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문화 콘텐츠 대학원 교육과정 모형설계에 관한 연구

        최서윤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은 창의적인 전문 인력에의 의존도가 매우 높으므로 질적으로 우수한 인재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급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이 아직 체계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 관련 교육 이해관계자들의 종합적 의견에 따른 교육과정 모형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디지털 문화 콘텐츠 대학원 정규 학위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대학원 교육과정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교육 관련 이해당사자인 학생, 학계, 업계 집단을 상대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디지털 문화 콘텐츠 관련 대학원 현황 분석 결과, 교육목표 및 교과과목 등에서 학부 교육과정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학제 간 연구 및 현장실습 과정의 부족도 드러났다. 실증 조사 결과, 대학원 입학 기준에서부터 중점 교과과목, 학위 취득 요건, 졸업생이 갖추어야 할 기본 자질 등 이해당사자 집단간에 크고 작은 의견 차이가 드러났다. 문헌 조사 및 실증 조사를 종합하여 향후 디지털 문화 콘텐츠 대학원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에 대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원은 콘텐츠 기획 프로젝트 위주의 교과과목을 중점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고, 대학원생이 재학 중 디지털 문화 콘텐츠 관련 업체에서 인턴으로 일하며 실무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 과목을 필수 교과목으로 선정함을 검토하여야 한다. The creative industry faces many challenges in the information age. One of the most pressing questions in the industry is whether digital culture content related schools are preparing students for the futu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irections in professionalizing the Graduate School of Digital Culture Content(GSDCC) in Korea. In fact, there currently exists a gap between the digital culture content industry and the academy. The major suggestions to cultivate professionals of digital culture content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documents and surve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SDCC needs to train students in a production-styled environment, under the guidance of industry professionals. Second, the GSDCC has to open internship programs to introduce students to a fundamental knowledge of creative industr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the Graduate School of Digital Culture Content to employ full-time professors and to design professional curricula. The executives of the graduate school need to make an effort to prepare students to be the professionals of the future creative industry.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build the supporting systems for setting up the successful graduate school program.

      • 교육기관에서의 성공적인 ERP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연세대학교 ERP 도입사례를 중심으로

