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지특성을 고려한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의 유형분류

        노백호(Paikho Rho) 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2012 環境科學論集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effective management plan on natur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its utilization facilities, based on spati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distance to the legally protected areas. Over the last decade, 151 facilities have been established for protecting, managing and utlilizing the natural resources in Korea. Three types of classification scheme on the facilities were suggested in the guideline published i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order to effectively establish and manage the facilities. But, the classification is limited for use of natural resources, causing the unclear criteria to classify and manage the facilities. Ecological and Natural Map, Terrestrial Environmental Evaluation Map, and Accessibility to Legally Protected Areas were selected as primary items for the facility classification. Using these factors, the 151 facilitie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Protection-oriented type, Utilitizationoriented type, and Medium type. The suitability analysis of existing lands related to the facility could be sugges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proportion and spatial arrangements of components(i.e., survey sites, wild-bird observatory, nature experience center, picnic areas, wildlife preserve, education and experience facilities).

      • KCI등재

        하구유형에 따른 권역별 하구습지의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 분석

        노백호(Paikho Rho),이창희(Chang-Hee Lee)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463개 하구를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권역별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를 하구순환 관점에서 파악하는 데 있다. 환경관리에 널리 이용되는 유역을 토대로 한강서해권역, 한강동해권역, 금강권역, 영산강권역, 섬진강권역, 낙동강권역, 제주권역을 대상으로 하구습지의 분포실태를 조사하고, 권역별 하구습지의 시계열 변동추이를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토지피복지도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강서해권역, 금강권역, 영산강권역의 하구습지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구둑, 배수갑문 등 인공구조물에 의해 하구순환이 차단된 닫힌하구에서의 습지감소폭이 크고, 하구순환이 유지되는 열린하구에서의 습지훼손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습지와 관련된 갯벌, 개방수면, 염습지, 암석해안, 모래해안 등 하구내 서식지 다양성은 하구순환이 차단된 닫힌하구에 비해 하구순환이 유지되는 열린하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권역별 하구습지의 분포특성과 시계열 변동추이는 하구환경의 관리방향을 설정하거나 훼손된 하구습지의 복원전략을 마련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patial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in Korea, and to assess temporal variation of the wetlands in the last few decades. Widely known in environmental and coastal management, watershed-based regions which composed with Han-river(western and eastern parts), Keumriver, Yeoungsan-river, Seomjin-river, Nakdong-river, and Jeju, are analyzed to evaluate temporal change of estuarine wetlands in the 1980s, 1990s, and 2000s, through the land-cover map. Results show that estuarine wetlands dramatically decreased in Han-river(western part), Keum-river, Yeoungsan-river that estuarine circulation have been interrupted with man-made structures such as dyke and drainage. But, estuarine wetlands surrounded by forests and grasslands has been relatively less damaged. Habitat diversity providing healthy estuary ecosystem is lower in interrupted estuaries than circulated estuaries, which are composed of tidal-flat, open water, salt marsh, rocky coasts and sandy shoreline. This study indicates that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of estuarine wetlands are different with estuary type and region, so estuary type with seven regions can be applied to provides a framework for estuary management strategies and to establish estuary restoration plans.

      • KCI등재후보

        철원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한 따오기 Nipponia nippon 복원 대상지역 선정을 위한 서식환경 평가

