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ynovial Membrane Transplantation to Eyelid Conjunctiva in Rabbits : 토끼에서 관절막을 위쪽 눈꺼풀 결막으로 이식

        남경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성각결막염 (KCS, 건성안)은 수의임상에서 흔한 질병으로, 눈물막 결핍에 의해 발생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토끼에서 관절막의 결막으로의 이식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10마리의 New Zealand White (NZW) 토끼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5마리는 이식 후 4주간 임상증상을 관찰하고 안락사 했고, 나머지 5마리는 8주간 임상증상을 관찰하고 안락사 했다. 8mm 생검 펀치를 적용하여 관절낭의 관절막을 채취했다. 같은 크기의 위쪽 눈꺼풀 결막을 제거하고, 이식편을 단순단속봉합으로 이식했다. 안과검사는 수술 전, 수술 후 7일, 14일, 28일, 42일, 56일에 시행했고, 안락사 후 조직검사를 시행했다. 안과검사 상에서 수술 후 초기 기간을 제외하고 특별한 임상증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식된 관절막은 원형에서 타원형의 함입된 모양으로 발견되었고, 이식 자리에 잘 부착되어 상피로 덮였으나 눈에 띄는 위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되었다. 덮인 상피는 이식 후 4주에 관절막과 유사한 모습이었고, 이후 8주차에는 입방 상피의 형태로 변화했다. 남은 관절막 이식 영역은 유의성 있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작아진 모습을 보였다. 평균 상피 두께와 히알루론산 분비 세포는 이식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요약하면, 결막에 이식된 관절막은 잘 부착되었고, 히알루론산 분비 세포로 분화하였으나 눈에 띄는 위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되었다. 눈물 성상의 분석과 단백질 기능 분석이 시행되어야 하고, 이식된 조직의 생존력을 올리기 위한 향상된 방법이 필요하다. Keratoconjunctivitis sicca (KCS, Dry eye) is common in veterinary practice resulting from tear film de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viability of transplantation of synovial membrane in the conjunctiva of rabbit. 10 New Zealand White (NZW) rabbits were included; 5 rabbits observed clinical signs and euthanized 4 weeks after transplantation, the other 5 rabbits observed clinical signs and euthanized 8 weeks after transplantation. By applying 8mm biopsy punch, synovial membrane of synovium collected. And same sized biopsy punch removed conjunctiva of upper eyelid and synovial membrane transplanted in simple interrupted patterns. Ophthalmic examination in day 0, 7, 14, 28, 42, 56 and histologic examination after euthanasia performed. Ophthalmic examination has shown no noticeable clinical sign except early postoperative period. According to histologic examination, implanted synovial membrane was detected as round to ovoid ingression folds, well attached to implanted regions, covered by epithelium, but noticeable shrinkages were also observed along with time after implantation. Covered epithelium was similar to synovial membrane at 4 weeks after implantation, and then differentiated into cuboidal epithelium patterns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remnant synovial membrane implanted areas were markedly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long with time after implantation. Mean epithelial thicknesses and hyaluronan synthetic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s along with time after implantation. In summary, implanted synovial membrane on conjunctiva well attached and differentiated into hyaluronan synthetic cells, but noticeably shrinkages were also observed along with time after implantation. Further study needed to evaluate properties and proteomics of tear fluid and advanced technique to improve viability of implanted tissue needed.

