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북한산성의 세계유산 가치와 등재전략 : 한양도성과 연융대성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심승구(Shim, Seung-koo) 북악사학회 2020 북악사론 Vol.11 No.-

        북한산성은 고대로부터 18세기까지 한국의 도성방어 체제가 어떻게 발달해 왔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성곽유산이다. 한국의 도성제(都城制)는 고대에는 산 위에 성곽 시설을 쌓는 산성(山城) 형태에서 점차 평지에 성곽 시설을 갖추는 평성(平城) 형태로 발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갈수록 수도의 군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경제·문화·행정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 데에 따른 것이다. 조선왕조의 도성은 동아시아의 유교이념에 따라 처음으로 한양의 평지에 궁성(宮城)을 쌓고 주변 내사산(內四山)을 연결하여 성곽을 두루는 형태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양란 이후 전쟁의 위협이 계속되자 도성의 배후인 북한산에 외성(外城)에 해당하는 북한산성을 축조하였다. 이어서 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하는 중성(中城)인 탕춘대성(연융대성)을 쌓아 3개의 성곽을 하나의 방어시설로 구조화하였다. 이와 같이 도성(내성)-연융대성(중성)-북한산성(외성)의 복합적인 도성 방어유산은 국내와 동아시아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도 드문 예외적인 사례이다. 한양도성과 연융대성, 그리고 북한산성으로 이어지는 3단계의 복합적인 성곽체제는 수천 년 동안 한국 사회가 발달시켜온 도성방어시스템의 완성을 의미한다. 특히 북한산성은 연융대성과 함께 도성을 지키는 최후의 보루이자 사수성으로서, 국왕이 백성과 함께 도성을 지킨다는 ‘여민공수(與民共守)’라는 근대적 이념이 깔린 18세기 성곽유산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g Univertial Verlue, OUV)를 갖는다. The value of UNESCO World Herit age of Bukhansanseong is that it has a complex structure of castle built on a Bukhan mountain linked to the castle of capital. As can be seen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city and Bukhansanseong in the Joseon Dynasty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eth and gums or mother and child, Bukhansanseong Fortress is characterized as an fortress built to the north of the city to protect the capital. Usually, it is as if the capital is carrying B ukhansanseong Fortress and wearing a band around Tangchundaeseong Fortress. On the contrary, in case of emergency, Bukhansanseong Fortress holds Tangchundaeseong Fortress, Tangchundaesung Fortress is again holding the castle of capital. Bukhansanseong Fortress is the crystallization of the 18th century capital city defense system that most perfectly combines Korea traditional fortress system with the capital city system. Bukhansanseong Fortress is a double-built defense system behind the capital’s fortress, a very except ional example worldwide. It is noteworthy that Bukhansanseong is a military facility that symboliz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elf-defense system of the Korean capital. The three-stage castle structure that leads to the capital castle of Hanyang,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angchundaeseong Fortress means the completion of a unique city defense system developed in Korea.

