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연보라,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1

        Drawing on first wave data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Education, we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and school adjustment, and also explored how the relationships vary by school level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Our SEM results showed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capital within family, was found to have an impact directly and indirectly on school adjustment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While educational support within family had little to do with school adjustment, it did to some extent influence child-teacher relationship. As a part of the social capital at school, the youths’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peer students were found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school adjustment. On the other hand, our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exhibited tha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and school adjustment indeed vary by school level. Specifically,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has a much stronger effect on peer relationship than middle school student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ote special attention and effort to strengthening the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migrant youths in order to help them adjust to the school. 본 연구는 한국 내 탈북청소년의 사회자본과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가 학교급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탈북청소년의 가정 내 사회자본 가운데 부모-자녀 관계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우관계 및 교사관계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내 교육지원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효과를 발휘하지는 않지만 자녀의 교사와의 관계에 일정 부분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학교 내 사회자본인 교사관계 및 교우관계도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다집단 분석 결과 중학생에 비해 초등학생의 경우에 부모-자녀 관계가 교우관계에 훨씬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는 탈북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의 사회자본을 강화하는 데 특단의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 결정요인: 초등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연보라,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2

        Using data from 2009 National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nd examines how the relationships vary by their country of origin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exhibit that socioeconomic status(SES) in Korea perceived by migrant women exerts both a negative direct effect on and a positive indirect effect on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of SES in Korea perceived by migrant women turns out to be more or less trivial and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In contrast, migrant women's SES during their stay in their country of origin do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Contrary to a priori expectations, fluency in Korean tends to dampen migrant women's participation in school activities rather than facilitate it. As could be expected, however, the stronger the migrant women's feeling of discrimination, the less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It is also found that those women with greater demand for educational support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than those women with lesser demand for it. Finally, the stronger the migrant women's tendency to mingle with their Korean neighbors, the more likely they are to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Meanwhile, the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show that those women from Japan are considerably less affected by their SES in Korea and demand for educational support in participating in school activitie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other countries. 본 연구에서는 2009년 전국다문화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국제결혼이주여성의 학교활동 참여를 결정하는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가 이주여성의 출신 국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자녀를 둔 국제결혼이주여성 7,779명이며,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높은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접적으로는 학교활동 참여를 억제하지만, 간접적으로는 차별의식 완화를 통해 학교활동 참여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이주여성의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교활동 참여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주여성의 모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교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정적 효과를 발휘했다. 선험적 기대와는 달리, 우수한 한국어 능력은 학교활동 참여를 촉진하기보다는 오히려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리고 이주여성이 차별의식을 강하게 느끼면 학교활동 참여가 부정적 영향을 받지만, 교육지원 요구가 강하면 전체적으로 학교활동 참여도 다소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인과의 교류가 활발한 이주여성일수록 학교활동 참여에도 적극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다집단 분석 결과는 다른 국가 출신에 비해 일본 출신 이주여성의 경우 학교활동 참여가 한국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나 교육지원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가 작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중도탈락 시기 및 영향요인 분석

        연보라,장희원 한국교육사회학회 2015 교육사회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대학생 중도탈락 시기를 살펴보고 중도탈락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교육체제로부터의 탈락 초점을 두고 대학 중도탈락 현상을 살펴보았으며,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1~9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에 입학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존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입학 이후 최초 1년 미만과 3년에서 4년 사이의 기간에 대학중도탈락의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중도탈락 시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고등학교 당시 교육포부, 고등학교 유형, 진로진학 교육경험 등의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한국에서 증가하고 있는 고등교육체제로부터의 중도탈락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비책과 관련 정책방안을 구안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Drawing on the first to ninth data(2004-201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emporal aspects and determinants of college student departure by applying event history model. Specifically focusing on system departure rather than institutional departure, the result from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suggests that 0 to 1 year and 3 to 4 year after entrance exhibit higher risks of student departure. Moreover, variables such as sex, educational aspiration at high school, track of secondary education, and experience in career education 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ert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departur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lead to in-depth knowledge on increasing college student depar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to contribute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prevent students from leaving colleges.

