발현되지 못하고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은 한국사회의 어두운 면도 함께 경험하면서 돈이 최고의 가치이자 목적이 되어 버리기도 했다. 이렇게 연구참여자들은 점점 희미해져 가는 코리안 드림으로 인하여 자기성을 상실하면서 심리적으로 위축된 삶을 살아가는 ‘전진과 퇴각의 반복 단계’로 진입했다. 마지막으로 ‘노동력 제공의 대상’으로 한국에 입국한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삶의 가치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애썼지만, 하루하루 살기가 매우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모국에서의 삶보다는 상대적으로 낫다고 만족하면서 한국에서 좀 더 주체적으로 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삶에 대한 의미를 재발견하는 ‘타향살이 삶의 재구축 단계’의 과정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도출된 개방코딩, 패러다임 모형과 과정분석을 통해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 경험의 핵심범주를 구성했다.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 <극한의 땅에서 손상된 소모품이 되어 떠돌며 고군분투하는 삶>으로 나타났다. 극한의 땅에서 손상된 소모품이 되어 떠돌며 고군분투하는 삶의 과정에 따른 유형들을 분석한 결과, ‘현실버티기형’, ‘은둔형’, ‘반동형’, ‘현실만족형’과 ‘변화탐색형’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현상과 관련된 다양한 상황 조건들이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상황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개인 수준에서는 구조적 약자의 차원에서 산재의 고통에 대해 홀로 삭히는 경험을 했지만, 한국생활 경험이 쌓이면서 정보를 취득하거나 자기 적소를 찾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소수의 지지체계의 개입으로 어려움을 타개하거나 모국네트워크를 통해 산재 후 사회 재진입에 성공하는 경험을 했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계층적으로 분리되었고, 신참과 기존 노동자들이 수시로 바뀌는 물갈이 전략을 경험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들은 사회 및 국가적 수준에서 살펴본다면, 순혈주의 전통과 생산성 신화, 이주노동자들을 소모품으로 인식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언급할 수 있고, 한국 정부의 이주노동자 정책 중 핵심인 정주화 방지 정책기조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국가 수준에서는 노동과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이 이루어지고, 경제적 상황의 국가 차이로 인하여 연구참여자들이 모국보다는 상대적으로 만족하며 한국에서의 타향살이를 지속하도록 했다. 이러한 후기 산업사회시대의 경제구조 개편은 계층 간의 소득 양극화뿐 아니라 국가 간의 소득 양극화를 유발했고, 이러한 상황은 이주의 빈곤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재해 경험 전 ? 후의 한국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경험한 다양한 자료들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주노동자들의 삶을 좀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연구자는 이주노동자들의 산업재해와 사회구조적 문제에 대하여 이주노동자들의 모호한 정체성, 이주민들을 우리들의 동일 지평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강력한 압력으로서 내국인들의 집합적 노력, 구조적으로 산재근로자들을 양산하는 고용허가제의 모순, 보다 교묘하게 진화된 이주노동자 차별과 탄압의 사회적 기술, 이주노동자들을 일탈에 빠뜨리는 한국 산재보험제도의 맹점과 상업주의에 치우친 산재지정 의료기관, 내국인 사업주들의 산재에 대한 미필적 고의, 이주노동자들을 더 피폐하게 만드는 산재트라우마, 이주노동자들에게 거대한 감시 체계로 작동하는 시선의 권력, 한국사회의 분식지향주의, 이주노동자들의 건강권을 포함한 열 가지의 논의들을 제시했다. 앞에서 언급한 연구결과들과 논의들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적 제언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책적 차원에서 산재발생시 사업주의 협조의무 강화, 산재보험 사각지대에 종사하는 이주노동자의 보호체계 마련, 고용허가제에 대한 전향적 개선마련, 산재브로커를 차단할 수 있는 대안의 모색, 산재지정 의료기관 관리시스템 재정비, 산재 이주노동자에 대한 체계적인 사례관리시스템의 도입 등이다. 실천적 차원에서는 안전보건교육강화, 산재보상제도에 대한 이주노동자의 접근성 향상, 통역서비스의 지원, 이주노동자 권리도우미제도 실시, 산재근로자 재활사업의 이주노동자 기회 확대마련 등을 제안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immigrant workers' lives were changed due to industrial accid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that How the immigrant workers who experienced the industrial accident are getting along. Twenty-two immigrant workers who experienced the industrial acci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re from various backgrounds. Date were collected in-depth interviews by ,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 from July, 2014 to November, 2014. Data were approached the grounded theory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1998).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open coding, four hundred four concepts, ninety-three subcategories, and twenty-nine categories are constructed. In axial coding, twenty-nine categories derived from open coding are reconstructed by logic diagram. The phenomena suppose 'endurance alone', 'tired daily life', 'alienated social existence'. The casual condition of the phenomena are 'owner's dominant decision' , 'being perceived as supplies', 'structural unregistered immigrant workers', 'outdated labor culture', 'the arrogance of the medical service providers', 'the myth of productivity'. Contextual conditions are identified 'commercialism environment in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resistance sentiment', 'the relationship with native countries loosen', 'recurrence of the industrial accident in daily life', 'the mirage lives','social taming'. Intervention condition are 'deviational space', 'exclusive collectivism', 'being driven out of the margins', 'preclusion by the haughty native people', 'winning people over to our side', 'solidarity from the minority'.