      • KCI등재

        의암별제의 안과 밖 - 1910년 이전의 논개제를 중심으로 -

        심승구 ( Shim Seung-koo ) 한국음악사학회 2020 한국음악사학보 Vol.65 No.-

        의암별제는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의기 논개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사이다. 기녀들이 제관으로 참여하여 악가무가 곁들여진 풍류제례로서, 전근대사회에서 여성의 첫 유교식 제례라는 특징을 갖는다. 매년 제사 때만 되면 진주의 촉성루와 남강 일대에 수많은 인파가 참여할 정도로 지역 축제의 모습을 잘 간직해 왔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 크다. 하지만, 지금까지 의암별제를 비롯해 논개제 전반에 대한 형성과 변천에 대한 규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은 임진왜란 이후 1910년 일제강점기 이전까지 약 300년간 논개제의 실체를 조명한 것이다. 이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개의 사당인 의기사가 처음으로 세워진 것은 1832년(순조 32)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의기사는 1740년(영조 16)에 세운 것으로 이해해 왔다. 둘째, 의암별제를 처음 실시한 것은 1864년(고종 1) 경상우병사 이교준이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의암별제는 1868년(고종 5) 목사 정현석에 의해 처음 시행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셋째, 논개제는 1593년 진주성 함락 후 민간의 강변제사로 시작된 뒤, 19세기 초반 의기사가 건립되면서 춘추제 형태의 국가제사로 정례화되었다. 그러다가 1864년(고종 1) 6월 함성제 전에 의암별제가 설행되기 시작하였다. 넷째, 일제감점기 이전까지 설행된 논개제는 의기사에서 춘추로 지내는 의기제, 6월 초 길일에 기녀들이 촉석루에서 지내는 의암별제, 그리고 6월29일진무청이 주관하는 함성제 등 3가지이다. 특히 의암별제는 촉석루에서 진주성이 함락된 그 날의 아픔을 떠올리며 논개의 충의를 재기억함으로써 지역민의 충의를 함께 다짐하는 자리였다. 그런 점에서 의암별제는 춘추제에 짝하는 별제의 성격을 띠기도 하지만, 6월 함성제에 앞서 행하는 별제의 의미를 강하게 갖는다. 결국 일제강점기 이전까지의 논개제는 순절한 논개의 충의 정신을 추모함으로써 인심을 수습하고 관민화합을 도모하는 관변 축제의 성격이 짙다. 그 가운데 의암별제는 특히 봉건사회의 해체기에 논개의 충성과 의리를 지역민에게 재기억시키는 기억의 정치학을 통해 향촌사회를 안정화시키는 핵심 기제로 작동하였다. Uiambyeolje is a ritual to commemorate the soul of Nongae, who passed away during the Imjin War. It is a Pungryu ritual where a prostitute participates as a canon and is accompanied by bad dance, and is characterized as the first Confucian ritual for women in the pre-modern society.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local festivals have been well preserved so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participate in the Chokseongru and Namgang areas of Jinju at the time of annual rituals. However, until now, little has been done on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Uiambyulje and Nongaeje in general. This article highlights the reality of Nongaeje for about 300 years after the Imjin War and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10.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igisa, the shrine of Nongae, was first established in 1832 (Soonjo 32). Until now, however,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medicinal temple was founded in 1740 (Yongjo 16). Second, it was Gyo-jun Lee, a Commander of Gyeongsang-Udo Army in 1864 (Gojong 1) that first implemented Uiambyulje. Until now, however,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Uiambyeolje was first implemented by Regional Officer Hyeon-seok Jeong in 1868 (Gojong 5). Third, Nongaeje began as a private riverbyeon ritual after the fall of Jinjuseong Fortress in 1593, and then it became a regular national rite in the form of a spring and autumn festival with the establishment of a medicinal rite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June 1864 (Gojong 1), Uiambyulje began to be held before Hamseongje. Fourth, there are three types of Nongaeje, which were held before the Japanese imprisonment period: Uigije, which is held from Uigisa to spring and fall, Uiambyulje, where prostitutes spend at Chokseokru in early June, and Hamseongje organized by Jinmucheong on June 29. In particular, Uiam Byeolje was a place to pledge the loyalty of the local people together by recalling the pain of the day Jinjuseong fell in Chokseokru and remembering the loyalty of Nongae. In this respect, Uiam Byeolje has the characteristics of Byeolje, which is matched with the Spring Festival, but it has a strong meaning of Byeolje, which is performed before Hamseongje in June. In the end, the Nongaeje Festival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characterized by a spectator festival that promotes public-private harmony by commemorating Nongae's pure spirit of loyalty. Among them, Uiambyulje served as a key mechanism for stabilizing the township society through the politics of memory, which re-memorizes the loyalty and loyalty of Nongae to local people during the dissolution of feudal society.

      • KCI등재

        일반논문 : 관왕묘 의례의 재현과 공연예술화 방안

        심승구 ( Seung Koo Shi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2 공연문화연구 Vol.0 No.24

