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 코로나 건설 현장 보건 위생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문창섭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감염병은 인류 문명의 탄생 이래로 꾸준히 함께해 왔다. 초기의 감염병은 열약한 식생 환경에서 나왔다. 중세 유럽을 휩쓴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30%를 말살했다. 첨단 문명 시대의 시대에 대부분의 국가가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여행이 가능한 지금, 바이러스는 바다와 하늘을 막지 않는 이상 지구 어디든 도달할 수 있다. 특히, 교통발달로 국제간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해외 유입 신종 감염병의 국내 전파가 빨라짐에 따라 이제 감염병은 국제적 차원의 사회재난으로 간주되고 있으며(정인숙, 유정옥, 하미정, 2017) 우리나라에도 전파된 해외 감염병 재난은 10년 사이 3번 이상을 경험을 하고 있다(이다은, 2017). 이번에 발생한 코로나19는 현재까지(5월 23일 기준) 전 세계 감염자가 5,168,433명, 사망자 335,936, 완치자 1,985,656명을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주요 증상인 고열과 기침, 호흡곤란과 최대 14일의 잠복기를 갖는 특징적 증상을 가졌다. 감염원은 동물로 추정되며 사람 간 전파는 주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된다.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는 사회·산업 전반에 걸쳐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국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파악했다. 건설현장은 인력 활용이 많고 밀집 작업과 숙소 등 단체생활로 인하여 확진자 발생 시 집단감염의 위험이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가 많고 한 명이 여러 건설 현장을 출입하는 근로자가 많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그뿐만 아니라 고령 근로자의 비중까지 높아 고령일수록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코로나19에 노출될 경우 회복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가 국외에서 국내로 유입하여 소강상태를 보이는 5월까지의 단계를 관찰했는데 건설근로자의 확진자가 일반인의 확진자 수에 비해 훨씬 적었다. 그 이유는 기저 질환자 사전 제어, 초기 의심증상 근로자의 효과적 통제, 기 비치된 마스크 신속 활용 등 이었다. 그러나 해외 건설 근로자가 폭증할 시기를 대비하여 싱가포르의 사례분석을 통해 근로자 외부 숙소 상시점검의 필요성을 끌어냈다. 코로나 관리 모범국가였던 싱가포르 건설 현장의 재확산 요인이 외국인 건설근로자 구역의 통제 불능에서 기인한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설업에 적합한 체계적인 초기 대응과 사업장 측면의 규제 관리는 물론 근로자의 외부 숙소의 상시 보건점검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주요 대책 이외에도 현장 내부에서 강화할 수 있는 부분, 즉 효과적인 통제, 위생관리 및 과밀방지 강화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 외부요인 즉 근로자 외부 숙소 등 통제 사각지대의 위생관리를 제도화하여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 발생 시 건설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매뉴얼화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를 둔다.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together steadily since the birth of human civilization. Early infectious diseases came from a poor vegetation environment. The Black Death that swept through medieval Europe wiped out 30 percent of Europe's population. Now that most countries are free to travel across borders in the age of high-tech civilization, viruses can reach anywhere on Earth unless they block the sea and the sky. In particular, as traffic development increases the spread of new infectious diseases introduced into the country, infectious diseases are now regarded as an international social disaster (Jung In-sook, Yoo Jeong-ok, Ha Mi-jeong, 2017), and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disasters that have also been spread to Korea have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imes in 10 years (Eun, 2017). The latest outbreak of COVID-19 has so far recorded 5,168,433 infections worldwide, 335,936, and 1,985,656 fatalities. Corona19 has major symptoms: high fever and cough, shortness of breath and a maximum incubation period of 14 days. Infection sources are estimated to be animals, and human-to-human propagation is mainly spread through respiratory secretions. The powerful COVID-19 has dealt a huge blow to society and industry as a whol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virus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sites utilize a lot of manpower and there is a risk of collective infection in case of confirmed cases due to group life such as intensive work and accommodation. It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vulnerability of COVID-19 infections, as there are many foreign workers and one person entering and leaving several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he high proportion of elderly workers makes it very unlikely to recover if exposed to COVID-19, which has a higher mortality rate as they get older.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stage until May when COVID-19 flowed into the country from abroad and showed a lull, and the confirmed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public. The reasons were pre-control of the underlying patients, effective control of workers with early suspected symptoms, and rapid use of the masks provided. However, in preparation for a surge in the number of overseas construction workers, a case analysis in Singapore has drawn the need for a regular inspection of the workers' accommodation outside the country.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re-prolifer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in Singapore, which used to be a model country for Corona management, is largely due to the out of control of the foreign construction worker zon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systematic initial response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regulatory management on the site side as well as regular health checks of workers' outside accommodation were needed. In addition to the main measure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s to enhance the areas that can be strengthened inside the site: effective control, hygiene control and overpopulation prevention. In addition, the focus was on improving the poor environment by institutionalizing the hygiene control of controlled blind spots, such as on-site external factors, such as workers' external accommodation.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o manualize measures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viruses at construction sites so that they can be dealt with promptly.

