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문화유산의 계승・발전 및 세계화의 헌법적 정당성에 관한 소고

        남정아 한국헌법학회 2022 憲法學硏究 Vol.28 No.1

        Korea currently has 15 UNESCO-registered world heritages. Of them, 13 are cultural heritages and two are natural heritages. These world heritages are not only valuable cultural and natural assets for our people, but also valuable asset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global citizens. The National Heritage Administration, especiall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is making various efforts to register UNESCO, and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Korea becomes a country with world-class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scovery, inheritance, development, and globa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because it aims to evaluate the nation's efforts to combine the perspective of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long tradition and globaliz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role of the state is particularly emphasized in rediscovering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ng new values. If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list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through efforts of countries and the private sector, it will be the object of cultural enjoyment by people around the world and realize the globalization of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Such national efforts can be said to be a cross-section that shows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ulture as a cultural policy. In a broad sense, we will look at what such national efforts are and how they have constitutional legitimac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ulture. In particular, the state's specific and active duty of protection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can be sufficiently derived. In addition, Article 69 of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president's obligation to carry out and achieve national tasks for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 culture, so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inherit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e has a very specific basis. In addition,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right to enjoy culture as a specific basic right of the people and cultural state principles based on Articles 9 and 69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 premised. 이 글은 우리 전통문화유산의 계승・발전과 세계화에 대한 국가적 노력을 헌법적인 관점에서 평가해 보고자 시도된 것이다. 전통문화유산의 발굴과 보존 및 새로운 가치의 창출을 위해서는 국가의 역할이 특히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15개의 유네스코 등재 세계 유산이 있다. 이러한 세계 유산은 우리 국민들의 소중한 문화적・자연적 자산일 뿐만 아니라 세계적 시민들에게도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진 귀한 자산이다. 국가, 특히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등재를 위하여 다방면으로 여러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데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자연 및 문화유산을 보유한 나라가 되었다. 우리의 전통문화유산이 국가와 민간 부문의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된다면, 전 세계인의 문화향유의 대상이 되어 우리 전통문화유산의 세계화를 실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국가의 노력은 헌법 제9조에 근거를 둔 민족문화창달을 위한 국가의 역할을 잘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국가적 노력이 문화기본권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정당성을 갖는지에 대해서도 살펴 살펴보기로 한다. 문화기본권의 자유권적 성격과 사회권적 성격을 함께 강조한다면, 전통문화와 민족문화의 계승 및 발전을 위한 국가의 구체적이고도 적극적인 실현의무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헌법 제69조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 창달을 위한 국가 과제를 수행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을 다할 대통령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문화와 민족문화 유산을 보호하고 계승・발전시키며 지방문화를 육성하여 문화 분권을 실현해야 하는 국가의 의무는 구체적인 헌법적 근거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헌법 전문, 헌법 제9조 및 헌법 제69조 등에 바탕을 둔 문화국가원리는 독자적인 헌법 원리로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문화적 차원에서의 최저수준의 보장까지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헌법 제10조 및 헌법 제37조 제1항 등에서 근거를 찾을 수 있는 문화기본권은 총제적인 성격의 기본권으로 봐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체제전환 시 과거사 청산의 정당성에 대한 헌법적 고찰

