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D 어레이 다이오드 검출기를 통한 IMRT 계산선량의 정확성 평가 및 효용성 연구

        김태호,오승종,김민주,정원균,정진범,김재성,김시용,서태석,Kim, Tae-Ho,Oh, Seung-Jong,Kim, Min-Joo,Jung, Won-Gyun,Chung, Jin-Beom,Kim, Jae-Sung,Kim, Si-Yong,Suh, Tae-Suk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2

        2D 어레이 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하여 전립선과 두경부 IMRT 환자(전립선 2사례, 두경부 2사례)를 대상으로 선량계산 격자 크기(calculation grid size)에 따른 계산선량 정확성(dose calculation accuracy)을 평가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2D 어레이 다이오드가 IMRT 계산선량과 조사선량 검증에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했다. 치료계획장치(treatment planning system, TPS)에서 제공되는 4종류의 격자 크기(1.25 mm, 2.5 mm, 5 mm, 10 mm) 별로 계산된 선량과 2D 어레이 다이오드 검출기를 이용하여 얻어진 측정선량을 감마 분석방법을 이용, 비교하는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선량분포의 변화 범위에 따른 정확성 변화 또한 확인했다. 3 mm/3%의 평가기준(acceptance criteria)을 적용한 감마 분석방법에서는 10 mm를 제외한 격자 크기 별 평균 통과율(pass rate)에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평가기준을 3 mm/3%, 2mm/2%, 1 mm/1%로 세밀하게 적용하였을 경우, 1.25 mm를 제외한 격자크기의 통과율이 각각 5%와 20%, 31.53%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격자 크기에 따른 선량계산시간은 1.25, 2.5, 5, 10 mm 격자 크기에서 각각 11.5, 4.77, 2.95, 1.5 min 소비됐으며 격자 크기가 2배 증가할수록 선량계산시간은 약 1/2로 감소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저경사도영역(low gradient area)과 고경사도영역(high gradient area)을 구분하여 격자 크기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격자 크기가 계산선량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는 low gradient area보다 high gradient area에서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결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2.5 mm의 격자 크기로 선량계산을 수행하는 것이 계산선량 정확성과 계산시간 면에서 적절한 것으로 여겨지며, high gradient area에 있어서는 가능한 세밀한 격자크기(1.25 mm)를 적용할 것이 권장된다. 또한 이상의 결과가 기존 연구의 이론 및 필름을 이용한 측정과 동일함을 고려해 봤을 때 2D 어레이 다이오드 검출기가 IMRT 계산선량과 조사선량 검증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grid size on dose calculation accuracy using 2 head & neck and 2 prostate IMRT cases and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we also evaluated the efficiency of a 2D diode array detector for IMRT quality assurance. Dose distributions of four IMRT plan data were calculated at four calculation grid sizes (1.25, 2.5, 5, and 10 mm) and the calculated dose distribution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dose distributions using 2D diode array detector. Although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in pass rate of gamma analysis with 3 mm/3% acceptance criteria for the others except 10 mm grid size, we found that the pass rates of 2.5, 5 and 10 mm grid size were decreased 5%, 20% and 31.53%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fine acceptance criteria, 3 mm/3%, 2 mm/2% and 1 mm/1%. The calculation time were about 11.5 min, 4.77 min, 2.95 min, and 11.5 min at 1.25, 2.5, 5, and 10 mm, respectively and as the grid size increased to double, the calculation time decreased about one-half. The grid size effect was observed more clearly in the high gradient area than the low gradient area. In conclusion, 2.5 mm grid size is considered acceptable for most IMRT plans but at least in the high gradient area, 1.25 mm grid size is required to accurately predict the dose distribution. These results are exactly same as the precious studies' results and theory. So we confirmed that 2D array diode detector was suitable for the IMRT QA.