      • 건설업체간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공사 낙찰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우현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가 출범하면서 정부조달협정(GPA: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에 따라 1997년부터 정부조달시장이 개방됨으로써 건설시장은 개방화.세계화와 더불어 지방화라는 새로운 건설환경을 맞이하게 되었다. 세계화와 지방화는 서로 상반되는 개념인 것처럼 보일수 있으나, 세계화속의 지방화라는 하나의 틀속에서 보면 대형업체가 추구해 나가야 할 방향과 지방중소업체가 추구해 나가야 할 방향이 상호보완적인 것이 되어 건설업체 전체가 함께 달성해야 할 목표개념이다. 본 연구는 공공공사 수주분석을 통한 낙찰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건설업체간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공사 낙찰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와 통계자료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재 운용되고 있는 주요 낙찰제도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외국의 지역별 및 규모별 낙찰제도를 분석 및 사례를 조사하였다. 공공공사 수주분석을 통한 낙찰제도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였고, 입찰계약제도 전문가의 면담조사를 통하여 건설업체간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공사 낙찰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공사 수주분석을 통한 낙찰제도의 문제점으로 첫째, 건설업체간 시장점유율 분석결과 중견건설업체에게 수주기회가 축소되고 있다. 둘째, 건설업체간 수주실적 분석결과 초대형업체는 턴키.대안공사, 중견업체는 최저가공사, 중견.중소업체는 적격심사 낙찰제 대상공사에서 주된 건설시장으로 영역화되고 있으며 건설업체간 수주영역이 양극화되고 있다. 셋째, 중소건설업체의 수주실적 분결결과 중소건설업체의 수주실적이 저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건설업체간 균형발전을 위한 공공공사 낙찰제도의 개선방안으로 첫째, 공사발주 및 낙찰제도의 선진화와 균형발전요소를 고려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입찰우대(bid preference) 제도를 도입하여 균형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PQ대상공사 공종축소 및 금액확대, 유자격자 명부에 의한 등급제한 입찰제도의 실적평가, 지역제한입찰제도 및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한도액, 무자격 부실건설업체의 퇴출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PQ대상공사 경영상태평가, 최저가낙찰제.턴키 낙찰제, 분할발주 방식 확대에 대한 제도개선을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건설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 국제경쟁력을 갖추도록 균형있게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국민경제와 국민의 생활안전에 기여하고 대형업체와 중견.중소업체간 상생전략(win-win strategy)의 방향으로 건설업체간 균형발전이 필요하다.

      • 사례분석을 통한 실내건축업의 하자담보책임기간 적용 개선방안 연구

        김성중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내의 실내건축업은 신규 건축물의 분양성 향상을 위한 실내 마감 품질의 향상과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마감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실내건축업은 공사의 공법 및 자재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건축공사는 단순한 실내마감의 공사가 아니라 복합적인 성격을 띠는 공사로 발전하게 되었다. 모든 공사는 완벽한 설계와 시공으로 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무결점 공사는 자재의 불량, 부실시공 등 복합적인 이유로 인해 실질적으로 달성이 불가능하다. 건설산업기본법에서는 실내건축업의 하자에 대한 책임을 위해 각 공종에 따라 하자담보책임기간의 규정을 두고 있다. 건설산업기본법의 하자담보책임기간 법적 규정은 공종별 구분이 미흡하기 때문에 실내건축업 하자담보책임기간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규정이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자담보책임기간의 법적기준 및 실제 발주자와 시공자간의 계약 시 적용되고 있는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례대상으로 건설사 및 민간기업 그리고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12개 사례의 실내건축공사현장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계약 시 설정한 하자담보책임기간과 건설산업기본법 및 공동주택관리법에서 규정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사례분석에서는 실내건축공사의 공종 중 몇 가지 공종은 건설산업기본법의 하자담보책임기간이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실제 계약 시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일괄적인 기간 적용으로 공종 구분이 불명확한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도출된 문제점에 대해 전문가 검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방안은 여러 공종의 복합적인 성격을 띠는 실내건축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건설산업기본법 하자담보책임기간의 기준이 없는 금속공사, 목공사, 유리공사, 가구공사의 하자담보책임기간 공종별 기준을 추가하는 세부공종 합리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에 규정되어 있지 않던 공종이나 변경이 필요한 공종에 대해 실내건축공사 계약 시 적정한 하자담보책임기간의 설정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The quality of domestic indoor construction industry is rising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terior finishing quality for sales performance betterment of new buildings and remodeling finishing standard of existing buildings. Therefore,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are diversified in the indoor construction industry. Interior architecture construction has evolved into a complex construction, not just a simple construction of finishing indoors. In principle, all constructions should be designed and constructed perfectly thus any defects do not occur. However, zero defect construction can’t be practically achieved due to complex reasons such as poor materials and weak construction.