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극에서 ‘각색’의 문제에 대한 고찰 - 주평 아동극본을 중심으로 -

        노제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7 No.-

        본 연구는 아동극본 중 ‘각색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원작이 아동극으로 ‘각색’되는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확인하고 아동극에서 ‘각색’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을인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문학 장르로서의 아동극본의 질적 발전에 도움이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평 아동극본 중 「나무꾼과 선녀」, 「토끼전」, 「꾀꼬리와 빨간장미」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각각 설화, 고전(古傳), 창작동화를 원작으로 한 것이다. 「나무꾼과 선녀」는 등장인물들이 ‘일관된 성격’을 유지하지 못하여 중심인물조차 어떤 인물인지 추론하기 어려우며, ‘필연적인 결과’이어야 할 극본의 결말이 ‘대단원’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작가가 ‘아동’을 의식하여 선녀와 나무꾼이 ‘화목한 가정’을 이루고 살게 하고자 한 때문으로 보았다. 「토끼전」과 「꾀꼬리와 빨간장미」는 원작에 덧붙인 내용이 ‘하나의 작품’으로 조화를이루지 못하였으며, 인물의 태도와 사건 전개 등 작품 전반이 ‘개연성’을 상실하였고, 이 때문에 ‘전제’(前提)가 모호해지고 방향성을 잃은 것으로 보았다. 이는 원작의 성격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화해’의 결말 때문으로 파악하였다. 극본에서 ‘인물’, ‘결말’, ‘개연성’, ‘전제’는 ‘극적’ 효과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서 ‘각색’에서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할 요소들이기도 하다. ‘아동극’의 경우,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것인 데다가 내용 변형이 자유로운 ‘각색’의 특성상 작가 개인의‘교육관’이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원작’은 작품성을 인정받아 명성을 획득한 작품이다. ‘각색’으로써 원작과 다른 방향을 추구하고자 한다면, ‘작품성’을 전제로가능한 것이다. 만약, ‘각색’의 과정에서 극본의 기본적인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다면, ‘극적’ 효과는 기대할 수 없고 재미와 감동은 반감될 것이며, 결국 그 작품은 독자(관객) 들로부터 외면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adapting’ original works to children’s plays through an analysis of ‘adaptations’ among children’s plays scripts and to be aware of the weight and importance of ‘adaptation’ in children’s plays. Furthermore,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hildren’s play scripts as a literary genr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children’s play scripts by Joo Pyeong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Tokijeon,” and “The Oriole and the Red Rose.” These plays are each based on a folktale, a classic, and a creative fairy tale. The characters of the play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do not maintain consistent personalities, making it difficult to infer even what the protagonist is like. Additionally, the ending of the play script, which should be an ‘inevitable consequence,’ has lost its function as a ‘conclusion.’ The study argues that these problems are due to the author’s intension to create a ‘happy family’ for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conscious of ‘children.’ In the case of “Tokijeon” and “The Oriole and the Red Rose”, the additions made to the original works were not harmonized into a ‘single work.’ Also, the entire work, including the characters’ attitudes and the development of events, has lost its ‘coherence,’ which has led to a vague ‘premise’ and a loss of direction. The study argues that this was due to a forced ‘reconciliation’ ending that did not consider the nature of the original work. In a play, ‘character’, ‘ending’, ‘coherence’, and ‘premise’ are the most basic elements for ‘dramatic’ effect, and they are also the elements that must be kept in mind in ‘adaptation’. In the case of a ‘children’s play’, it is likely to reflect the author’s personal ‘educational viewpoint’ due to the nature of the ‘adaptation’ that is targeted at ‘children’ and allows freedom to change the content. In general, an ‘original work’ is a work that has earned a reputation for its quality. If you want to pursue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riginal as an ‘adaptation’, it is possible under the premise of ‘quality’. If the basic principles of play script are not followed during the process of ‘adaptation’, the ‘dramatic’ effect cannot be expected, the fun and emotion will be halved, and eventually the work will be turned away from the readers(audience).

