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의’와 ‘참여’의 공존 - 대화의 숙의수준에 따른 정치적 이견의 경험과 정치참여의 관계 탐색

        노성종,민영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3

        <P>정치적 사안에 관한 시민들 간의 대화는 천편일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떤 이들은 대화를 통해 상호 간의 입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경청하는 ‘소통’을 성취하는 반면, 서로의 의견에 대한 근거의 제시도 경청도 이루어지지 않는 ‘소외’를 경험하는 이들도 있다. 우리는 ‘다양한 정치적 견해에 노출될수록 상이한 견해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수준은 고양되지만, 정치참여의 가능성은 감소한다’는 기존의 역설적 연구결과가 대화의 ‘품질(대화의 숙의수준)’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때문에 우리는 정치대화연결망의 다양성과 대화의 빈도를 통해 그 효과를 관찰한 기존의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대화의 숙의수준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여 정치참여의사에 미치는 이들 요인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 직후 행해진 전국 규모의 온라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정치적 선호를 지닌 상대와의 대화가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의 양상은 대화의 숙의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의 숙의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이견에의 노출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참여의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숙의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이견을 지닌 타자와의 빈번한 대화가 참여를 고양시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 사회 구성원들의 대화연결망이 자신과 상이한 정치적 선호를 갖는 이들로 이루어져 있기보다는 동질적인 지향을 갖는 이들로 형성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사람들은 자신과 같은 견해를 지닌 이들과 대화할 때, 정치적 사안에 관한 이야기를 더 자주 나눌 뿐만 아니라, 이견을 보이는 상대와의 대화에 비해 근거제시와 경청, 그리고 양자가 균등하게 구현되는 숙의적 대화가 보다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발견은 대화와 민주주의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규범적) 이론과 과학적(실증적) 발견이 노정해온 이견의 화해 가능성을 제시한다. 서로 다른 의견을 지닌 개인들이 상호 간 호혜성에 기반한 대화를 나눌 때 식견을 갖춘 시민의 참여는 촉진되고 민주주의의 탄탄한 기초가 마련될 수 있다.</P>

      • KCI등재후보

        고젖산혈증 또는 중증 장기부전이 없는 패혈성 쇼크 환자의 예후 분석

        노성종,신태건,전경만,서지영,심민섭,임소연,강문주,송근정,정연권,조익준 대한중환자의학회 2012 Acute and Critical Care Vol.27 No.4

        Background: Septic shock is a pathophysiologic state of circulatory failure with tissue hypoperfusion. However, it is usually defined as sepsis-induced hypotension not responding to fluid resuscitation, regardless of the objective findings of tissue hypoperfusion such as lactic acidosis or organ failures. Numerous patients with sepsis-induced hypotension present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out hyperlactemia or severe organ failure. Henc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septic shock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yperlactatemia or significant organ failure.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adult patients presenting with septic shock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tertiary care hospital between August 2008 and July 2010. Initial serum lactate was categorized low (<2.5 mmol/L) and high (≥2.5 mmol/L). Organ failure was assessed by the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score. Primary outcome measurement was in-hospital mortality. Results: A total of 227 patients were enrolled. There were 88 (38.8%) patients in the low lactate group, and 139 (61.2%) patients in the high lactate group. Patients with low lactate levels showed a lower mortality rate (6.8% compared with 25.1% of those with high lactate level). The low lactate group showed less rapid heart rate, less severe organ failures and shorter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During the early goal-directed therapy, they required a smaller amount of fluid administration and a lower dose of norepinephrine although other hemodynamic variables were similarly maintained. In particular, if patients showed less severe organ dysfunction (SOFA score < 8) in the low lactate group (n = 45), in-hospital mortality was 0% (adjusted mortality was 1.3% [95% confidence interval = 0.3-5.0]). Conclusion: Patients with septic shock, who were enroll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efinition, showed a very favorable outcome if they did not have hyperlactatemia or significant organ failure.

      • KCI등재

        ‘지구온난화’ 對 ‘기후변화’

        노성종(Sungjong Roh),이완수(Wan-Soo Lee)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1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신문, 방송 등 언론매체의 보도나 일상의 대화에서 동일한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번갈아 쓰이고 있다. 하지만 이 두 용어를 구별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잠정적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해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단어 선택(강조 프레임)이 지구기후변화에 대한 시민의 판단과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과 함께 제시되는 기온에 대한 증거가 프레임의 효과를 조절하는지도 살펴봤다. 이를 위해 2012년 3월, 216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2(프레임: 지구온난화 대 기후변화) × 3(증거: 여름의 고온일 증가 추세, 겨울의 저온일 증가 추세, 여름의 고온일과 겨울의 저온일 증가 추세 동시 제시) 요인설계에 의한 온라인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지구온난화’ 프레임이 ‘기후변화’ 프레임에 비해 시민들로부터 정부의 강력한 환경 규제정책과 예방책에 관한 정보추구 행위를 견인하는 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구온난화’ 프레임은 시민들로 하여금 (1) 반박증거에 대한 생각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2) 예방행동에 대한 우호적 태도를 고양시키는 것에서 상대적 우위를 나타냈다. 특히 예방행동에 대한 우호적 태도는 ‘지구온난화’ 프레임이 정책지지와 정보추구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매개)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프레임과 함께 제시되는 증거의 조절효과는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강조프레임의 차별적 효과가 갖는 환경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실천에의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담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communication vary by emphasis frame whether global climate change is described as “global warming” or “climate change”. In a randomized, between subjects Web experiment(N = 207), participants reported greater intentions to seek preventive behavior and willingness to support stronger environmental regulatory policy after viewing a message with “global warming” frame compared to “climate change” frame. Participants also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preventive measures and felt there are less counter-arguing evidences against the phenomenon in “global warming” frame condition. Effects on seeking information about preventive measures and support for stronger environmental regulatory policy were explained (mediated) by heightened favorable attitude towards preventive measures. The interplay of emphasis frames and temperature-related evidence was not found.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ory and practice of global climate change communication.