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stipulates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according to each construction type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defects in the indoor construction industry. The legal regulations for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of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insufficient to divide construction type; thus it’s necessary to set specific legal regulations for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of indoor construction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legal basis of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and the problems through the case analysis of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which was applied during the contract between the actual client and the contractor. The study method was based on the case analysis from 12 cases of interior construction sites in construction companies, private companies, and public institutions. The case analysis compared and analyzed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that was established at the time of contract and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that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partment House Management Act stipulated, and drew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case analysis,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of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were not specifically stipulated in some of constructions types of indoor architecture construction. In addition, unclear problem to classify construction type was derived from applying across-the-board period of the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during the actual contract. This study suggested an improvement through expert’s verification about the problems that were foun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construction industry that has a complex nature of various construction type, the improvement plan of this study suggested method to improve the rationalization of detailed construction type by adding the standard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to construction types such as metal construction, carpentry, glass construction, which don’t have any standard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from the existing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improvement to set the period of proper defect warranty liability period during indoor architecture construction for construction types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defined or requires modification.

      • 소규모건설현장의 현장관리인 자격제도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자격제도와 교육을 중심으로

        김강섭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소규모 건설현장에 대한 안전과 시공품질 향상을 위해 2017년 2월에 신설된 현장관리인 제도는 시공과 안전에 취약한 소규모 현장에 대해 안전시공과 저가 시공을 막기 위해서 신설 되었다. 소규모 현장관리인 배치 시 조건으로 자격조건, 학력조건, 경력조건을 기본점수 이상 취득 시 배치조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때 건설현장 업무조건과 맞지 않는 현장관리인이 배치 될 수 있어 현장사례와 설문조사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안이 필요하다.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현장 관리인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관리인 업무자에 대한 자격자측면, 경력자측면, 교육적 측면, 제도적 측면에 대해 분석하여 소규모 현장관리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소규모 현장관리인 제도에 대한 문제점으로 현장경력은 충분하지만 경력인정에 대한 신뢰인증이 부족하여 건축전문분야 학력과 건축분야자격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다. 현장관리에 중요한 경력인정에 대한 문제점과 현장시공업무와는 맞지 않는 자격검정으로 소규모 현장관리인 배치제도에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소규모 현장관리인 개선방안으로 경력인정을 위한 건축주나 선임자에게 인정받고 확인서를 발급받는 제도 구축을 제안하였다. 자격취득에 부족한 시공지식은 실무교육을 통해 보안을 제언 하였다. 상기에서 제시한 개선방안을 활용하여 소규모 현장관리인에 대한 경력확인제와 기술자격 검정제도를 보완한다면 소규모 현장에 대한 공사 관리 능력과 효율적인 소규모 현장관리인 배치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te supervisor system was introduced in February 2017 to improve safety and construction quality on small construction sites; the system purports to promote safe construction and discourage corner-cutting in construction at small-scale sites which are more vulnerable.  Qualifying conditions for small-site supervisor includes qualification, academic education and career records; candidates have to earn a certain number of scores to be eligible. This system, however, runs the risk of qualifying those who are not fit for construction site work.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identify issues with small-site supervisor system and propose improvements. This paper analyses the job of site supervisor from the perspectives of qualification, career professional, education and system in order to propose improvements.  Issues with the current system include that, while field career condition is sufficient, there is a lack of trust in career qualification. So they ask for additional qualifications in terms of academic education in architecture and qualifications in architecture. Issues with field experience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system inept for construction work are identified as issues with site supervisor system.  Proposed improvements call for a system where candidates can get a certificate of work from client or senior supervisors. Any gap in knowledge in construction work can be ridged through on-the-job training.  The above proposal, which seeks to implement a field experience certification system and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for small-site supervisors, will improve construction management capacity at small construction sites and a more appropriate operation of supervisors. 

