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자본이 한부모가정 여성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양부모가정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남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in single - parent households.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of the variables wer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adoptive parents who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ingle - parent famil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social capital,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between single - mother and two - parent families and analyzed how social capital affects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single-parent households and foster-parent households, and will serve as a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future studies, and will be a basis for policy and practical intervention for single-parent households .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206 single - parent households and single parent households using a social welfare center, a home health support center, an employment welfare support center, an NGO group, a library, and a sole parent group in Seoul.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based on 194 questionnaires, excluding demographic respondents.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were examin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rates of single - mother and two - parent families in terms of age, number of children, age of children,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insecurity. However, in terms of religion and health statu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sponse rate of foster parents. Seco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main variables showed that in the case of social capital, the single parent households had low trust in network, participation, trust in institutions, and trust in people. Depressed and economically stressed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single-parent households.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stress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conomic stress is affected by the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lower health status, unstable employment, lower network, lower participation, The lower the trust i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economic stress. Foste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economically stressed when they had more children, lower health status, lower networks, lower participation, and lower trust in peopl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rust on network, participation, and person in single parent households in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other - in - law. Fifth, the analysis of whether social capital affects economic stress revealed that the trust of the single - parent family woman was meaningful in the network and the person, and only the participation of the single - parent family woman was significant.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ased o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mprove the social capital of single-parent family women,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share the divorce and divorce among the women in the process of divorce and bereavement, the difficulties that have been experienced after becoming a single-parent family woma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olidarity, to practice community involvement activities, and to create a relationship-oriented, middle-aged network, such as exchanges with women in single-parent families in other regions. Second, in order to alleviate the depression of single-parent families, active involvement with the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psychological healing programs such as mindfulness meditation or photo therapy, as well as intervention of strengths perspective, And emotional education that finds a positive aspect, internal strength and willingness to develop a single-parent household should face practical difficulties when faced with practical methods should be applied to overcome. Third, it seems that institu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put in place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single parent families and foster family women. To this end,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patriarchal culture, to