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비자의 모바일 커머스 이용 및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김찬형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터넷의 확산과 ICT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통적인 오프라인 상거래가 점차 온라인에 의한 전자상거래로 대체 되고 있다. 온라인 커머스는 오픈마켓과 소셜커머스가 대표적인데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쿠팡과 티켓몬스터와 같은 기업들이 소셜커머스에서 대표적으로 많은 소비자들이 방문하는 기업이고, 오픈마켓은 11번가, G마켓, 네이버쇼핑 등이 있다. 그러나 2009년 아이폰이 최초로 등장하면서 스마트 폰의 시대가 열리고 스마트 폰으로 그 이전까지 구현하지 못하였던 앱(어플리케이션)들이 새로 생기면서 쇼핑도 온라인 커머스에서 모바일 커머스로 이용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PC기반의 모바일 커머스의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쇼핑몰을 바로 방문하거나 구매하고 싶은 욕구가 생길 때 즉각적이고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바일 커머스 추세와 현황을 살펴보고 모바일 커머스를 중심으로 쇼핑의 가치를 어떻게 생각하고 소비자들의 상품 구매 후 행동하는 것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바일 커머스 소비자들의 만족도 및 불만족으로 인한 행동과 재구매 의도와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소비자의 행동이 SNS의 홍보 효과가 직접 연관이 되고 해당 사이트 기업이나 마케팅에 기여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기존에 선행연구에서는 모바일 커머스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 행동인지 및 충성도 프레임워크, 소셜커머스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과 온라인 커머스의 소비자 불평 행동 결정요인 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커머스를 중심으로 소비자들 시각에서 편의성, 즐거움, 서비스 품질, 비즈니스 친숙도, 신뢰성으로 쇼핑 가치를 느끼고 추가로 소셜미디어(SNS)를 활용하여 지인들끼리 자랑 및 홍보를 하면서 만족도로 인한 행동을 하는 것과 이로써 기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상호작용을 알고 신뢰성이 가까운지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모바일 커머스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로 실시하여 소비자의 구매행동, 이용상의 불편한 점 개선방안 등을 도출하였다. With the prolifer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technologies, traditional offline commerce is increasingly being replaced by online e-commerce. Online commerce is represented by open markets and social commerce, which are typically visited by many consumers in social commerce by companies like Coupang and Ticketmonster, while open markets include 11th street, Gmarket, and Naver shopping.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iPhone in 2009, the era of smart phones opened and new applications were created that had not been implemented with smart phones, which led to the use of shopping from online commerce to mobile commerce. The advantage of PC-based mobile commerce is that it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without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and that it can immediately and conveniently use a mobile device when there is a need to visit or purchase a shopping mall. This study looked at the mobile commerce trend and current situation and analyzed how consumers think about the value of shopping, act after purchasing goods, and influence on business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correlate behaviors and repurchase intentions caused by the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of mobile commerce consumers and to analyze whether the actions of consumers directly relate to the promotional effects of SNS and contribute to the company or marketing of the site. Previous studies have studied the intent of mobile commerce consumers to repurchase, the framework of behavior and loyalty, the impact of perceived value of social commerce on consumer behavior, and the determinants of consumer complaint behaviour of mobile and online commerc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ether consumers are close to trust in the mobile commerce as they feel the value of shopping from a consumer perspective with convenience, pleasure, quality of service, business familiarity, and reliability, as well as being able to show off and promote each other by using social media (S). In addition, the survey on mobile commerce consumers was conducted to deriv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and measures to improve their inconvenience in their use.