        배성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컴퓨터와 정보기술의 발달은 우리 삶에 있어서 많은 것을 급속도로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사회조직에 있어서 정보기술의 이용을 통한 효율화 효과는 눈부실 정도이다. 마이클 해머의 리엔지어링(Reengineering) 이래로 기업에서는 업무를 효율화하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구조조정 등의 경영개선 활동(BPR: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과 함께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 불리는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의 도입에 많은 관심을 기울 리고 있다. 또한, 비단 기업뿐 아니라 대학에서도 ERP 도입이 하나의 트랜드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이미 전체 고등교육기관의 33%인 663여 개가 넘는 대학이 이미 도입하였거나, 최근에 도입을 앞두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도, 인적 자원부에서 최근 오는 2007년에는 대학 강의실의 70%를 온라인학습이 가능한 이른바 e강의실로 바꾸고 대학 행정업무의 효율 극대화를 위해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 대학정보화 활성화 종합 방안(e-Campus Vision 2007)을 발표하였다. 이 사업은 2007년까지 총 사업비로 국고와 민자를 포함해 총 7,98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대학의 ERP 도입이 최근 모바일 캠퍼스 구축과 함께 대학정보화의 관심사로 부상되고 있지만, 그 효용성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았다. 이미 ERP를 도입한 연세대의 사례를 보아도 ERP의 도입은 끝났지만 도입 초기 기대만큼 활용하고 있지 못해 타 대학에서도 ERP 도입은 추이를 지켜보자는 분위기이다. 연세대 정보화 팀의 관계자는 “연세대의 환경에 공장자동화에 강점을 지닌 SAP의 ERP 솔루션이 초기에는 잘 맞지 않았다”며 애초 ERP 솔루션은 공장자동화를 위해 만들어진 만큼 대학환경에 적용시키기에 다소 무리가 따르는 것 같다. 회계 부분의 투명성이 개선되기는 했지만 투자비만큼의 효용성을 내고 있는지는 의문”이라고 언급하였다. 공장은 볼트 하나, 나사 하나를 모두 입력시켜 전체적인 자산상태를 점검하고 그에 따르는 비용이 산출될 수 있지만 대학의 자산이라는 것이 워낙 유동적이고 소소해 모든 자산을 입력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것 때문이다. 또한 대학의 조직과 문화가 기업과는 다르기 때문에, 이런 외부적인 요인 역시 ERP 시스템의 도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기존의 기업을 상대로 한 정보시스템 구현의 주요성공요인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깊게 연구되어 왔으나,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렇다 할 연구를 찾기 힘들었다. 이는 교육기관의 ERP도입이 근래에 출현한 분야이며, 아직까지 필요성이 비교적 적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교육기관으로 최초로 ERP 도입을 실시한 연세대학교의 사례를 대상으로 보탬이 될 부분에 대해서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기관에서의 ERP구현의 주요성공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구축방안에 대해서 모색하는데 있다.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is rapidly changing numerous aspects of our life. Particularly, many organizations including enterprises are seeking efficiency by means of ERP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System. The introduction of ERP is emerging as a trend in universities, as well.In the case of USA, over 663 universities, 33 % of its total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ave already introduced the system or are recently planning to introduce it. In the case of Korea to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nounced a comprehensive plan (e-Campus Vision 2007) for the activation of university informationization whose main points are to change by 2007 70 % of university lecture rooms into the so-called e-lecture rooms where on-line learning is possible and to introduce the ERP system stage by stage for the maximization of collegial administration efficiency. However,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its introduction. For the reduction of such trial and error in the introduction of ERP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study looked into factors for the success of ERP introduc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rough case studies with Yonsei University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The study showed that organization-environmental factors, system gap, support from the outside, and user characteristics, which are success factors in ordinary enterprises, are also applied to educational institutions.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at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they have many resources hard to quantify, and that their culture of organization disagrees with that of ordinary enterprises.

      • 모바일 관광 정보 서비스 품질이 관광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지도 서비스를 중심으로

