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ost-Scalability of Micro- and Nanomanipulation Technology

        김혜온,김태훈,심우영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1

        Massively parallel nanofabrication methods have been used to address the challenges of nanometer to millimeter scale printing for a variety of materials and mark a step towards the realization of a desktop fab. Such tools enable simple, flexible, high-throughput, and low-cost nanopatterning, which allow researchers to rapidly synthesize and study systems ranging from nanoparticle synthesis to biological processes. First, we have developed a novel scanning probe-based cantilever-free printing method termed hard-tip, soft-spring lithography (HSL), which uses an array of Si tips to transfer materials and energy in a direct-write manner onto a variety of surfaces. Various related techniques such as graphene-coated and actuation of HSL are discussed. Second, programmable logic nanowire arrays constituting a promising architecture for developing increasingly complex and functional circuits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초∙중∙고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유능감,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간 및 성별 차이 분석을 중심으로

        김혜온,유계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unsuppor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competence and autonomy on learning amotivation. A sample of 1042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ANOVA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hool level were found in competence, autonomy, and amotivation: A higher school level was associated with lower competence and autonomy, and with higher amotiva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pattern of results was rather complex. First, while parental neglect and over-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autonomy and a positive effect on amotivation, competence and autonomy had a negative effect on amotivation. Second, we observed differential effects in the school level. The negative influence of parental neglect on competence and autonomy was stronger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parental over-expecta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motivation only in high school students. Third, we also observed the effect of gender on amotivation. Parental over-control was more effective in male students, but autonomy in femal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비지지적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율성과 유능감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광주, 전남의 초․중․고 학생 104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과잉기대, 과잉통제와 방임과 같은 비지지적 양육태도, 자녀의 유능감과 자율성, 학습무동기를 측정한 후 학교급과 성별의 2원 변량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2원 변량분석 결과 학교급에 따라 유능감, 자율성, 학습무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중․고의 순으로 유능감과 자율성이 더 높은 반면 학습무동기는 더 낮게 나타났다. 모형검증 결과 부모의 과잉통제와 방임은 자녀의 자율성에 부적 영향을 학습무동기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유능감과 자율성은 학습무동기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다중집단 분석결과 부모의 방임이 자녀의 유능감과 자율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이 초, 중학생에게서 더 높았고, 과잉기대가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부적 영향력은 고등학생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에게서 부모의 과잉통제가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여학생들에 비해 더 큰 반면에 자율성이 학습무동기에 미치는 부적 영향은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 현실 치료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혜온,김성혜 木浦大學校敎育硏究所 2005 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에게 현실치료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의한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력의 강화가 인터넷 중독 상태의 개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현실치료집단상담을 받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의 점수가 높았다. 둘째, 현실치료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내적통제성이 높았다. 셋째, 현실치료집단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인터넷 중독상태가 개선되었다. This study is to improve self-esteem and control of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that they can overcome internet addiction. The addicted students are sorted by internet addiction self test. 34 sixth grade students of D elementary school in Boryeong city. Chunganm. was randomly allotted to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17 each.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performed twice a week, 2 hours for once, totally for 4 weeks(8 times) from September 5. 2005 to October 1, 2005. And control group was to do the typing practice. To test the experimental effect "internet addiction self test(K-scale)","self-esteem scale test", and "internal control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self-esteem, internal control and internet addict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students who are participated in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ling program. In this study, we could verify that the reality therapy group counselling activity could enhance the self-esteem, internal control of the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could also escape from internet addicted state.