        노백호(Paikho Rho),한상훈(Sang-Hoon Han)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중국, 일본에서 성공적으로 복원하고 있는 따오기의 국내 서식지 복원을 위해 기존의 서식특성이나 이동거리 등을 토대로 서식모형을 개발하고 경관생태학적 관점에서의 따오기 서식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철원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확보하여 서식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특히 활동권을 감안하여 1㎢ 격자별로 번식자원과 월동자원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따오기의 번식자원과 월동자원을 충족하는 서식지는 총 11개 패치 116ha로 연구면적의 4.8%로 나타났다. 토교저수지 주변은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자연상태의 산림이 형성되었으며, 사계청소로 인해 초지의 구성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분석결과, 따오기의 서식지로 널리 이용되는 산림과 초지, 저수지 및 하천(한탄강), 농경지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서식패치의 공간적 배열을 이용한 경관생태학적 평가에 따르면, 번식기에는 넓은 면적의 적은 패치로 이루어진 반면 월동기에는 협소한 면적의 많은 패치로 이루어져 있어, 따오기와 같은 야생조류의 생활양식에 부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따오기의 철원지역 복원을 위해서는 농경지 패치규모와 형태의 다양화, 농경지 및 인접한 하천, 산림과의 경계밀도 증가를 통해 따오기 번식자원을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candidate sites for habitat restoration of the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with landscape ecological perspective. We reviewed habitat characteristics and movement patterns in China, and acquired GIS data on environmental variables to develop habitat model of the species in Cheolwon, Korea. Percent cover and spatial arrangement of major habitat patches derived from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evaluate ibis habitat suitability of each 1㎢ grid across the study area for wintering and breeding resources. Eleven(11) patches of 116 ha(4.8% of study area) were assigned as suitable habitat for the species.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shows that grassland and herbaceous habitat is higher than expected, probably caused by prescribed burning for military purpose seasonally, and natural woodland is dominant near the DMZ with civilian access control. Landscape composition in the study area is satisfactory for crested ibis: woodlands, grasslands, reservoirs, streams, and rice paddy, which are essential habitat, are widely distributed. However, landscape configuration is not good for the species. The research shows that few large patches are exist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but most wild birds are more likely to distribute separately in that time. In winter season, the species prefer to aggregate in small groups, but habitat patches derived from habitat model are many and small patches in the Cheolwon, Korea. Application of different agricultural techniques encouraging diversity on rice paddy patch, spatial configuration change of habitat type between breeding and wintering season, and increase of rice paddy-woodland edge should be primarily provided to restore crested ibis habitat.

      • KCI등재

        유역특성에 따른 한강하구 습지의 공간분포 및 변화분석

        노백호(Paikho Rho) 대한지리학회 2007 대한지리학회지 Vol.42 No.3

        본 연구는 한강하구역에 위치한 33개 표준유역을 대상으로 191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지형도를 이용하여 하구습지를 추출하여 공간적 분포특성과 시기별 변동추이를 분석한 것이다. 또한 하계밀도, 유역의 위치 및 크기, 경사도, 평균표고 등 유역특성이 하구습지 분포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발사업 등 인위적 교란이 하구습지 훼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형도 분석결과, 하구습지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이 팽창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후 한강하구의 습지는 급속하게 훼손되었다. 표준유역의 위치에 따라 하구습지를 구성하는 퇴적물 구성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는데, 해안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갯벌(펄)의 구성비율이 높고 한강본류 및 지류에 인접한 유역에서는 사구나 습지(식생군락)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역면적이 넓고 경사가 급하며 평균표고가 낮은 지역에서 하구습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1970년대 이후 하구습지는 인위적 교란이 높은 한강서울, 한강서해, 한강고양 권역에서 크게 훼손된 반면 군사적 이유로 민간인의 출입이 제한된 임진강하류 및 한강하류 권역에서는 감소폭이 낮았다. 특히 지난 30여년 동안 인구증가율이 높으며 인공적인 토지피복 구성비율이 높아진 유역에서 하구습지의 훼손이 높게 나타났다. Estuarine wetlands for 33 watersheds in the Han River estuary were delineated on topographic maps from the 1910s, 1970s, and 2000s. Then, these data were used to address the issue of spatial distribution and temporal variation. Watershed characteristics such as drainage density, location, watershed size, slope, and elevation were identified for each watersh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stuarine wetlands. The analysis of estuarine wetlands indicated that wetlands in the estuary had declined gradually between the 1910s and the 1970s, although most wetlands were lost since the 1970s mainly caused by the large development projects related to urban expansion in metropolitan Seoul. The sediment composition and formation processes of the wetlands differed with watershed location; mud flats dominate in the lower part of the estuary, and relatively more sandy and emergent-plant wetlands occur near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Relatively more estuary wetlands occur in large watersheds, which have high slopes and low elevations. Estuarine wetlands have been lost dramatically in the densely populated watershed regions (i.e., Han River Seoul, Han River Goyang, West Han River), while relatively more wetlands have remained in undeveloped regions, including the Lower Imjin River and Lower Han River. In particular, anthropogenic disturban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loss of wetland through the conversion of wetland into agricultural and developed land.