      • 도시철도 건설 분야의 설계VE 적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수만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With sign-up of GPA( Government Procurement Agreement ) and striking of Uruguay Round, Korean construction market has faced open stage of carrying out construction ,design and services especially in sizable contracts. Through LCC(Life Cycle Cost) which is a major function for Cost Management and with analysis of function, VE(Value Engineering) started to bear great importance in Korea. Because VE can satisfy many functions at a low cost. Since VE appeared in Korea in 1964 domestic competition of VE has deepened. After going through Asia-wide Financial Crisis in 1997,increasing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beca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In 2000, with including enforcement of VE in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Private companies and government affiliated organizations generalized the use of VE. Also during the late 2005, the volume of VE construction increased to 50 billion won from 10 billion won and the volume is expected to get bigger. However, subway construction from domestic market, which is one of the main public works, not even single business practice carried out. This is due to lack of awareness and support of VE and backward situation can be recognized in the subway construction field here. This research is to bring about awareness change with effect of Design VE in home and abroad and also to help those engaged in construction field to accept and materialize organized, systemized and creative changes. To do so, the problems and current stages of Design VE was analyzed through inquiry from subway construction expert working at field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interviewing with experts and document survey , idea to vitalize VE was brought out and the summary of thesis is as follows. (1) Design VE system and System improvement For efficient operation and systematic settlement of Design VE, activizing system and process are needed. First of all, We introduced centralized and distributed system and given the fact that Design VE is still at an early stage, we chose centralized system. Until now, the frequency of implementing ordinance of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was once a year. However, given the design traits of subway construction, Design VE will be carried out twice a year before the design inquiry. This means that we introduced appropriate process for subways to achieve highly qualified outcome. (2) Making basic environment to conduct Design VE If Design VE for subway construction which is still at an early stage to accept VE is forced bylaw and social atmosphere to use it, procedures will become complicated and also the cost of using VE will get expensive. Thus, this research suggests establishing systematic data base for nurturing experts, intial construction cost at an early stage. And that will make Design VE carry out without hindrance. (3) The rest When workshop is held or analysis is conducted, the important but the hardest thing between design construction companies in terms of vitalizing the use of VE is changing their understanding. To overcome this difficulty, efforts to educate companies on Design VE, maintaining mutual relationships with advanced governmental investment institutions and to not only minimize cost by conducting design review and supervision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but also by improving functions are needed. Also, we took a look at those Design VE constructions which are expected to be ordered. Along with presentation of Turn-Key Base Bidding originally ordering way for big heavy rail transit and light rail transit , adaptable VE to private investment enterprises is indicated. Finally, this research has a great meaning as the first attempt to vitalize VE in subway construction field. We tried this study to be an empirical that follows special surroundings through conducting survey on subway design experts. On the other hand,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and business practice of Design VE and because the research was done through interview with other construction expert not subway construction ones and pre-exiting documents, there is a limit on this research for concrete and in depth measures. If this shortcoming is filled with successive study,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Design VE is possible. 국내 건설시장은 정부조달협정 가입과 우루과이라운드 협정의 타결을 시작으로 공공건설 분야의 시공부분과 설계용역분야 중 일정규모 이상의 토목부분이 개방되는 등 국내 건설시장은 전면 개방시대를 맞고 있다. 이에 Cost Management를 위한 핵심적인 기능으로서 Life Cycle Cost(LCC)이론과 더불어 기능(Function)분석을 통해 최소의 비용(Cost)으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Value Engineering(가치공학 : 이하, VE)의 중요성이 크게 증가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64년 VE가 처음으로 소개된 이후 정체된 양상을 보이던 중 국제경쟁이 심화되고, 특히 1997년 금융위기를 경험하면서 “효율성 증대”,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2000년 건설기술관리법 개정에 VE시행을 법제화한 이래로 민간산업체를 비롯 정부직할산하기관 등에서 보편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2005년 후반기부터는 VE실시 대상공사 규모가 500억에서 100억으로 확대 적용되어 더욱 활성화될 전망 이다. 그러나 국내 토목공사의 대표적인 건설 공사인 도시철도 분야에서는 제도적 뒷받침 미흡 및 인식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해 단 한건의 실적도 없이 설계VE활동의 후진적 실태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ㆍ외에서 수행한 설계VE의 효과를 귀감으로 삼아 설계VE에 대한 의식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여 계획적이고 조직적이며 창조적인 활동과 변화를 받아들이고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의 풍토가 조성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도시철도 설계분야 전문가들의 설문을 통한 도시철도 건설 분야의 설계VE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VE전문가들과의 면담과 기존문헌 조사 등을 통하여 VE적용 활성화를 위한 전반적인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설계VE 시스템 및 제도 정비 효율적 운용과 체계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설계VE 실행 시스템과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 중앙형 시스템과 분산형 시스템을 소개하고 그중에 설계VE 초기 도입단계임을 감안하여 중앙형 시스템으로 제안하였으며,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에 시행시기를 1회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도시철도 분야의 설계 특성을 감안하여 기본 및 실시설계의 설계자문이 있기전 2회에 걸쳐 설계VE를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질 높은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시철도에 적합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2) 설계VE 수행을 위한 기반환경조성 설계VE를 적용하는 초기단계에 있는 도시철도분야에서 설계VE를 법적인 강제성과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수행하다보면 형식에 맞춰지는 설계VE가 되어 절차만 늘어나서 비용증가만 초래하는 결과가 나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가의 양성, 분석단계의 초기공사비를 위한 체계적인 DB 축적, 각 지방자치단체 조례 및 지침 제정을 통해 소기의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설계VE 기반 환경을 조성하는 안을 마련하여 설계VE 수행이 원활히 이루어 질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3) 기 타 워크샵 및 기능 분석당시에 설계관련주체간의 이해관계로 인한 실질적인 설계VE의 효과를 얻기 위한 각 주체들 간의 인식의 전환은 VE활성화에 있어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어려운 장애요소이다. 