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re 'struggling survival', 'surviving regardless of means', 'cling to the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s a lifeline', 'the preparations for the leading lives'.The results show 'the loss of the self life', 'self confinement', 'coexistence with anxiety', 'the reconstruction of the lives away from home'. In the process analysis, as time goes, the immigrant workers who experienced the industrial accident changed during the five stage: the stage of the anxiety in survival. the stage of regression and exclusion, the stage of searching and drawing up strategies, the stage of the repetition advance and retreat constantly and the stage of the reconstitution for the lives away from home. At the stage of the anxiety in survival, participants didn't have their injured parts treated properly because of the owners' lukewarm attitude about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and they were afraid of the 'industrial accident trauma'. At the stage of regression and exclusion, they fell into the materialism overflowed in Korea, and they suffered the discrimination heavier by the native because they couldn't work well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At the stage of searching and drawing up strategies, they searched the alternative ways for the better lives in Korea in spite of the social elimination constantly. they tried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through the mothers' countries network and aid agencies. or they tried to encourage their natural talents. But they were kept under guard by the Korea's administration system , they became conscious of the deviant cases in Korea, so their resilience weakened, so they suffered At the stage of the repetition advance and retreat constantly. Finally at the stage of the reconstitution for the lives away from home, they were tired weary, and spent days only for the existence. But they were satisfied in Korea's lives because they were preferable to the lives in mothers' countries. and they struggled to live the independent lives, rediscovered the meaning of their lives. In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about industrial accident of the immigrant workers wad " the struggling lives which got damaged supplies in the limit land on the rove". Based the core category, five types were derived: the type of enduring their realities , the type of living in seclusion, the type of resistance, the type of satisfaction their realities, the type of pursuing the change. In conditional matrix, participants endured alone as the structural weak, but they collected a lot of information, tried to their talents at the person dimension. they got a job again through the support group or the native countries' network, but they were stratified, were changed from time to time at the community dimension. At society and country dimension, the Korean are beware of pure blood tradition , quite a few Korean regard the immigrant worker as the supplies, the Korea's foreign workforce policie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fter the industrial accident. At the global dimension, labor and capital are free to move, the participants were relatively pleased in Korea's living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conomic level.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en discussions: immigrant workers' ambiguous identification, collectivism to make our side, the contradiction of the employment authorization policy, the more cunning oppression and discrimination to the immigrant workers, the workers' compensation service's blind spots and commercialized hospitals, owner's conscious negligence about the industrial accident, trauma about the industrial accidents, the power of the gaze as the surveillance system, fraudulent-oriented Korea's society, the immigrant workers' right to their health. Based on the contents about the results and discussions, the specific proposals were presented. At the policy level, reinforcement about the obligation to cooperate the industrial accident, preparation to the protective system about the immigrant workers at the Workers' Compensation Service's blind spots, the extensive reformation to the employment authorization policy, the plans to block the workers' compensation service broker's access, reconstruction to the management system with Workers' Compensation Service' hospitals, organized case management systems to immigrant workers with the industrial accidents. At the practice level, enhancement health and safety training, improvement the access about Workers' Compensation Service' information to the immigrant workers, the support of interpreter service at the medical time, implementation of the right relief assistant policy for the immigrant workers, extension to the rehabilitation areas of the workers' compensation service for the immigrant workers.