expand the child care support policy tailored to the child's age so as to alleviate the burden of childcare and child care, and to identify issues based on the needs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single- , It is necessary to provide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related to child care to private and public institutions. Fourth, understanding unofficial networks and human resources such as family, relatives, neighbors, and religions in case management, economic support, various programs, and self-help group activities in the field to improve network and trust for economic stress relief There is a need for activities to identify resources and build trust with people who are helpful. Fifth, health status influences depression and economic stress of single - parent families and two - parent households. Therefore, policy - based support for health examinations for single - parent families and foster parents, support for uninsured items, It seems that the support will be necessary.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related to medical support to single - parent families and foster parents. 본 논문은 한부모가정여성의 사회적자본이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한부모가정 여성과는 다른 가구형태인 양부모가정 여성과의 비교를 통해 변수의 주요 특성과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 간 사회적자본, 우울, 경제적 스트레스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사회적자본이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본적 자료를 제공하고 향후 연구들의 방향성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한부모가정 여성에게 정책적 ·실천적 개입에 대한 토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소재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고용복지지원센터, NGO단체, 도서관, 한부모단체를 이용하는 한부모가정 여성 및 양부모가정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206명을 설문하였다. 설문지 조사 후에는 미기재 응답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94명의 설문지를 토대로 SPS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요변수의 특성과 상관관계, 사회적자본이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결과 연령, 자녀수, 자녀나이, 최종학력, 고용불안정도에 있어서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 응답률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종교여부와 건강상태에 있어서는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 응답률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결과 사회적자본의 경우에는 네트워크, 참여, 기관에 대한 신뢰, 사람에 대한 신뢰 모두 한부모가정 여성이 낮게 나타났다.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평규은 한부모가정 여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자본과 경제적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는 한부모가정 여성의 최종학력이 낮을수록,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고용이 불안정할수록, 네트워크가 낮을수록, 참여가 낮을수록, 사람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기관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부모가정 여성은 자녀가 많을수록,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네트워크가 낮을수록, 참여가 낮을수록, 사람에 대한 신뢰가 낮을수록 경제적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자본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울에 있어 한부모가정 여성은 네트워크, 참여, 사람에 대한 신뢰가 유의미 했으며 양부모가정 여성은 사회적자본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다섯째, 사회적자본이 경제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부모가정 여성은 네트워크, 사람에 대한 신뢰가 유의미 했으며 양부모가정 여성은 참여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가정 여성의 사회적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해 한부모가정 여성 당사자 간에 이혼과 사별의 과정 속에서 겪은 상처, 한부모가정 여성이 된 후 겪은 어려움들을 지속적으로 나누며 당사자 간 유대감을 경험하고, 공동체 활동을 통해 연대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역사회 참여활동 및 타 지역 한부모가정 여성들과의 교류 등 관계지향적이고 중범위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실천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한부모가정여성의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 정신건강증진센터와의 적극적인 연계, 마음챙김 명상 혹은 사진치료 등의 심리치유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강점관점 개입을 통해 한부모가정 여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부정적 감정을 제거하고 긍정적인 면을 찾아내는 감정교육, 내면적 힘과 의지를 키워 한부모 가정 여성이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을 때 극복할 수 있는 실천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실천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가부장적인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육아와 자녀돌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아동의 연령에 맞춘 자녀돌봄 지원정책의 확대, 지역사회 내에서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의 욕구에 기반한 이슈 발굴, 민간 및 공공기관에 아이돌봄과 관련한 물적, 인적 자원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경제적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네트워크와 신뢰가 향상될 수 있도록 실천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례관리, 경제적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자조모임 활동 등에서 가족, 친척, 이웃, 종교 등 비공식적 네트워크와 인적자원에 대해 파악하여 도움이 되는 자원을 확인해 보고, 도움이 되는 사람들과의 신뢰를 축적해나가기 위한 활동들이 필요하다. 디섯째,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의 우울과 경제적 스트레스에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정책적으로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을 위한 건강검진 지원, 비보험 항목에 대한 지원, 여성질환 관련 검진에 있어서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의료지원과 관련된 사회공헌 활동 대상의 범위를 한부모가정 여성과 양부모가정 여성으로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성이 있다.