      •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의 진로결정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남경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어떻게 정의하고 있고 진로를 계획하거나 결정할 때 고려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생각하는 진로의 의미를 알아보고 진로를 결정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것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특수목적 고등학교와 일반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업우수고등학생 12명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질문지를 사용하여 면담을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Hill(1997, 2005)의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으로 분석하였다.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진로의 의미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첫 번째,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은 진로에 대해 명확한 개념적 정의를 가지고 있었다. 진로라고 하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단계를 밟아가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는 경우와 진로를 특정‘직업’과 동일하게 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목적달성을 위해 일하는 사람의 일생과정이라고 규정한 Cochran(1994)과 자신이 종사하는 계열의 직업이라고 정의한 Tolbert(1980)의 주장과 일치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진로를 결정할 때 적성, 흥미, 전공분야와 관련된 사회적 흐름, 경제적 수준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하며 이들 간에 우선순위를 두고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가 실현하고자 하는 큰 포부를 가지고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 자기 주도적이고 스스로 동기화가 된다는 특징을 보인다.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들은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들은 진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데 있어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다. 신문이나 책 등과 같은 매체를 활용하거나 선생님이나 선배와 같은 주변 사람에게 조언을 얻기도 하며 진로와 관련된 검사를 참고하기도 한다. 두 번째, 학업우수 남자고등학생들은 누군가의 영향을 받기보다 자신의 주관을 고집스럽게 밀고 나가는 면이 있으며 최고의 지위를 가지는 직업을 추구하고 주도하는 것을 선호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자신이 정한 진로를 꾸준히 밀고 나가게 하는 힘으로 흔들림 없이 자신이 결정한 진로를 이뤄나가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세 번째, 부모와는 중요한 결정을 할 때에는 조언을 구하거나 도움을 받지만 소소한 결정이나 고민은 나누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상에 따라 부모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부모의 영향을 받기보다는 본인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직업을 참고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학업능력이 우수한 것은 전문적인 꿈을 꿀 수 있다는 점에서 도움이 되고 일반학생들에 비해 진로계획을 빨리 세울 수 있으며 다양한 경험과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우수학생이기 때문에 받는 주변사람들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진로를 선택하게 되므로 오히려 진로의 폭을 제한적으로 느끼기도 하였다. 이는 우수한 학생에 대한 진로상담 및 개입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다섯 번째, 남자라는 성별요인은 진로를 결정 할 때 선택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사회에서 남자에게 주어지는 사회적 의무인 군대 때문에 진로계획을 세우는데 차질이 생길 뿐 아니라 가장으로서 경제적인 책임을 져야한다는 부담으로 진로 선택 시 주저하거나 진로의 방향을 전환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자이기 때문에 사회적 제한을 덜 받는 경우도 있으며 성별과는 상관없이 능력이나 노력의 여하에 따라 다르다는 경우도 이었다. 본 연구는 학업우수 남자 고등학생들의 진로결정과정에서 기본이 되는 진로에 대한 개념과 진로결정과정을 질적 분석을 통해 진로관련 변인과 각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 밝힌 기존 연구를 검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도 자신의 능력에 대해 확신이 없어 고민하고 있다는 점과 학업성적이 우수한 것이 오히려 진로선택의 폭을 제한한다는 점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학업우수 남아에 대한 진로상담 및 개입이 어떻게 차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cademically superior male high school students define their career path, what they take into account when planning and deciding their path and what they experience in the process. Twelve academically superior junior students from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general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interviewed based on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and then, the data was analysed using Hill(1997, 2005)'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articipants' meaning of the career path. First, the participants appear to set the concrete conceptual definition on their path. They either see their path as 'the process' of moving towards achieving a certain goal or identify it with 'the specific job', which is in line with Cochran(1994) and Tolberts(1980)'s ideas of career path. Second, the participants take into account various factors such as aptitude, interest, social trend and economic factor and they decide the order of priority and take actions based on their own priority. Also, they show strong ambition and self motivation to actualize themselves when it comes to deciding their career path.