      • KCI등재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지정영향 분석 - 조사·모니터링 분석 및 대국민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김미리(Kim, Mi-Ri),노백호(Rho, Paikho),신지훈(Shin, Gee-Hoon),유정우(Yoo, Jeong-Woo),허학영(Heo, Hag-Yo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4

        국립공원공단에서는 1991년 국립공원의 자연자원보호 및 훼손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자연휴식년제를 시행하였으며 야생생물 서식지 보호를 위한 대상지로 점차 지정·확대하여 2007년 특별보호구역 제도로 변경·운영하고 있다. 제도 시행 이후 조사·모니터링을 통해 훼손지 복원결과, 생물종 수, 서식밀도, 기타 환경요인 등을 파악해 오고 있으며, 지정목적 달성을 위하여 시설투자 등 예산과 관리 인력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연휴식년제 시행 이래 특별보호구역으로 이어진 보호·관리제도의 지정영향 분석 및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특별보호구역 조사·모니터링 성과분석 및 특별보호구역 인지도·지지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모니터링 성과분석 결과, 분석대상지 30개소 중 최근에 지정되어 성과를 확인할 수 없는 분석대상지 5개소를 제외한 25개소에서 23개소가 특별보호구역의 지정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인지도·지지도 분석결과, 특별보호구역의 인지도는 25.9%로 나타나 자연휴식년제 인지도(35.7%)보다 낮은 것으로 도출되었고 특별보호구역에 대하여 91.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90.7%가 탐방객의 이용이 제한되더라도 해당 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국립공원 내 특별보호구역 지정에 대한 현수막, 안내표지판 설치에 따른 관리효과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별보호구역 지정 목적과 생태계 건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Korea National Park Service initiated the Access Restriction System in 1991 to protect sensitive natural resources and to prevent spread of deteriorated and damaged areas in the National Park. The system have amended into effective designation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2007 and widely implemented for nature conservation on wildlife habitat. Periodically survey and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on the designated sites to estimate the effects of ecological restoration efforts with no public entrance under the system. Relatively high budgets and many management staffs are required to meet designation objectives of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n particular ecological assessment of the area with species richness, density, spatial distribution,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survey scheme status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which helps assess the designation strategies and establish advanced management plan related to citizen’s awareness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Results show that Twenty-three designated sites have been considerably improved on ecological integrity focused on management strategy among twenty-five regularly surveyed sites, which have been selected from thirty long-term sites excluding five new designated sites. It means the survey scheme and management efforts generally effective i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However, public awareness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is 25.9%, which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35.7% on the formerly named Access Restriction Program.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91.8% of citizen agree to establish Special Protection Zone, and 90.7% of the individuals support the program even if they cannot access the area. Different materials such as information banner, notice board, sign facilities neighboring the areas are founded as an effective tool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n the Special Protection Zone. These results are used to suggest a better management plan for ecological integrity and designation goals.

      • KCI등재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적합성 평가 및 공간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신화용,신지훈,한성용,노백호,이준우,Shin, Hwa-Yong,Shin, Gee-Hoon,Han, Sung-Yong,Rho, Paikho,Lee, Joon-Woo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4