      • KCI등재

        초등 국어교과서 수록 아동극, 애니메이션, 희곡 제재의 교과서 수록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9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노제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2 No.-

        본 연구는 ‘통합’과 ‘다양성’을 지향한 2009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의아동극, 애니메이션, 희곡 제재의 수록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일차적인 목적으로하였다. 제재 내적인 요소에 집중하기 위해 연구대상을 인형극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애니메이션 「오세암」, 희곡 「행복한 왕자」로 한정하였다. 인형극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는 원화(原話)의 핵심 장치가 삭제되고 불필요한 내용이 첨가되어 학생들이 「해와 달이된 오누이」를 왜곡된 이야기로 기억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애니메이션 「오세암」은 교과서 제재용으로 제공된 동영상들이 교과서에서 요구하는 ‘줄거리 예측’이나‘주요사건 파악’이 불가능할 정도로 부실하고, 희곡 「행복한 왕자」는 원작의 은유적이고 상징적인 장치의 삭제와 결말의 선동적이고 계몽적인 메시지, 왕자에 대한 맹목적인추종과 격앙된 어조 등으로 원작의 문학성과 가치가 훼손된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나 ‘동기부여’를 위한 어떤 제재도 최소한 그것이 ‘문학’인 한, 단순히‘활동 수단’으로서만 이용될 수 없으며, 반드시 작품의 특성과 가치에 대한 보장이 전제되어야 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critical review for the recording pattern of Materials on children’s theater, animation and drama i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on 2009 revised curriculum, which aims for ‘integration’ and ‘diversity’. For focusing on the inner factor of materials, in addition, this study limits its subject to a puppet play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n animation ‘Oseam’ and a drama ‘The Happy Prince’. In a puppet play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the problem is that students twistedly remember the story because the key devices of the original work are deleted and the unnecessary contents are added. In an animation ‘Oseam’, the videos provided for the textbook materials are poor, so it is impossible ‘to predict the story’ and ‘to grasp the main incidents’. In a drama ‘The Happy Prince’, it i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character and value of the original work are damaged because of the deletion of metaphorical and symbolic device on the original work, the inflammatory and enlightening messages of the conclusion and the blind pursuit and excited tone toward the prince. Any material for ‘causing interest of the learner’ and ‘motivation’ cannot be used only as ‘activity means’ of the other domain simply, if at least it is ‘literature’. Certainly, ‘characteristic of work ‘and ‘guarantee for value’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초등 교과서 수록 동화의 원작 변형 방식의 문제에 대한 소고

        노제운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6

        이 글은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세 편의 동화를 대상으로 원작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교 과서 텍스트의 문제점이 무엇이며 왜 문제가 되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원작을 변형한 교과서 수록 동화로 현행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문학’의 교육 목표가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것인 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쓰였다. 「우리는 한 편이야」에서는 원작의 중심 사건이 왜곡되어 원작의 본질적 의미가 폄하된 것은 물론 무리한 축약과 각색으로 제목에 함축된 의미도 무의미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행복한 비밀 하나」에서는 인물의 뚜렷한 성격이 원작의 특징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의 독 특한 개성이 상실된 것은 물론, 인물의 성격을 나타내는 주요 표현이 생략되고, 불필요한 내용의 첨가와 그릇된 수정으로 원작의 가치가 훼손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모의 결 혼식」에서는 원작의 핵심 키워드가 모두 삭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미숙한 수정과 편집으로 ‘다문화’ 문제와 관련된 작가의 의도가 희석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 수록 동화의 수정 작업에 이렇다 할 기준이 없고, 작가와 작품에 대 한 존중을 찾을 수 없었으며, 원작의 지나친 변형으로 애초의 작품 선정의 이유가 불분명해 졌고, 문학성이나 창작기법적인 측면에서 변형된 동화의 수준을 볼 때 문학 작품에 대한 이 해 정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교과서 수록 동화로는 현행 교육 과정의 ‘문학’ 영역의 목표 달성은 요원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콩쥐팥쥐」 그림책에 나타난 ‘혼인’의 의미 고찰

