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과학교사의 감정표현규칙과 감정노동 유형

        김희경,Kim, Heeky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교사의 감정노동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감정표현규칙, 감정노동 유형, 감정노동 사례, 과학 특정 감정표현규칙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교사 감정노동 설문지(TELSTS)'를 개발하여 145명의 설문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과학교사들은 학교현장에서 과학교사로서 요구되거나 기대되는 감정표현규칙이 있다는 것에 동의하였으며, 특히 긍정적 감정표현규칙을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중등과학교사들은 자신들이 인식한 감정표현규칙을 지키기 위해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내면행위에 대한 응답 평균값이 높았다. 집단별 차이를 보면 정교사 여부와 교직경력에 따라서 감정노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과학교사의 특수성을 분석한 결과, 주로 실험지도와 과학의 객관적, 논리적 이미지와 관련되었으며, 74%의 응답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감정표현규칙에 해당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가 과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econdary science teachers' emotional display rules, types of emotional labor, science-specific emotional display rules and the episodes of emotional labor.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o measure emotional labor of science teachers (The Emotional Labor of Science Teaching Scale: TELSTS) was developed and the participants were 145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Korea. Results showed that first,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cognized the emotional display rules defined by their schools, especially, positive display rules. Second, secondary science teachers showed that they were carrying out emotional labor in order to keep their emotional display rules in check. The mean value of responses to deep acting was high.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full-time or part-time teachers and their teaching care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ecificity of science teachers, it was mainly related to the objective and logical image of science, and experimental instruction. Seventy-four percent (74%) of responses were negative or neutral emotional display rules. Finally,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실습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이 경험하는 딜레마의 유형과 대처 방법

        김희경 ( Heekyong Kim ),이봉우 ( Bongwoo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동안 겪는 딜레마를 탐색하여 딜레마의 특징과 대응방법을 통해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범대 과학교육전공 4학년에 재학 중인 34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교육실습 동안 경험한 딜레마에 대해 실습기간동안 작성한 딜레마 성찰일지 131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이 인식하는 딜레마는 크게 ‘어떤 교사가 될 것인가’, ‘어떤 수업을 해야 하는가’, ‘어느 권력을 따라야 하는가’, ‘어떤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하는가’, ‘교육실습생이란 어떤 사람인가’ 라는 다섯 가지의 주제와 연결되어 있었다. 둘째, 예비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과정에서 부딪히는 딜레마는 교육실습생이라는 모호한 지위가 딜레마를 더 심화시키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의 딜레마 상황에 대한 대응방법을 분석한 결과, 딜레마 상황에서 대해 단순한 양자택일 상황으로 인식하여 조율과 협상의 전략을 시도하는 노력이 부족하며, 과학교육 전문성에 연결시키는 수준이 높지 않았다. 넷째, 예비 과학교사들의 딜레마 중 과학 교과의 특징이 확연히 드러난 것들은 과학탐구 지도에 관련된 딜레마와 과학교수학습 모형의 적용에 대한 딜레마였다. 이 밖에도 본 연구결과가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결과와 함께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types and coping methods of dilemmas tha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erience during student teaching. For this, we collected 131 dilemma journals that 34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rote during a four-week period of student teaching. Results show that first, there are five categories of dilemmas, they are, ‘Which science teacher should I be?’, ‘What is good science teaching?’, ‘How should I build relationships with the people around me at school?’, and ‘Who am I as a student teacher?’.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tatus as a students-teachers made them cope with dilemmas passively. Third, when they cope with the dilemmas, student-teachers considered the dilemmas as conflicts of irreconcilable alternatives rather than opportunities of conciliation and compromise, therefore, mo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hoose just one alternative and only 20% of dilemmas are resolved by compromise choice. Finally, dilemmas which showed the features of science teaching are the dilemma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여성NGO의 역할과 조직의 자율성 간의 관계 연구