        관왕묘 향사의례(享祀儀禮)는 조선후기 국가제사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임진왜란 직후 우리나라에 처음 세워진 관왕묘는 국가제사 가운데 소사(小祀)로 정비된 후 정조 때중사(中祀)로 격상되어 문묘(文廟)에 비견되는 무묘(武廟)로 발전하였다. 그 결과 조선초기에 정비된 둑제(纛祭)가 소사(小祀)에 그친 것과 달리 관왕묘는 조선후기 무신들이 주관하는 최고의 제례로 자리잡아 나갔다. 그러한 경향은 1908년 관왕묘 제례가 폐지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관왕묘 의례는 명나라의 요청에 의해 타율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조선후기 국왕들이 충의의 상징으로 인식하면서 군주권 강화를 위한 상징적 의식으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다. 특히 군신의 상징으로 시작된 관우 제사는 유교적 이념과는 배치되는 주술적 의례였지만, 조선후기 대외적으로는 숭명배청와 함께 대내적으로 국왕권의 강화라는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충성과 의리, 그리고 국가의 안위를 기원하는 재인식되었다. 그 결과 관왕묘 의례는 영조대에 『국조속오례의』에 소사를 거쳐 『춘관통고』에중사로 승격된 후 황제례에 입각한 『대한예전』에 최종 명문화되었다. 관왕묘 의례는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되었지만, 악가무에 맞춰 제사 의식과 절차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격조높은 유교의례의 특성을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소중한 무형의 문화유산이다. 특히 정대업 음악의 일부분을 취해 만든 관왕묘등가(關王廟登歌)는 제사 절차와 의식에 따라 군악(軍樂)형식의 고취 연주와 노래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다만, 같은 고취악으로 제례가 이루어지는 둑제와 달리 무용의식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또하나의 관왕묘인 숭의묘(西廟)에서의 일무로 추정되는 사실은 관왕묘 의례가 악가무에 바탕한 유교의례로서의 예술성을 보완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잘 아시다시피 중국에서는 관우 또는 관왕묘와 관련하여 경극, 곤극, 묘회(廟會) 등 다양한 공연예술의 소재와 축제문화의 근간으로 발달해 왔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관왕묘 제례의 재현과 무대예술화 방안은 관우를 활용한 한국식 의례 내지 공연예술로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특히 재물신으로서의 관왕묘 향사의례 재현은 풍요로움을 욕망하는 많은 이들에게 그 자체로 매력적인 관광콘텐츠가 될 가능성이 적지않다. 현재 공원화되어 있는 동묘(보물 142호)는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선조 34)의 건물이 원형 공간이 거의 그대로 남아 있다. 다시말하면, 조선시대 국가주도로 건립된 관왕묘 가운데 서울에 남아있는 곳은 동묘가 유일하다. 또한 서묘, 북묘, 남묘가 훼철되면서 그 안에 있던 소상과 기물들 상당수가 모두 동묘에 이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간은 동서남북의 관왕묘의 총합인 셈이다. 이는 동묘가 관왕묘 제례와 관련한 의례재현의 공간으로서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무엇보다도 서울의 동묘 공간을 활용한 관왕묘 의례의 재현은 종교적 차원 보다 역사적, 문화적, 예술적인 차원의 가치와 의미가 크다는 점에서 서울 도심 속 새로운 문화콘텐츠로서 주목받을 가능성이 크다. Dongmyo ("East Shrine") located outside the Heunginjimun Gate(Treasure No. 1) is a shrine established to honor Gwanu, a general under the warlord Liu Bei during the late Eastern Han Dynasty and Three Kingdoms era of China. Originally called Donggwanwangmyo ("East Shrine for Lord Gwanu"), the shrine was built just after the Imjin Waeran(1592-1598), the 7-year war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started by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 in the belief that the war was won by the Joseon-Ming allied forces due to the support of the ancient Chinese warrior. The name plaque of the shrine was written and sent by a Chinese emperor. The construction of the shrine began in 1599 and completed two years later, Currently, it enshrines a wooden statue of Gwanu along with those of his four assistants including Gwangpyeong and Juchang, This article was written to represent and performing arts plan on the ritual of Gwanwangmyo, Because the ritual of Gwanwangmyo may contain a variety of artistic value and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스포츠로 본 조선의 놀이문화