        노제운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marriage’ in 20 ‘Kongjwi and Patjwi’ picture books published over the recent decade. Of the total 20 books, 13 ended with Kongjwi’s marriage, and only 5 were stories that properly embodied Kongjwi’s ordeal process after marriage. When dividing the story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ith Kongjwi’s marriage as a reference point,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sonality’, ‘spouse’s condition’, and ‘the meanings of marriage’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a second half. Dependent and passive Kongjwi has been reborn as a mature entity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death and rebirth’ after marriage. In addition, in the case when the story ends in the first half, Patjwi’s presence was so slight. Also, only ‘after the marriage of Kongjwi’, a ‘good and evil composition’ between Kongjwi and Patjwi, worthy of the title of ‘Kongjwi and Patjwi,’ was formed. The marriage between Kongjwi and magistrate is a meeting of ‘looks’ and ‘class’, and for Kongjwi, marriage is an ‘escape residence’ and it is hard to find meaning more than ‘rise of status’. However, in the case when the second half part exists, the marriage presupposes the spouse’s ‘chastity’ and ‘self-reliance’, and shows that to ensure a happy marriage, one must be a mature being who protects himself or herself.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발행된 20편의 「콩쥐팥쥐」 그림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나타난 ‘혼인’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총 20편 중 13편이 콩쥐의 혼인으로 끝나며, 혼인 후 시련담이 있는 7편 중 콩쥐의 시련과정이 제대로구현된 이야기는 5편뿐이었다. 콩쥐 혼인을 기점으로 전⋅후반으로 나누었을 때 후반부가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중심인물의 성격, 배우자의 조건, 혼인의 의미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의존적이며소극적인 콩쥐는 혼인 후 ‘죽음과 재생’의 과정을 거친 후 성숙한 존재로 거듭났으며, 전반부로 끝날 경우, 팥쥐는 중심인물이라는 사실이 무색할 정도로 존재감이 미미하였고, ‘콩쥐 혼인 이후’에야 비로소 「콩쥐팥쥐」라는 제목에 걸맞은 콩쥐와의 ‘선악구도’가형성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혼인으로 끝나는 신데렐라형 이야기가 제목에 주인공의 호칭만 노출된 것과 다른 점으로 보았다. ‘혼인’으로 끝날 경우, 콩쥐와 원님의 혼인은 ‘외모’와 ‘신분’의 만남으로 콩쥐에게는 혼인이 ‘도피처’이며 ‘신분상승’ 이상의 의미를 찾기 어렵다고 보았다. 그러나 후반부가 있는경우, 혼인은 배우자의 ‘정조’와 ‘자립’을 전제로 하며, 행복한 혼인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스스로 자기자신을 지키는 성숙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파악하였다.

      • KCI등재후보

        주인공 동일시하기와 거리두기 -「광장」과 「낙서족」의 비교를 통한 ‘동화(同化)’와 ‘소외’의 문제-

        노제운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2 No.-

        This paper is to written to find facts, which there are many common factors in contents forming the epics of Choi In Hoon's <KwangJang> and Son Chang Sub's <Scribblers>, and to explore why readers show opposite reactions such as 'identification' and 'alienation' for each main character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of both of novels. Firstly,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main elements forming the epics in both of novels are quite similar, and grasped that the boundaries in 'memories' and 'cutaway' in <KwangJang> are uncertain and are made naturally by medium, and the certain boundary of present and past and each scene's clear boundary in <Scribblers> forbid the readers' immersion into characters and situations. Also, this paper explored that the narrative style of 'personal point of view' in <KwangJang> helps the 'identification' with main character and the narrative style of 'archival point of view' as 'editorial narrator' in <Scribblers> causes the alienation of readers. In addition, this paper confirmed that the tone of <Scri- bblers> consists of satirical tone detaching readers from main character by making caricature of main character in various ways, and the effect of bright and darkness in <KwangJang> in using light and shade makes the work in three dimensions and the calm and stable tone helps the assimilation of readers. Furthermore, this paper verified that the 'primary narration' in <Scribblers> causes difference of time between narrator and reader, and 'simultaneous narration' in <KwangJang> assists reader to experience time with main character. In conclusion, this paper grasped that main character of <Scribblers> alienates readers through being caricatured and fixed boundary on purpose by narrator, and main character of <KwangJang> helps the 'identification' b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sharing his experiences with readers. 이 논문은, 최인훈의 「광장」과 손창섭의 「낙서족」에 대하여 두 소설의 서사를 형성하는 내용에 공통된 요소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각 주인공에 대한 독자의 태도가 ‘동일시’와 ‘소외’라는 상반된 반응으로 나타나는 이유를 두 소설의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탐색해보고자 쓰였다. 먼저 두 소설의 서사의 비교를 통해 서사를 형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상당부분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고, 「광장」의 ‘회상’과 ‘장면 전환’의 방법이 경계가 불분명하고 매개물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반면 「낙서족」에서는 현재와 과거, 장면과 장면의 경계를 분명히 하여 인물과 상황에 대한 독자의 몰입을 막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광장」의 서술방식이 철저하게 ‘주인공 시점’으로 서술되어 주인공과의 동일시를 돕는 반면, 「낙서족」은 상황에 대해 평가하고 설명하는 ‘논평자적 화자’로서 ‘기록자적인 시점’으로 서술되어 독자의 소외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 「낙서족」의 어조가 주인공을 다양한 방식으로 희화화함으로써 주인공에게 거리를 두는 풍자적 어조로 이루어진 반면, 「광장」은 명암을 활용한 밝음과 어두움의 효과로 작품을 입체적으로 만들고, 차분하고 안정적인 어조로 독자의 동화(同化)를 돕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낙서족」은 ‘사전(事前)서술’에 의해 화자의 시간과 독자의 시간이 차이를 일으키는 반면, 「광장」은 ‘동시적 서술’로서 독자가 주인공의 시간을 함께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낙서족」의 주인공은 화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희화화되고 경계지어짐으로써 독자를 소외시키지만, 「광장」의 주인공은 시공간을 넘나들며 그가 체험한 모든 것을 독자와 공유함으로써 동일시를 돕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동화 「강아지똥」의 그림책으로의 변용에 따른 의미 변화 고찰