      • KCI등재

        30대와 40대 남성의 직장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혜온,서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related stress and resilience on work-life balance and the influences of age and number of working-hours on this relationship. A sample of 381 male industrial employees, 31-49 years-old, provided their number of working hours per day and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osed of items on job-related stress, resilience, and work-life balance.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ANOVA and multiple group comparison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related stress, resilience and work-life balance is rather complex. First, not age- but working hours-related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employees with a large number of working hou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job-related stress, but lower levels of resilience and work-life balance. Second, while job-relate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work-life balance, 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life balance. Third, we observed differential effects for employee’s age, but not for working hours regarding the influence of stress and resilience on work-life balance. Job-related stress was more effective in the younger age group (30s), resilience in the older age group (40s). 본 연구의 목적은 30대와 40대 남성의 직장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령에 따른 차이 외에도 직장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목된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도 분석하였다. 전남 소재 제조업 분야 대기업 종사자 316명을 대상으로 직장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일과 삶의 균형을 측정한 후 2원 변량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2원 변량분석 결과 모든 변인에서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여 근무시간이 많은 집단에서 직장스트레스가 더 높고 회복탄력성과 일과 삶의 균형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집단분석 결과 직장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과 일과 삶의 균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회복탄력성은 일과 삶의 균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이르는 모수추정치에서는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연령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였다. 40대의 경우 직장스트레스가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30대에 비해 더 작은 반면에 회복탄력성이 일과 삶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은 30대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자기보고식 성격측정도구의 재검사 신뢰도에서의 문화적 차이: 한국과 독일의 비교

        김혜온,김수정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적 특성에 따른 자기보고식 성격측정도구의 재검사 신뢰도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인들이 관계적 맥락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심리적 특성의 일관성이 갖는 의미가 상대적으로 작다는 선행연구 결과들에 근거하여 한국과 독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상호의존성의 차이에 기초하여 자기보고식 성격측정도구의 재검사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조사에는 한국 대학생 257명과 독일 대학생 196명이 참여하였는데, 이들을 상호의존적 경향을 기준으로 각각 다시 두 집단으로 구별하였다. 측정도구는 NEO-PI-R 중 외향성요인의 온정과 사교성, 친화성요인의 이타성과 겸손, 성실성요인의 충실성과 자기규제 척도이며, 1개월 간격으로 2회 실시하여 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Fisher’s Z로 환산한 후 일방향 z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이타성 척도에서 한국과 독일의 상호의존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재검사 신뢰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겸손, 충실성, 자기규제 척도에서는 상호의존성이 높은 경우에 한국집단에서 독일집단보다 재검사 신뢰도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재검사 신뢰도의 문제를 상호의존성에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f the stability of self-report measures vary with culture. People from East Asian countries are generally assumed to behave more flexibly in different interpersonal contexts and to put less emphasis on the stability of one’s self-image as compared to Westerners. It is hypothesized that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stability of self-report measures and would be explained by interdependence. A questionnaire study was conducted with 257 Korean and 196 German college students. Both samples were divided in two subsample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interdependence. Data on the retest-reliability of self-report measur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repeated assessment of 6 NEO-PI-R scales: warmth, gregariousness. altruism, modesty, dutifulness and self-discipline. There was a one-month interval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Retest-reliability coefficients were transformed into the Fisher’s Z scores, and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se scores by one-tailed z-tests. Our results partially support the assumption of cultural effects on the stability of self-report measures. For the altruism scale, retest-reli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ubsample with a higher level of interdependence both in Korea and in Germany. For the modesty, dutifulness and self-discipline scale Retest-reli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students from Korea who also showed higher level of interdependence.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nterdependence.

      • KCI등재후보

        Kind und Bild: Würdigung und Fortführung eines unvollendeten Projektes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김혜온,Siegfried Hoppe-Graff 한독교육학회 2017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2 No.3

        William Stern, einer der Gründerväter der deutschen Entwicklungspsychologie, hat sich bereits vor mehr als 100 Jahren mit der Bedeutung von Bildern für die Kindesentwicklung befasst. Seine Erkenntnisse, die vor allem auf der Auswertung von Langzeitbeobachtungen an den eigenen drei Kindern beruhen, sind zu Unrecht in Vergessenheit geraten. Deshalb stellen wir im ersten Teil unseres Beitrags seine „Psychologie der Bildbetrachtung“ vor und legen dabei den Schwerpunkt auf die von Stern aufgewiesenen Entwicklungsschritte. Im zweiten Teil nutzen wir dieselbe Datenquelle wie William Stern, um aktuelle kulturpsychologische Fragestellungen zu beantworten. Bei der Quelle handelt sich um Tagebücher zur Kindesentwicklung, die von William Sterns Ehefrau Clara zu Beginn des 20. Jahrhunderts geführt worden sind. Die Sterns waren typische Angehörige der sozialen Schicht der Bildungsbürger. Die in den Tagebüchern aufgezeichneten Beobachtungen sind für die Kulturpsychologie von besonderer Bedeutung. In Verbindung mit der Kenntnis der Erziehungsziele des Bildungsbürgertums erlauben sie uns, zu rekonstruieren, wie das „kulturelle Werkzeug“ Bild und die „kulturelle Praxis“ Bildbetrachtung zur Erziehung zum ästhetischen Urteilen eingesetzt wurden.