        심승구(Shim, Seung-koo)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78

        포구락은 한국의 궁중무용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춤이다. 고려 문종 27년(1073)에 중국 송에서 도입한 궁중무용 가운데 현재까지 거의 천 년간 지속된 보기 드문 춤이다. 원래 민간의 공놀이에서 출발한 것으로 짐작되는 포구락은 당나라 때에 이르러 춤과 결합하여 발전한 이래 오대를 거쳐 송·원·명대로 이어졌다. 한국에서는 고려를 거쳐 조선시대에 더욱 발전하여 민간무용으로까지 확대되었다. 포구락과 관련된 많은 기록과 자료가 보존되어 있으며 춤의 형태와 순서, 장단, 음악 등을 자세히 기록한 무보(舞譜)까지도 남아 있다. 그러나 포구락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중국에서는 현재 흔적조차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로써 볼 떄, 한국의 포구락은 한국 궁중무용의 발전과정을 이해하는 척도가 될 뿐 아니라 중국, 더 나아가 동양 궁중무용의 특색을 살피는데도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포구락은 노래와 춤을 테마로 극의 전개가 짜 맞추어진 뮤지컬과 유사하다. 만일 이러한 논리와 추론이 가능하다면, 포구락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스포츠 뮤지컬(Sports Musical)’ 이자 ‘뮤지컬 스포츠(Musical Sports)’라고 할 수 있다. 이점은 앞으로 스포츠의 예술화는 물론 예술의 창작화를 위해 좋은 실마리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Pogurak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royal court dances. It is the only continued dance in Korea for almost one thousand years among the royal court dances which have been introduced from Song dynasty of China in the era of 27-year of Munjong in Goryeo (Korea). Pogurak which is assumed that was generated from a folk ball game was combined with dance during the Tang dynasty and continuously flourished throughout the era of Five Dynasties, Song, Yuan, and Ming dynasty in China. In Korea, it has been more developed into a folk da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us, numerous records and materials about Pogurak have been preserved including “Mubo” that is a dance notation containing the form, order, rhythm, and music of the dance. However, no trace remains in China that is considered as the birthplace of Pogurak. Given the point, Korean Pogurak not only functions as a yardstick in understanding a process of development of Korean royal court dance but also displays significant values in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the Eastern court dances. I argue that Pogurak is analogous to a form of musical which is based on thematic songs and dances. Thus I consider Pogurak is the oldest sports musical or musical sports in Korea. This perspective may provide an important idea for expanding sports to arts or creating new forms of art.

      • KCI등재

        조선시대 둑제의 변천과 의례

        심승구 ( Seung Koo Sh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4 공연문화연구 Vol.0 No.28

        둑제는 조선왕조 제례(祭禮)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고려 때 비정규적인 잡사(雜祀)로 치폐를 거듭하던 둑제가 조선 성종 때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이르러 길례(吉禮) 가운데 소사(小祀)로 정비된 것이다. 조선왕조가 둑제를 국가제사로 체계화한 까닭은 무비(武備)의 소홀을 경계하고 전쟁에서의 승리를 기원하기 위해서였다. 조선왕조에 들어와 국가제례로 정비된 둑제는 상제(常祭), 즉 정기적인 제사와 비정기적인 제사로 구분된다. 정기적인 제사는 평상시 매년 춘추로 경칩(驚蟄)과 상강(霜降)에 지내는 절제(節祭)를 말한다. 비정기적인 제사는 주로 외적이쳐들어오거나 군대의 동원하기에 앞서서 승리를 기원하는 제사를 말한다. 둑제는 조선왕조에 별도의 무묘(武廟)가 없는 상황아래에서 무신들이 제사를 지내는유일한 제사였다. 이점에서 무신들에게는 둑제가 일종의 무묘제(武廟祭)와 유사한 성격을 띠었다. 한때 둑기를 훈련원에 합쳐 무묘(武廟)를 설치하자는 요구가제기되었지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다가 임진왜란 이후 관왕묘(關王廟)가 만들어져 중사(中祀)로 체계화 되면서 무묘(武廟)의 역할을 일부 담당하였다. 이에 따라 소사(小祀)인 둑제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기는 했지만, 둑제는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그 까닭은 둑제가 무묘로까지 발전하지는 못하였으나, 외침이 있거나 군대의 출정에 앞서 둑제의 시행은 필수적인 의식으로 거행되었기 때문이다. 둑제는조선건국이후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518년간 조선시대의 국가제사인 소사(小祀)로서 기능하였다. 조선시대의 둑제는 군신(軍神)을 상징하는 4개의 둑기에 제사를 지내면서 납씨가, 정동방곡 등의 음악과 노래에 맞춰 간척무(干戚舞), 궁시무(弓矢舞), 창검무(槍劍舞)를 추는 등 조선시대 예악문화(禮樂文化)의 정수를 담고 있는 소중한무형문화유산이다. 둑제의 복원은 임진왜란 기간 중 삼도수군통제영이 있던 여수에서 진남관(鎭南館, 국보 304호)의 공간을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지난 2007년도 문화관광부가 처음 시행하는 전통예술 복원 및 재현사업 제1호로 선정된 둑제는 개성있고 품격있는 지방 제례(祭禮)의 원형을 복원함으로써, 각 지역의 전통문화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민족문화를 계승·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 Dukje(纛祭) became a confucian ritual in Joseon Dynasty. The flag was like the appearance of a black cow hair. It is the memorial service that is prior to the war. It was the memorial service of the soldiers. Especially, For processing as soon as the Japanese in Korea, Admiral Yi fought out to the sea in 1592. He served during the war, to sacrifice three chare. Because Korea was to defeat the Japanese forces. President of the Japanese invasion investigation, especially the navy Admiral Yi Sun-sin was Coordinators prior to the navy geoneurigo dukje through habeas victory over war record that wish to overcome this national crisis "war diary (亂中 日記)" is checked in three times. Sokujonje Tattoo "Dzukuje (纛祭)"is a ritual ceremony Dzukugi progress of (纛旗) Shussei in front of the army. Dzukuje that is maintained as ritual of the country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Dynasty (釋奠 festival) depending on the scale of implementation and region, is embankment zero division (soldiers 營, water 營) of each region and Dzukuje of Seoul. especially,. Dzukuje was the ritual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military retainer of (military retainer) is, of Im-Dragon record before you go on the warpath led the naval force, and prayed a national crisis overcome victory of the war through Dzukuje "during a run diary Admiral Yi Sun-sin was a three way naval control use Jonrajowa investigation and of turbulence (turbulent Sino-Japanese - mentioned three times have been identified in)".