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in deciding their career path. First, they use various methods to collect information on career path. They look at newspapers and books, consult with teachers and seniors and refer to their career-related test results. Second, they stick to their own viewpoints rather than being influenced by others and prefer to choose jobs with higher social standing. Such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make constant efforts to realize their own plan. Third, they do not appear to share trivial decision and concern with their parents although they take advice and get help from their parents when make an important decision. Some students show active interaction with their parents yet it was confined to collecting data about their parents' job, rather than being influenced by them. Fourth, being academically superior helps them to aspire to become a professional in one area and set career plans earlier than average students. However, they also feel they have a narrower range of career paths to choose from compared to others because they are expected to live up to other's expectation since they are academically superior. Lastly, gender factor shows different effects on each case. For some, mandatory military service for man and responsibility of being the breadwinner of a household that falls on men's shoulder in our society play a bigger role and make them change the path. For others, however, being a man appear to give them greater chances. Still others think career path depends on one's ability and effort regardless of one's gend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plicates and verifies previous studies that identified factors related to one's career path and their relationship through analysis of the concept and process of career path using qualitative measures. It shows that even academically superior students have doubts and concerns on their ability and that being academically superior may give them fewer alterna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unseling and intervention of academically superior male students should have different approach.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통합예술 치유 프로그램 활용 연구

        남경민 상명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실태를 알아보고 피해경험이 피해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적응 영향과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실제 진행했던 학력폭력 예방 프로그램(통합예술 치유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크게 2가지의 결론을 도달했다. 먼저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은 어떠한 유형에서의 폭력을 적어도 한 번 이상은 경험하고 있는 것 이었다.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통합예술 치유 프로그램의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 부정적인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전제가 되는 것이 자신에 대해서 온정적 및 애정적 그리고 적극성을 보이는 수업이라는 것이다. 이때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은 학교폭력으로 인한 부정적한 영향력이 감소된 것이다. 반면 연구의 한계점도 있다. 대상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만큼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은 물론 전 학생층에 걸친 연구가 행해져서 일반화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Arts Healing Program The main research was to find out about the state of school violenc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impact of the damage experience on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victim and the educationa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Integrated Arts Healing Program), which was actually conducted to alleviate the maladjustment of the victims. Two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by the study. First of all,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rveyed were experiencing any type of violence at least once. And the impact of the integrated arts healing program on school violence victims has been shown to decrease negative influence. Of course, being a premise is a class that shows compassionate, loving and active towards oneself. At this time, stud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have less negative influence from school violenc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of research. They say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s it is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follow-up study, research across all student groups as well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 대학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실태연구 : 대학의 운영.관리를 중심으로

        남경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사회봉사활동 관리과정을 파악하기 위해 6단계로 세분화 해서 살펴보았으며 사회봉사활성화를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교의 운영과정을 중심으로는 첫째, 사회복지를 전담하는 조직이, 둘째, 사회봉사프로그램 계획 및 업 무설계가, 셋째, 사회봉사를 필수로 하는 모집활동의 활성화, 넷째, 학생들 의 적성과 욕구파악을 위한 성향검사를 활용한 면접과정, 다섯째, 상대평 가보다는 절대평가나 Pass/Fail 과목으로 학생들의 선호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교육과 훈련, 여섯째, 다양한 사회봉사 프로그램 진행 및 평가채널을 통한 지도감독 및 평가 등이 활성화 되고, 마지막으로 사회봉사 이수자들 에게 다양한 봉사방법을 개발하여 인정과 보상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사회봉사활동의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전담인력의 확충과 예산지원을 위한 정책결정권자의 인식개선, 둘 째 자원봉사 현장과 봉사학습으로 연계된 사회봉사활동의 제도화, 셋째 대학생 사회봉사활동 인센티브제도 강화, 넷째 대학평가인증의 사회봉사 평가영역의 질 평가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사 (2005~2014) 문항 분석 : 교육목표와 평가목표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남경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의 평가 체제는 정상적인 교육활동을 방해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평가가 교육목표 설정과 내용선정, 교수-학습 활동 단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쳐 교육활동이 목표 달성이 아닌 평가를 위해 파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수능의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국사․한국사 교육목표, 수능 사회탐구 영역 행동영역 평가목표를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교육목표가 지향하는 바와 각 목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5~2014학년도에 출제된 수능 국사․한국사 200문항을 행동영역 평가목표별로 분류하여 교육목표와 평가목표의 중점과 지향점을 반영하여 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아울러 문제 및 정답 이의 제기 문항을 평가목표와 관련하여 분석하고 평가목표별 문항 출제에 따른 유의점을 살펴 보았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교육목표와 수능 사회탐구 영역 평가목표는 모두 고차적 사고력 증진과, 인지적 영역 및 정의적 영역의 균형 잡힌 평가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출제된 문항은 개념·원리의 이해, 문제 파악 및 인식, 자료 분석 및 해석 영역에 치우쳐 있었고, 고차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탐구형 문항 출제가 부족하였다. 