      • KCI등재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Yoon, Seong-Tak,Kim, Tae-Ho,Nam, Jung-Chang,Kim, Tae-Yun,Kim, Hye-Rim,Jo, Sung-Hoon,Lee, Seung-Woo,Lee, Myung-Cheol,Kim, Min-Jeong,Kim, Seong-Mi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mu}g/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mu}g/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mu}g/g$, $69.4{\mu}g/g$ and $682.2{\mu}g/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mu}g/g$, $16.95{\mu}g/g$, $51.01{\mu}g/g$ and $447.4{\mu}g/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mu}g/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 KCI등재

        위장관 : Helicobacter pylori 제균 치료 1년 후 위 점막의 Cyclooxygenase-2 및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발현 변화

        김성수 ( Sung Soo Kim ),성용직 ( Young Jick Sung ),박민경 ( Min Kyoung Park ),임창훈 ( Chang Hoon Lim ),양홍준 ( Hong Jun Yang ),김태호 ( Tae Ho Kim ),김창환 ( Chang Whan Kim ),김진일 ( Jin Il Kim ),한석원 ( Sok Won Han ),정인식 ( 대한소화기학회 200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2 No.5

        목적: H. pylori는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위 점막의 COX-2와 iNOS 발현을 유도하며, H. pylori를 제균하면 이들 단백의 발현은 감소한다. 그러나 H. pylori 제균 치료 후에 COX-2와 iNOS 발현 변화에 대한 장기간의 관찰 보고는 없었다. 이에 저자는 만성위염 환자를 대상으로 H. pylori 제균치료 1년 후에 위 점막에서 COX-2와 iNOS 발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H. pylori 감염이 확인된 만성위염 환자 5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45명에 제균 치료를 했다. H. pylori 제균 치료 전과 1년 후에 위전정부 점막 조직에서 면역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COX-2와 iNOS 단백의 발현 강도 및 발현율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COX-2와 iNOS 단백은 상피세포와 염증세포 및 점막근판의 평활근세포에서 발현되었다. 제균 치료에 성공한 38명에서 제균 치료 1년 후에 COX-2 및 iNOS의 발현율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제균 치료에 실패하였거나 제균 치료를 받지 않아 H. pylori 감염이 있는 환자에서 COX-2 및 iNOS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COX-2의 발현율은 위 점막의 H. pylori 밀도, 중성백혈구 및 단핵구 침윤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iNOS 발현율은 위 점막의 H. pylori 밀도와 중성백혈구의 침윤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H. pylori의 제균 치료는 COX-2와 iNOS의 발현을 장기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는 H. pylori 제균 및 이로 인한 위 염증 감소와 관련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The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the proteins that have the role in the gastric carcinogenesis, are stimulated by H. pylori infection in the gastric mucos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proteins one year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Methods: Gastric antral mucosa from fifty eight patients with chronic gastritis who were all infected with H. pylori was examined for th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proteins before and one year after the eradication of H. pylori by immunohistochemical stain. Results: COX-2 and iNOS proteins were expressed in the epithelial cells and interstitial inflammatory cells of gastric mucosa. Percent expressions of COX-2 and iNO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one year after the eradication in the patients with cured infection, but not in those having persistent H. pylori. COX-2 and iNOS expressions were well correlated with H. pylori density,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of gastric mucosa. Conclusions: The eradication of H. pylori can decrease the expression of COX-2 and iNOS in the gastric mucosa in long-term perio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removal of H. pylori itself and related regression of gastric inflamm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08;52:286-292)

      • KCI등재후보

        복합 이상지혈증에서 HMG CoA 환원효소 억제제와 fibrate 병합요법의 효과와 안정성

        김상민 ( Kim Sang Min ),이경은 ( Lee Gyeong Eun ),이성호 ( Lee Seong Ho ),정갑성 ( Jeong Gab Seong ),김성진 ( Kim Seong Jin ),이광제 ( Lee Gwang Je ),김상욱 ( Kim Sang Ug ),김태호 ( Kim Tae Ho ),고홍숙 ( Go Hong Sug ),김치정 ( Kim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5 No.6

        목적: 복합 이상지혈증은 총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과 중성지방 농도가 모두 상승되어 있는 질환으로, 관동맥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hydroxymethylglutaryl coenzyme A 환원효소억제제 (statin)와 fibrate 혹은 niacin의 병합요법이 필요하나 이들을 동시에 사용하였을 경우에 횡문근융해 등의 근증이나 간기능 이상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것을 염려하여 임상에서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Background: The combination therapy of HMG CoA reductase inhibitor (statin) and fibrate is more effective than each ones in managing combined dyslipidemia. However, this therapy tends to be avoided due to potential risk of rhabdomyolysis. The aim of the s