        육모세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number of Korean abroad traveler is largely increasing in every year.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Foreign Independent Travel (FIT) tourist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in the case of 20s, it accounts for more than 70%. FIT tourists plan and carry out their own schedule by themselves throughout the whole trip before departur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are the factors of greatly reduced the barriers to entry into this social phenomenon. Especially smartphones have become popular in the 2010s and many services are being provided for FIT tourists. However, not all mobile tourist information services are provided in good quality, and FIT tourists choose only few. Two preliminary surveys for this study found that 77.8% of respondents said they used the maps service most usefully.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mobile maps services (Google Maps, etc.). The concept of tourism flow has been studied by various scholars since the introduction of flow theory. However, most of them were aimed at tourists with a specific purpose, especially those who enjoy extreme sports, so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earch results to ordinary tourists. Also, many studies have explored only the factors that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urism flow so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factors with negative re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quality of mobile maps services affects the tourism flow of FIT tourists who have traveled mainly for general leisure purposes. Specifically, I studied at how perceived information quality and perceived system quality are related to perceived tourism risks and perceived tourism information distress, which are interrupting factors of tourism flow, and perceived challenge and perceived skill, which are preconditions, and then I examined how these four factors are related to tourism flow. As a result, perceived system quality, which of the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interrupting factor of tourism flow, a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precondition factors. Also the interrupting factors of tourism flow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ourism flow, and the precondition factors of tourism flow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urism flow. In this thesis, I have studied not only about tourism risks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caused by tourism information and tourism flow. Although tourism risks had been discussed by many prior researchers, but there has been only little discussion of distress from tourism inform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causal effects using the IBM SPSS AMOS structural equation, perceived tourism information distress ha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tourism risks, and it had negative effect on tourism flow also.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provide various sources of research that can diversely derived from mobile tourism information services, perceived tourism information distress, and tourism flow through other studies in the future. Especially,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rupting factors of tourism flow is raised. And it also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ICT and tourism-related companies to determine what factors they need to focus on creating and delivering mobile services for FIT tourists. 대한민국 국민의 국외 여행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FIT(Foreign Independent Travel) 관광객의 비중은 매년 늘어나 20대의 경우는 이미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FIT 관광객은 관광을 출발하기 전부터 관광 전 과정에 걸쳐 스스로 모든 일정을 기획하고 실행한다. 이러한 사회 현상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춰준 요인이 바로 정보 통신 기술이다. 특히 2010년대에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며 FIT 관광객을 위한 많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모바일 관광 정보 서비스가 좋은 품질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며, FIT 관광객들의 선택을 받는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 본 연구를 위한 2차례의 사전 조사 결과 77.8%의 응답자가 ‘지도’서비스를 가장 유용하게 사용했다고 답했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 지도 서비스(Google Maps 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광 몰입의 개념은 몰입 이론이 제시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대부분 특정한 목적을 가진 관광객, 특히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를 보통의 관광객들로 일반화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당수의 연구는 관광 몰입과 정(+)의 관계가 있는 요인들에 관해서만 탐구하여 부(-)의 관계가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일반적인 여가 목적의 여행을 다녀온 FIT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지도 서비스의 품질이 관광 몰입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 보았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정보 품질과 인지된 시스템 품질이 관광 몰입의 방해 요인인 인지된 관광 위험과 인지된 부정적 관광 정보 스트레스(Perceived Tourism Information Distress), 그리고 전제 요인인 인지된 도전과 인지된 능력(skill)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봤고, 이어 이들 4개 요인들이 관광 몰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관광 정보 서비스의 품질 요소 중 인지된 시스템 품질은 관광 몰입의 방해 요인과 부(-)의 관계가 있었으며, 전제 요인과는 정(+)의 관계가 있었다. 또한 관광 몰입의 방해 요인들은 관광 몰입과 부(-)의 관계가 있었고, 관광 몰입의 전제 요인들은 관광 몰입과 정(+)의 관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관광 위험 뿐 아니라 관광 정보로 인한 부정적 스트레스와 관광 몰입과의 관련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관광 위험은 여러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었지만, 관광 정보로 인한 부정적 스트레스에 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인과 효과를 분석한 결과 관광 정보로 인한 부정적 스트레스는 인지된 관광 위험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관광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다른 연구를 통해 모바일 관광 정보 서비스와 관광 정보로 인한 부정적 스트레스, 그리고 관광 몰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파생될 수 있는 연구의 소재를 제공한다. 특히 관광 몰입의 방해 요인들이 다양하게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ICT 및 관광 관련 기업들이 FIT 관광객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작 및 제공하는데 있어 어떤 요인에 더 집중해야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 판단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한다.

      •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 연구 : How 정보와 Why 정보의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

        주혜화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다양한 산업에서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의 완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맞춘 정보 제공 방식의 제안이 필요하다. 부분 자율주행 상황에서의 정보 제공 방식은 제안된 바 있으나 부분 자율주행 환경과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운전자 경험은 상이하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 본 연구는 부분 자율주행 환경 연구에서 제안되었던 정보 제공 방식 중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 사용자 안전감을 가장 높일 수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정보 제공의 방식을 How 정보와 Why 정보로 구분하고, 인지된 안전감과 불안, 사용의도라는 사용자 경험 요인을 측정하였다. 부분 자율주행 환경에서의 선행연구에서는 Why 정보가 운전자 선호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서 How 정보가 인지된 안전감과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사용자 불안에 대하여 정보 제공 방식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실험을 통해 완전 자율주행 환경에 적합한 How 정보 형태를 도출하였다. 실험 처치물 제작과정에서 실제 주행 영상을 활용한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실험 방법을 새롭게 적용하였으며, 실무에 쓰일 수 있는 인터랙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As autonomous vehicle technology is becoming more mature in various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ailored to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lthough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in a partial autonomous driving situation has been proposed, a number of studies have shown that the driver experience in a partia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and a ful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has different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ncrease driver safety in the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was divided into How information and Why information, and user factors such as perceived safety, anxiety, and intention to use were measured. In previous studies in partial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it was confirmed that Why information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on driver preference.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How information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safety and intention to use in a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Meanwhile, user anxiet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Through research experiments, How information type suitable for the fully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 was deriv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experimental objects, a new experimental method of autonomous driving simulator using real driving video was applied. Also this study proposed an interaction design method that can be used in practice.