      •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치료에 있어 epoetin alfa와 darbepoetin alfa의 효과 및 약품비용 비교

        남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신성 빈혈은 말기신부전 환자의 주요한 합병증으로 신기능 부전에 의한 내인성 erythropoietin 생성부족이 일차적인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rythropoietin은 조혈작용을 조절하는 내인성 호르몬으로 신장에서 분비되어 골수에서 적혈구의 성숙을 자극한다. 1985년 human erythropoietin에 대한 유전자 배열이 확인되어 유전자 재조합 erythropoietin 제제인 epoetin alfa(epoetin)가 생산됨에 따라 만성신부전에 동반된 빈혈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Epoetin은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헤모글로빈 농도를 증가시켜 수혈의 필요성을 줄이고 빈혈과 관련된 증상들을 개선시키는 등 신부전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2001년에는 반감기를 연장하여 투여횟수를 감소시킨 darbepoetin alfa(darbepoetin) 제제가 개발되어 국내에서는 1992년부터 epoetin을, 2004년부터 darbepoetin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 환자의 빈혈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epoetin과 darbepoetin의 투여시작 후 3개월간의 사용실태를 조사 및 분석하고 두 제제간의 효과 및 약품비용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두 군에서의 hemoglobin 반응율을 분석하였다. 최소 3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두 약물 모두 피하 주사로 투여되었으며, epoetin 은 주 2-3회, darbepoetin 는 주 1회 투여되었다. 두 약물의 주당 투여량은 epoetin 9,077 ± 1,631 U/주 , darbepoetin 44 ± 11 μg/주 으로 dose only ratio가 206 : 1 이었다. 체중당 주당 투여량의 경우 epoetin 151 ± 38 U/주/kg, darbepoetin 0.78 ± 0.22 μg/주/kg 으로 dose only ratio가 194 : 1 이었다. 평균 1회 투여량은 epoetin 4,029 ± 163 U, darbepoetin 51.86 ± 10.15 μg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epoetin 또는 darbepoetin을 투여 받기 전의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 8.61 ± 0.98, 8.92 ± 1.37 g/dL 이었다. 치료 4주 후의 hemoglobin의 평균 농도는 각각의 군에서 9.95 ± 1.27, 9.86 ± 1.39 g/dL 이었고 8주 후에는 hemoglobin의 평균 농도가 각각 10.75 ± 1.12, 10.31 ± 1.10 g/dL 12주후에는 hemoglobin의 평균 농도가 각각 11.18 ± 1.23, 10.70 ± 1.00 g/dL으로 점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약물을 투여하기 전부터 치료 기간 동안의 hemoglobin 변화량은 epoetin 군은 4주 후 1.35 ± 1.32 g/dL, 8주 후 2.15 ± 1.59 g/dL, 12주 후에는 2.57 ± 1.72 g/dL이었고 darbepoetin 군은 4주 후 0.94 ± 0.98 g/dL, 8주 후 1.39 ± 1.25 g/dL, 12주 후에는 1.78 ± 1.28 g/dL이었다. Epoetin 군의 hemoglobin 상승폭이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치료 4주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8주, 12주 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Hemoglobin 반응률은 4주 후에는 epoetin 군과 darbepoetin 군에서 각각 48%(15/31), 53%(17/32)으로 나타났다. 8주 후에는 71%(22/31), 63%(20/32)이었으며 12주 후에는 84%(26/31), 78%(25/32)로 epoetin 군이 더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치료 목표치 달성도는 4주 후에는 epoetin 군과 darbepoetin 군에서 각각 26%(8/31), 22%(7/32)였다. 8주 후에는 42%(13/31), 25%(8/32)이었으며 12주 후에는 61%(19/31), 41%(13/32)로 epoetin 군이 더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epoetin은 주 2-3회, darbepoetin은 주 1회 투여되었으며hemoglobin 상승에 대한 효과는 투여 8주, 12주 후에 epoetin 군의 hemoglobin 변화량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hemoglobin 반응률이나 치료목표치 달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평균 투여량을 기준으로 약품비용을 분석한 결과 darbepoetin 군이 3-10%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Anemia is a common complic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Anemia in this patients population develops primarily due to a deficiency in endogenous erythropoietin production by inadequately functioning kidneys. Epoetin alfa is genetically form of endogenous erythropoietin that has become the standard of care for erythropoietic support in renal anemias. Darbepoetin alfa is currently marketed for the treatment of anemia. Darbepoetin alfa is a modified version of epoetin alfa that has a significantly longer serum half-life. The decreased clearance of darbepoetin alfa allows this drug to be administered less frequently than epoetin alfa.