      • 신화적 상징과 동일시를 통한 본인의 작품분석 : 본인작품 중심으로

        노지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는 가중되는 불안과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 속에 개인의 적응을 바란다. 이것은 개인에게 스트레스와 다양한 역할에 대한 부담감을 안겨준다.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어야 하는 문제인 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극복해나가는 방식은 각자 다르다. 어려움에 직면한 이들은 그것과 싸워가는 동시에 그들만의 도피처를 원한다. 그 도피처의 형태는 각자 다른 모습을 갖추며, 이제 이것은 개인의 성향과 선택의 문제인 것이다. 이러한 배경을 가지고 나의 작업은 나의 무의식에 대한 탐험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나에게 도피처는 나의 무의식에 자리 잡으며, 그것은 지극히 개인적이며 환상적인 일이다. 환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나에게는 나의 이상형을 투영할 수 있는 신화적 상징들을 필요로 하며, 이 대상들과 함께 꿈과 환영적 세계를 만들어낸다. 환영적 자아로 대치되는 상황을 설명하고 그 속의 자아들의 분열 상태와 그 이후의 하나 됨, 마지막으로 그 이상화될 수 없는 현실을 자각하며 자아에 대한 한계를 인지한다. 나의 작품은 신화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나에게는 신화속의 변신이야기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신화는 나에게서 변신이 이루어지기 위해 꿈과 환상과의 연결고리의 체계인 셈이다. 그리고 이후에 변신과 환상, 꿈이 만나 나에게 투영되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동일시의 개념으로, 이 과정들이 본인 작품의 작품형성 배경이 된다. 나의 동일시는 라깡의 욕망이론에서의 동일시를 기본으로 하였다. 다음은 작품 속의 상황을 이미지화시킨다. 이때 상징이라는 장치가 등장하는데, 이 상징은 본인이 사용한 이미지의 보편적, 객관적 상징과 이것에서 발전한 나의 주관적인 상징에 대해 서술한다. 작품에서 주로 등장하는 형태 각각의 의미를 설명함으로써 도상과 환상의 관계를 설명해보았다. 이후에 서술하게 되는 상징주의 미술은 본인의 작업과 형성배경에서 공통적인 부분이 있음을 지각하여 선택하였고, 이 예술사조는 상징의 폭 넓은 이용 뿐 만이 아니라, 형식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받아 현재 작업의 구체적인 이미지를 띠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상징주의의 탄생배경과 신화, 꿈, 환상등 본인 작업과의 공통적 요소가 어떻게 이미지화되었는지 살펴보아 나의 작품의 근거를 마련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현상으로 인한 동시대 미술속의 상징주의, 신화적 요소, 작가 개인의 투영 등 본인과 공통적인 작가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들의 경향에 대해 서술하였다. Modern times want people to adapt to the environmental sudden change and the deep anxiety. This causes people to get stress and pressure. Someone who lives in the same age has the same problem. However, each overcomes the problem in a very different way. Facing with the danger, people try to fight against the danger, but at the same time they want to escape from their own problem. Their refuges show different aspect. This is depended on one's propensity and choice. Based on this fact, my work is focused on my subconscious experience. My refuge is in my subconscious, and this is very personal and fantastic thing. To make a fantasy, I need mythologic symbols projected my ideals, and I make visional and dream like world with that symbols. I explain the situation replacing visional oneself. I realize divided my self, after then the divided ego is united. Finally, I aware actualities that will never be my ideal world, and I see my limitation. My work is based on this idea, I need to understand transformation stories in a myth. To a myth become my own world, I have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dreams and fantasies. After then, I show how the transformation, dream, and fantasy are projected to me. This is identify myself with the desire theory of Jacques Lacan. This whole process is the basics of my work. After then, I embody situation in the mythology. At this time, symbols are needed. So, I describe mythologic symbols and subjective symbols which came out from mythologic symbols. As I explain the meaning of each image in my art work, I want to talk about relationship between icons and fantasies. Since then, I introduce symbolism art. I choose symbolism, because I see my work and background look like symbolism. This movement makes full use of symbols. And its form also effects on my art work. That is why I look at the background of its beginning, see how the mythology , dreams, and fantasies become image, and recognize symbolism art form. Finally these become my root of art work. lastly, I predicate a modern symbolism trend in a social present condition.