        노제운 ( Je Un Noh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3 No.-

        이 논문은 한국 아동문학의 정전(正典)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는 「강아지똥」에 대해, 그동안의 평가가 원작동화와 그림책에 구분 없이 적용되어 온 것에 문제점을 느끼고, 각 텍스트를 ``서사구조``, ``인물``, ``주제``의 측면에서 면밀히 분석해봄으로써 그 차이를 탐색하고, 이로 인해 원작의 의미와 가치가 그림책에서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쓰였다. ``서사구조``의 경우, 그림책에서는 도입부의 중심 상황이 달라지고, 암시적 의미의 ``겨울``이 작품의 중반까지 표현되지 않았으며, 작품의 주제와 직결된 ``별밤``의 장면이 삭제되고, 이야기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는 강아지똥의 ``겨울잠``도 생략되었고, 등장인물들이 강아지똥의 성격 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는 등 작품의 입체적이고 극적인 요소들이 약화되거나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물``의 경우는 원작에서 활달하고 적극적이며 성격의 발전을 보여준 강아지똥이 그림책에서는 시종일관 감상적이고 침체된 성격에서 나아가지 못하였고, 강아지똥과 가장 동일시되고 강아지똥에게 삶의 지표를 남긴 ``흙덩이``가 원작과 달리 특별한 존재로서의 위상을 갖지 못하였으며, ``참새``와 ``엄마`` 닭의 공격적이고 부정적인 성향이 약화됨으로써 극적인 효과가 반감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원작에서 ``꽃``은 강아지똥에게 ``별``과 동일한 것으로 민들레와의 결합이 서로의 간절한 요구에 의한 것인 반면, 그림책에서는 ``별``의 의미도 상실되고 민들레가 일방적으로 강아지똥에게 거름이 되어줄 것을 요구함으로써 원작에서 강아지똥의 꿈의 실현을 돕는 조력자로서의 민들레의 성격이 그림책에서는 전혀 다르게 변형된 것을 확인하였다. ``주제``의 경우, 원작에서는 세상에서 가장 하찮은 존재인 강아지똥이 성숙의 과정을 거쳐 역시 ``낮은`` 존재인 민들레와 결합함으로써 ``별``이 되는 꿈을 실현한다는 것이 이야기의 핵심이라면, 그림책에서는 ``꽃``과 ``별``이 무관한 관계가 되고 꽃을 피우는 주체가 강아지똥이 아닌 ``민들레``가 됨으로써 거름이 되는 강아지똥의 행위가 ``자기희생`` 정도의 의미에 머문 것으로 파악하였다. 선행 연구와 비교할 때, 부족하나마 이 글이 연구대상을 원작동화와 그림책으로 한정하여 두 텍스트를 집중적으로 비교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며, 분석 결과를 근거로 원작의 본래의 의미가 그림책에서 어떻게 달라졌으며 무엇이 문제인가를 짚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is to written to explore each difference through analyzing text from various angles like as ``epic structure``, ``character``, ``theme`` and to confirm how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original work by its difference are changed, after finding the problem that the evaluation about Doggy Poo as the core of the Korean children culture until now is applied without distinction of the original children`s story and the picture book. In case of ``epic structure``,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stereoscopic and dramatic factors of the original work are mostly disappeared in the picture book. That is, the main situation of the introduction is changed, ``winter`` of a suggestive meaning is not expressed until the middle of the book and the scene ``a starlit night`` is edited out. Also the crucial junction of the story, the ``hibernation`` of Doggy Poo is omitted and characters do not affect the personality changes of Doggy Poo. In terms of ``character``, this paper examines some factors; Doggy Poo continues to maintain the emotional and depressed personality in the picture book, while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shows the development of outgoing and active personality. ``Clod``, which is closely identified with Doggy Poo and leaves the life index for it, does not have the status as the special being unlike the original work. The dramatic effect is diminishing by attenuating negative personalities of ``sparrow`` and ``mommy hen``. Moreover, while the ``flower`` for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is the same with ``star`` and the combination with dandelion is made by the earnest demand each other, the personality of dandelion as the helper of accomplishing the dream of Doggy Poo in the original work is completely transformed in the picture book because the meaning of the star in the picture book disappears and the dandelion asks for being manure to Doggy Poo unilaterally. In case of ``theme``, in the original work, the key point of the story is that the Doggy Poo, the trivial existence in the world, accomplishes the dream of being a ``star`` through the progress of maturity by combination with dandelion, the ``low`` existence, as well.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in the picture book, grasped that the act of Doggy Poo to be the manure has only the meaning of ``self-sacrifice`` because ``flower`` becomes irrelevant to ``star`` and the dandelion, not Doggy Poo, becomes the subject to bloom.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significant meaning of this paper is the first one which confines the object of study to the original children`s story and the picture book, and then compares and analyses each text intensively. Another meaning is that it pinpoints how the primary meaning of the original work is changed in the picture book and what is the problem, through the detailed comparison.

