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의 개념적 혼성 양상과 상상력의 구조 : 김구용의 「뇌염(腦炎)」을 중심으로

        김청우(Kim Chung W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본 연구는 김구용(金丘庸)의 「뇌염(腦炎)」(1952)을 중심 텍스트로 삼아 시의 개념적 혼성(conceptual blending) 양상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를 토대로 상상력 구조의 일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지언어학(cognitive linguistics)의 개념적 혼성 이론은 다수의 ‘정신공간’을 상정하고 그러한 정신공간들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상상력의 기제를 규명하려는 이론이다. 인지언어학은, 의미란 언어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리의 인지(신체)에 의해 일어난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언어와 의미의 논의 지평을 문장과 문법으로부터 신체로까지 확장시켰다. 이러한 흐름은 시학에서도 마찬가지로 전개되어왔다. 기존의 시학은 ‘시적인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은유와 환유, 그리고 시읽기를 통해 형성되는 의미 등을 수사학의 문제로 다루었다. 하지만 시적인 효과는 인지와 관련된 문제이며, 결코 문채(文彩, figure)와 같은 수사학 차원에 국한된 것이라 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지시학(cognitive poetics)은 인지언어학의 논의와 개념들을 원용하여 시에 접근해왔다. 그러나 개념적 혼성 이론은 어디까지나 인지언어학의 학문적 흐름에서 등장한 개념이므로, 문체(style)에 관해 다룸으로써 텍스트의 의미를 규명해야 하는 시학의 경우에는 그러한 특수성을 아울러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인지시학은 ‘문학’이라는 제시 형식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를 중심으로 인지언어학의 개념들을 논의선상에 들여온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지시학의 해석 방법론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상하기 위해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김구용의 시 「뇌염」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인지시학의 해석 방법론을 보다 정교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시적 의미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또 전달되는지를 더 명료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를 통해 우리의 상상력의 구조를 그 일부나마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ceptual blending aspects of poetry using Kim Gu Yong’s “encephalitis”(1952) as a central text, and to further identify the part of the structure of imagination. Conceptual blending theory is a field of cognitive linguistics that focuses on ‘cognition’ to reveal how ‘meaning’ is formed and transmitted. On the one hand, cognitive linguistics emphasized that meaning does not exist only in language, but rather arises from our cognition(body). By doing so, the horizon of discussion of language and meaning has been extended from sentences and grammar to the body. This flow has also been developed in poetics. The existing poetics has dealt with metaphors and metonymy, which are inseparably related to the ‘poetic,’ and the meaning formed through poetry reading was dealt with at the field of rhetoric. However, the poetic effect is a problem related to cognition, and it cannot be said to be limited to the level of rhetoric such as ‘figure.’ For this reason, cognitive poetics has approached poetry using discussions and concepts of cognitive linguistics. However, the conceptual blending theory has always emerged from the academic flow of cognitive linguistics, so in the case of poetry that need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text by dealing with styl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ch specificity as well. Cognitive poetics brings the concepts of cognitive linguistics to the line of discussion, focusing on the presentation form of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d Kim Gu Yong’s poem “encephalitis” as a conceptual blending theory to conceive more concretely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ry. I think this work will not only be able to elaborate the interpretation methodology of cognitive poetics, but it will also help to understand more clearly how new poetic meanings are created and transmitte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examine some of the structures of our imagination.