      • 메가이벤트 문화행사 효과가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유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찬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tudy attempted to focus on the effects of the mega events in variety of areas including how it might affect a country’s national brand image. Furthermore, the study tried to demonstrate how continually hosting mega events might have the effects to maintain the national brand image, which had once been formed—seeing the example of Korea and how the country has formed its own national brand image and also suggesting how Korea could possibly maintain what they had formed. The study concentrated in pro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ffects of the mega events, and the formation and the maintenance of the nation brand image. It also endeavored in analyzing effects of Korea’s mega events employing its IT media convergence skill and how it influences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a country’s national image—in efforts to suggest possible propositions and support for the future planning of the mega eve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I reviewed different scholarly works to select my theoretical approach to formation of national brand image. Such method also allowed me to define the significance of an event, the true effect of mega-events in different sectors and its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among variety of fields. I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case studies of the mega-events that I participated in directly—the 2002 Korea-Japan FIFA World Cup, the dinner cultural events for the 2005 APEC Leaders’ Meeting in Busan, the 2011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n Daegu, and the opening ceremony of the 2012 Yeosu World Expo. I then carried out empirical research,analyzing case studies, conducting surveys of the public, and interviewing experts who took part in these events. In ad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symbolic and abstract nature of culture and the arts, I decided to use the socio-psychological theory that is often used in researching cultural events in tourism studies. Social exchange theory, a behavioral theory that aims to understand and to predict the behavior of individuals in situations of reciprocal exchange, was appli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se mega-events on the following five areas: economy, politics and diplomacy, environment, society and culture, and tourism.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hypothesis test, the interviews of the experts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are described as below. First, I adopted the hypothesis that the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 of cultural events affect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brand image. This hypothesis was found to be very explanatory,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R2=.611,meaning that it accounts for 61.1% of the total image formation effect. Second, the hypothesis was adopted that the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 environmental,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 of cultural events affect the maintenance of the national brand image. This hypothesis was found to be very explanatory,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R2=.641, meaning that it accounts for 64.1% of the total image maintenance effect. Third, hypothesis 3-1 (t=-2.367, p<.05) was adopted from among the hypotheses stating that the national brand image formation effect of opening ceremonies at cultural events will be different for the general public and for experts. Hypothesis 3-2, which suggested that the national brand image maintenance effect of opening ceremonies and other cultural events at mega-events would be different for the general public and for experts, was discarded (t=-2.367, p<.05). Fourth, Korea’s image of a future-oriented and developing IT powerhouse was formed through cultural events at mega-events. The four cultural events had been planned to be integrated multimedia performances combining culture and technology, and this suggests that the events achieved cross-correlation through cumulative reach as intended, that they created a repeated exposure effect, and that the image was expressed to ordinary participants. Research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managing and maintaining the national brand is the consistent and continual expression of the image of Korea as an IT powerhouse. The areas that are regarded as more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national brand image once it has been formed are creativity, consistency, and continuity, in that ord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ocial exchange effect of cultural events at mega-events is very substantial and that this can be used to form and to maintain the natural brand image. An even more important question is how to manage and maintain the national brand image once it has been formed. As we can see from the example of Coca-Cola, which has long maintained its status as the most valuable brand, brand maintenance is something that must be done continuously and consistently through ongoing reinvention. The study was first ever to focus on the cultural mega ev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assistance for the upcoming 2014 Incheon Asian Games and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providing a chance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 once again. Korean gained the right to host these global mega-events with great difficulty, and it must take full advantage of such hard-earned opportunities. 본 연구는 메가이벤트 문화행사가 여러 분야에서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 효과와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의 반복적 개최가 형성된 국가브랜드 이미지 유지와 형성된 대한민국의 브랜드 이미지는 무엇이며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의 효과가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유지와의 관계를 도출하고 한국의 IT 융합 미디어 기술을 도입한 문화행사의 퍼포먼스가 IT 강국으로서의 국가이미지 형성 및 유지에 미치는 영향구조를 분석하여 향후 메가이벤트 문화행사 기획과 운영에 도움을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관한 이론을 정리하고 이벤트의 의의와 메가이벤트의 효과 및 분야별로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고찰하였다. 