      • KCI등재

        한국과 독일 청소년의 정서적 자율성에 관한 연구

        김혜온,이진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autonomy in Korean and German adolescents. A sample of 816 12-16 year olds completed a questionnaire battery concerning six aspects of emotional autonomy and two asp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A three-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cultural, gender and age differences. German adolescents scored higher than Korean counterparts in the subscales of emotional autonomy of parental deidealization, perception of parents as people and non-dependency on parents. But the scores in individuation and self-control were higher in the Korean adolescents. Emotional autonomy with scores in four subscales increased over the age range studied: parental deidealization, individuation, non-dependency on parents and responsibility. Sex differences were evident on two subscales: perception of parents as people and non-dependency on parents. Both Korean and German adolescents evaluated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as positive but Korean subjects scored higher than German counterparts in emotional pressure. Self-control was the only subscale whic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s with parents. 한국과 독일 청소년들의 정서적 자율성 발달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서적 자율성의 6개 영역과 부모자녀 관계 2개 영역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여 12세에서 16세 사이의 청소년 8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국가, 성별, 연령에 따른 3원 변량분석 결과 독일의 청소년들이 부모의 탈 이상화,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부모지각과 부모로부터의 탈 의존 경향을 더 강하게 보인 반면에 한국 청소년들에게서는 개별화와 자기통제 경향이 더 높았고 책임감은 두 문화에서 모두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탈 이상화, 개별화, 부모로부터의 탈 의존, 책임감 영역이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부모지각, 부모로부터의 탈 의존에서만 나타났다. 한국과 독일 청소년 모두 부모자녀 관계를 양호한 것으로 지각하였고 부모의 기대에 대한 정서적 부담감은 한국의 청소년들이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자율성과 부모자녀 관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우호적인 부모자녀 관계와 자기통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에 부모의 탈 이상화, 평범한 인간으로서의 부모지각, 개별화, 부모로부터의 탈 의존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교 가출청소년의 가정복귀 요인: 개인, 가정환경, 학교요인의 분석

        김혜온,정정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unaway adolescent’ intention to return home. A total of 438 runaway adolescents from 42 shelters and 12 high school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ample. Among them, 211 participants had returned home and 227 participants remained in shelter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covered individual factors, home environment, and school factor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two-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hi-square (χ2) test,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The two-way ANOVA and χ2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turnees and shelter adolescents in terms of aggression, family structure, economic status, some parenting attitudes (father’s and mother’s affection, negligence, father’s abuse), and peer relationships. We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runaway adolescents in relation to self-esteem.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home environment factors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of runaway adolescents’ returning home. In particular, broken homes had the strongest negative effect, while economic status had positive effect. Whereas for junior high school returnees, parenting attitudes, such as father’s affection, negligence, and mother’s neglig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senior highschool returnees individual factors like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were significant. 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과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인적 요인, 가정환경요인, 학교요인을 집단별로 비교하고 이들 요인들이 중․고등학교 가출경험 청소년들의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전국 42개소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 227명과 12개 중․고등학교 2,3학년 학생 중 가출경험이 있으나 가정으로 복귀한 청소년 211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가정복귀여부와 학교급을 기준으로 이원변량분석과 χ2검정을 통해 집단 간 비교를 하였고, 가정복귀여부를 예측하는 정도를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정복귀여부에 따라서는 공격성, 가족구조, 가정경제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부모의 애정, 방임, 아버지의 학대와 또래관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고 학교급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에서는 전반적으로 가정환경요인의 예측력이 가장 컸는데 이중 결손가정은 가정복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가정경제수준은 가정복귀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에 의한 가정복귀여부에 대한 예측력의 차이는 중학교 청소년들의 경우 아버지의 애정과 방임, 어머니의 방임과 같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변인인 반면에 고등학교 가출청소년들의 경우에는 공격성과 충동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