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시지 프레이밍이 은퇴준비과정 단계별 준비의도에 미치는 효과

        나혜림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9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message framing on intentions in stages of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and suggested persuasive communication method to promote retirement prepa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ducting a survey that included manipulation of the experiment and verified goal framing eff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ull time-workers in their 30s to 50s. The key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retirement preparation within a series of processes, and classified them into perceiving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setting goals for retirement preparation, decid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executing retirement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intention of perceiving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in the first stages is highest and intention is relatively lower in the third stage, deciding on retirement preparation, compared with other stages. Second, by verifying the fram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framing effect had a significant impact in all stages of the process, except in the stage of setting the goals for retirement preparation. Here, the types of effective framing were different between the stage of perceiving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earlier stage), and the stages of deciding and executing retirement preparation (later stages), which implies that types of persuasive messages should vary across each stage of th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To explain, in the stage of perceiving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it was more effective to provide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results of not executing retirement preparation to the decision-maker. Having said this, the intention to decide and execute retirement preparation was higher when positive results of executing retirement preparation were provi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tages of the retirement preparation process in devising different messages for the promotion of retirement preparation. This study i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as it empirically verified framing effect that affect retire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has considered the process of retirement preparation in terms of a novel application of analyzing the behaviors of preparing for retirement.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suggested effective guidance organizing message to promote retirement preparation for different stages and age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본 연구는 메시지 프레이밍이 은퇴준비과정의 각 단계별 준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은퇴준비 증진을 위한 설득력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0-50대 상용직 임금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험조작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목표 프레이밍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은퇴준비를 은퇴준비 필요성 인식, 목표 설정, 준비 결정, 수행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적인 측면에서 살펴 본 결과, 첫 번째 단계인 은퇴준비 필요성 인식 단계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세 번째 단계인 은퇴준비 결정 단계의 점수는 다른 단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은퇴준비과정에서 작용하는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목표 설정 단계를 제외한 은퇴준비과정의 모든 단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고, 이러한 효과는 단계별로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은퇴준비의 초기 단계인 필요성 인식 단계에서는 은퇴준비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 초래될 부정적인 상황을 강조한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더 효과적이었으나 후반부의 결정 및 수행 단계에서는 은퇴준비 수행의 긍정적인 결과를 강조한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보다 은퇴준비의도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은퇴준비 증진을 위한 메시지를 고안할 때 은퇴준비과정의 단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그간 실증적 분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은퇴준비행동과 프레이밍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과 은퇴준비행동을 과정적인 측면에서 파악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는 차별점을 지니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단계 및 연령대별로 은퇴준비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메시지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금융소비자의 펀드투자이해력에 있어서 자기과신과 과소평가의 결정요인 및 펀드투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나혜림(Na, Hyerim),조혜진(Cho, Hyejin),최현자(Choe, Hyuncha)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지식과 지식인지 수준의 불일치에 초점을 맞추어 펀드투자자를 중심으로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특성이 펀드투자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의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금융소비자를 유형화하였으며,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재무적 특성, 심리적 특성, 재무교육ㆍ상담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후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에 따른 펀드투자 행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소비자 유형화를 실시한 결과,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 수준이 모두 평균 이상인 고 이해력 집단이 전체 조사 대상자의 31.7%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객관적ㆍ주관적 펀드투자이해력 수준이 모두 평균 미만인 저 이해력 집단이 30.3%로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지식 및 지식인지 수준 간의 불일치가 존재하는 자기과신 성향을 지닌 집단과 과소평가 성향을 지닌 집단은 각각 9.1%와 28.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바람직한 집단인 고 이해력 집단을 기준으로 하여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의 결정요인을 규명해본 결과, 두 가지 유형의 지식 및 지식인지의 불일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ㆍ인구학적 특성, 재무적 특성, 심리적 특성, 재무교육관련 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투자자교육을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기과신 성향을 가질 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실시 이후에 꾸준한 사후평가 및 피드백이 이루어질 경우 투자자교육이 자기과신 성향의 예방 및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금융소비자의 자기과신 및 과소평가 성향에 따른 펀드투자 행태를 분석해 본 결과, 투자유형, 투자방법, 보유기간, 평가총액과 투자 원금의 비교, 적립식 펀드와 임의식 펀드의 월 불입액, 투자 총액, 연평균 기대수익률, 펀드투자 만족도, 어려움 및 불만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자기과신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과소평가 성향까지도 함께 다룸으로써 지식 및 지식인지 불일치의 결정요인과 이러한 특성이 재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실무 및 교육적 측면에서 실질적인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Financial consumer's objective financial literacy and subjective financial literacy both play important roles in rational financial decision making. So this study focused on in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and explored determinants and effects on fund investment behavior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This study classified financial consumers into overconfidence group and underconfidence group based on T scor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fund investment literacy and investigated determinants with socio-demographic, financial, psychological and financial educationㆍcounseling characteristics. Lastly, we analyzed the effect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on fund investment behavio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the group with high objective literacy and high subjective literacy had the highest percentage (31.7%) and the group with low objective literacy and low subjective literacy followed (30.3%). Meanwhile, the group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accounted for 9.1percent and 28.9percent.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d determinants of financial consumer's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based on high literacy group, that is, most desirable group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determinants of two type's inconsistency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were socio-demographic, financial, psychological and investor education factors. Especially, it was verified that investor education may have a positive role i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overconfidence with post evaluation and feedback after education because people who experienced investor education were less likely to have overconfidence. Third, the differences of investment type, method, holding period, comparison between the principal and an appraisement, monthly investment of installment fund, total amount of investment, the yearly expected rate of return, fund investme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epending on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is research deepens understanding of determinants of gap between knowledge and knowledge perception and effects of overconfidence and underconfidence on financial management behavior by covering not only overconfidence but also underconfidence which was not treated in previous research.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개별연금 가입여부 및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 분석