      • KCI등재후보

        향가 『원왕생가』, 『찬기파랑가』와 만해(萬海) 한용운의 시(詩)에 나타난 '달'의 의미

        노제운 ( Noh, Je-U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이 글은 다양한 상징성이 함축되어 있는 ``달``이 우리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에서 어떤 의미로 다뤄졌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고대`` 가요인 신라의 향가(鄕歌)와 ``현대`` 시(詩)인 만해 한용운의 시를 대상으로 하여 고대와 현대 작품에 나타난 ``달``의 의미를 비교적인 관점에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때 향가의 경우에는 만해와 신분이 같은 승려들의 작품으로 한정하여 『원왕생가』와 『찬기파랑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의 접근방법은 융(C. G. Jung)의 ``분석심리학``적인 시각을 기본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만해의 시에 나타난 ``달``은 『원왕생가』의 ``아니마`` 라는 매개자로서의 이미지와 『찬기파랑가』의 차갑고 곧은 찬미의 대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포함하여 ``나``를 엿보고 ``나``에게 반응하는 인간적인 존재로, 또 화자를 필요로 하는 사랑하는 연인으로, 보다 다양하고 친근하며 구체적인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또한, 향가와 비교할 때 달과 화자의 거리가 가깝게 설정되었으나, 화자의 적극적인 노력이 없이는 만날 수 없는, 가까이 있지만 쉽게 가까워질 수 없는 관계로 파악하였다. 또한 『찬기파랑가』에 나타난 따뜻하고 차가운 ``달``의 양면성이 만해의 시에서도 ``백옥(白玉)``과 같은 비유적인 사물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품 속에서 ``달``은 ``보름달``이 되기도 하고, ``그믐달``이 되기도 하며 ``반달``이 되기도 하지만, 실상 달은 그것 자체의 변화무쌍한 속성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대로이며, 고대와 현대 구분 없이 작품에 나타난 다양한 달의 이미지와 그에 따라 변화된 의미는 화자가 처한 상황과 태도에 따른 화자의 마음의 반영으로 파악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to examine how the meanings of the ``moon`` including the various symbolism are handled in our ancient and modern literatures,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moon``, seen in the ancient and modern works from the comparative viewpoints with the ``Traditional`` songs, the Hyangga of the Silla and the ``modern`` poetry, poems of Manhae Han Yong-un. In the case of Hyangga, it treats <Wonwangsaenga> and <Changiparanga>, only works of monks such as Manhae with the analysis object. The approach method to works i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psychological`` view of Carl Gustav Jung. In conclusion, the ``moon`` in the poem of Manhae includes the image as mediator, ``Anima`` of <Wonwangsaenga> and the image as chilly, righteous and admirative object, <Changiparanga>. The moon in Manhae`s poem is also expressed as the more various and concrete thing; it is the familiar and humane being which peeps ``me`` and responds to me and it is the lover which requires me. Moreover, in comparison to Hyangga, the relation of the moon and the speaker is near, but never to meet without the active effort of the speaker, The ambivalence of the warm and cold ``moon`` is also expressed concretely through the metaphorical subject like as ``white jade`` in the poem of Manhae. While the ``moon`` becomes the ``full moon``, the ``dark moon`` and the ``half moon``, it always remains as it is in spite of the protean characters. Without distinction of the ancient and the moder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moon in works are the reflection of his mind on the speaker`s situation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