그리고 10년 동안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은 가치 판단 및 의사결정 영역 평가목표는 국사 과목의 평가목표로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생 변별을 위한 난이도 조절을 목적으로 출제한 개념․원리의 이해, 자료 분석 및 해석 영역에서 문제 및 정답 이의 신청이 집중되었다. 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시급한 작업은 문항 출제 전 교육목표와 평가목표에 대한 명확한 인지 및 목표에 따른 문항 분류 작업과, 역사과 개별 평가목표 설정이라고 생각된다. 교육과정 교육목표를 바탕으로 변화된 수능 한국사 시험에 적합하도록 한국사 과목 개별 평가목표를 설정하고, 교육목표와 평가목표 그리고 문항 출제 간에 일관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고차적 사고력 증진을 위해 탐구형 문항과 개념형 문항 수를 조절하고, 정의적 영역까지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난이도 조절을 위해 활용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자료나, 모호한 답지 표현 등에 주의를 기울여 문제 및 정답 이의 신청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역사교육의 목적이 무엇인지 생각하여, 입시 위주의 학교교육 쇄신과 현행 수능 체제의 변화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남경민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에 따라 전 세계 국가들은 경제·사회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세계화로 인해 경쟁이 심해지고 기존 질서의 붕괴로 곳곳에서 경기 침체가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각 국은 혁신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로써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실업률 악화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고 주요 수단으로 대학과 기업 간 산학협력에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정부 정책의 변화에 따라 대학은 기존 교육 및 연구 기능과 더불어 기술이전 등 영리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가적 대학(Entrepreneurial university)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산학협력은 과학기술을 통한 국가 경제발전을 위한 수단으로서 정부 주도의 국가주의 모형으로 발전해왔으며 2003년 관련 법 제정으로 본격화되었다. 이와 같이 경제적·사회적 요구와 맞물려 대학의 책무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면서 산학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삼중나선 모형 등을 통해 산학협력에서 정부의 역할도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산학협력에 대한 연구는 대학과 기업 또는 정부와 대학 측면에서 분절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정부, 대학, 기업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하여 자원이존이론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대학 교원의 연구역량(SCI급 논문 수, 특허 등록건수)와 조직역량(산학협력단 규모 및 전문 인력 비율, 산학협력중점교수 수), 교육역량(취·창업 교육과정)이 기술사업화 및 학생 취·창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을 통해 정부 재정지원정책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 교원의 연구역량은 기술사업화 성과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교육성과는 학생의 취·창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반해 대학의 산학협력 지원 조직역량 및 정부 재정지원 정책은 기술사업화 및 취·창업 성과 제고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중점교수 제도 개선, 기술사업화의 질적 제고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이를 자원의존이론 관점에서 본다면 대학 측에서는 기업체에 대해 연구 성과의 기술이전과 졸업생의 취업에 대한 수요, 정부에는 재정지원을 기대하고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기업과 정부는 대학의 우수 연구 성과와 행정적 지원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재정 자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세 주체가 함께 상호작용하며 기술이전이라는 혁신성과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삼중나선 모형이 실제 구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원의존이론에 기반하여 각 주체별 필요자원을 해석하고 삼중나선 모형에 따라 산·학·관 세 혁신주체의 활동이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한 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산학협력 관련 정부 정책과 대학 내 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산학협력 성과 제고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아타풀가이트를 이용한 연직차수벽 차수재 개발에 관한 연구

        남경민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흙, 벤토나이트-시멘트, 강재 등 기존의 차수재들은 화학물질이나 해수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경우 투수성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 것에 감안하여 화학적 오염물질과 해수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아타풀가이트, 분말슬래그 등을 이용하여 차수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아타풀가이트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점성과 침강시험을 하였고 아타풀가이트와 토사를 혼합하여 각각의 혼합비와 함수율에 따른 투수계수, 담수와 해수에서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벤토나이트-시멘트 차수재를 대체할 수 있는 아타풀가이트-분말슬래그 차수재를 일정기간 수중양생하여 투수시험을 하였고 아타풀가이트와 분말슬래그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아타풀가이트-분말슬래그-모래 차수재에 대한 투수시험을 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아타풀가이트-분말슬래그 슬러리의 고결과정을 관측함으로써 그 결과를 현장 시공계획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아타풀가이트는 교반시간과 첨가량에 따라 점성과 침강율이 변하나 분산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첨가량에 따른 점성의 미소한 변화만이 있었다. 아타풀가이트-토사 차수재를 투수시험 한 결과 아타풀가이트 첨가량은 5?8%, 함수율은 45%내외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타풀가이트-분말슬래그 차수재는 양생시간이 지남에 따라 단단히 고결되어 투수계수가 낮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아타풀가이트를 첨가한 모든 차수재는 해수에 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결과정 관측시험은 약 3일이 경과되면 고화되기 시작하여 30일이 경과된 후에는 충분히 고결되어 차수벽체로서의 구조적인 기능을 지닐수 있었다.