이를 극복하고 활력을 줄 수 있도록 설계VE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선진화되어 있는 다른 여타 정부투자기관들과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며, 과거 통상적인 설계 완료 후 설계심사나 설계감리 수행에 따른 원가(Cost)절감만의 소극적인 자세를 넘어 성능(Function)향상까지 고려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발주가 예상되는 설계VE 대상공사를 살펴보고 대형중량전철과 경량전철공사의 발주방식인 설계시공일괄입찰방식과 민간투자사업의 방식에 맞는 VE적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도시철도 건설 분야의 VE활성화를 위한 최초의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도시철도 건설분야의 설계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시철도 건설 분야만의 특수한 여건이 적용 가능한 실증연구가 되도록 노력하였다. 그러나 설계VE에 대한 이해도 및 실적의 부족으로 인하여 도시철도 전문가가 아닌 타 건설분야에서 활동중인 VE전문가의 면담과 기존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되다 보니 보다 심층 깊은 구체적인 방안제시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개별적인 후속연구로 보완된다면 보다 더 효과적인 설계VE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건설시공관리자 BIM 교육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박기경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한민국 건설 사업은 생산성 저하라는 화두와 경제위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하나로 BI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BIM 교육이 대학교, 산업체를 통하여 시행되고 있지만 건설시공관리자에 대한 교육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회사 내부 BIM 교육은 직무와는 상관없이 단순 BIM 3차원 모델링 교육만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피교육자의 학습의욕을 떨어뜨리며 나아가 BIM 무용론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관련된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연관성이 있는 BIM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시공관리자의 BIM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국가직무능력에서 제시한 건설시공관리자의 직무요소 중 BIM 도입이 가능한 요소를 식별해 내었고 BIM 기능을 정의, 건설시공관리자의 직무와 BIM 기능과의 연관성 및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건설시공관리자의 대분류 직무 중 BIM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직무는 5개 이며 이들 직무의 연관성 순서는 건설공무능력, 건설공정관리능력, 건설환경관리능력, 유지관리능력, 공통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설환경관리능력은 BIM 교육을 위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BIM TOOL이 없음이 지적되어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중분류만 포함되었다. 이를 위한 향후 BIM TOOL이 개발된다면 본 연구결과에서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셋째, BIM TOOL의 기능 중 건설시공관리 업무와 관련된 기능은 총 9개 이며 이중 빈도가 가장 높은 기능은 정보의 시각화, 공사비관리, 물량산출, CP관리, 설계검토 및 관리, 시뮬레이션, WBS관리, 시뮬레이션, 이력관리, 간섭체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분류 건설공정관리 중분류 지연공기만회대책실행 세부사항 공사비 관리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항목 상위 순위 10개가 모두 중분류 건설공정관리능력과 건설공무관리능력에 포함되며 이는 델파이 기법에서 도출된 결과와 같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설시공관리자의 BIM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요소 도출이 이루어 졌으며 향후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에서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The construction business in the Republic of Korea is steadily striving to solve a problem called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o the topic dubbed a drop in productivity. One of this solution, the necessity of BIM is being emerged. To enhance productivity, BIM education is being operated through universities and industries. However, education on construction field manager is not being performed. Company's internal BIM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just simple BIM 3D modeling education regardless of job. This education may drop subjects' learning desire and further develop into the usefulness of BIM.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necessary for analyzing job related to construction and for BIM education related to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t elements for deve- loping BIM curriculum for construction field managers. It distin- guished elements available for introducing BIM among construction field managers' job elements that were suggested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aimed to define the function of BIM and to elicit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construction field manager's job and BIM function. First, jobs, which have correlation with BIM, are 5 jobs among large-classification jobs for construction field manger sugges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he correlation in these jobs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construction technical-work ability, construction process-management ability, construction environment- management ability, maintenance ability, and common ability. Second, the construction environment-management abilit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preference for BIM education, but was indicated to have no BIM TOOL. Only this one middle classification was included in this study. If BIM TOOL is developed in the future for this, a different result will be elicit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ird, among BIM TOOL functions, the functions related to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task are totally 9 pieces. The functions with high frequency among these things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the visualization in information, the management in construction cost, the estimation in quantities, CP management, design examination & management, simulation, WBS management, simulation, history management, and interference check. Fourth, i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placing in the cons- truction cost of the detailed matter for the construction delay measure execution of middle classification in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of large classification. 10 pieces in upper placing of the detailed items are included al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ability and the construction technical-work mana- gement ability of middle classification. This is same as the result that was elicited in Delphi method. Through this study, the deduction of education elements of developing BIM curriculum for construction field managers was made. A detailed research is desired to be performed in develop- ment and research of curriculum in the future.