      • KCI등재후보

        장기간의 3 - hydroxy 3 - 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억제제 투여가 lipoprotein ( a ) 농도에 미치는 효과

        안지현(Ji Hyun Ahn),이상엽(Sang Yep Lee),조성원(Sung Won Cho),김상민(Sang Min Kim),송영빈(Young Bien Song),이광제(Kwang Je Lee),김상욱(Sang Wook Kim),고홍숙(Hong Sook Ko),김태호(Tae Ho Kim),김치정(Chee Jeong Kim),류왕성(Wang Seong Ry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3

        목적 : 3-hydroxy 3-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억제제(이하 statin이라 약함)의 lipoprotein (a)[Lp(a)]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는 약제의 종류나 투여기간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다는 보고들이 있어 논란이 있다. 이에 최소한 2년 이상의 장기적인 statin의 투여가 혈중 Lp(a)의 농도에 어떤 변화를 나타내는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최소한 2년 이상의 간격으로 지질과 Lp(a)를 반복 측정한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20 mg의 lovastatin을 복용한 군과(Statin군, n=33명), Lp(a)의 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알려진 약제를 복용한 군으로(대조군, n=60명) 나누어 여러 지질과 함께 Lp(a) 농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대조군과 statin군의 기본적인 임상적 지표들은 차이가 없었고, 추적기간은 statin군이 58.7±15.0개월(범위 32∼87개월)과 대조군이 54.7±16.4개월(범위 24 ∼81개월)로 역시 차이가 없었다(p=0.24). 20 mg의 lovastatin을 평균 58.7개월간 투여하였을 때에 Lp(a)의 농도는 변화가 없었으며(30.1±29.6 mg/dL vs. 28.2±23.1 mg/dL, p=0.89), 이는 대조군에서도 마찬가지였고, 농도의 변화량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LDL-C의 농도는 statin 투여군에서 각각 26.4% (p=0.000)와 40.5%(p=0.000) 감소하였으며, HDL-C 농도는 statin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13.6%(p=0.001)와 18.0%(p=0.000) 증가하였고, 변화양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82). 결론 : 후향적 연구에서 장기간의 lovastatin 투여는 Lp(a)의 농도에 영향이 없었으며, HDL-C의 농도에 대해서도 효과가 미미하였다. 확실한 결론을 위해서는 향후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effect of 3-hydroxy 3-methyl glutaryl CoA reductase inhibitor (statin) on the concentration of lipoprotein (a) [Lp(a)] is controversial. Most studies evaluated the effect of statin administered for less than 2 years. We were to analyze the effect of long-term treatment of statin on the concentration of Lp(a) retrospectively. Methods : A total 93 cases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tatin group (20 mg of lovastatin, n=33) and control group (n=60). Lp(a) and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medication for at least 2 years. Results : Between tw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aseline clinical variables and in biochemical parameters except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evels.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similar between control and statin groups (58.7±15.0 vs. 54.7±16.4 months, p=0.24). Lp(a) levels did not change in both statin group (30.1±29.6 mg/dL vs. 28.2±23.1 mg/dL, p=0.89) and control group (p=0.49). The change of Lp(a)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43). Statin was also ineffective in cases with Lp(a) level over 10 mg/dL. Total cholesterol and LDL-C levels decreased in statin group by 26.4% (p=0.000) and 40.5% (p=0.000) respectively. The elevation of HDL-C was similar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Long-term treatment of lovastatin did not modify Lp(a) level in retrospective study. To clarify the effect of statin precisely, prospective study might be needed.(Korean J Med 63:283-289, 2002)

      • KCI등재후보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관찰되는 QT 분산의 변화

        이왕수(Wang Soo Lee),김상욱(Sang Wook Kim),안지현(Ji Hyun Ahn),이상엽(Sang Yub Lee),송영빈(Young Bien Song),김상민(Sang Min Kim),조성원(Sung Weon Jo),이광제(Kwang Je Lee),곽미향(Mi Hyang Kwak),김태호(Tae Ho Kim),김치정(Chee Jeong Kim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2