      • 마인드맵을 활용한 서양음악사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바로크시대 음악사와 감상연계를 중심으로

        노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마인드맵은 인간의 양뇌의 기능을 골고루 활용하여 단기기억이 아닌 장기기억으로써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논리적인 사고를 개발하며, 독창적인 아이디어의 수렴이 가능하다. 마인드맵 학습기법은 교육과정이 변화함에 따라 교육적 요구에 부응해야하는 학생들의 교육방법으로 용이하며, 방대한 양의 정보를 조직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마인드맵은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으며, 여러 연구물들을 통해 그 효과들이 증명되고 있다. 하지만 마인드맵의 기법은 타 교과의 적용사례에 비해 음악교육에서의 연구는 미비한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인드맵을 적용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음악교육에서의 마인드맵을 활용한 서양음악사와 감상연계 지도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음악사와 음악 감상의 필요성을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또한 학습방법에서 사용되는 직선형의 필기형식이 아닌 마인드맵을 활용하였을 때 교육적인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교육에서의 마인드맵 학습방법의 적용은 음악사와 감상 학습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총 3차시의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수업 지도안 작성에 앞서 2009개정 현행 고등학교 8종 교과서의 서양음악사 및 감상곡을 서술 분석하였다. 서양음악사 시대 중 바로크 시대로 제한하여 분석하였으며, 8종 교과서의 감상곡 중 비중이 높았던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BWV 1050, 안토니오 비발디의 협주곡 ‘사계’ 중 <여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 중 <울게하소서>로 선정하였다. 분석을 바탕으로 마인드맵을 활용한 바로크시대 음악사 및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총 3차시에서 작성하는 마인드맵은 1차시부터 3차시까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 수업지도안의 1차시는 바로크시대 음악사 수업에 앞서 마인드맵의 작성 기법을 익히기 위해 이론을 설명하고, 음악을 주제로 마인드맵을 작성하도록 제시하였다. 이 때 교사는 적절한 예시를 제공하며, 학생들은 자유롭게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직선형 필기방법과 마인드맵 학습방법의 차이를 위해 교사는 학생들에게 바로크시대 음악사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지 않고, 바로크시대를 중심어로 제시하여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음악사를 직선형 필기방법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2차시에는 바로크시대의 시대적,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예시를 제공한다. 작성이 끝난 뒤 전 차시에 학습했던 직선형 방식과 마인드맵을 활용했을 때의 차이를 비교하며 발표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3차시는 바로크시대의 대표 작곡가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마인드맵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총 3차시에 걸쳐 작성했던 마인드맵을 완성하여 바로크시대의 음악사 학습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수업 지도 방안을 구성 하였다. Using mind map can invigorate both side of human brain so it can derive long-term memory. And it also develops logical, creative thinking. Mind map teaching method is appropriate when the curriculum is constantly changes, so teacher should meet educational needs. Also it is easy to organize massive amount of information. For these reasons, mind map has widely used in education field and its effect is proved by various researches. But the research of mind map teaching method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is inadequate in comparison with other education fields. So this research focuses in effectiveness of mind map in education field, mainly in the music education field. This research is designated for high school student and mainly focuses in necessity of listening method for teaching music history by analyzing literatures. And also it focuses in effectiveness of mind map teach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teaching method that just taking notes. The research is made up with three teaching guides. Prior to this, the research analyzed western music history and appreciation musics in eight textbooks which was revised in 2009. The research focused in the music history of baroque period and <Brandenburg Concertos No.5 in D Major BWV 1050> by Johann Sebastian Bach, <The four seasons, Op.8 Concerto No.2 in g minor, Op.8 RV 315 “L’estate”> by Antonio Vivaldi, <Lascia Ch’io pianga from Rinaldo> by Georg Friedrich Handel which is most frequently appear eight textbooks. By analyzing these, the research made a guidance plan for teaching music history of baroque period and appreciation music based on mind map teaching method. Mind map which is written in the first class will be used for all the three classes. First class of this guidance plan suggests students to write a mind map of music. Prior to this, teaching how to make a mind map preceded. Teacher should provide appropriate examples. For the comparison with taking notes teaching method, teacher should not explain about music history of baroque period. For the second class of guidance plan, teacher explains the musical traits of baroque period. After this, students suggests to write a mind map again and make a statement of differences between first and second classes. In the third class, students will be suggested to write a mind map after listening opus which represents the baroque period. And last, teacher and student will have a time that compare three mind maps of three classes.

