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대장균내에서 P22 tailspike 유전자의 클론닝 및 발현

        김진미,고혜영,대유,유명희 ( Jin Mi Kim,Hye Yeong Koh,Dae Yu Kim,Myeong Hee Yu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0 BMB Reports Vol.23 No.1

        A plasmid-expression system was established in Escherichia coli for the tailspike gene (gene 9) of Salmonella phage P22 in which temperature sensitive folding mutations had been thoroughly characterized previously. Expression of the recombinant tailspike gene was under control of tac promoter and the yield of expression was 2% of total cellular protein when the the synthesis of recombinant protein was fully induced. Three mutations (tsH304, tsU11, and tsU24) of gene 9 behaved off the E. coli plasmid exactly the same way as they did in P22-infected Salmonella; at 25℃ the mutant polypeptides fold and mature properly into native structure, while at 39℃ they could not fold but aggregate. The construction will allow a systematic approach to examine effect of amino acid substitution on protein folding and stability.

      • KCI등재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득 계층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미(Kim, Ji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취학 전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 개인 및 가정 변인과 함께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인 학교준비도를 투입하여 이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한편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전 학교준비도는 취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저소득 가구의 아동이 중산층 아동에 비해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능력 수준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초기 교육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소득 집단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학교적응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업수행능력에서는 유의하였다. 즉 학교준비도가 학업수 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중산층 이상 가구 아동과 비교할 때 저소득 가구 아동에서 0.426만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학업결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제로서의 학교준비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취학 전 학교준비 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hildren’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The impacts of the variables on later achievement were examined with school readiness, which is a major concern of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first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readi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means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school readiness were more likely to reveal highe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Second, children in low-income households showed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an that of above middle-class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the moderate effect by income group, school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while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as a mechanism to prevent early learning deficits and suggested ways for improving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영향요인 분석

        김진미(Kim, Jinmi),홍세영(Hong, S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이 처음 접하는 공교육기관인 학교에서 성공적인 발달단계의 과업을 성취하고, 사회집단에 적응할 수 있는 기초 토대가 되는 학교적응을 높이 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변인으로 보고되는 학생 개인과 가정 변인과 함께 교사 변인을 투입하여 이들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 자료를 바 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별과 학업수행 능력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이며 학업수행능력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이 높았다. 둘째, 가정 변인 중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 정도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의 학교생활 관심이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도는 높았다. 셋째, 교사의 연령과 교사의 업무스트레스는 부적으로, 교수효능감과 교직만족도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의 연령이 어리고 교사가 지각하는 업무 스트레스가 적으며, 교수효능감과 교직 만족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학교적응은 높았다. 넷째, 학교적응 하위 영역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이 조금씩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학업수행능력, 부모의 학교생활 관 심 정도, 교사 연령은 모든 하위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특성과 교사의 근무조건을 고려하여 아동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first grade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aims to draw the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successful elementary students early adjustment to school where they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social adjust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tudent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and teachers characteristic factors, specifically focusing on impact of teachers characteristic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gender, academic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factors. Girls display higher school adjustment than boys and academic achievement positively influences school adjustment. Second, among household factors, only parents school involvement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factor on school adjustment while the other variables like the social or economic backgrounds were not. Third, teacher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work stres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the school adjustment. The younger teachers are, the better students adjust to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 factor while work stress negatively influences students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intensive care considering student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eachers work condition.

      • KCI등재

        50세 이상 남성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실태와 골밀도와의 관계

        지명(Kim Ji-Myung),진미란(Jin Mi Ran),혜원(Kim Hye Won),장남수(Chang Namsoo)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5

        Osteoporosis is a rising problem as the older age population is increasing due to prolongation of life.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key roles in bone metabolism and diet is also an important factor.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BMD) including daily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in men aged >50 years. Seventy-eight men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at one of the university medical centers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according to their BMD. The body weight of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steopenia group. The osteopenia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arbohydrate intake and lower calcium and vegetable calcium intake compared to those in the normal group. Lumbar spine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nergy fat vitamin B1 and sodium intake in the normal group. Additionally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animal protein energy protein fat phosphorous iron animal iron potassium vitamin B1 B2 B6 and niacin intake. Lumbar spine BM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uit calcium vegetable calcium animal calcium and vitamin C intake in the osteopenia group. Femoral neck BM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t dairy product total animal protein plant protein animal protein vitamin A and cholesterol intake.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veral dietary factors affected BMD including energy fat vitamin B1 B2 B6 niacin sodium protein iron animal iron phosphorous potassium and animal protein in the normal group and zinc calcium vegetable calcium animal calcium vitamin C fruit protein animal protein meat dairy product carbohydrates cholesterol vegetables mushrooms and seasonings in the osteopenia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equate nutrient intake plays an important role maintaining optimum bone health in middle aged men.

      • KCI등재

        영아 자녀를 둔 가구의 양육형태 및 영향요인 분석

        김진미(Kim, Jin-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86

        본 연구는 가구특성 및 지역별 보육요구에 따라 차등화된 보육지원정책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영아 자녀를 가진 가구의 양육형태 및 영향요인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아동패널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어머니가 양육자인 경우를 준거집단으로 아동특성, 가구특성, 지역 및 지역사회 특성 등의 변수를 투입한 다항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영아자녀를 둔 어머니가 이용하는 양육형태의 선택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아월령, 아동 출생순위, 모 학력, 모 취업, 가구 월소득, 부모 외 가구 구성원 거주, 거주지역변인 등이 어머니 주양육 외 보육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를 대상으로 양육형태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차별화된 보육정책 대안을 모색하는데 실증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ways in which households with infant children use infant care services and what factors, if any, influence the ways such services are provided. Using data from the 2n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the study looked into what factors affect the choices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when they use child care services by means of comparison and analysis. The reference group was comprised of mothers who raise their children, and through the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the study took into account such factors as children’s characteristics,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local or local community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ed that such factors as listed below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thers’ choices of child care services: the age of the infant, order of birth, the education level of the mother,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mother, the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 whether there are people who are not direct family but who live with the family,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the household’s place of residence etc. The outcome of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s empirical findings can contribute to coming up with differentiated child care policy alternatives by examining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the ways child care services are rendered.

      • KCI등재

        Andersen모형을 적용한 장애인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진미(Kim, Jin-Mi),이윤주(Lee, Youn-J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0

        본 연구는 장애인들의 경제적 노후준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였다. 2012년 5월 21일부터 7월 31일까지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 5차년도 자료 중 30세 이상 60세 이하 2869명을 대상으로 SPSS 20 program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인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소인요인으로는 학력, 결혼 상태이고, 기능요인에서는 취업여부, 비수급여부 및 자가주택 여부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노후준비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총수입이 증가할수록 노후준비 가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욕구요인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일상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노후준비가능성은 증가하였다. 이에 장애인의 경제적인 노후준비를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다각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개별적인 요구들을 반영할 수 있는 정책마련 및 프로그램이 운영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of economic retirement preparation for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using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2012 Disabled Employment Pane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1, 2012 to July 31, 2012 and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SPSS 20 progra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 sample of 2,869 people aged 30 to 60 years. The predisposing factors (education, marital status), possibility factors (employment, non-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 status, homeowner status, income), and desire factors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ffected the retirement preparation. To help people living with disabilities, policies and programs based on the factors that reflect the individual needs must b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