      • KCI등재

        한국 민속의 활용론과 문화콘텐츠 전략

        심승구(Shim, Seung-Koo)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1

        ??민속은 한국의 기층문화를 대변하는 민속문화로서, 새로운 문화가치를 창출하는 창작기반이자 보고이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콘텐츠와의 관련성을 피할 수 없다. 원래 ‘활용(application)’의 사전적인 개념은 ‘본래 그것이 지닌 능력이나 기능을 잘 살려 사용하는 행위’를 뜻한다. 민속의 활용이란 단순히 이용하기 보다는 그것이 지닌 가치나 기능 또는 능력을 잘 살리되, 그 특성과 상태에 맞게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는 행위다. 하지만, ‘민속의 활용’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보존ㆍ관리를 소홀히 하거나 활용만을 위한 개념이 아니다. 오히려 민속의 발굴ㆍ복원ㆍ보존ㆍ관리ㆍ활용의 순환 구조를 재인식하고, 그 가운데 활용 가능한 대상과 상태에 따라 다양한 부가 가치를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민속의 활용이란 ‘민속문화의 재발견인 동시에 새로운 문화 가치의 창조과정’이다.<br/> ??민속의 활용원리는 크게 3가지 원칙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무엇보다도 활용에 앞서 대상의 유형별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민속은 그 유형에 따라 활용의 방법이나 범위가 다르기 때문이다. 둘째, 현재 민속의 보존과 관리 상태에 따라 다차원적인 활용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같은 민속이라 하더라도 발굴, 보존, 관리의 상태가 서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셋째, 민속의 유형과 현 보존 상태에 근거한 활용기준과 원칙을 정리한 후, 그 평가 결과에 따라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그러한 원칙아래 민속의 활용은 가치의 발굴로부터 확대로 이어진다. 가치의 발굴과 확대과정은 크게 가치의 발굴, 재인식, 극대화, 융합 등을 통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br/> ??민속의 활용은 기본적으로 보존 관리를 위한 기반 위에서 이를 활용하여 관광화, 교육화, 산업화, 상품화 등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이자 행위이다. 이를 위해서 민속의 원형을 살리려는 재현적 상상력에서 민속의 무한가치를 발굴해 내기 위한 통합적 상상력이 절실해 보인다. ??A dictionary definition of “application” is using well an object’s own ability or function.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application” is based upon a premise that does not basically damage the ability or function of it. In this sense, the application of folklore has sustainability which uses it without damaging the original one.<br/>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folklore means not a mere use the folk culture but a sustainable use for the value, function, or ability (if it’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it with considering its own nature and condition. For example, ‘authenticity’ i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to be designated a world folklore heritage because it is considered criterion for the registration. Accordingly, we should find a way to utilize it with thinking about this case. Likewise, the application of folk cultural assets is effectively using by showing the historic, artistic, scientific, and landscape value, function, or ability of cultural assets. Folk cultural heritages should be utilized more creatively because they are not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r memorials yet.<br/> ??However, the application of folklore is not a concept only for utilization, with ignoring its preservation and maintaining. The true purpose is creating various added value of useful folklore through the new understanding of circulating system which consists of excavation, restoration, preservation, maintaining, and application.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folklore is both a rediscovery of folk culture and a new creation process.