      • 해수담수 플랜트 EPC 건설비용 산출모델 개발 연구 : 북한지역 경제특구 중심

        강성협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북한은 27개의 경제특구 및 경제개발구를 지정하여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중이며, 남북화해무드와 대북제재 완화는 경제특구 발전에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산업발전 및 인프라 개선을 위해서는 용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나 북한의 용수공급상황은 날로 악화되고 있고, 지속되는 기후변화와 가뭄은 안정적 수자원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강우에 의존하지 않으며, 기후변화에 영향이 없는 안정적인 대체 수자원으로는 해수담수 플랜트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지역 해수담수 플랜트 건설을 위한 EPC 건설비용 산출모델을 개발하여, 향후 사업비 산출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북한 경제특구 중 동북단/동남단/서북단/서남단 총 4개 지역을 선정하고, 이에 따라 나선/금강산/신의주/개성 경제특구를 선정하였다. 또한, 해수담수 플랜트 설계인자 중 해수 입자성물질 농도와 해수 온도를 변동 설계인자로 설정하여, 한반도 지정학적 위치 변화에 따른 설계인자 변동이 해수담수 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EPC 건설비용 항목별 단가 및 비율 분석을 하였다. 검토결과 해수온도가 전체 공사비에 미치는 영향이 입자성물질에 대한 영향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고, 금강산 경제특구가 취수/전처리 설비와 RO 설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체 EPC 건설비용이 가장 경제적인 최적 입지 지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국 Qingdao 해수담수 플랜트의 설계조건과 항목별 단가 및 비율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Twenty seven (27) Special Economic Zone (SEZ) in North Korea are specified to accomplish economic revit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developed by Korean reconciliation and easing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However, the status of water resource and supply in North Korea is getting worse by not only insufficient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North Korea but also the climate change and water scarcity in the planet.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s one of best solution to enhance the stability of water, independent of rainfall and climate change. It is performed for A Study on EPC Cost Estimation Model of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n North Korea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cost estimation in the future project. In perspective of geopolitical factor in Korean Peninsular, specified four (4) SEZ are selected as northeast, southeast, northwest and southwest area individually, and they are defined to Naseon, Mt. Geumgang, Sinuiju and Kaesong SEZ.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sold and seawater temperature are set up as variable factor, and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hange of variable fact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geopolitical area and the specification of each system in the desalination plant. Also, the unit cost and ratio of each items for EPC cost estimation have been analyzed as well. In conclusion, it has been investigated that seawater temperature is prime variable factor for EPC cost estimation of Seawater desalination plant rather than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solid. And it is found that Mt. Geumgang SEZ is the most economical area to build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 in North Korea. The result of cost model is verified by the comparison between Qingdao seawater desalination plant and the cost model.