        목적: QT 분산은 불균등한 심실 재분극을 나타내는 지표로 증가된 QT 분산은 허혈성 심질환과 돌연사 등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관동맥 확장술이 심실 재분극의 불균등성이 양호하게 회복시켜서 성공적인 관동맥 확장술 후에는 QT 분산이 유의하게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운동부하 검사는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검사로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관동맥 확장술 후 운동부하 검사에서 QT 분산의 변화에 대한 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스텐트시술 후 추적검사로 운동부하검사시 관찰되는 QT 분산의 변화와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허혈성 심질환으로 입원하여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유의한 관상동맥 협착을 보였던 환자들 중,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고 약물치료를 시행하였던 46명과 스텐트시술을 시행한 후 6개월에 운동부하 검사를 시행하였던 41명을 대상으로 두 군에서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을 스텐트시술 전 심전도에서 측정하였고, 6개월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운동부하 전, 최대 운동부하시, 회복기 2분에 digitizer를 이용하여 측정 후 비교 관찰하였다. 결과: 내원시 치료 전 심전도에서 측정한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은 스텐트 시술군 에서 시술 전에 각각 51.2±15.6, 58.4±14.1 msec였고, 약물치료군에서는 내원시 50.9±13.8, 56.7±16.3 msec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그림 1). 6개월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최대 운동부하시 QT 분산 및 교정 QT 분산은 스텐트시술군에서 각각 28.2±11.9, 39.3±16.2 msec였고, 약물치료만 받은 군에서 40.4±20.5, 57.8±30.0 msec로 스텐트시술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운동부하 검사 시작 전과 회복기 2분에도 스텐트시술군에서 약물치료군보다 유의하게 짧았다(p<0.05, 표 3, 그림 1). 하지만 병변 위치와 병변 혈관 수에 따른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스텐트시술 후 6개월에 추적 운동부하검사를 시행한 결과 QT 분산과 교정 QT 분산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스텐트시술이 심근허혈의 완화와 심실재분극상태의 향상에 효과적이고 운동부하검사시 교정 QT 분산의 측정이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관동맥 확장술 후 추적 운동부하 검사에서 QT 분산의 의미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QT dispersion (QTd) represents inhomogeneous ventricular repolarization. Increased QT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ischemic heart disease and sudden cardiac death. Successful percutaneous coronary angioplasty (PTCA) produces a favorable recovery of inhomogenous repolarization and reduces QTd. Although treadmill exercise test is commonly used for follow-up test after PTCA, limited data are available about QTd during treadmill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 in QTd and determine its clinical role in follow-up treadmill exercise test after coronary stenting. Methods: 41 patients with 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underwent successful coronary stenting, while 46 patients were medically treated. Treadmill exercise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QTd between two groups as a follow-up test at 6 months after coronary stenting and medical therapy. Treadmill exercise test was recorded in pre-test, peak exercise, and recovery 2 minutes phase. QTd and corrected QT dispersion (QTcd) were measured in these ECGs using a digitizer. Results: Coronary stenting significantly reduced QTd and QTcd at 6 months after coronary stenting. QTd and QTc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onary stenting and medical therapy group at initial EKG before treatment. After coronary stenting, QTd and QTcd wer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ose of medical therapy group. And the changes in QTd and QTcd were more marked at peak exercise (28.2±11.9 and 39.3±16.2 msec in coronary stenting group vs 40.4±20.5 and 57.8±30.0 msec in medical therapy group). Lesion location and diseased vessel number were not associated with changes in QTd and QTcd. Conclusion: Coronary stenting reduced QTd and QTcd significantly in follow-up treadmill exercise test. Coronary stenting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o relieve myocardial ischemia and to improve inhomogenous ventricular repolarization than medical therapy. The measurement of QTcd during treadmill exercise test may be a useful index to evaluate myocardial ischemia after coronary stenting. Clinical relevance of these finding will require further study. (Korean J Med 63:186-194, 200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