      •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이 유아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남경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다양한 Graphic Organizers를 Storybook 수업 단계에 적용해 봄으로써 유아의 영어 읽기와 쓰기, 영어 학습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E 영어 유치원 7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5주간 총 10차시에 거쳐 실험집단은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을, 통제집단은 의사소통 활동을 활용한 Storybook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은 유아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 후 영어 읽기검사의 평가 점수를 바탕으로 영어 읽기능력의 향상 정도를 살펴본 결과,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하여 Storybook 수업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영어 읽기능력이 전반적으로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영어 읽기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을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어휘력, 구문이해력, 내용이해력 세 영역 모두 통제집단의 점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은 유아의 영어 쓰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사후 영어 쓰기능력 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영어 쓰기능력의 향상을 알파벳 쓰기, 단어쓰기, 문장쓰기의 세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단어쓰기, 문장쓰기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은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흥미도 검사지를 바탕으로 실험 전과 후의 흥미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을 학습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영어 학습 흥미도의 향상을 보인 반면 통제집단의 유아들은 오히려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의 흥미도가 오히려 조금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영어 학습 흥미도를 영어 교과에 대한 흥미, 영어 기능에 대한 흥미, 영어 읽기 자료에 대한 흥미의 세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특히 영어 기능에 대한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Graphic Organizers를 활용한 Storybook 수업은 의사소통 활동을 활용한 Storybook 수업보다 영어 읽기와 쓰기 및 영어 학습 흥미도 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torybook lesson using graphic organizers on young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This study employed an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where two classes of the equivalent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English were chosen as research samples by pre-test. The classes consist of 40 7-year-old young children of English kindergarten in Seoul. The research lessons were conducted 10 times over a period of 5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ook storybook lessons using graphic organizer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storybooks based on CLT(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ading test results between the two groups. The group learning English with storybooks using graphic organizers displayed a higher level of improvement in their reading abilities in English than the group taught through CLT. Second,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riting test results. The group learning English with storybooks using graphic organizers displayed a higher level of improvement in their writing abilities in English than the group taught through CLT.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nglish inter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oup learning English with storybooks using graphic organizers showed a higher level of increase in their interest in English than the group taught through CLT. From these findings, we can conclude that English learning with storybooks using graphic organizers is relatively more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interest in English than storybook lessons based on CLT.