      • 국내 공공기관 건설공사 감리자 선정방식 개선방안

        신현국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국내 건설시장은 신규 발주 물량의 축소, 부동산 침체등으로 인한 건설시장의 위축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건축물의 형태와 규모는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요하는 시설물로 계획되고 있다. 최근 건축물 성향은 친환경, 에너지효율, 저탄소등의 에너지 중심에서 기능형, 지능형 건축물로 한단계 더 발전되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초지능형, 친환경 건축물의 관리 감독을 위해서는 감리와 건설사업관리(CM)용역 부분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기술력과 건설공사 관리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기관 발주 건축물을 감독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감리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감리자 선정 평가방법을 지적하고 공공기관에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감리자 선정 방식의 혁신적인 개선안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공기업에서 발주하는 건설공사 감리용역을 대상으로, 감리비 10억원 이상의 감리용역 발주사례를 통해 현제도의 문제점과 평가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면적 실적에만 의존하는 획일적인 입찰 참가제한의 문제점과 특정기관(공공기관) 건축물 준공실적만 인정하는 참가 제한의 문제점, 그리고 기술자평가(SOQ)와 기술제안서평가(TP)의 모호성, SOQ, TP평가시 평가위원 구성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SOQ, TP 평가의 강제배분식 채점방식의 문제점은 2단계 강제 배점 평가에서 1위를 한 업체가 가격입찰에서도 반드시 유리한 작용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님을 최근 6개월간 조달청에서 공개하는 개찰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공공기관의 사업 특성을 고려한 참가 제한의 다양화와 수행실적 인정 범위의 확대를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기술자평가(SOQ)는 참여기술자의 심층 면접강화를, 기술제안서평가(TP)는 회사 조직력과 기술지원체계, 그리고 책임감리원의 기술역량과, 책임성, 관리능력을 검증하는 면접 강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2단계 평가까지 우위를 점하고도 최종 가격입찰에서 예정가격 변동 폭을 가늠하기가 어려워 결국 낙선하는 경우를 최소화 하는 대안으로, 1,365개 복수예비가격의 기초가격대인 중앙을 기점으로 예정가격 운동의 폭을 차순위 업체 점수차 폭에 따라 반비례로 움직이는 복수예가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으로, 공공기관별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감리자 선정의 다양화와 권한부여를 제안하였고, 기술평가에 대한 면접강화와 가격입찰의 복수예가 방법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성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정량적 방식의 활용성 검증이 부족했고, 전문가 그룹의 인지조사 미반영의 아쉬움을 남겼다. 본 연구와 관련한 과제로서 가격입찰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감리자 선정 이후 사후 평가등에 관한 연구 과제를 남겼다. Due to recent reduction in ordering quantities and depression in real estat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suffers from its shrinkage but, at the same time, forms and scales of buildings are required and planned to be more complex and to have multiple functions. The recent trend in buildings has been developed from focusing on energy-centered elements such as the environment friendliness, energy efficiency, low carbon emissions to emphasizing functional and intelligent buildings. This study points out a uniform evaluation method in selecting a supervisor with technical skills and abilities to surveil buildings constructed under orders from public organizations and mentions that there should be innovative improvements in methods for selecting supervisors by public organization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rojects in parts of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s. With these objects, this study selects supervision services on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from public enterprises and draws problems in the curr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through cases of supervision services over costs of one billion won. It is found that the supervision services are ordered with a uniform selection method in spite of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problems of: (i) restrictions on participating in bidding depending only on records of total ground area, (ii) constraints on participation acknowledging completion records only in certain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iii) ambiguity in SOQ and TP and (iv) composition of evaluation committee for SOQ and TP. In addition, it also indicates problems in scoring of SOQ and TP evaluations with forced distribution. Through results of bidding during the last six months opened by Public Procurement Service, it is also examined that one enterprise ranked the first in the forced distribution evaluations on the second screening does not always take the lead in price bids. For improvements to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diversifying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in each project of public organizations and expanding ranges of acknowledged records. It proposes intensified in-depth interviews on participating technicians in terms of SOQ. The intensified interviews are also applied in TP to verify organizational power and technical assistance systems of an enterprise and technology and management cap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supervisors in charge. To minimize the number of cases in failing in a bid due to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range of fluctuation in predetermined amount even after holding a lead up to the second screening, the study suggests a method using a median of 1,365 estimated contract prices as starting point and making the fluctuation ran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ap in scores between the median and the second ranked enterprise. As a result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it is proposed to apply diversification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projects. The intensified interviews for technology evaluation and improvements of the method using a median of estimated contract prices as a starting point and making the fluctuation ran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ap in scores between the median and that of the second ranked enterprise are suggested. This thesis, however, lacks quantitative verification on application of qualitative improvements. For further studies, various studies on price bids and on post-evaluation of selecting supervisors are required.