      • KCI등재

        ‘광주 파노라마’와 변증법적 도약의 시 -벤야민으로 읽은 황지우의 시-

        김청우 ( Kim Chung-wo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2

        이 논문은 발터 벤야민(W. Benjamin)이 그려낸 사상적 지도를 통해 황지우가 그려낸 시적 지도를 읽는 작업이다. 황지우의 시는 어려운 현실 하에서 줄곧 제기되는 이른바 ‘문학과 정치’라는 문제에 대해 하나의 전망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이는 벤야민의 철학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날 수 있다. 황지우의 시는 크게 몽타주 기법을 사용 한 시와 낭만주의적 형태의 서정시의 두 축으로 전개되어 왔다. 초기 두 시집에서 몽타주 시와 낭만주의적 시의 간극은 크지만, 시집이 거듭되어 출간될수록, 특히 『게 눈 속의 연꽃』에 이르러서는 초기와는 다른 형태의 몽타주 시가 등장하고 이로써 그 간 극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본고는 기존의 연구에서 정당하게 평가되지 않은 『게 눈 속 의 연꽃』에서의 실험이, 시인의 ‘문학-정치’ 차원에서 제기된 이러한 시적 고민을 해결 하는 데 오히려 얼마간은 성공했다고 본다. 이를 가능하게 한 시 저변의 논리는 벤야 민의 사상적 지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규명될 수 있다. 그리하여 벤야민을 통해 황지우를 읽어냄으로써 그의 시세계에 대해 보다 명징하게 이해함과 더불어, 그의 시가 문학과 정치의 관계에 대해 고심한 흔적인 만큼 파국의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 ‘문 학-정치’는 무엇이며 또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지에 대한 하나의 답을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is a work of reading the poetic map drawn by Hwang Ji-woo through an imaginary map drawn by W. Benjamin's philosophy. Hwang Ji-woo's poetry presents a prospect for the so-called literature and politics that is constantly being raised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which can be more clearly revealed through Benjamin's philosophy. Hwang Ji-woo's poetry is largely composed of poetry using montage technique and poetry of romantic style. This composition is found in other poems as well, but in the early two poetries it is visible enough to be in contrast to each other. However, I think that this situation is merely a result of being emphasized because the montage technique can not be ‘embodied.’ The technique of montage is only embodied until it reaches The Lotus Flower In The Crab's Eyes. This study sees that the lyric poetry of the romantic form has been able to do such a thing by acting as another axis in the montage poet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is embodyment has succeeded in solving some of his poetic troubles as ‘literature-politics’, and the logic of the poetry that drives this can be identified by Benjamin's theoretical guidance. In this way, I read about Hwang Ji-woo through Benjamin and understand his poetic world more clearly, and his poetry is a trai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so what is ‘literature-politics’ I expect to be able to get an answer on how it is possible.