      • 유아교육에서의 리듬의 의미와 활용에 관한 고찰

        남경민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s grow by being influenced by rhythmical movement, e.g. mother's heartbeat, bloodstream, breath, and voice, etc. since they are in the mother's womb, and live with internal rhythm, e.g. emotion, intelligence, as well as body after birth. Besides, there are outside rhythm, e.g. natural phenomenon, change of season, other people, objects, situation, etc. exist in the world and humans make efforts to regulate toward a positive direction by recognizing internal rhythm and outside rhythm and living in harmony with them. This way, we can say that our life has rhythm, and the reason of regulating it in balance not to break it is to live more healthy and happy life. Adults are more easy to recognize the brokenness of rhythm and try to keep balance, however children have the periodic characteristic that is difficult to keep the balance of rhythm and harmony by recognizing their own rhythm. Therefore, educators close to the children with regard to their life and growth are required to exert efforts to assist them to grow in healthy rhythm. However, we can often find lots of cases which do not consider children's internal and outside rhythm in current early childhood education, e.g. education mainly with knowledg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early education which does not consider children's interest, etc. Also, even the teachers who teach the children implement education of rhythm without exactly recognizing the meaning of rhyth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hich phenomenon is regrettable. The reason of this is considered that the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has been insufficient, since the attempt of deeply considering the meaning of rhyth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s been insufficient, because the research on rhythm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o far has mostly been performed from the viewpoint of the 20th century's educationalists' rhythm teaching method. Hereupon,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rhyth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more wide viewpoint by escaping from the viewpoint of music education to mention Korean traditional infant care which includes the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the energy of the nature and the stream of season among the various viewpoints related to rhythm and the importance of rhythm in their childhood, and searched for the meaning of rhythm in Syto Kimiko(齋藤公子) and Rudolf Steiner's education, who practised the rhythm in the early childhood in their education and research the implication of rhyth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which utilized rhythm in reality. This research was performed as following procedure. As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implemented, and as the general performing process, the research was divided into problem definition,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ult deduction. The meaning of rhythm included in Korean traditional infant care can be searched in the philosophy of life, the energy of universe is rightly connected with human energy. Baby blanket care, which shares rhythm with mother, traditional play according to season and term, natural play device which contains the energy of nature, traditional tone, etc., show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was made on the basis of the rhythm of the universe and the nature. The meaning of rhythm which Syto Kimiko considered could be searched in the Sakura Sakuranbo rhythm movement which she suggested. Sakura Sakuranbo rhythm movement, which is the physical exercise activity to express with body along with the music is a program music, is a program made based on the evolutionary biological philosophy, i.e. human development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nature and the system, which can be said to be an attempt to match with children's basic development rhythm. In terms that it intended to maintain children's development rhythm healthily, it could be confirmed that 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hythm of childhood. The meaning of rhythm which Rudolf Steiner could be searched in Waldorf's childhood education. Waldorf childhood education makes spatial rhythm be naturally infiltrated and recognized through the stream of a day, week, month, and a year, which are the life of the children. Children can get emotional stability through the rhythmical life to which their life assigned the principle of order. In terms that this emotional stability can be the basis to have a healthy life either in quantity or quality, the importance of rhythmical life in childhood could be confirmed.