        김희경(heeky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7 여성연구 Vol.95 No.4

        본 연구는 NGO 조직의 개념적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공공성에 주목하고, 여성NGO 조직이 이러한 공공성을 확대해가는 역할과 활동목적이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 및 인터뷰조사 자료를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NGO 조직의 주요 활동목적들이 인적, 재정적 자율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적 자율성의 경우, 취약계층 여성의 복지증진과 인권증진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 활동은 상근 활동가 수와 상근 활동가의근속연수, 여성의 지위향상을 위한 활동은 월평균 회원 수, 공동체 풀뿌리여성운동은 비상근 활동가의 근속연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재정적자율성의 경우, 성 평등 문화 확산 및 인식제고를 위한 활동들은 조직이외부의 간섭이나 의존 없이 자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를 뒷받침하는자율적 예산규모가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조직의 자율적 예산규모중에서 여성의 경제적 자립 및 경제역량 강화, 여성의 건강권 확립을 위한활동들은 후원금 비중, 공동체 풀뿌리 여성운동은 회비 비중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일련의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여성NGO 조직의활동들이 활동기반이 되는 조직의 자율성에 따라 확장되거나 제약받을 수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publicness as the fundamental role and function of NGO and aims to explore the enlargement of the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of women NGOs in Seoul to analyze women NGO’s fundamental role and autonom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omen NGOs pursue the publicness role through support activities for vulnerable social group and encourage the volunteerism of women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However, lack of human and financial resources are challenges to the women NGO’s fundamental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women NGO’s autonomy influence on women NGO’s fundamental roles.

      • KCI등재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계: 국어, 수학, 과학의 융·복합을 중심으로

        김희경(Kim, Heekyong),김영란(Kim, Youngran),김선희(Kim, Sun Hee),윤희숙(Yoon, Hee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을 위한 중등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과학 세 전공이 팀을 이루어 융·복합 수업을 설계, 시연하는 프로그램을 4주간 운영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등 예비교사 94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이 중 8명을 선정하여 초점집단 심층면담을 2회 실시한 후 질적 분석하여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한계, 개선점 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융·복합 교수역량 신장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융·복합 수업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고, 수업 실행에 대한 동기와 전문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융·복합 수업 설계 과정에서 융·복합 주제 찾기, 자연스럽고 구체적인 융·복합 수업상황 고안, 모둠원과의 시간이나 의견 조율 등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들은 프로그램의 개선점으로 예비교사의 수업 설계 및 시연에 대한 피드백 강화, 모둠 활동을 위한 시간적, 공간적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융·복합 교수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선점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on teach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after conducting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interdisciplinary teaching proficiency. A team consisting of Korean, math, and science-majored pre-service teachers worked together to design an interdisciplinary class and deliver/teach it. The experiences and opinions of 94 pre-service teacher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then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In addition, eight of them were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potential, limitations and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interdisciplinary teaching program were revealed following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tend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interdisciplinary teaching and improved the motivation and proficiency of the class practi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y had difficulty in finding interdisciplinary topics, designing a natural and concrete class situation, and coordinating time and opinions with their members during the program. Furthermore, the pre-service teachers suggested receiving more feedback from professors on their design and demonstration of lesson plans, and having enough time and space for the group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the program and the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 SCOPUSKCI등재