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osing patterns, hematologic outcomes, and drug cost with epoetin alfa and darbepoetin alfa in anemic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s with anemia treated with epoetin alfa or darbepoetin alfa. Results. Mean baseline hemoglobin level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Mean weekly doses were epoetin alfa 9,077 ± 1,631 U and darbepoetin alfa 44 ± 11 μg. Administration frequency was 2-3 times per week in the epoetin alfa group and once weekly in the darbepoetin alfa group. The mean changes in hemoglobin from baseline at weeks 4, 8, and 12 were 1.35 ± 1.32, 2.15 ± 1.59, 2.57 ± 1.72 g/dL in the epoetin alfa group and 0.94 ± 0.98, 1.39 ± 1.25, 1.78 ± 1.28 g/dL in the darbepoetin alfa group. Thi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weeks 8 and weeks 12. (P < 0.05) Hemoglobin responses (≥ 1 g/dL increase) was less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weeks 4 (48% vs 53%) and more common at weeks 8 (71% vs 63%), weeks 12 (84% vs 78%). Patients achieving target hemoglobin were more common with epoetin alfa than darbepoetin alfa at weeks 4(26% vs 22%), weeks 8(42% vs 25%), and weeks 12(61% vs 41%). Based on the doses used in this study, the weekly drug cost for darbepoetin alfa was 3-10% higher than that epoetin alfa. Conclusion. Epoetin alfa treated patients experienced a significantly greater mean changes in hemoglobin from baseline at weeks 8 and 12. Hemoglobin responses and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target hemoglobin were greater in the epoetin alfa group than darbepoetin alfa group. But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 동화 애니메이션이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구성능력 및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남수연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the vocabulary and story construction ability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is affected by flash animation tales. For this end, Four research question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flash animation tale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story structure concept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the flash animation tale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type of stor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he flash animation tale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the flash animation tale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Study target does not have an ideal to sight and hearing as slight mind lineage child, and age word sentence expressions did y child who can understand and achieve the possible and simple colloquial direction. Executed preliminary inspection and post-inspection to method of study does activity connected with animation after study target child and investigator have conducted flash animation together and flash animation tales searches effect on story construction ability and vocabulary. Flash animation tales was effective in increase of story construction ability conducting improvement in both mind lineage child's story construction concept and story type. Also, Flash animation tales was effective to both mind lineage child's receptive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 개화기 사진을 통한 정동일대 경관 연구

        남수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화기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는 정동을 당시 서구인들이 남긴 사진을 통해 현재 정동일대 경관의 변화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화기 사진 4장의 시점장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당시의 모습과 동일하게 촬영한 후, 수직과 수평 1 : 1 비교하여 시점장을 확인하고 촬영된 현재 경관과 개화기 사진 속 경관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개화기 사진 4장의 시점장은 아래와 같다. 사진 1. 정동일대와 덕수궁이 조망되는 Panorama 사진의 시점장은 서울시청별관(후생동건물)과 서울시립미술관 사이이며, 시점장의 높이는 지금보다 높았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진 2. 정동교회를 중심으로 정동일대가 조망되는 Panorama 사진의 시점장은 배재학당역사관(배재학당 동관)이 있는 언덕으로 당시 배재학당 마당으로 확인되었다. 사진 3. 정동교회와 그 일대 민가가 조망되는 사진의 시점장은 배재학당의 언덕과 연결되어 있던 언덕으로 추정되었으며, 현재 그 일대는 절토되어 교회 교육관이 들어서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진 4. 러시아공사관 일대가 조망되는 사진의 시점장은 창덕여자중학교 운동장과 이화여자고등학교 경계부분에 위치한 언덕으로 당시의 언덕 높이는 지금보다 높았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사진 4장의 시점장은 모두 정동 일대 언덕으로 확인되었다. 개화기 사진을 통해 현재경관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동일대와 덕수궁이 조망되는 Panorama 사진 1은 나머지 사진의 경관을 포함하고 있어, 이것을 통해 경관을 고찰한 결과 보존되고 있는 경관은 덕수궁의 중화 문, 덕홍전, 함녕전과 정동일대의 정동교회, 배재학당역사관, 미국공사관, 러시아공사관, 영국공사관이며, 변화한 경관으로는 덕수궁의 중화전, 덕수궁 남쪽 담, 덕수궁 내 서쪽에 있던 건물 자리와 현재 정동교회 일대와 시립미술관 입구 일대, 러시아공사관 입구 일대이다. 사라진 경관으로는 덕수궁의 구성헌, 조원문, 운교와 정동일대의 러시아공사관 입구에 위치했던 아치문으로 확인되었다. 변화되고 사라진 경관의 정확한 규모나 위치는 파악이 용이하지 않았다. 수집된 사진자료의 부족과 건물, 수목의 차폐로 사진촬영에 제한이 있었으며, 추후보다 다양한 사진자료가 화보되면, 이를 통한 경관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