      • '희망찾기-We Can'프로그램이 역량강화 수준 및 자기효능감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노지현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희망찾기-We Can'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10 peopl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eople for the cotrol group in the group of the proper degree of disablement from the lever 8th to level 14th. The program practiced twice(2 hours per one time) a week and totally 8 times, 16 hours from 6th October, to 29th October by the choice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I could get the result how this program affect the empowerment levels, self-efficacy levels, positive emotions levels and hope emotion levels. Two groups were estimated at the point of pre-test and post-test and were analysed through the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 of getting from this study is below: First, I found that '희망찾기-We Can' program gave positive influences to improve the empowerment level and positive emotion level. Second, I found that '희망찾기-We Can' program didn't give positive influence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level and hope emotion level. Third, The analysis of co-worker's Observation Diary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restoring self-confidence, accepting disabilities and improving personal relations. Fourth, in the result of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I found that almost questions scored 1 point(totally true) or 2 point(a little true), so the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I can find consensus in aspect of social welfare like below: It wes been verified that the program can be an valuable and empirical social work practice tool in group for strengthening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In Later study, it will good to include various types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and all types of '희망찾기- We Can' program,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in order to discuss the individual rehabilitation counseling actively. 본 연구는 ‘희망찾기-We Can'프로그램이 산재근로자의 역량강화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산재장해등급 제8급~제14급을 받은 산재장해인 실험집단 10명, 비교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2009년 10월 6일부터 10월 29일까지 주2회 2시간씩 총 8회 16시간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역량강화 수준, 자기효능감 수준, 긍정적 정서 수준, 희망정서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결과를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찾기-We Can’프로그램은 산재장해인의 역량강화수준 향상과 긍정적 적성 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8228;사후 검사결과를 비교해보면 사전과 사후의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희망찾기-We Can'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자기효능감수준 향상과 희망정도 수준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8228;사후검사결과를 비교해보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점수가 많이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동료상담사가 바라본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변화정도를 보았을 때, 자신감 수준, 장해수용정도, 대인관계 등 다양한 부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받으면서 참여자 모두 사회복귀를 하는 데 자신감의 증가를 보였다. 이는 프로그램 참여자 스스로 변화된 모습에 대한 답변에서도 ‘자신감이 생겼다’와 ‘내가 가진 능력(강점)을 알게 되었다’ 등이 나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 만족도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 매우그렇다’(1점)와 ‘약간 그렇다’(2점)에 해당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어 프로그램의 확대 실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산재근로자의 욕구조사를 토대로 개발된 ‘희망찾기-We Can'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산재근로자의 역량강화 실천에 대한 보다 유용한 실증적, 경험적 연구 자료를 제시하였다. 둘째,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산재근로자의 심리&#8228;사회적&#8228;직업적 특성과 산재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루는 연구들이 많았으나 이들의 사회복귀를 위한 개입전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므로 본 연구가 산재근로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2007년 개발된 '희망찾기-We Can'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해보는 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지역별, 직종별 등 다양한 유형의 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도 연구가 이루지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범위의 산재장해등급을 받은 10명의 산재장해인을 대상으로 '희망찾기-We Can' 프로그램의 한 가지 유형인 [B type]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산재근로자들에게 각 유형마다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도 산재근로자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전략들이 논의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척도와 희망 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 내용의 보완을 통하여 재구성해 보는 노력이 산재근로자의 역량강화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 2009년 개정 한국사 검정 교과서 고려시대사 서술과 분석 : 고려 다원사회론을 중심으로

        노지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는 다양한 경로와 수단을 통해 결속됨으로써 다원화가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용적이고 개방적 태도가 성숙한 시민으로서의 자질로 요구되기 시작했고, 교육계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 교육과정을 구성하게 되었다. 본 논고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고려시대는 실질적인 한반도의 통일을 이룩하고 다원사회였음에도 불구하고 왕조를 비교적 성공적으로 존속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렇기에 고려시대사의 다원적 측면들을 연구하는 것은 현대사회에서도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따라 정치 및 외교적, 사상적, 사회적 측면에서 고려가 다원성을 표출한 사례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 집필기준의 고려시대사 영역에서도 다원적 소양의 육성이라는 교육적 목표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8종 검정 한국사 교과서에서도 서술 곳곳에서 고려시대에 대한 서술을 살펴보고 다원적 측면에서의 설명 부족, 객관성이 결여된 서술 양상, 종합적 관점의 미비와 같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시대 시행된 제도와 집권체제의 변동에서 살펴볼 수 있는 다원적 측면을 추가적으로 서술하고, 다양했던 당시의 외교 양태와 고려인들의 다원적 의식에 대한 서술과 자료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전 시기에 걸쳐 고려의 다원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목차를 새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고려 다원사회론적 관점에서 부족하다고 판단된 유기성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현행 교과서의 서술적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다원적 인간상 육성이라는 교육계의 목표를 성취하는 데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 파생금융상품 과세제도에 관한 연구