        예비물리교사의 교육실습 수업에서 나타난 적응적 실행 분석

        김희경(Heekyong Kim),김예진(Yejin Kim),이봉우(Bongwoo Lee) 한국물리학회 2024 새물리 Vol.74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s’ adaptive practice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video recordings, field observation notes of 10 classes conducted by 7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and interviews. We found a total of 24 adaptive practice cases.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 adaptive practices were ‘coordination of learning activities’, ‘omission of activities or materials’, ‘adjustment of concept level and scope’, and ‘addition of materials, examples, demonstrations, etc.’. Second, ‘coordina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omission of activities or materials’ are types that do not appear often among science teachers, but are often seen among pre-service teachers due to the lack of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practice classes. Third, pre-service teachers could hardly use adaptive practices commonly used by science teachers, such as ‘adding demonstrations’, ‘helping with numeracy/literacy’, ‘encouraging learner participation’, and ‘using analogies or metapho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김희경 ( Heekyong Kim ),곽영순 ( Youngsun Kwak ),강훈식 ( Hunsik Kang ),신영준 ( Youngjoon Shin ),이성희 ( Sunghee Lee ),이수영 ( Soo-yo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관련 정의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경로모형을 규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과학 긍정경험이란 과학학습에 관련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험의 총체를 의미하며, 과학 긍정경험에 따른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를 구성하는 5개 하위 변인은 `과학 학습 정서`, `과학관련 자아개념`,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관련 진로 포부`이다. 전국17개 시도에서 4학년, 6학년, 8학년, 10학년에서 각각 1개 학급 학생들을 임의로 표집하여, 총 1841명을 대상으로 `과학 긍정경험 지표검사(TIPES)`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선정하고, 최종 구조방정식 모형의 경로계수가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학학습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는 모두 과학관련 자아개념을 경유하여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태도, 과학관련 진로 포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 변인에 따른 집단 간 과학 긍정경험의 5개하위 영역의 평균 차이를 t-test 검증을 통해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과학 긍정경험의 5개 하위 영역은 성별, 학교급, 지역규모, 과학관련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라 구조방정식 경로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다집단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집단 간에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지역규모와 과학관련 활동 참여 여부에 따라서는 집단 간 경로계수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정의적 성취를 돕기 위한 과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meaningful path model among the components of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and science learning to understand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variables of affective domains.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means whole experience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ffectional achievement related with science learning, which consist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1,841 students consisting of 4th, 6th, 8th, and 10th graders from 17 provinces and cities using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IPE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 selected and analyzed an optimal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n conducted multigroup analyses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science academic emotion` has effects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via science-related self-concept.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for TIPES scores by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five sub-components of PES depending on gender, school-level, school location, and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ulti-group analysis results, the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s by gender and school-leve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s by school location and participation were not significant.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ways to help students` affectional achievement related with science learning.

      • KCI등재

        교육실습과정에서 나타난 예비과학교사의 감정 경험과 감정 표현 규칙, 조절 전략의 탐색

        김희경 ( Heekyong Kim ),이나래 ( Narea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동안 겪는 감정경험을 탐색하여 그 특징과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3명의 예비 과학교사들에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감정경험에 관련된 요소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9명에게는 실습기간동안 작성한 감정일지를 수집하였고, 실습 후에는 4명의 학생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한 자료원으로는 교육실습 기간 동안 참여학생들이 교사로서 수업한 녹화 자료와 연구자의 관찰일지, 참여 학생 스스로 매일 작성하는 감정 일기, 심층면담 자료이다. 분석 결과, 첫째, 연구결과, 예비과학교사들은 교육실습 과정동안 한국인의 기본 감정(Lee et al., 2008)으로 분류되는 25가지 감정을 모두 경험하며 이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생실습과정은 예비과학교사들에게 다양한 감정경험의 장임을 보여주었다. 주요한 긍정적 감정경험의 원인은 학생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이었다. 반면, 부정적 감정 경험에서는 학생, 교사 모두 언급되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학생과의 감정적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반응하며 중요하게 여긴 것에 반해 지도교사나 학교와의 갈등에 대해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으로 여기며 자신에게 귀인하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부정적 감정은 긍정적 감정경험보다 3배 정도 많이 언급되어 교육실습과정시 주로 부정적 감정에 대한 자각이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정적 감정의 발생을 인식했을 때 교생들은 학생에 대해 부정적 감정을 표현하면 안 된다거나 화를 내면 안 된다는 나름의 감정규칙을 공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각자 그리고 상황에 따라 여러 감정조절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조절 전략에는 크게 내면행위와 외면 행위로 나눌 수 있었으며, 내면 행위에는 ‘다른 학생의 행동을 보면서 위로삼기’, ‘이해를 위해 노력하기’, ‘좋은 점 찾기’ 등이 있었다. 외면행위에는 ‘무시하기’, ‘참기’, ‘포기하기’, ‘회피하기’ 등이 나타났다. 물론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정조절에 실패하여 이로 인해 추가적인 부정적 감정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과학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emotional experiences, especially during student teaching. The following questions guided this study. First, during student teaching,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cond, what are used as the emotional rules and strategies by student teacher? In this study, we tracked nin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ver a four-week period of the student teaching. The data sources were lesson observations, interviews, emotional journals, and video-recorded classroom lessons.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various 25 different types of emotions which were reported as the primary emotions of Koreans. The main subjects for interaction for positive emotions were students. For negative emotions,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themselves all resulted in such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When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negative emotions, they followed the emotional rule that their emotions should not be expressed in front of the students. Because of this, they tried various strategies for controlling emotions, such as ‘understanding students’, ‘finding the positive side’, ‘seeing good students’, ‘ignoring’, ‘holding back’, ‘evading’, and ‘giving up’. Finally,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규슈 지명의 어원에 대한 고찰