2002 한일 FIFA 월드컵,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2012 여수 세계엑스포 개막식과 2005 부산 APEC 정상회담 만찬문화행사의 사례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여 사례분석 및 일반인 설문조사, 해당 행사 참가 전문인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실증 연구를 하였다. 문화 예술의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문화행사가 관광학 연구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사회 심리학 이론을 활용하기로 하고 상호교류적인 상황에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행동 이론인 ‘사회적 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경제, 정치외교, 환경, 사회문화, 관광적 차원의 5가지 분야의 효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설검증과 기술통계 및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에 따른 경제적 효과, 정치외교적 효과, 환경적 효과, 사회문화적 효과, 관광적 효과가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설명력은 (R2=.611)로 이미지 형성 효과의 61.1%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에 따른 경제적 효과, 정치외교적 효과, 환경적 효과, 사회문화적 효과, 관광적효과가 국가브랜드 이미지 유지에 미치는 영향가설은 채택되었으며, 설명력은 (R2=.641)로 이미지 형성 효과의 64.1%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매우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 셋째,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에 따른 메가이벤트 개막식 문화행사의 국가브랜드의 이미지 형성 효과가 일반인과 전문가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중 가설 3-1은 채택되었으며(t=-2.367, p<.05),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에 따른메가이벤트 개막식 문화행사의 국가브랜드의 이미지 유지 효과가 일반인과 전문가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3-2는 기각되었다(t=-2.p<.05). 넷째 메가이벤트 문화행사를 통해 IT강국 등 미래발전지향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이는 4개의 문화행사가 예술과 기술을 접목한 융·복합 멀티미디어 퍼포먼스로 기획되어 의도된 대로 누적도달에 의해 상호 상관을 가지면서 반복 노출 효과를 창출하며 일반인에게 형성되었음을 시사한다. 국가브랜드 유지 관리를 위해 강조되어야 할 사항별로는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IT KOREA(강국)이미지 표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나타났고, 한번 형성된 국가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위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Creativity(창조성), Consistency(일관성), Continuity(연속성)의 순서로 나타났다. 메가이벤트 문화행사의 사회적 교환 효과는 매우 크며 그를 통해 국가브랜드 이미지 형성과 유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렵게 생성된 국가브랜드 이미지는 어떻게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브랜드 가치 1위를 지키고 있는 코카콜라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브랜드 관리는 지속적인 재창조를 통해 연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하여야 한다. 문화행사를 중심으로 처음 실시한 본 연구가 2016 인천아시안게임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둔 시점에서, 어렵게 성취한 세계적인 메가이벤트의 기회를 충분히 활용하여 다시 한 번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기회가 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Scanning probe microscopy를 이용한 ITO 박막 및 반도체 재료의 전기적 특성 분석

        김찬형 國民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hole-injection을 위한 양극으로 사용되는 ITO(Indium Tin Oxide) 의 일함수 증가를 위한 표면처리는 hole-injection시 발생되는 에너지 장벽을 극복하고 디바이스의 수명향상과 발광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ITO 박막의 일함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표면처리 방법으로 CF_(4) gas 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수행하였다. 이로 인한 ITO 박막의 표면 전기적 구조의 변화를 C-AFM (Conducting Atomic Force Microscopy), 일함수 변화를 KPFM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 그리고 표면의 화학 결합 상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와 XRD (X-ray Diffraction)를 사용하여 관찰하였고 플라즈마 처리에 따른 일함수 증가 원인과 ion damage 에 의한 전기적 구조 변화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는 resistive probe 즉 시편 표면의 표면 전위에 의해 tip 의 저항이 변하는 것을 탐지하는 tip을 만드는데 있어 tip 의 끝의 저항영역의 크기를 관찰하기 위해 SCM (Scanning Capacitance Microscopy)을 이용하여 tip 끝의 도핑 농도 및 크기를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SCM 을 이용한 doping profile 은 oxide 에 존재하는 fix charge 혹은 mobile charge 에 의해 flat band voltage 의 이동이 심하여 tip 에 외부 bias 를 인가한 후 flat band voltage 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SCM 만으로 doping 에 의한 C-V 를 해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doping profile 방법인 SRA, SIMS, simulation 등의 방법들과 비교하는 것이 필요하여 기존의 분석 결과들과 비교하여 diffusion depth 를 분석하였다. The invention of scanning probe microscopy has opened new opportunities to image various materials' surface with unprecedented spatial resolution. In this work we use the KPFM, the C-AFM, and the SCM to investigate electronic properties of ITO and semiconductor materials. The chapter 2 introduces the KPFM and the SCM technique. We first define the concept of contact potential difference (CPD), and hen the basics of the KPFM technique are described. And then, we define the concept of capacitance-voltage relationship, and the basics of SCM technique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influence of inductively coupled plasma with CF_(4) gas on the surface electronic structures of ITO thin films has been studied XPS and SPM. XPS data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core-level energies of In 3d5/2, Sn 3d5/2, C 1s and F 1s, implying changes in bonding states of these species after CF_(4) plasma treatment. Local current maps of ITO surfaces using conducting atomic force microscopy (C-AFM) showed two distinct regions at applied bias of 0.1 V: conducting and nonconducting regions. Local I-V measurements in the conducting regions of as received ITO showed ohmic behavior. Most of the ITO surfaces became non-conducting with Sckottky behavior after surface treatment with CF_(4) plasma. Kelvin Probe Force Microscopy (KPFM) showed an increase in work function of ITO by ~0.8 eV after subsequent CF_(4) plasma treatment. When ITO films were exposed in ambient, the work function of ITO decreased gradually, mainly because water molecules were absorbed onto the surfaces. CF_(4) plasma allowed the making of more negative surfaces with more dangling bonds of fluorine ions (F), and the surfaces with F induced electrons from the surfaces to be depleted. Subsequently, this caused the surface band to bend upward. In chapter 4, in order to optimize process parameter in resistance change of resistive probe, doping profile of resistive patterns is investigated by the use of SCM.