      • KCI등재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연보라,김홍찬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3

        본 연구는 새터민 청소년들의 수학학습 적응 실태를 파악하고 수학학습 적응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 적응력 신장을 위한 개선방향을 찾으려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새터민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새터민 학생 43명을 대상으로 12개월 동안 의 참여관찰과 수학학습 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터민 청소년들은 탈북 과정 중에서 제대로 제도화된 교육과정을 받지 못함에 따라 기초 수리능력의 부족과 낮은 학력수 준으로 인한 인지적 요인뿐 아니라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 습관, 수학불안, 수학교과 인식 등의 정의적 영역, 그리고 수업 변인 등 환경적 영역의 요인들이 수학학습 적응에 있어서 다각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분열형 인격성향군의 자동 대 의식적 얼굴정서처리 과정과 신경심리 기능과의 관련성

        연보라,윤선아,김명선 한국임상심리학회 2011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0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ous and conscious facial emotional processes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in nonclinical college students with psychometrically-defined schizotypal traits. Based on scores from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SPQ), schizotypal trait(n=15) and normal control(n=15) groups were selected. For the measurement of autonomous and conscious facial emotional processes, gender judgment and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s were administered, respectively.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such as verbal/nonverbal memory, executive function and attention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hizotypal trait and control groups did not differ on the gender discrimination task both in terms of response time(RT) and error rate. However, the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rror rat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Further, RTs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Ts on the Trail Making Test, part B and the Copy condition of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while the error rate on the emotional discrimination task was associated with total number of errors on the d2 t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utonomous emotional processing is maintained but that conscious emotional processing is impaired in nonclinical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traits, and that impaired conscious emotional processing seems to be related to attention, visuospatial perception and mental flexibility.

      •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Ⅴ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 분석-

        연보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일반청소년과의 비교를 통해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자료를 토대로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 대하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은 각 발달 영역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변화 궤적을 가지며, 단순히 선형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기보다 좀 더 복잡다단한 양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업의 어려움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우관계 수준은 증가하는데 그 속도는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응과 관련해서는 학교급별로 상이한 변화 양상이 나타났으며, 비행경험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이중문화수용태도는 초등학교 시기에 증가하다가 중학교 시기에 감소하는 상반된 추이를 보였다. 신체만족도는 증가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증가하는데 그 속도는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러한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변화에서 집단 내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일부 발달 요인에서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변화 궤적에 차이가 존재하였으나, 특정 집단의 우세나 열세를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교우관계의 경우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변화 양상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학교 진학 이후 삶의 만족도는 다문화청소년이 일반청소년보다 더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 부모학력, 소득수준 등 개인의 배경변인에 따라 다문화청소년의 발달 추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지원경험과 관련해서는 학습지원경험의 별다른 영향은 발견되지 않은 반면, 문화지원경험과 물적지원경험은 일부 발달 요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객관적 근거에 기반을 둔 다문화청소년 지원 정책 수립, 통합적 관점의 지원 방안 마련, 개별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 방안 마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ulticultural adolescents’ development trends longitudinally and have an objective view on multicultural adolescents by comparing them to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In addition, it attempted to set a direction for developing related policies by thoroughly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such trends. For this, based on the data from longitudinal survey of multicultural youth from 2011 to 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development trend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diverse change trajectories depending on each development factor, as it didn’t just increase or decrease linearly. Instead, it changed in a more complicated pattern. Difficulty in studying further increased over time. While the level of peer relationship is increasing, the rate is gradually decreased. In term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different change patterns appeared by school level. In addition, juvenile delinquency experience increased. Cultural adjustment stress continuously declined.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increased during elementary school and then started to decline by entering middle school. Physical satisfaction increased,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s improved as well. However, the rate is gradually decreased. In addition, these multicultural adolescents’ development patterns varied among the students. Second, a difference in the trajectory of change was found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me development element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any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 a certain group. In peer relationship, same change patterns were observed between general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after entering middle school decreased faster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than in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development trends by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parents’ education and income level. Regarding policy support, no particular influence was observed in learning support. However, cultural and physical supports had a partial influence on such development factor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s: objective ground-based multicultural adolescents support policy, development, support plan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custom-made support plan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종합지원모델 개발

        연보라,이윤주,김현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를 통한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체계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를 위한 종합지원모델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포럼 및 전문가자문(TF운영), 설문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실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관련 정책 및 사업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지역기관 연계 지원사업과 관련된 이론적 모형을 검토하고, 아동·청소년 분야 및 국내외 이주배경 아동·청소년과 관련된 지역기관 연계지원사업 사례 분석을 토대로 모델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덧붙여 전국의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실태 및 요구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도입국 자녀나 외국인가정 자녀의 수가 급증하는 가운데, 관련 정책과 사업이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대상 주요 부처별 정책 및 사업의 기능들이 유사하며, 정책 수혜 대상이 다수 중복되는 등 지역 단위에서 분산되고 파편화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지원사업 사례 분석에서도 지역 차원에서 현장 대응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수립이나 지속성의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전문가들은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 지역기관 연계에 대하여 매우 필요하지만 실제 연계 현황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지역에 따라 환경과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연계 현황에도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연계사업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요구도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현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모델(안)의 세부 내용별로 관련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전술한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델 개발의 3가지 원칙을 도출하고,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역기관 연계 종합지원모델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