      • KCI등재

        피안과 모성을 향한 동경과 사랑, 그 희구와 좌절의 시적 공간 - 1960년대 구자운의 바다 관련 시를 중심으로

        김청우(Kim Chung-woo)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구자운은 1950~60년대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언급됨에도 불구하고 정작 본격적인 연구 성과는 그리 많지 않은 시인 중 한 명이다. 그러나 순수 서정을 토대로 민족 언어를 새롭게 전개하고 개인의 우울과 사회의 역학을 심층적으로 들여다보며 그 사이에 놓인 예술적 삶과 언어를 형상화하려 한 그의 시적 작업은 지속적으로 평가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는 작업으로, 구자운의 시 중에서 상대적으로 잘 다루어지지 않은 바다 관련 시편들을 대상으로 삼아 그의 시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1960년대 들어, 구자운은 이전까지 도자기에 향했던 관심을 ‘바다’로 돌린다. 바다는 이 시기 구자운의 시세계를 구축하는 틀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시의 서술어를 지배한다. 시의 화자는 바다를 통해 현실을 인식하고, 자신의 정신 상태와 현실을 다시 바다에 투사하여 읽는 것이다. 무력하고 왜소한 화자에게 바다는 거대하고 압도적인 힘을 보여주는 존재로, 정체되고 고착화한 현실을 타파하는 공간으로 나타난다. 특히 바다의 역동성은 화자에게 ‘작은’ 생명을 죽음으로써 안는 더 ‘큰’ 생명으로 다가온다. 그리하여 바다에서의 죽음은 곧 ‘원천’으로의 회귀이자 더 큰 생명에의 투신이 되어 소외와 고통의 현실로부터 해방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구자운 시에서 그러한 환상은 영원성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구자운의 시에서 ‘바다’는 혼돈과 사랑의 세계로서, 모종의 억압적 힘에 ‘저항하는 힘’이 가득한 공간으로 이해된다. 그래서 그에게 ‘군중’의 모습은 바다와 겹친다. ‘바다’는 실제 바다이기도 하면서, 속성의 유사성으로 인해 때로는 그와 동시에 ‘항거하는 군중’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바다는 비록 과거 시대의 근원성은 상실했지만 특유의 역동성을 가졌기에 그에게는 ‘피안’이며 ‘자유’이며, 따라서 삶의 희망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안정과 안전을 느낄 만한 ‘장소’가 현실에서 부재한 상황에서, 시적 주체는 자신의 이러한 바다가 주는 환상에 침잠하지 못하고 끝내 의심하며 방황을 종식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바다 공간을 끊임없이 ‘생명의 바다’로 치환하는 낭만주의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대응은 ‘무한히 열림’으로서의 바다의 공간성으로부터 야기되는 공포와 불안의 감정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는 없는 것이다. 지금까지 구자운의 바다 관련 시편들은「청자수병」으로 대변되는 이상적 세계에의 추구로부터 다시 전통적인 「학」의 세계로 이행하는 데 있어 과도기적 성격을 갖는 작품들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바다’는 세계에 대응하는 인식의 틀로서 구자운의 시 전반에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구자운 시세계를 이루는 하나의 ‘축’이자 또 하나의 ‘국면’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청자수병’과 ‘학’의 세계를 만든 시적 논리가 바다 관련 시들에 이미 내재해 있기도 하다는 점에서 다시금 위치 지워져야 한다. 특히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근본적인 고민을 ‘바다’ 이미지를 통해 ‘공간적-시적’ 언어로 풀어냈기에, 이러한 그의 시적 논리와 상상력은 한국 현대시사에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Koo Ja-woon is one of the poets who are importantly mention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950s and 1960s, but the number of full-fledged research achievements is limited. However, his poetic works, which attempts to embody the artistic life and language in between, newly unfolding the national language based on pure lyricism, taking an in-depth look at individual depression and the dynamics of society, is worth continuing to evaluate. This study complements the existing discussions, and aims to clarify his poetic world in more detail by targeting the sea-related poems that are relatively untreated among Koo Ja-woon"s poems. In the 1960s, Koo Ja-woon turned his interest in ceramics introduced in the 1950s to the sea. The sea dominates the predicates of the sentences that make up the poem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said to function as a framework for constructing his poetry world. The narrator of the poem perceives reality through the sea, and reads his mental state and reality by projecting it back onto the sea. To a helpless and ‘small’ speaker of the Koo Ja-woon’s poem, the sea appears as a being that shows enormous and overwhelming power. The dynamism of the sea space makes it a space of possibility to break through a stagnant and fixed reality, that is, a reality that gives the speaker a sense of alienation and pain, in other words, it makes them regarded as a more ‘big’ life embraced by the death of a ‘small’ life. In that sense, the death of a man who commits to the sea becomes a return to the ‘source’ and a commitment to a greater life, and such an illusion is presented as a way to realize eternity in Koo Ja-woon"s poem. In Koo Ja-woon"s poem, the sea is understood as a world of chaos and love, a space full of ‘power to resist’ some sort of repressive force. So, for him, the appearance of ‘crowd’ overlaps with the sea. ‘Sea’ is also the actual sea, and sometimes it is also the ‘rebel crowd’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identified attributes. Although the sea has lost its originality in the past, it has a peculiar dynamism, which is why it is regarded as a “Transmundane” and “freedom” to him, and thus a hope of life.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no ‘place’ to feel stability and safety in reality, the poetic subject does not submerge in his fantasies, doubts, and cannot end wandering. Despite the romantic response that constantly replaces the sea with the sea of life, it reveals the fact that it cannot fundamentally resolve the feelings of fear and anxiety arising from the spatiality as ‘infinitely open.’ Until now, Koo Ja-woon"s sea-related poems have been understood as works of a transitional character in transitioning from the pursuit of the ideal world represented by the “Cheongjasubyeong(celadon kuṇḍikā)” to the world of “Hak(crane)”. However, for Koo Ja-woon, the sea is acting in the whole world of poetry as a frame of recognition that responds to the world. It is positioned as an axis of the poetry world of Koo Ja-woon and as another phase. On the one hand, it needs to be repositioned again, because the poetic logic that created the world of “Cheongjasubyeong” and “Hak” is already embedded in sea-related poems for some.