        남정아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3

        It can be said that the liquidation of the past stems from the desperate need to correct historical justice through historical assessment of illegal behaviors done by North Korea while strengthening human rights guarantees under the Constitution of unifica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ssue of liquidation of the past and the illegal liquida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will be a pressing task historically. Therefore, clearing up the past is a constitutional process of national unity, which aims to heal wounds and touch trauma to open a new era. In particula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liquidation of such illegal entities is not only for social integration but also for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justice. If criminal punishment is required for liquidation of the past, a constitutional basis is needed to enable first-time retroactive punishment. Efforts should be made continuously to find out which liquidation model would be more desirable in preparation for a unified Korea, while reflecting on the lessons of several countries' liquidation models, including punishment models, pardon models, exchange models, and lustration models. Of course, the consideration of clearing up the past is significant, especially because it has a great educational effect and contributes greatly to the establishment of a historical perspective. 과거사 청산은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통일 헌법상 인권보장을 강화하면서도 북한의 역사적인 평가를 통해 역사적 정의를 바로 세우기 위한 절실한 필요성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민족 간의 불행한 내전을 겪고 60년 이상 분단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는 말할 나위도 없이 과거사의 청산의 문제, 북한체제의 불법청산의 문제가 역사적으로 절실한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과거사 청산은 상처를 치유하고 트라우마를 어루만져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하는 국가통합의 헌법당위적인 과정인 것이다. 특히 이러한 불법 체재의 청산을 통해 우리 통일 헌법의 근거를 마련함은 사회통합뿐만 아니라 역사적 정의를 바로 세우는 작업이기도 하다. 만일 과거청산을 위해 형사처벌을 요한다면, 초입법적인 소급처벌이 가능하도록 하는 헌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처벌모델, 사면모델, 교환모델, 정화모델 등 여러 나라 청산모델의 교훈을 되새겨 보면서, 통일 한국을 대비하여 어떤 청산모델이 더 바람직할지를 찾는 노력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과거사 청산에 대한 고찰은 특히 교육적 효과가 크고, 나아가 역사관 바로 세우기에 크게 이바지하기 때문에 유의미한 것임은 물론이다.

      • SCIESCOPUSKCI등재

        Treponema lecithinolyticum lipopolysaccharide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9의 발현

        남정아,문선영,이진욱,차정헌,최봉규,유윤정,Nam, Jeong-Ah,Moon, Sun-Young,Lee, Jin-Wook,Cha, Jeong-Heon,Choi, Bong-Kyu,Yoo, Yun-Jung 대한치주과학회 2005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5 No.3

        Bone resorption involves sequential stages of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into multinucleated osteoclasts. Stromal cell derived factor (SDF)-1 is a chemotactic factor for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 is involved in migr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and activation of $interleukin(IL)-1{\beta}$. Alveolar bone destruction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eriodontal disease. Treponema lecithinolyticum is a oral spirochete isolated from the periodontal lesions.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LPS) from T. lecithinolyticum on expression of SDF-1 and MMP-9 was examined in cocultures of bone marrow cells and osteblasts derived from mouse calvariae. T. lecithinolyticum LPS increased expression of MMP-9 in the coculture. Polymyxin B, an inhibitor of LPS, abolished the increase of MMP-9 mRNA expression by LPS. LPS did not increase the expression of SDF-1,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TNF)-{\alpha}$ mRNA in cocultures. Prostaglandin $E_2(PGE_2)$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MMP-9 and NS398, an inhibitor of $PGE_2$ synthesis, down-regulated the induction of MMP-9 expression by T. lecitbinolyticm L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lecitbinolyticm LPS increases MMP-9 expression in bone cells via $PGE_2$ and that the induction of MMP-9 expression by T. lecitbinolyticm LPS is involved in alveolar bone destruction of periodontitis patients by the increase of osteoclast precursor migration and the activation of bone resorption-inducing cytokine.

      • KCI등재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임신여성의 임신종결권의 허용성에 대한 비교법적인 고찰을 겸하여 ―

        남정아,이상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서울법학 Vol.25 No.2

        Limiting the right to termination of pregnancy by criminal punishment of abortion of pregnant women can fundamentally fix the role of the wome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is to be repugnant to the anti-gender role stereotyping principle. Therefore, the right of termination of pregnancy should be approved as the enhanced basic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In this light, this article critici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 prohibit abortion in the light of the conflict betwee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the pregnant women and the right to life of the fetus. In particular, it raises the question whether it can be justified to consider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regnant women and the right to life of the fetus as a framework of conflict of fundamental rights. In conclusion, from the perspectives that it should not be allowed to stereotype gender roles,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regnant woman and the right of the fetus are not to be conflicted until the possibility of the fetus's independent survival, especially during the first part of the gestation period(within 12 weeks), this article reexamines and criticizes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of abortion. Since we are now living in the 21st century, this article aims at making that we should move away from stereotypes of pre-modernity women's gender roles and make constitutional normative critical thinking of freeing women from bondages and bridle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should be the ultimate goal of the Constitution. 임신여성의 임신종결행위를 형사 처벌하여 임신종결권을 제한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여성의 역할을 임신ㆍ출산에 고착시킬 수 있다. 임신여성의 임신종결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성역할고정관념화금지원칙에 비춰볼 때 평등원칙을 위반하여 임신종결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이 글은 임신여성의 임신종결권이 헌법상 고양된 기본권으로 승인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런 관점에서 임신한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의 충돌이라는 관점에서 낙태금지를 허용하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비판한다. 특히 임신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기본권충돌의 구도로 파악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성역할고정관념화를 금지하고, 임신여성의 자기결정권과 태아의 생명권은 태아가 모체 외 독자적 생존가능성이 존재하기 전까지는, 특히 임신 1기(12주일 내) 동안은 임신여성과 태아의 기본권이 충돌하는 구조가 아니라는 관점에서 헌법재판소의 판례는 재고되어야 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전근대적인 여성의 성역할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여성을 임신과 출산의 속박과 굴레로부터 자유롭게 해야 할 헌법 규범적 사고를 바탕으로, 임신여성의 임신종결권을 고양된(enhanced) 기본권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다.