      • 파라메트릭 기술을 활용한 직조형 서피스 제어에 관한 연구 : 텍스타일 프로그래밍을 통한 구축과 표현방식을 중심으로

        김찬형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많은 건축가들은 몇 십 년 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복잡하고 비정형적인 형태의 건축물을 디자인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및 건축 신 재료의 발달에 따라 가능한 것으로 건축의 정적이고 구축적인 개념은 그 경계가 점차 확장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쌓거나 조립하여 형태를 빚어내는 것이 아닌 CN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레이저 커팅, 3D 프린팅, 드론 등 가상 시공 및 환경 시뮬레이션 및 로봇 테크놀로지 등의 기술들을 건축 프로세스에 유기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들이 건축계 전반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과 그 조형적 잠재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직조형 서피스 디자인 방식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닌 현대의 컴퓨팅이나 로봇을 활용한 디자인 결과물들이 나타나기 전부터 섬유를 직조한다거나 뜨개질을 하는 등의 인류 문명 발전에 따라 존재하고 발전해왔다. 섬유 텍스타일에 따라 생성되는 입체적인 지오메트리는 기하학과 일정한 패턴생성 방식에 기인한 것이라는 면에서 새로운 파라메트릭 디자인 생성의 기초 원리로 해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생성 방법을 통한 새로운 파라메트릭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해 낼 수 있다. 하지만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형태가 생성되고 디자이너의 직관을 통해 만들어지는 유기적이며 복잡한 형태의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기존의 건축 축조방식으로는 시공의 어려움과 같은 많은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체적이고 유기적인 직조 알고리즘 디자인을 생성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직조 시스템을 구축하여 설계 및 로봇 아키텍처 프로세스 상의 통합 설계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텍스타일 시스템의 구축과 그에 따른 패턴 형성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디자인 프로세스 상 본 시스템을 활용하여 직조된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여 패턴 형성 알고리즘의 제어를 통한 새로운 형식의 디자인 도출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이는 직조 시스템의 알고리즘에 따른 배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도출해낼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 형성 방법론이 될 것이며 향후 다양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구현하고 지원하기 위한 건축 시스템이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중학교 역사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기반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갑신정변·임오군란을 중심으로

        김찬형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 수업(갑신정변과 임오군란을 중심으로)에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적용이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D중학교 3학년 여자 1개 반 33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같은 학년 여자 1개 반 32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처치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내재적 동기, 학습 기회의 개방성, 자율성)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사전검사 점수를 비교하여 독립표본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사전 점수에서는 유의도 .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질통제집단 전․후 검사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otest-posttest desing)를 사용하였다. 실헙집단에는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일반적 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검사지는 다음과 같다.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검사를 수정 보완한 이동조(1998)의 검사지와 박용휘(2003)가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판단 척도를 이은희(2008)가 수정․보완하였다. 이 검사지를 본 연구자가 실험 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에 맞게 재수정하였는데,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하위 요소 중 내재적 동기, 학습 기회의 개방성, 자율성 영역을 검사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ASW Statistic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 내, 집단 간 사전-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근거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실험을 적용하기 전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학습자 스스로가 교육과정 구성 질문을 통해 사고력에 자극을 받으며 역사적 사건들의 인과관계를 고찰하면서 직접 추론하기 맵과 UCC를 제작하고 교사는 이러한 학습자 제작물을 교수·학습활동에 활용하였기 때문에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 학습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계속해서 교육과정 구성 질문을 통해 사고력에 자극을 받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역사적 사건들의 인과관계를 고찰하면서 직접 추론하기 맵과 UCC를 제작한 것이 일반적 학습을 한 비교집단의 학습자에 비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실험집단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변화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소 중 내재적 동기 영역, 자율성 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나, 학습 기회의 개방성 영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즉 학습 기회의 개방성 영역에서는 유의도가 .05보다 큰 .081로 나타났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것은 연구 대상 학습자들이 다니고 있는 D 중학교가 저소득층 밀집 거주 지역 내에 위치하여 교육 환경이나 학생들의 학력이 다른 학교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학습 기회의 개방성 영역의 평균점수가 3.30에서 3.55로 0.25 향상 되었다. 