      • KCI등재

        이상(李箱) 시에서 나타난 가족 갈등과 낙원의 논리

        김청우(Kim, Chung-wo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0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6

        이상의 시는 모더니즘이 강조하는 문학의 자율성을 구현한 것으로 흔히 다루어졌다. 현실과는 무관한 지점에서 자율적 스타일을 만들기 위한 시도로 생각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그의 시를 면밀하게 살펴보면 결코 자율적 세계의 구축이 아닌, 끊임없는 현실에의 직시와 이에 대한 담론화를 지향함을 알 수 있다. 이상 시의 난해성은 현실과 무관해지려는 의도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그가 처한 현실의 복잡성에 기인한다. 그는 식민지 현실을 낯설게 이야기했으며, 그것을 통해 ‘최저(最低)’의 수준에 놓여 있는 낙원을 현실의 가시적 수준으로까지 끌어 올리기를 염원했다. 본고는 ‘가족’을 둘러싼 기존 담론의 결을 보여주고, 더 나아가 ‘새로운 공동체’로서의 ‘커뮤니티’를 구상 및 제안하는 데 이상의 시를 경유하고자 한다. 이상의 시는 ‘스타일’의 창조를 통한 공간 만들기, 즉 변화하는 사회상의 포착 및 공론화를 위한 텍스트 차원의 대응이기 때문이다. 그의 문학은 19세기의 ‘전통적’ 가치와 20세기의 ‘변화하는’ 가치 사이에 놓여 있음을 의식하는 데서, 그리고 ‘무엇을 말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말할 것인가’로 전환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러한 이상 문학의 근간에는 ‘가족’의 문제가 깔려 있다. 그의 시는 ‘어떻게 가족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가족, 다시 말해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을까’에 대한 대응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전제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시의 근간에 기존의 가족과 개인, 개인과 세계의 관계를 거쳐 ‘낙원’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것이 그의 문학지도라는 전제로, 이 지도를 읽어내는 작업이 지금 우리가 당면한 변화의 국면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Lee Sang’s poems were often treated as embodying the autonomy of literature emphasized by modernism. It was thought to be an attempt to create an autonomous style from an unrelated point in reality. However, if we look closely at his poems, we can see that he aims not only to build an autonomous world but also to face the endless reality and to stimulate discourse about it. Lee Sang’s intricacy of his poems is not due to his intention to be irrelevant to reality, but rather to signal the complexity of his reality. He talked about the unfamiliarity of colonial reality, and he hoped to bring paradise at the ‘lowest’ level to tangible reality through such writing methods. This paper shows the result of the existing discourse surrounding ‘family’. Furthermore, through Lee Sang’s poem, his thoughts about a ‘new community’ will be observed. This is because Lee Sang’s poems are a space created through the creation of ‘style’, that is, textual correspondence for capturing and publicizing the changing social situation. His literature stems from a sense of being spanned between the ‘traditional’ values of the 19th century and the ‘changing’ values of the 20th century, and from the transition from ‘what to say’ to ‘how to say’. The foundation of Lee Sang’s literature lies with the problem of ‘family’. The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his poem is a response to ‘how can we get away from family and create a new family, that is, a community?’ Therefore,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his literary guidance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aradise’ through existing family, individua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ixt the individual and world based on his poems. Reading this ‘map’, will help to identify the phases of change currently being experienced.