      • KCI등재

        미국 연방대법원 Dobbs 판결과 그 함의에 대한 소고 - 우리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과 향후 입법 개선 방안 -

        남정아 유럽헌법학회 2023 유럽헌법연구 Vol.- No.43

        The U.S. Supreme Court's Dobbs ruling is a realization of concerns that had already been detailed in Justice Ginsberg's objection to the Gonzales v. Carhart ruling in 2007. Justice Ginsberg criticized the Supreme Court's majority opinion in Gonzales' ruling as eating away the great spirit of the U.S. Supreme Court, which approved the abortion ban, and pointed out the risk of returning to the result of denying the spirit of abortion freedom in the future, 15 years later, this concern became a reality. I would like to ask whether the argument of Roe's ruling, which gave women who had been in the role of sublime pregnancy and childbirth the basic value of freedom of choice or self-determination to resolv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gainst women and break away from the framework of unjust control that had to force unwanted situations, was entirely denied. Not only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in Korea, efforts have been made to guarantee women's discrimination and rights for a long time, and those efforts have barely been paying off, and the Supreme Court has changed the precedent unfavorably by breaking the public's expectations, faith, and faith in women's right to choose, which have been maintained for nearly half a century. Nevertheless, we will have to firmly follow the flow of history, but it may be affected to some extent by the Dobbs ruling above. In this regard, this article emphasizes the injustice by critically analyzing the Dobbs ruling and highlighting the problems, and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improvement legislation as a follow-up to the constitutional inconsistency decision made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미국 연방대법원의 Dobbs 판결은 이미 2007년 Gonzales v. Carhart 판결에 대한 Ginsberg 대법관의 반대의견에 자세히 피력되어 있었던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Ginsberg 대법관은 Gonzales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의 다수의견이 낙태금지를 승인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위대한 시대정신을 갉아먹는 먹이라고 통렬이 비난하였으며, 앞으로 낙태자유의 정신을 부정하는 결과로 회귀할 수 있는 위험성을 지적하였는데 15년이 지난 시점에 이러한 우려가 현실화된 것이다. 그간 숭고한 임신과 출산의 역할을 수행해 온 여성들에게 선택의 자유 혹은 자기결정권에 기본권적 가치를 부여하여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해소하고 원치 않는 상황을 강요당해야만 했던 부정의한 통제의 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 Roe 판결의 논증이 이를 전적으로 부인당할 만한 잘못이 있었는지 되묻고 싶다.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시간 동안 부단히도 여성의 차별과 권익 보장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고 가까스로 그러한 노력의 결실이 조금씩 맺어지고 있던 터에 지난 50년간 미국에서 헌법상의 권리로 승인되던 낙태의 자유를 연방대법원이 단칼에 잘라버려, 반세기 가까이 유지되어온 여성의 자유로운 선택권(right to choose)에 대한 국민의 기대, 믿음과 신의(good faith)를 저버리면서 선례를 불이익하게 변경한 것은 참으로 개탄해 마지않을 일이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리는 꿋꿋이 도도한 역사의 흐름을 따라야 할 것이지만, 위의 Dobbs 판결에 의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지도 모른다. 그러한 점에서 이 글은 위 Dobbs 판결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문제점을 부각시킴으로써 그 부당성을 강조하여 우리나라 헌법재판소가 내린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른 후속조치로써 개선 입법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그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 KCI등재