        나혜림(Hyerim Na),최현자(Hyun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4

        본 연구는 은퇴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연금가입행동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하여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의 가입여부를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유형을 분류하고,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결정요인을 알아본 뒤,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정요인 분석에 있어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본적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재무적 특성 이외에도 연금퍼즐 및 은퇴준비 제약비용 관련 특성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공적연금에 비해 사적연금의 가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11.2%의 응답자가 어떠한 연금에도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의 균형적인 보유를 유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개별연금 가입여부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연금퍼즐 특성, 은퇴준비 제약비용 특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이행을 바탕으로 다층연금체계 가입구조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장 바람직한 유형인 다층보장형의 경우, 연령이 낮고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지니며 총자산이 많고 가입한 보장성 보험의 개수가 많을수록 공적연금과 퇴직연금을 가입한 상태에서 개인연금까지 가입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소비자의 안정적인 다층연금체계 구축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금시장뿐만 아니라 의료보험시장, 주택시장 등의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것, 자녀에 대한 상속 및 지원의 욕구와 노후준비 간의 균형을 유도할 것, 연금가입의 사각지대에 있는 저학력자와 고령자를 배려한 재무 교육 및 상담을 진행할 것 등을 제안한다. This study categori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public pension, retirement plan, and private annuity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each pension ownership an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ith regard to pension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in addition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financial facto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pondents were less likely to join a private pension as compared to a public pension, and the group which did not have a pension accounted for 11.9 percent of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Thus, an approach to convince consumers to buy into public and private pensions at a proper balance is needed. Second, types of pension ownership depended on the socio-demographic, annuity puzzl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tirement preparation characteristics.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purchasing patterns of the multi-pillar pension system based on phased transitions. The result showed that those who were younger, had more education and assets, and who had more insurance coverage were more likely to have three types of pensions, i.e., public, retirement pensions, and private annu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the annuity market but also medical insurance and the housing market when analyzing annuity ownership, to provide financial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ose with lower education levels and for the elderly, and to induce balance between desire of supporting children including bequest motives and retirement preparation to lead consumers to build a stable multi-pillar pens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