학습 기회의 개방성 영역 평균 점수 향상의 폭이 적어 수치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고 영역 전체를 비교 했을 때, 유의도가 .016으로 .05보다 작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 적용된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웹2.0을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미디어 세대인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역사 수업의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서 교사들은 수업 주제에 적용 가능한 웹2.0 환경을 연구하고 이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를 하여야 한다. 둘째, 수업의 유연성을 위해 ‘위키기반 협력학습’, ‘u-러닝 학습’등과 같은 현재 보다 다양한 웹2.0 환경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 되어야 한다. 셋째, 웹2.0 환경을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추론하기 도구와 UCC의 활용법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노력이 필요하다.

      • 이차프레임이 환기하는 영화의 가시 세계 : 이미지 연구를 중심으로

        김찬형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카메라에 포착된 하나의 쇼트는 프레임(frame)에 투사되는 순간 비로소 온전한 가시 세계의 일부가 되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반복하여 하나의 영화를 구축한다. 가시 영역을 이루는 미학적 요소 중 사각 틀 형태의 문, 창문, 벽, 기둥, 건물 등과 같은 이차프레임은 쇼트의 한계를 뛰어넘어 가시 영역을 연장하는 디제시스(diegesis) 세계, 즉 비가시 영역을 향한 매개 장치로 기능하여 잠재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는 하나의 기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처럼 잠재적인 이미지를 구축하는 과정 중에 생성된 이차프레임은 공간을 구성함과 더불어 심미적 요소에 국한되지 않고 쇼트, 앵글, 미장센, 외화면, 몽타주 등과 같은 영화적 장치들과 절합(節合)되어 내러티브(narrative)를 조명하는 하나의 언어체계로 전환되어 진다. 본 연구는 화면 영역의 프레임을 세분화하여 가시 세계를 형성하는 이차프레임의 세 가지 구조와 기능을 다룬다. 본론에서는 프레임에 투사된 이차프레임과 상호작용하는 영화적 장치들을 중심으로 시각 혹은 지각 이미지의 변모 과정에서 생성되는 서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중심 이미지를 향한 집중 효과와 더불어 내러티브와 직결되는 시지각적 접점을 통해 하나의 의미망을 형성하는 이차프레임의 기능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찰하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시각 이미지의 외연적 요소에 따른 통합된 가시 세계 구축과정을 논하고자 한다. As soon as a shot captured by a camera is projected on a frame, it finally becomes a part of the intact visible world, and a series of such processes is repeated to build a film. Among the aesthetic elements composing the visible area, the secondary frame such as square frame-shaped door, window, wall, pillar, and building, is working as a symbolic means that presents potential images by functioning as a mediating device toward the invisible area which is the world of diegesis that extends the visible area exceeding limitations of shot. Like this, the secondary frame form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potential images is changed to a single language system that illuminates narrative by not only composing a space, but also articulating with cinematic devices such as shot, angle, mise-en-scene, off-screen, and montage with no limitation to aesthetic elements. This study handles thre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secondary frame that forms the visible world by subdividing the frame of screen area. The body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s the narrativity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visual or perceptual images by focusing on cinematic devices that interact with secondary frame projected on the frame. In addition, we will focus on the function of secondary frame to form a meaning network through visual and perceptual contacts direct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addition to the concentration effect on the central image, and discuss the process of building an integrated visible world according to the extrinsic elements of the visual image.