      • 건설사업관리용역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명찬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용역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하여 국내와 해외 건설사업관리용역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건설사업관리단 조직구성과 건설사업관리자의 자격요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014년 전면 시행된 건설기술진흥법은 발주청의 사업관리 역량 강화와 관련 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하여 감리와 건설사업관리를 통합함으로 건설사업관리 업무영역이 확대되었으나, 국내 도로분야 건설사업관리용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관리단 조직구성과 관리체계, 건설기술 인력의 단순한 분류 시스템에 의한 전문분야 업무영역 구분은 해외시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별 전문기술자의 경력과 자격으로 인정받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부 분야별 전문자격을 갖춘 건설기술자를 배출하지 못해 실질적인 해외사업 진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해외 프로젝트에서는 사업관리단내에 분야별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고, 기술제안서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업무영역별 세부 직무의 전문지식과 경험, 자격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전담부서를 운영할 만큼 조직이 방대하지 않고 축소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기술자의 직무 전문분야도 도로, 철도 등 개괄적으로 분류되어 있어 기술제안서의 자격요건을 입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건설기술자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분야별 전담부서 운영과 세부 전문영역별 건설기술자의 직무를 구분하고, 이러한 기술자 전문 자격요건을 입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국내 건설사업관리 대가수준이 현행 약 4%에서 최소 6%정도로 상향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omestic and overseas case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abroad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team required for overseas projects and the qualification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which was fully implemented in 2014, expanded the scope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by integrating supervis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o strengthen the project management capacity of the contracting office and to promote overseas expansion of related compan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be recognized as the experienced and qualified professional technician required by the overseas job market with the current construction manage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in road projects and with the simpl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engineers, failing to produce the required qualified specialists, which is becoming a stumbling block to advance into overseas business. In the case of overseas projects, each department within the project management team is dedicated to its specific work and it is requires in technical proposals to present the expertise,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of detailed jobs in various fields of expertise. In Korea, however, the organization is not big enough and has a reduced form, and the professional field of the engineer is classified into roads, railways, etc., so that it does not have a system to prov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technical propos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edicated departments for each sector required by overseas projects and the jobs of construction engineers by specialty, and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ove these professional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to construction this system,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udget should be increased to about 6% from about 4%.

      • 일용 건설 근로자를 위한 온라인 안전교육 지원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

        김대호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건설현장의 법정 안전교육은 대부분 건설현장에서는 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충족하는데 급급한 실정으며 특히, 중소 건설사업장의 경우 교육장, 전문 강사, 교육시설 등의 불충분 문제와 사업주와 근로자의 무관심 등으로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어 안전교육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의 법정안전교육과 관련하여 사업장 자체안전교육, 기초안전보건교육, 이러닝(e-learning) 안전교육의 실태 조사를 통해 현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법정 안전교육의 실태파악을 통하여 안전교육내용 및 교육실태에 대한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일용근로자 안전교육시 온라인기반의 건설안전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닝(e-learning) 교육기관에서 일용근로자의 신규채용자 교육실시로 다양한 교육운영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이제는 기초안전보건교육기관 및 안전교육 법정직무교육기관의 건설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안전콘텐츠의 개발을 제안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3조 1항의 근로자 안전교육의 관리감독자교육, 신규채용자교육, 정기안전교육 및 특별안전교육등의 교육시 법정교육시간을 이수 하여야 하며, 해당현장 실정에 맞도록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다.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이런 교육 상황들이 안전콘텐츠의 부실을 불러온다. 근로자 법정 안전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일용근로자 이러닝 안전교육 실시 및 사업장의 특성이나 근로자의 작업공정에 맞는 영상교육, 체험교육, 해당공종별 재해사례등의 맞춤형 교육자료로 안전교육을 할 수 있는 안전교육 지원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에서 개선방안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법적안전교육을 개선한다면 해당 공정의 위험성평가를 병행 할때, 유해위험요인에 따른 안전교육 지원시스템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이며, 일용근로자의 건설재해 발생 감소에 대해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on construction sites are mostly perfunctory, barely meeting legal standards. Especially on small-to-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lack of training space, professional instructor and training facilities as well as interest from construction workers, proper training is difficult to find; this undermines the desired effect of safety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ty issues with the current practice of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at construction sites in Korea through a survey of safety training at construction sites, basic health and safety training and e-learning system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safety training, the causes of problems both in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training will be examined to offer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based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for day-to-day construction workers.     A diverse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e-learning institutions provide training for new recruits. Now, diverse safety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ser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basic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stitutions and legally-required vocational safety training centers which serve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As per Clause 1, Article 33 of Industrial Health and Safety Act, legally-required number of hours for supervisor training, new recruit training, regular safety training and special safety training should be met; tailored training is also required to serve the particular needs of the site. Singular training, insensitive to the needs of the site, results in substandard safety contents.    To address these issues in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for workers, e-learning for safety training for day-to-day workers, visual training tailored to the nature of site and the working process, experience-based training, tailored educational contents showing case studies in each category should be developed to offer a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Such improvement in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for workers, along with risk assessment for work process, the use of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will increase for each risk factor. As a result, a reduction in construction accidents among day-to-day construction worker can b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