      • KCI등재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노성종(Sungjong Roh),최지향(Jihyang Choi),민영(Young Mi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4

        가짜뉴스에 관한 선행 연구는 ‘얼마나 많은 시민이 가짜뉴스에 노출됐는가?’ 혹은 ‘누가, 왜 가짜뉴스를 수용하는가?’ 각각에 대한 개별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노출’과 ‘수용’을 동시에 고려하여 ‘가짜뉴스효과’를 정의하고,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실제로 유통된 가짜뉴스를 대상으로 가짜뉴스효과의 원인을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가짜뉴스 수용에 작용하는 요인들로 유권자의 정치심리적 성향(후보자 호감도 및 정치이념성향, 정치지식, 언론 신뢰도)을 고려했으며, 가짜뉴스 노출에 작용하는 요인들로 다양한 선거커뮤니케이션 행위(온라인 선거정보이용, 소셜미디어 상에서 이견회피행위, 사실확인 행위, TV토론회 시청)를 고려했다. 가짜뉴스효과뿐만 아니라 실제뉴스 대비 가짜뉴스의 우위효과를 지표화하여, 각각에 대해 유권자의 정치심리적 성향과 선거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영향력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2017년 제 19대 대통령 선거 전후로 2차례의 전국 규모 온라인 패널조사(1차, N = 1,000; 2차, N = 769)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다당 구도에서 이념성향보다 후보자 호감도가 가짜뉴스효과의 주요 원인으로 작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보자 호감도는 해당 후보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가짜뉴스효과를 낮추거나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동기화 추론이 작용했음을 암시했다. 둘째, 정치지식은 실제뉴스효과뿐 아니라 가짜뉴스효과도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나 정치지식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셋째, 카카오톡, 라인 등의 모바일메신저를 통해 선거정보를 주로 접할수록 가짜뉴스효과가 높아져 이들이 가짜뉴스 유통의 주된 채널로 작동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넷째, 소셜미디어 상에서 정치적 이견을 회피하는 커뮤니케이션의 폐쇄성이 강할수록 가짜뉴스효과가 상승했다. 다섯째, 유권자의 사실확인(fact-checking) 행위의 효과는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상이했는데, 기사의 출처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짜뉴스효과를 감소시키는 데에 상대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research on fake news has focused either on how many people get exposed to fake news or on who falls for fake news. Proposing a new definition of ‘fake news effects’ that encompasses both exposure and acceptance, this study investigated fake news effects using the items that actually were circulated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campaign in 2017. To identify facilitating and constraining factors on fake news exposure and acceptance, the study considered a range of political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candidate favorability, political ideology, political knowledge, and media trust and various types of electoral communication such as online information use, partisan selective avoidance, fact checking, and televised debates viewing. We conducted a two-wave online panel survey (first wave, N =1,000; second wave, N = 769) before and after Election Day. According to data analyses, first, candidate favorability appears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fake news effects; it decreased or increased fake news effects depending on whether the fake coverage was negative or positive for the favored candidate. That is, voters responded to fake news in the direction that was consistent with their political preference. Second, political knowledge increased both real news effects and fake news effects, disconfirming the resistant power of knowledge against misinformation. Third, using mobile messaging platforms for electoral information led to greater fake news effects, implying that they functioned as major conduits for the flow of fake news. Forth, echo chamber effects were found; more specifically, fake news effects were greater among those people who frequently avoided or bloked out politically disagreeing opinions on the social media. Fifth, voters’ individual fact checking activities partially mattered; cross-checking the credibility of news sources decreased fake news effec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High-performance Experimental Apparatus for Large Atom Number 87Rb Bose-Einstein Condensates

        지호,성종,박창용,이원규,유대혁,문종철 한국물리학회 2012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1 No.7

        We describe our high-performance experimental apparatus for producing large atom number <sup>87</sup>Rb Bose-Einstein condensates by using a double magneto-optical trap (MOT) system that consists of a two-dimensional MOT (2D MOT) and a three-dimensional MOT (3D MOT). As an atomic beam source for loading the 3D MOT, we use a unique 2D MOT system with two-color pushing beams, which increase the loading rate and the total number of atoms in the 3D MOT, compared to a pure 2D MOT by a factor of 20. After MOT compression and polarization gradient cooling, atoms are optically pumped into a magnetically trappable hyperfine state |<i>F</i> = 1,<i>m<sub>F</sub></i> = −1> to be loaded into a quadrupole-Ioffe-configuration (QUIC) trap. We enhance this optical pumping process by up to 300% by using two laser beams. After rf evaporative cooling, a Bose-Einstein condensate (BEC) with more than 2 × 10<sup>7</sup> atoms is achiev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