        본 연구는 새만금호 일대 수달의 서식지적합도 분석과 공간변수(수역, 습지, 농경지, 시가지, 도로 등)와의 상관성이 수달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서식지적합성 분석결과, 전체 1097개 격자 중 1등급과 2등급이 380개 격자로 전체 34.6%로 확인되었고 4등급과 5등급이 413개 격자로 전체 37.7%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만금 일대의 공간변수 별 수달 서식흔적과의 거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도로와 시가지는 거리가 멀수록 수달의 흔적이 확인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수역과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흔적이 확인되었다. 새만금호 내부 공사로 인한 영향은 있으나 수역과 도로의 이격거리를 보면 시가지와 도로에서 이격거리가 근접한 지역과 가장 먼 지역과의 흔적차이가 2배에서 6배 이상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수달의 서식지 복원시 위협요인으로 작용하는 도로와 시가지는 최소한 500(m) 이상 이격거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correlation between habitat suitability of the Saemangeum lake area for otters and spatial variables (watersides, wetlands, farmlands, urban areas, roads, etc.) on the inhabitation of otters. As a result of the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hat 380grids of 1097 grids (34.6%) studied are most suitable and suitable, whereas 413 grids of 1097 grids (37.7%) of the total are marginal and unsuitable. Comparatively analyzing otter traces data against for each spatial variable in the Saemangeum area revealed that the distance to the road or man-made area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ter traces, while more traces of otters were found areas close to waters. Despite the impact from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Saemangeum lake, there found 2 to 6 times more otter traces in the area farthest from the urban areas and roads compared to the area nearest to the urban areas and roads. Thus, when restoring habitats for otters, a minimum of 500(m) distance to roads or urban areas,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threat to the habitats, must be secured.

      • KCI등재

        낙동강 권역의 하천 수면공간 및 수변환경이 수달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지훈 ( Geehoon Shin ),노백호 ( Paikho Rho ) 한국환경과학회 2017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6 No.1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quatic and riparian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absence of the Eurasian otter in the Nakdong river basin, where the species is relatively more abundant than other otter species.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sence records were collect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to compare environmental gradients in aquatic and riparian factors between presence and absence sites. Aquatic habitat attributes were evaluated with natural riverside sandbars and channel crossing artificial structures, the ratio of channel width to alluvial plain width, riverbed substrate, and flow diversity. Riverbank characteristics, bank materials, man-made embankment types, and land use/land cover of inland and riverside areas were selected as riparian habitat attributes. Compared to the aquatic attributes, riparian attributes were highly significant when assessing otter presence and absence sites, suggesting that conservation of suitable riparian areas to provide maternity and resting areas for otter species is essential in the Nakdong river basin. None of the aquatic attributes examine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evaluating otter presence or abs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suitable riparian area for resting and reproduction habitats is more critical to the presence of Eurasian otter than food availability in aquatic areas. To inform implementation of effective conservation actions, broad-scale factors, such as watershed attributes, would be needed to further assess habitat conditions of the Eurasian otter.

      • KCI등재

        산림생태계서비스지불제의 비용효과성 평가를 위한 지수체계 개발 및 적용

        안소은 ( Soeun Ahn ),노백호 ( Paikho Rho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3

        본 논문은 산림부문을 대상으로 국내 적용 가능한 생태계서비스지불제 유형 및 구성요소를 설계하고 지불제 이행을 위한 지수체계를 개발하는 한편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수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지수체계는 3개의 지표그룹 즉, 생태계서비스 공급량 현황, 산림관리계획 수립으로 인해 예상되는 생태계서비스 개선정도, 프로그램 이행을 위한 실질비용 측정을 위한 지표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생태계서비스 공급량에 있어 동일한 측정값을 나타낼지라도 관리요소 및 실질비용 시나리오에 따라 생태계서비스 종합점수는 최저 301점에서 최고 501점까지(충북 괴산군 사례지역 1의 경우) 또는 최저 273점에서 최고 460점(강원 평창군 사례지역 2의 경우)까지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지소유자가 어떤 수준의 관리계획과 모니터링을 선택했는지에 따라 단위비용당 종합점수로 표현되는 비용효과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예시하는 결과로서, 지불제 이행 시 생태계서비스 점수만을 고려할 경우와 비용효과성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상이한 결론 도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design an auction-type and area-based payments for ecosystem services (PES) in application to private forest in Korea, 2) to develop the framework of index to implement the PES program proposed, and 3) to examine the feasibility and validity of the index framework by conducting a case study. The index framework measures quantities of ecosystem services currently supplied, improvement of ecosystem services anticipated from the proposed management activities, and real implementing costs of the program. The total scores from the case study vary from 301 to 501 for site 1, Goesan-gun and 273 to 460 for site 2, Pyeongchang-gu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otal index score - measurement of cost-effectiveness - can be varied by the levels of management and real cost even if the scores from ecosystem service indicator group are the same. The index framework which can locate a cost-effective program ha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 given the budget constraints in biodiversity/ecosystem services policy are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