        김희경 ( Kim Heekyo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4 No.-

        본고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일본의 문화 교류에 대해 지명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먼저 국호의 어원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면서 지명에 대한 논점을 정리한다. 규슈의 북부는 후쿠오카, 사가,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하고 남부는 미야자키와 가고시마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진행한다. 본고에서는 고마, 고라이, 구다라, 시라기, 가라, 가락국, 가야, 조선의 어원에 대한 논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것이 규슈 지역의 명칭에 어떤 형태로 남아 있는지에 대해 선행연구, 사전, 신문 기사 등을 분석하였다. 지명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풀이하는 차음, 차훈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이 동시에 사용된 어휘도 찾아볼 수 있었다. 고대 국가명은 현존하는 지명 이외에도 유적지, 유물 등에도 남아 있었고 행정구역의 개편 등에 의해 현재는 소실되었지만 현지 주민에게는 여전히 익숙한 지명으로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실례 분석을 위해 가라, 가야, 고마, 고우리, 고라이, 구시, 다타라, 무라, 바루, 세후리, 수구, 와지로, 후레 등의 어원에 대해 살펴본다. 본고는 한국과 일본이 각자의 문명 전환기에 상대방에게 매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고 본다. 근대에는 일본이 서구 문명의 매개자였다면 고대와 중세에는 한국이 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규슈 지명에 남아 있는 한일 교류의 발자취가 당대뿐만 아니라 현재의 우리에게 남겨준 과제에 대해서도 생각해본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the toponyms of Kyushu region. After briefly examining the cultural background with the etymology of the Goguryeo, Baekje, Gaya, Silla, Goryeo and Joseon. The origin of toponyms is analyz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nd dialect and etymology dictionaries.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toponym of North and South Kyushu arear, included the name of relics or historical sites. It attem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In Kyushu, there are many places related to south region of Korea in ancient time. For instance, It appears directly the Chinese character of Korea in the notation on Karakunidake as 韓國岳, which spans the border between Kagoshima and Miyazaki. It’s similar in Karakuni Ujumine shrine as 韓國宇豆峯which is located around the peak of mountain Karakuni. At the same time, the toponym of Korai village on Kagoshima and Nagasaki reminds us to Goryeo(高麗), either. The brief summary of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etymology is as follows. As such,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s of cultural exchange remains in various forms in toponym. First, place names are mainly composed by sounds or meanings of chinse character, additionally there are couples of examples which is formed by sound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Second, it is analyzed the etymology of Gara, Gaya, Goma, Gouri, Gorai, Kushi, Datara, Mura, Baru, Sefuri, Sugu, Wajiro, and Fure. Third,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Kyushu region was relatively systemized in the area of Baekje and Gaya compared to other ancient countries. In additionally, forth, the migration route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because of the migration means as ships at that time. Fifth, it was meaningful migration of Korean with royal families, relatives and people who have specific skills such as a (certificated) ceramic craftsman, agriculturist, castle building engineer etc. It also considers the role of crosscultural projects and its positive effects to the future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