      • KCI등재

        문학의 상대주의와 문학이론의 대상

        김청우 ( Chung Woo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1

        우리는 지금 "예술(문학)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시대에 직면해 있다. "무엇이 어떤 것을 예술(문학)로 만들어주는가"라는 질문을 해야 한다는 견해에 둘러싸여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예술을 예술답게 만들어주는``, 소위 ``예술성``은 규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질문을 지속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행위다. 단토는 일상품이 예술품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예술성``이 아니라 ``해석``, 다시 말해 예술계라는 ``제도``라고 결론 내린다. 더나아가 그는 ``예술성``에 대해 어떤 말도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러한 ``예술성``은 존재하지 않으며, 따라서 예술가들도 ``무엇이든 가능한`` 상태에 놓여 있다고 주장한다. 문학의 영역에서도 이와 마찬가지의 흐름이 지배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흐름이 놓치고 있는 지점을 보여주고, 문학성이란 무엇이며 또 문학성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가능한지를 인지과학의 성과들을 빌려 모색했다. 이에 따르면 문학성은 ``낯설게 하기``의 효과가 발현되고 기능하는 국면에서 논의될수 있다. 문학성은 문학작품 내에 여러 형태의 표지, 즉 리듬이나 언어유희를 통한 언어의 전경화, 인지적 직시와 직시 이동을 통한 허구적 세계의 구성 및 제시, 스크립트의 제시 및 재조직화를 통한 비친숙화, 그리고 은유와 환유를 통한 새로운 인식의 창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지들이 문학의 표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이차적으로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방식으로 상호 조합되어야 한다. 텍스트가 중층적인 의미를 띨 때 ``낯설게 하기`` 효과가 빚어지며, 그때 문학 작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문학이론의 논의 대상은 바로 이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Danto `s opinion is that a question called "What is art?" is no meaning. And now, he insists to change a form of the question. He suggests that a important thing is ``interpretation``, for a discussion in art. He tries to maximize a power of ``interpretation``, and he tries to develop a new phase to the discussion. This essay tries to show the spot which this tendency is misses. This essay studies about "What is literary value?". And this essay tries to show a possibility of the question should be taken. This essay attempted to seek about a answer of the question, through a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According to this study, a literary value can be discussed in a phase, that a effect of ``defamilarization`` is works. The literary value is implemented as the cover of many forms in the literary work. That is a foregrounding of language through a rhythm or a pun(a sort of game), organization(and presentation) in the fictitious world through a cognitive deixis and a deictic shift, a defamiliarization through a presentation(and reconstruction) of a script, and a creation of a new way of thinking through a metaphor/a metonymy, and etc. However, these should be combinate each other in complexly and multily, for these indexes are to work on ``the cover`` of literature. Because ``defamiliarization`` effect is occurs when a text has complexly meaning. At this moment, text become literature. This is the subject of study of literature theory, and it can be discuss in this spot so clearly.