      • KCI등재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의 상호창조를 위한 시론

        심승구(Shim, Seung-Koo) 인문콘텐츠학회 2013 인문콘텐츠 Vol.0 No.29

        오늘날 사람들은 기술에 대해 너무 비판적이거나 너무 낙관적이다. 기술비판론자들은 마치 기술이 자연을 파괴할 뿐 아니라 결국 인간을 기술의 노예로 만들게 되리라는 우려를 갖는다. 반면에 기술예찬론자들은 기술이 인간을 고된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왔고 앞으로도 더욱 안락하고 풍요로운 삶을 보장해 줄 것이라고 믿고 있다. 프랑스 기술철학자 질베르 시몽동(Gilbert Simondon, 1924~1989)은 이러한 극단적인 태도가 기술의 본질을 ‘자동성’이라고 믿는데서 유래하는 오해라고 보고, 오히려 기술의 본질이 ‘비결정성’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기술적 실재에 노동과 상관없는 인간적인 것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기술문화를 통해 인간과 자연, 인간과 기계, 자연과 기계 사이에 상실된 조절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이처럼 그는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을 위한 존재론적 사유를 펼치며, 기계들과 공존하는 현대인들의 삶을 긍정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를 제시한다.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적 사유는 최근 경기도 남양주시에 건립된 유기농테마파크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 크다. 왜냐하면 그동안 철저히 탈기계적이고 탈기술적인 생산방식을 고수해 왔던 유기농 관점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공할 뿐 아니라 그 대안으로써 기능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유기농(유기농업, 유기축산, 유기임업 등)은 지구물질의 순환, 생물다양성의 확보, 농업생태계의 건강, 토양생물 활동 증진을 위한 총체적인 자연중심의 생산활동으로 요약된다. 다만, 친환경, 무농약, 무항생제 등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유기농은 기술적 대상들인 기계가 자연과 인간에 대해 큰 피해를 준다는 관점에 기반하고 있다. 따라서 유기농테마파크의 새로운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친환경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인간과 자연, 자연과 기계, 인간과 기계와의 공존과 공생을 넘어 상호창조론에 입각한 유기농 실현이라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때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적 대상 내지 기계의 상호창조론의 관점에서 주목되는 기술이 청색기술이다. 녹색기술(Green Technology)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청색기술(Blue Technology)은 이른바 생태모방기술(Biomimicry 또는 Biomimetics)로 대표된다. 청색기술은 오염을 줄이는 기술과 달리 오염이 없는 기술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유기농의 정신과 일치한다. 이는 유기농의 미래가 청색기술과 이를 활용한 청색경제(The Blue Economy)에 대한 이해와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하게 말해준다. 결국 유기농테마파크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단순히 지역성에 토대한 유기농의 생산과 결과물을 전시하고 체험시키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 그리고 기술이 상호창조하는 기술철학 내지 생태철학적 관점에 기초한 새로운 비전과 전략이 무엇보다 먼저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sedays, people are so much critical or optimistic about the technology. Some people are anxious of making human slave of the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will emancipate human from heavy toil. The technical philosopher Gilbert Simondon(1924~1989) considers that attitude as misunderstanding of the people that the essence of the technology is ‘automation’, and he regards the essence as ‘undecidability’. He focused the fact that there exists human thing in the technological existence regardless of the labor, and insisted through the technical culture we can recover the lost feedback function between human and the nature, human and the machine, and the nature and the machine. Thus, he addresses the ontological thought for the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e machinary, and suggests new foundation that human can coexist with the machine positively. Gilbert Simondon’s techno-philosophical thought sheds light on establishing the vision and plan of the Organic theme park in Namyangju, Kyounggido. Because he asks question on the organic point of view which sticks to demechanization and detechnology so that it can be the alternative. The Organic(Organic farming, Organic dairying, Organic forestry) connotes improvement of the global material circulation, the biodiversity, farming ecosystem and soil lives. But, now the Organic represents as ecologic, deinsecticide and non-antibiotic is based on ecological term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vision and strategy, we should avoid from the current organic concept and plan. Also we should seek for the conversion of exhibition, display and experience aiming for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the machine in terms of organic mutual creation. Hereby the Blue Technology, belonging to so called Biomimicry or Biomimetics, is required as the alternative of Green Technology. For the future of the Organic industry, it means Blue Technology, of which understanding and adaption of Blue Technology are clearly required. After al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rganic theme park, not mere do we display the organic process and products or make people experience it, but also we should establish the new vision and strategy based on the terms of techno-philosophy and ecology mutually.