        노지현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taxation of financial derivatives Roh, Ji Hyun Dept. of TaxAccounting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Local Autonomy Hanyang University There are several changes; active hedge strategy etc., to live in rapidly changed new economic environment with the policy of the exchange rate liberalization at the end of 1997 in Korea. Financial derivativ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as the effective new means to hedge the risk. Financial derivative's inherent flexibility and the rapid growth of the financial derivative market have made the derivative an attractive instrument for tax arbitrage or tax avoidance. The appearance of derivatives have brought about so many problems which could not be solved in traditional tax system because the gain and loss are happene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apply traditional tax base for financial products to new financial derivatives because new financial derivatives are emerged and transaction techniques are developed continuously. In Korea, the tax system is not established for financial derivative transaction and profit until now. But advanced countries have been imposing the tax called capital gain tax. The thesis will analyze foreign countries' tax systems with respect to financial derivatives and apply relevant insights to the current Korean tax system in an effort to seek the efficient tax system and prevent future derivative-based tax arbitrage or tax avoidance. The propose a improvement program about the taxation system of the Financial Derivatives below. First, must enforce the taxation system of the Financial Derivatives will be able to attain the harmony of balance with the spot market. In other words, must impose taxes on the transfer marginal profits of financial derivativ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taxation system about the transfer marginal profits of the spot stock market. Second, the gain or loss on financial derivatives must be recognized based on mark-to-market principle. But, it need to apply settlement policy in individual and market price policy in corpor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in actuality that market price policy introduce to income tax system on individuals. Third, the tax base must be recognized clearly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business account standard. Fourth, it will be prepared the taxation regulation in character about profit and loss which occurs from the derivatives. Fifth, it need to construct the cooperation system to minimize the conflict among countries in the situation which is increasing international financial derivatives trade rapidly. Finally, in the situation which is delayed on introducing sale tax in the spot market, it is alternative in actually to introduce transaction tax for financial derivatives until meeting the income tax requirements. 국 문 초 록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말 환율자율화조치와 함께 대내ㆍ외적인 경제 및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고 급격하게 변화한 새로운 경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적극적인 위험관리전략수립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추구하게 되었다. 이런 요구에 부합되는 새로운 효과적인 위험관리 수단으로써 파생상품의 거래가 매우 급성장 하게 되었다. 파생금융상품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유연성은 납세자들에게 조세회피 및 이연의 유인을 제공하였고, 일반적으로 현물 시장의 거래와는 다르게 거래 시점과 이익ㆍ손실이 발생하는 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조세제도를 그대로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새로운 파생상품이 끊임없이 나타나고 파생금융상품의 거래 기법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통적인 금융상품에 대한 과세기준으로는 새로운 파생금융상품을 적절하게 과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파생금융상품 거래 및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제도가 정비되지 못하여 현재 과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반면, 선진국들은 대부분 파생금융상품 거래로 인한 소득에 대하여 자본이득세의 형태로 과세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파생금융상품 과세제도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파생금융상품 과세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파생금융상품을 이용한 합리적인 과세제도 및 조세회피와 이연 등을 방지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파생금융상품 과세규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생금융상품에 대한 과세는 현물시장과의 형평성의 조화라는 측면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즉 현물 주식시장의 양도차익에 대한 과세방침을 확립한 이후 파생금융상품의 양도차익에 대해 과세하여야 한다. 둘째, 파생상품 거래이익 또는 손실은 원칙적으로 시가가준으로 과세하여야 한다. 그러나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득세제에 시가평가제를 도입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따르므로 개인의 거래에 대해서는 결제주의를 선택하고, 법인의 경우에는 시가주의를 선택하는 절충적인 방식으로 과세하여야 한다. 셋째, 기업회계기준과의 조화를 통하여 파생금융상품의 과세기준을 보다 명확하게 정비하여야 한다. 넷째, 파생금융상품은 거래목적에 따라 헤지목적과 순수매매목적으로 구분하여 과세하여야 한다. 다섯째, 국제적으로 파생금융상품 거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OECD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국제간 마찰을 최소화 하면서 국가간 협력체제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물시장에서의 양도세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바, 소득세제 도입의 요건이 충족될 때까지 파생상품에 대한 거래세 도입이 차선책으로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