      • KCI등재
      • KCI등재

        범대순 시의 ‘광기’ 형상화 방식에 관한 연구

        김청우(Kim, Chung-woo)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0

        범대순은 1965년 첫 시집 『흑인 고수 루이의 북』을 상재한 이래 2014년 작고하기까지 열권을 훌쩍 넘는 많은 시집을 상재하면서도, 매 시집마다 하나의 방향성을 새롭게 설정했을 뿐만 아니라 나름대로의 성과를 거둘 정도로 남다른 열정과 재능을 가진 시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는 활동 무대가 지역이라는 데 더해, 소위 ‘중앙’ 문단의 주류적 흐름에 부합하지 않는 독립적인 실험을 계속했기에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고, 따라서 그 업적에 비해 연구 또한 그리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일신하기 위한 한 시도로서, 범대순의 시집 중 매우 독특한 세계를 보여주는『나는 디오니소스의 거시기氣다』에 주목하고자 한다. After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in 1965, he published a number of poetry books that far exceeded his tenure until his death in 2014. He was a poet with a passion and talent that not only set a new direction for each house but also had a good performance in his own way. Nonetheless, his literary activitie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because the stage is a region and he continued his independent experiments, which did not fit the mainstream of the so-called "central" literary field. Therefore, research has not been actively pursued compared with the accomplishment. This study attempts to overcome this situation by focusing on I am the Geosigi of Dionysus, which shows a very unique world among the poetical works published by Bum, Dae-so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poetic methodology of I am the Geosigi of Dionysus, which shows a relatively new tendency among his poems as an attempt to understand it as a poetic world in a frontal order. Especially, I think that this poem expressed "self-negativity" and "infinity" through poetry of "madness". Therefore, this essay examines the form of the form of insanity in his poem.

      • KCI등재
      • 호남춤 계보와 특성 연구: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춤을 중심으로

        김청우 ( Kim Chung-Woo ),심승구 ( Shim Seung-Koo ) 국제문화&예술학회 2021 국제문화예술 Vol.2 No.1

        이 연구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춤 6종목의 전승 양상과 춤사위 및 특징을 분석하여 호남춤의 계보와 특성을 밝힌 글이다.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민속춤의 춤사위 분석과 계보의 연구를 하고자 역사적 사료를 조사하는 문헌연구방법과 전라북도춤 전승의 핵심인물인 정자선과 박금슬에 관한 고증을 얻기 위해 직접 사사를 받았던 면담자를 만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춤사위에 있어 중성적이고 투박한 춤사위와 희노애락의 감정표현이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춤 전반의 분위기가 밝고 하부지향적 동작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전라북도 춤의 계보는 전동 권번의 예기 추월에서 이어지는 권번 계열의 춤과 권번에서 춤선생으로 활동했지만 무가계열의 태생이면서 재인이었던 정자선에서 이어지는 춤으로 분류할 수 있다. This study reveals the genealogy and characteristics of Honam dance by analyzing the aspect of transmission, dance moves, and characteristics of six types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dances in Jeollabuk-do. Data was collected by a method of research on historical record for the analysis of dance moves and genealogy of folk dances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Jeollabuk-do and by selecting interviewers, the key figures of the Honam dance transmission who were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to gain historical knowledge about Jeong Jaseon and Park Geumsul. Nevertheless, in the dance moves, Honam dance’s unique breathing techniques, delicate neutral dance lines, and delicate emotional expressions appeared in Honam dance.Thus, the character Jeong Jaseon was a member of the Muga family and a talented person. However, it can be defined as Gyobang that kept the reputation of his dance until it was designated as intangilbe cultural asset.

      • KCI등재

        자본주의의 심화와 인간성의 종말을 대하는 문학의 태도 -정체성의 해체와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

        김청우(Kim, Chung W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서강인문논총 Vol.- No.62