      • KCI등재

        수원 화성의 인문학적 의의와 미래지향적 함의- 공간의 매체적 관점을 중심으로 -

        심승구(Shim, Seung-K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6

        2016년은 수원 화성이 세워진 지 220년이 되는 해이자 정조가 즉위한 지 240주년 되는 해이다. 1796년 수원 화성이 건설된 18세기는 세계사적으로 변화가 컸던 시기이다. 서양에서는 절대왕정․계몽사상․시민혁명으로 굵직한 변화가 나타났다면,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이 ‘강건성세(康建盛世)’라고 할 만큼 강희․옹정․건륭의 전성기를 구가하였으며, 조선 또한 탈중화, 실학, 문예부흥 등 역동의 시대로 정리할 수 있다. 동서 문화의 그 같은 변화와 상응하는 흐름 속에서 수원 화성이 탄생하였다. 수원 화성은 흔히 ‘실학의 도시’라고 한다. 실학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유의 지식이라 할 때, 수원 화성은 시대의 응답이자 미래 도시를 열어가는 구상이 담겨있다. 18세기 조선사회는 한마디로 혁명보다 개혁이 더 어려운 시대였는지도 모른다. 400년 왕조국가에 대한 중흥의지를 되살려 보려는 가운데 탄력성을 잃은 봉건 사회의 균열과 해체 현상 또한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수원 화성은 지금은 낯선, 험난한 개혁으로의 모험, 그 도전의 기록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평가와 이런저런 이야기가 수원 화성을 둘러싸고 있다. 탁월한 건축이 주는 감각적인 화려함에 도취되어 화성이 가지고 있는 깊이 있는 이야기와 미래를 향한 비전의 목소리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 글은 수원 화성 전반에 걸친 역사와 문화사가 아니다. 등장인물들을 망라하지 않았고, 설계로부터 완성까지의 자세한 과정은 과감히 생략하였다. 대신 역사공간으로서의 현대적 맥락과 심층, 그것을 대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사례로서의 수원 화성에 집중하였다. 이는 정조가 의도했던 수원 화성의 가치와 의미, 그리고 전망이 무엇이었는지 곰곰이 추적해 볼 수 있는 기회이자, 수원 화성이 갖는 잠재성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 어떠한 가치로 활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것이다. 이글을 쓰는 첫 번째 이유이다. 두 번째로는 도시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텍스트를 살펴보는 것이다. 도시는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의 집합이다. 더불어 사는 공동체의 정신이 시공간과 함께 하며 도시의 역사와 이야기, 그리고 정체성에 배어있을 때 도시의 실존적 존재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삶의 흔적이 켜켜이 누적된 도시는 말 그대로 인문학 텍스트이다. 도시가 인문학과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는 이유이다. 수원 화성은 지성사의 박제를 넘어 살아있고, 살아 있어서 말을 건넨다. 그 소통의 의지에 응답하는 것이 이 글을 쓰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The urban regeneration is a method which provides re-construction and rebirth to the least popular spaces in the city and the citizens take a main role during its process. Because many cities suffer from population distribution as well as the income gap between citizens, searching different method for urban regeneration is very critical. It used to be the government and the city council leading the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hardware side, in other words, wipe-out and reconstruct. However, in recent urban regeneration, the citizens take main role, turning their effort more into software side. In the past, urban regeneration had to base on an economic profit, it’s function also, speed of administration, thus choosing the site for city recovery was not so easy. But now, it’s time to convert it’s bases into local resources, citizens characteristic and life style in order to maintain providing the energy and hope to the city. For great example, Suwon Hwaseong used it’s historical sites for it’s urban regeneration. The Hwaseong Fortress was made about 200 years ago and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damaged from top to bottom. In 1975, it had a 5 year long recovery and it recorded as a world heritage site in 1997. In 2002, Hwaseong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 worked together to rebuild and recover the Hwaseong Fortress Haenggung. During this process, Suwon gained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 and pride of having a world heritage site in its city. Additionally, Suwon put effort into hosting historical events and festival. Also currently Suwon is recovering its stream, streets, villages and etc. Although, not everything is in its ideal state, when all citizens work together, both city and its people get more energies. Suwon and its historical site recovery success gain lots of attention. This creative produc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looking into the space with history, culture, environment and social factors. Creative thoughts and the great will power are key factors of city recovery. This is true joy of city recovery.