        미국의 최근 개인정보보호법제 동향에 대한 고찰

        남정아 유럽헌법학회 2019 유럽헌법연구 Vol.0 No.31

        With the start of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U.S. recently shifted its focus to business-friendly use of information rather than privacy protection,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bama administration's privacy policy. Thus, friction between the U.S. and the European countries that want to trade with the U.S. without much awareness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nder the "Opt-out" stance has naturally increased. Such differences have also affected Korea, and Korea, which is following the "Private Privacy Act" such as Europe, ha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a trade dispute if it forces U.S. companies to ask for the same level Against this backdrop, it is very meaningful to identify the key differences in the privacy protections of Europe and the U.S. and to identify recent changes in the U.S. administration's privacy laws.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nalyzed the years and recent trends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f the U.S.. First of all, since the privacy laws have undergone changes in the U.S., we need to look at the trend of the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chronological order. In particular, This article first reviewed aspects of the collection, utilization and regulation of behavioral information, and recently reviewed the trends in U.S. privacy laws, including the Obama administration's Consumer Privacy Bill (2012), the FTC's Protecting Privacy in an Era of Rapid Change (2012), and the FCC's ISP Privacy Rule (2016). And as President Trump signed a bill to scrap FCC privacy rules on April 3, 2017, serious concerns arose over privacy in the U.S.. While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utilization industry was expected due to the easing of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for Internet service providers, concerns over the reckless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violation of privacy were also spread. Thus, in order to obtain the necessary implications for Korea by analyzing the direc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privacy policy, the U.S. data utilization and privacy policy related to new technologies such as biometric information,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and the restrictions imposed by the EU GDPR, the U.S. government and corporate efforts to respond to them, stressing the need for a balanced and balanced discussion o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u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최근 미국은 트럼프 행정부의 시작과 더불어 종래 오바마 정부의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궤를 완전히 달리하여 개인정보 보호보다는 기업친화적인 정보활용에 중점을 두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따라서 Opt-out을 기조로 하여 개인정보의 보호를 크게 의식하지 않고 무역을 희망하는 미국과 Opt-in을 기조로 하는 유럽지역 국가들 간에는 당연히 마찰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상황은 유럽과 같은 개인정보 보호방식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 기업에게 동일한 수준의 개인정보 보호요청을 강요하는 경우 무역 분쟁이 발생할 소지가 커졌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유럽과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제도의 핵심적인 차이를 파악하고 최근 미국 행정부의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변화와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 하에 본 논문은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법제 제·개정 연혁 및 최근 동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미국에서도 개인정보 보호법제는 변화를 겪었으므로, 연대기 순으로 정보보호 법제의 흐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행태정보의 수집·활용 및 규제에 관한 측면을 먼저 검토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소비자 프라이버시 권리장전(2012), FTC의 Protecting Privacy in an Era of Rapid Changing(2012), FCC의 ISP privacy rule(2016) 등 미국의 개인정보 보호관련 법제의 흐름과 최근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017년 4월 3일 트럼프 대통령이 FCC 프라이버시규칙을 폐기하는 법안에 서명함에 따라, 미국 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발생하게 되었다. 인터넷서비스사업자들에 대한 개인정보 규제 완화로 개인정보 활용 산업의 발전이 기대되는 한편,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사용과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도 확산되었다. 따라서 트럼프 행정부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의 방향을 분석하여 우리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생체정보,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신기술 관련 미국의 데이터 활용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EU GDPR 발효에 따른 제약과 이에 대응한 미국 정부, 기업의 대응노력 등을 분석하면서,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을 균형 있고 조화롭게 양립하기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상황 아래 행정명령에 의한 종교의 자유 제한 가능성과 그 한계에 관한 소고 ― 미국의 연방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