      • 政府의 中小企業 政策資金 支援制度에 관한 硏究 : 서울·京畿 所在企業을 中心으로

        김찬형 韓國外國語大學校 政策科學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소재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대한 보호 및 장기적인 육성차원에서 현실적으로 잘 정돈된 체계적인 자금지원정책 구조를 만들고 운영하기 위해서 중소기업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살펴보고 문제점을 찾아, 합리적이고 원만한 방법을 제시하여 자금지원에 관한 정책의 효용을 높히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대기업의 경쟁력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중소기업의 도산을 방지하고 중소기업경영에 활력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하고 활용함에 있어 자금지원정책의 불합리한 경우를 찾아 제시된 방안들이 정책을 개발하고 결정하는데 기여하고 중소기업 정책자금 수혜자의 자금제도 활용의 편리성 도모에 그 목적이 있다.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연구의 방법으로는 국내.외 단행본과 각 대학의 연구논문, 정부산하 정책자금관련 지원기관의 자금지원 현황 및 통계보고서와 관련기관 인터넷홈페이지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지원제도에 대하여 연구하고 정책자금 지원제도의 배경과 유형, 발전과정 및 중앙과 지방행정기관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내용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외 외국의 중소기업정책자금 지원제도를 조사, 연구, 비교하여 외국의 지원제도가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국내의 지원제도 정책수립에 반영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을 통하여 운용실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문제점에 대하여 각 항목별로 심층있게 논의하였으며 중소기업의 자금 활용실태를 파악하고 정책자금 지원제도에 대한 기업들의 인지도와 활용도, 이익에 미치는 효과, 애로사항 등 각 항목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논리적 근거자료로 활용했다. 셋째, 이상과 같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들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의 효과성 제고방안을 지원체계 및 운영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지원체계면에서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가운데 정책자금의 내용에 대해 35.8%가 대부분 잘 모른다고 응답해 정책자금에 대한 인지도가 낮아 홍보 보완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자금 대상자 선정심사 기준에서 기업이 보유한 무형자산보다 재무구조를 어떤 요소보다 중요하게 평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정책자금의 활용도에서는 사업전환에 필요한 시설자금이 가장 높았고 전체 정책자금중 구조개선자금의 활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정책자금 활용동기로는 낮은 이자율이 가장 많았다. 또한 정책자금을 활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정보를 잘 알지 못해서 가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 활용만족도에서는 정책자금 지원제도를 선호하면서도 지원제도체계에 가장 불만족스러워 함을 보여주어 지원체계보완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자금지원제도의 운영면으로 중소기업 정책자금 신청후 28.6%가필요한 시점에 지원을 받으므로 인해 대체로 효과를 받았다는 의견도 많지만 신청하고도 적시에 지원을 받지 못해서 효과를 보지 못했다는 의견도 상당히 높았고 그 이유로는 지원절차가 복잡하면서도 까다로운 조건 등 이었으며 부처별로 자금지원제도가 중복, 난립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금지원제도에 대한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금지원 대상과 지원자금을 확대해야 한다가 62.0%로 월등히 높고, 그 다음으로 26.0%가 자금지원 내용 및 절차를 간소화 시켜야 한다로 나타남을 볼 때 신청시 간편한 절차, 그리고 수혜대상과 자금의 확대적용으로 소기업들까지 혜택을 볼 수 있는 정책으로 변화를 원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여러 개선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 먼저, 지원정책에 대해 정책자금지원 관련기관에서 고충사항을 접수하고 중소기업인과 함께하는 정기적인 정책토론회 등을 거쳐 정책을 함께 개발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진다. 또한, 진행사항들이 관련기관의 홍보를 통해서 공지되면 더욱 좋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정책자금에 대한 종류와 그 수는 무수히 많다. 정보도 수시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자금을 수혜받기 원하는 중소기업도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인터넷과 관련기관을 통하여 자금에 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수집하며 필요시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사전에 준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정부의 몫이지만 그러나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중소기업 육성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상당부분 보호받고 육성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정책자금지원제도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보완 및 개발도 필요하고, 중소기업이 진정으로 싹을 틔우고 성장해 가기 위해서는 제도개선 및 개발에 함께 참여하고 제안하는 등 중소기업의 노력도 필요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