        신자유주의는 통상, ‘제국주의’로 표현된 독점자본주의와 후기자본주의 양식에 새로운 기능 규칙들을 포함하는 변화로, 각종 규제의 철폐를 통해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시장과 사적 이익의 극대화를 노리는 이데올로기를 가리킨다. 이러한 신자유주의는 한편으로 경제를 넘어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이 시대에 내면화되었다. 특히 신자유주의가 설파하는 ‘능력’과 ‘경쟁’, 그리고 ‘(사적 소유의) 이익’의 비례 관계는 하나의 교리로서 개인주의화의 흐름과 맞물려 개인에게 기회의 장으로 여겨졌기에 자유 시장 경제 체제는 더욱 공고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신자유주의가 몇 번의 경제위기를 거치면서 경제 체제로서의 위상을 상실했다 할지라도, 상기한 것처럼 여전히 정치・사회의 측면에서는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기본 골격(‘능력’, ‘경쟁’, ‘사적 이익’)은 케인즈주의의 부활에도 부정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회적 불평등, 빈부격차의 심화, 사회의 극단적 분화, 비정규직의 확대, 직업(일)으로부터의 소외, 우연성의 극대화와 사회적 안전망 부재 속에서의 모험 강요 등의 문제는 점차 심화 일로에 놓여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의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 내면화는 개인에게 우연 속에서 끊임없이 도전하고 노동할 것을 강요함으로써 불안한 상태에 처하게 하며, 결국 세계에 관한 믿음으로서의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지 못한 개인은 삶이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거나 스스로 의미를 찾아내기 위해 종교적, 정치적 극단주의(우경화)나 민족주의, 인종주의, 도덕적 절대주의 등의 태도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인정’을 둘러싼 투쟁이 자기정체성을 기반으로 삼을 경우, 그것은 결코 ‘자본주의/반자본주의’의 자장(磁場)에서 벗어난 논의가 되지 못할 공산이 크다. 관계와 연대의 형성을 저해하는 자본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반자본주의’를 구상한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자본주의의 장 안에서 논의될 따름이기 때문이다. ‘공동체주의’는 그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신뢰나 책임과 같은 개념에 대해 매우 의심스러운 요구를 하는 것으로 이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리처드 로티는, 우리가 ‘인간적 연대’에 관한 모종의 뿌리 깊은 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과연 ‘자아상’이 없이도 공동체를 만들고 연대를 할 수 있는지 대답하고자 한다. 로티의 ‘아이러니스트(ironist)’는 바로 그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자들의 이름이다. 어떤 시인은 아이러니스트가 될 수 있다. 신자유주의와 자본주의 심화는 이와 같은 인식의 주체들의 대화적 연대와 이들이 서로 움직이며 만들어내는 부딪침의 불화에서 일말의 극복 가능성을 얻을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자본주의와 공동체주의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현대시를 로티와 라캉(정신분석)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그것이 야기하는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는 혜안을 얻고자 한다. Neo-liberalism is a change that usually includes new functional rules in the form of ‘imperialism’ and refers to an ideology aimed at maximizing market and private interests by minimizing state intervention through the elimination of various regulations. On the one hand, this neoliberalism was internalized in this era throughout politics and society beyond the economy. In particular,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e’, ‘competition’, and ‘interest in private ownership’ preached by neoliberalism was regarded as a place of opportunity for individuals as a doctrine. Even if neoliberalism has lost its status as an economic system through several economic crises, it is still exerting power in terms of politics and society a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the basic framework is not denied even in the revival of Keynesianism. As a result, problems such as social inequality,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extreme differentiation in society, expansion of non-regular workers, alienation from work, maximization of coincidence, and coercion of adventure in the absence of a social safety net are gradually intensifying. This internalization of society"s neoliberal ideology puts individuals in an uneasy state by constantly forcing them to challenge and work in coincidence, and in the end, individuals who fail to form a ‘self-image’ as a belief in the world think life is meaningless or take attitudes such as religious and political extremism, racism, and moral absolutism. However, if the struggle over ‘recognition’ is based on self-identity,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never be discussed outside the magnetic field of ‘capitalism/anti-capitalism’. This is because even if anti-capitalism is devised to counter capitalism that hinder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nd solidarity, it is only discussed in the field of capitalism. Despite its pure function, "communitarianism" eventually transitions to making very suspicious demands on concepts such as trust and responsibility. R. Rorty has some deep-rooted notion of "human solidarity," and tries to answer whether he can create and solidify a community without a "self-image." Rorty’s ‘ironist’ is the name of those who can play such a role. Some poets can be ironic. Neoliberalism and deepening capitalism are thought to gain som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conversational solidarity of the subjects of this perception and the conflict they create by moving with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modern poetry, which critically deals with capitalism and communitarianism, through the discussion of Rorty and Lacan (mental analysis), and gain the benefit of overcoming the problems it ca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