        남정아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0 No.3

        국가는 펜데믹 상황 아래에서 코로나19의 대량 확산을 막기 위해 행정명령에 의해 종교의 자유에 대해 대체 어느 범위까지 제한을 가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궁극적인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출발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종교의 자유는 헌법 제37조 제2항에 의해 제한이 가능하므로 그 기원을 둔 미국의 종교와 자유와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도 괜찮은 것인지 아니면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1조에서 근본적인 권리로 종교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는 미국에서처럼 엄격한 보장에 방점을 두어야 하는 것인지와 같은 쟁점을 검토하기 위해, 이 글은 비교법적인 연구를 통해서 종교의 자유의 보장과 그 제한 및 제한의 한계에 관한 헌법해석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특히 미국 연방헌법상의 종교의 자유 제한의 위헌심사 기준을 살펴보고,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국민의 종교의 자유와 국민의 생명・신체의 보호 문제를 어떻게 양립시킬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 관점에서 미국 연방헌법 수정 제1조의 종교의 자유와 그 제한에 대한 엄격한 심사기준과 그 예외에 대해 검토하면서, 특히 각 주지사가 발령한 재택명령을 통한 종교 활동의 자유 제한과 그 한계에 관한 쟁점을 연방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This article starts with the ultimat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he state can impose restrictions on religious freedom by an executive order to prevent the mass spread of COVID-19 under the pandemic situation. Therefore, to examine issues such as whether it is okay to interpret religious freedom in a different sense than American religion and freedom, or whether it should focus on strict guarantees as in the United States, which stipulates religious freedom as a fundamental right.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U.S. Federal Constitution's restrictions on religious freedom and how to balance the issues of people's freedom of religion and protection of their lives and bodies in a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incident. From that point of view, I will examine the strict scrutiny and exceptions to the freedom of religion and restrictions under the First Amendment to the U.S.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U.S. federal court precedents, especially on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on religious activities through Stay-at-Home Orders issued by governors.

      • KCI등재

        헌법상 성별에 의한 차별금지 규정의 의미와 여성차별 현황에 대한 고찰

        남정아 한국입법학회 2019 입법학연구 Vol.16 No.1

        Despite discussions to strictly prohibit discrimination by gender through constitutional analysis and strengthen the scrutiny for judging unconstitutionality in cases of violation, Korea still belongs to a country with a high degree of female discrimination in each field. The prohibition on discrimination in Article 11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limits the right to form a legislator, which provides stronger equality protection than the general provision of equality and calls for stricter grounds for the legitimacy of discrimination. Therefore, this article argued that discrimination by gender has become permanent in our society for a long time, and that due to the desperate need to overcome such unreasonable discrimination, our constitution defines it as one of reasons fo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nd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apply strict scrutiny to it when lawmakers make discriminated laws against women despit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under the Constitution. Also,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women's discrimination in Korea and reviewing international assessments and recommendations on the issue, the government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legislation of gender equality in the future.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the current status of gender equality in Korea is clearly worse, and there are many blind spots, so there are recommendations by the Committee in various areas. In particular, gender discrimination is banned and these recommendations are only empty echoes if the stereotype is not removed from the stereotype about the social rol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including the traditional concept. In order to realize the legal gender equalit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again the age-old spirit and ideology of discrimination by gender and abolish them by strengthening the scrutiny for judging the unconstitutionality of discrimination based on gender in the first paragraph of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 헌법해석을 통해 성별에 의한 차별을 엄격히 금지하고 이에 위반하는 경우 위헌심사기준을 강화하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각 분야에서 여전히 여성차별 정도가 상당히 심한 국가에 속한다. 헌법 제11조 제1항 2문의 차별금지규정은 입법자의 형성권을 제한하기 때문에 일반적 평등조항에 비해 강력한 평등보호를 제공하고 차별대우의 정당성에 대하여 보다 강화된 근거를 요청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 글은 성별에 의한 차별이 우리 사회에서 오랜 기간을 두고 고착화되었고, 이러한 불합리한 차별을 극복해야 할 절실한 필요에 의하여 우리 헌법이 이를 차별금지사유로 규정하고, 입법자가 헌법상 차별금지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차별을 하는 경우에는 헌법재판소는 엄격하게 심사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피력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여성차별 현황과 이에 대한 국제적인 평가 및 권고 사항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성평등실현 입법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평등 실현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많은 사각지대가 존재하며, 따라서 다양한 분야에 대한 권고사항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전통적인 관념에서 비롯한 남녀 간의 생활관계 또는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면 성별에 의한 차별을 금지하고 이러한 권고사항들은 공허한 메아리가 될 뿐이다. 이에 법적 성평등 실현을 위하여 헌법 제11조 제1항 제2문의 성별에 따른 차별의 위헌 심사기준을 강화함으로써 성별에 의한 차별금지의 시대적 정신과 이념을 성차별이 발생하는 다양한 영역에서 다시 강조하고 확인하여 이를 철폐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