      • KCI등재

        역사 공간의 복원과 재현을 통한 도시 재생의 의미

        심승구(Shim Seung-Koo) 인문콘텐츠학회 2012 인문콘텐츠 Vol.0 No.25

        오늘날 우리의 문화적 삶은 도시의 공간 속에 무너지고 지워진 역사의 공간을 어떻게 공존시켜 나갈 것인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된다. 현재를 사는데 어차피 역사적 공간을 다 지울 수 없다면, 우리는 불가피하게 전통과 현대의 공간 사이에 조화와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도시의 정체성은 시공간 속에 새겨진 지역의 나이테를 얼마나 잘 간직하고 있는가에 달려있다. 한 도시의 역사와 문화는 공간의 내부구조와 흔적을 통해 그 성쇠를 읽어낼 수 있을 때만이 진정한 가치를 지닌다. 인간은 개체적 경험의 시공간적 한계를 초월하여 집단적으로 축적한 지식 정보를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는 역사적 존재다. 역사와 인간의 관계는 인간의 이야기이며, 인간은 역사를 통해 인간이 된다. 한 도시의 인간도 공간의 역사를 통해 지역의 인간으로 탄생한다. 인간 삶의 조건인 역사적 공간이 인간을 키워내는 환경이 되는 것이다. 역사적 공간이 소멸된 곳에서 문화의 죽음을 목격하게 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역사의 공간을 파손하고 문화의 기억을 삭제해 가면서 세우는 도시란 상상력이 거세된 인간을 만들어낼 뿐이다. 또한 부수고 훼손하는 도시는 문화를 꿈꾸고 창조하기 어렵다. 도시는 역사를 배우고 느끼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문화를 만드는 상상력과 창의력의 보고가 되어야 한다. 역사 공간의 보존과 함께 복원작업은 그 출발점이다. 삶의 에너지와 활력, 문화예술의 창조도 바로 그곳에서 시작된다. 그런 점에서 수원 화성의 사례는 한국 사회 안에서 파괴된 지역의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그 속에 담긴 다양한 문화 원형들을 재현해 냄으로써, 한 도시를 활성화하고 재생시키는데 성공한 대표적 사례라고 여겨진다. 그런 의미에서 역사 공간의 복원(Restoration)과 문화 원형의 재현(Representation)을 통해 도시를 재생한 수원의 사례는 향후 역사문화도시 내지 창조도시를 꿈꾸는 국내외 많은 도시재생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The urban regeneration is a method which provides re-construction and rebirth to the least popular spaces in the city and the citizens to take a main role during its process. As many cities suffer from population distributing as well as the gap of income among citizens, they are searching different method for urban regeneration is very critical. It used to be the government and the city council that lead the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hardware side, in other words, wipe-out and reconstruct. However, in recent urban regeneration, the citizens take main role, turning their effort more into software side. (software side : social community, hardware side : construction) In the past, urban regeneration had to base on an economic profit, also it’s function, and speed of administration, thus choosing the site for city recovery has not be so easy. But now, it’s time to convert it’s bases into local resources, citizens’ characteristic and life style in order to maintain providing the energy and hope with the city. As a great example, Suwon Hwaseong used its historical sites for its own urban regeneration. The Hwaseong Fortress was made about 200 years ago and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it was damaged from top to bottom. In 1975, it had a 5-year-long recovery and it was recorded as a world heritage site in 1997. In 2002, Hwaseong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 worked together to rebuild and recover the Hwaseong Fortress Haenggung. During this process, Suwon gained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 and pride of having a world heritage site in its city. Additionally, Suwon has made an effort to hosting historical events and festivals. Also currently Suwon is recovering its stream, streets, villages and etc. Although, not everything is in its ideal state, when all the citizens work together, both city and its people get more energies. Suwon and its success of historical site recovery are gaining lots of attention. This creative production can not be achieved without looking into the space with history, culture, environment and social factors. Creative thoughts and the great will power are the key factors of city recovery. This is the true joy of city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