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rhyth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hythm education has the characteristic to be performed by using play, exercise, and expression. As the method to educate rhythm, which is invisible, the method of rhythm education could be investigated that it has been performed through ‘play’, which considers children's interest, ‘exercise’, which promotes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expression’, which is easy to express one's thought or feeling with language or gesture. Second, rhythm education promotes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toward a positive direction. The basis of rhythm education is to compose children's physical and mental rhythm healthily and stably, so that it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can develop children's mind and body toward a good direction. Third, rhythm is inherent in children's life itself. Human has his own intrinsic rhythm, and intends to have balance and harmony not to break the rhythm in the system or the universe and the nature. Rhythm is inherent in breath, natural phenomenon, season, daily life, etc., which are children's life, and it could be recognized that a true rhythm education is to create a rhythmical life atmosphere to desirably form body, spirit, and mind by considering this rhythm in childhood. 인간은 태내기 때부터 어머니의 심장박동, 혈류의 파동, 숨소리와 말소리 등의 리듬적 움직임에 영향을 받고 자라며 세상에 태어난 후에도 신체뿐만 아니라 감정, 지성 등의 내부 리듬을 갖고 살아간다. 이외에도 세상에는 자연 현상이나 계절의 변화, 타인, 사물, 상황 등의 외부 리듬이 존재하며 인간은 내부 리듬과 외부 리듬을 인식하고 조화를 이뤄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하고자 노력한다. 이렇듯 우리의 삶에는 리듬이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리듬이 깨어지지 않도록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은 삶을 좀 더 건강하고 행복하게 영위하고자 함이다. 성인들은 리듬이 깨어짐을 인식하고 균형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쉬운 반면에, 유아들은 자신의 리듬을 인지하고 리듬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어려운 시기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아의 삶, 그리고 발달에 있어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교육의 담당자들이 유아가 건강한 리듬 안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도모해 줄 필요가 있다. 허나 현재의 유아교육에서는 지식을 위주로 하는 교육이나 영재교육, 유아의 흥미를 배려하지 않고 시행하는 조기교육 등 유아의 내적 외적 리듬을 고려하지 않는 모습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조차 유아교육에서의 리듬의 의미를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한 채 리듬의 교육을 하고 있는 현상은 참으로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는 지금까지 유아교육에서 리듬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 20세기 음악교육학자의 리듬교수법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기에 유아교육에서의 리듬의 의미를 깊이 고찰해 보는 시도가 부족하여 그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가 부족했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에서의 리듬의 의미에 대하여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관점에서 살펴보고 고찰하는 것으로 리듬과 관련한 다양한 관점 중 자연의 기운과 절기의 흐름에 맞는 교육내용을 내포하고 있는 한국 전통육아, 유아기 리듬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그것을 교육으로 실천한 학자인 사이토 기미코(齋藤公子)와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교육에서 리듬이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찾아보고 리듬 활용 실제를 함께 분석하여 리듬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에 의했으며, 일반적인 수행과정으로 볼 수 있는 문제규정, 자료수집, 자료분석, 결과도출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전통육아에 내재된 리듬의 의미는 우주적 기운이 곧 인간의 기운과 연관된다는 삶의 철학 안에서 살펴볼 수 있다. 어머니와 리듬을 공유하는 포대기 육아, 계절과 절기에 따른 전통놀이, 자연의 기운이 담긴 자연물의 놀잇감, 전래음율 등에서 우주와 자연의 리듬에 기초하여 교육내용이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이토 기미코가 본 리듬의 의미는 그녀가 주창한 사쿠라 사쿠란보 리듬운동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음악과 함께 신체로 표현하는 신체 운동활동인 사쿠라 사쿠란보 리듬운동은 인간의 발달이 우주와 자연의 질서와 체계 속에서 발달해간다는 진화생물학적 사상을 기반 하여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이는 유아의 기본적인 발달 리듬을 맞춰주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유아의 발달 리듬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유아기 리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루돌프 슈타이너가 본 리듬의 의미는 발도르프 유아교육에서 살펴볼 수 있다. 발도르프 유아교육에서는 우주적 리듬을 유아의 생활이 되는 하루, 주, 달, 1년의 흐름을 통해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유아들은 자신의 삶에서 질서의 원리를 부여한 리듬생활을 통해 정서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정서적 안정감은 양적으로든 질적으로든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유아기 리듬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통해 리듬의 유아교육적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교육은 놀이, 운동, 표현을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리듬이라는 것을 교육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아의 흥미를 고려한 ‘놀이’를 통해, 유아의 신체와 정서적 발달을 도모하는 ‘운동’을 통해,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나 몸짓으로 나타내기 쉬운 ‘표현’을 통해 리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리듬교육은 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도모한다. 리듬교육의 기초는 유아의 신체와 정신적 리듬을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구성하게끔 하기 위함이므로 유아의 심신을 좋은 방향으로 발달하도록 한다는 데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셋째, 리듬은 아이들의 삶, 그 자체에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인간은 각자 고유의 리듬을 가지고 있으며, 우주와 자연의 질서와 체계 속에서 리듬이 깨어지지 않도록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리듬은 아이들의 삶인 호흡, 자연현상, 계절, 하루일과 등에 내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듬을 고려하여 유아기에 신체와 영혼, 정신을 바람직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리듬적인 생활 분위기를 조성해 주는 것이 진정한 리듬교육임을 인식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