      • 효율적인 정보 공유를 위한 건설 SCM 모델로의 전환에 따른 문제점 연구

        고동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re are many trial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IMF etc.. Construction industry must converse technology-based industry because of the opening of a international construction market, increasing of labor cost etc.. At the same time, IT(Information Technology) is very important thing for the efficient enterprise operation.Without exception, there is change of inform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the 1990s. The movement of Information integration, sharing is keeping up and researchers is studying about this.Therefore, lack of enthusiasm towards IT invest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oreover, the industry does not see an immediate need for informationalization. With these regareds, this paper has undegone series of researches to locate the reason why the industry is not meeting the immediate need. First, in analyzing construction projects, the paper tries to make analysis on the exisitng processes, and information used during these processes. In furthur, the paper has gone the survey to find out the priority among loacted information.Second, the paper makes analysis on ongoing effort made by the industry to shar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integration.Third, the paper tries to find out effective SCM models that can be deriven to acheive information integration.Fourth, the paper loacted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utilizing suggested models for the practical field.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find out how these factors are solved to lead an effective SCM model. 건설산업은 IMF등의 경기침체를 통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제 건설 시장 개방, 국내 노동 시장의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이제는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전환될 것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동시에 일반기업의 생존과 경쟁 우위를 위한 정보기술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시되고 있다.건설 산업에서도 정보화의 바람은 예외가 아니어서 1990년대 후반부터 건설 정보화의 물결이 조금씩 시작되어 왔다.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발생되는 정보들을 통합하고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지속되어 왔고 연구 분야에서는 이에 대한 모델과 시스템을 개발하여 실무에 적용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하지만, 타 산업에 비해 건설산업에서의 정보화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로 실무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해 고수를 해오고 있는 현실이다. 우선은 정보화에 대한 마인드가 부족하여 그에 따른 투자가 부족한 실정이고, 무엇보다 정보화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건설 산업에서 정보화와 정보 공유, 통합의 움직임이 환영을 받지 못하는 원인을 찾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되었다.첫째, 건설 프로젝트를 통해 어떠한 프로세스가 진행되고 있고 그 프로세스를 통하는 정보들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정보들 중에 실무에서 느끼는 가장 공유가 필요한 정보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해 보았다.둘째, 현재 건설업에서의 정보 공유, 통합의 움직임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과거 진행되었거나 현재 진행중인 건설 정보 통합 시스템과 사업들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사업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해 보았다.셋째, 이러한 정보 공유, 통합이 이상적으로 이뤄지기 위한 효율적인 건설 SCM 모델은 어떤 것이 있는지 도출해 보았다. 타 산업의 성공 사례 등을 분석하여 건설 산업에 적용하였을 때 어떤 모델이 이상적일지 도출해 보았다.넷째, 실무에서 이러한 효율적인 모델로의 전환이 왜 어려운지에 대해 원인을 도출해 보았다. 연구 분야에서는 이러한 모델로이 전환이 보다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것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실무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르는 현실이다. 이러한 어려움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도출해 보았다.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원인들을 토대로 실무에서의 경험들을 접목하여 어떻게 하면 이러한 효율적인 건설 SCM 모델로 전환이 가능할지 성공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성공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ISP의 정성적 분석을 통한 국내 중소기업의 정보화 요구사항 도출에 관한 연구

        조영민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체계적인 정보화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정보화 요구사항들을 질적 연구 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의 근거 이론(Grounded theory)을 기반으로 정성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기업의 입장에서는 중소기업을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해 자사의 정보화 요구사항을 정리하여 반영하기 위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정부나 관련 기관의 입장에서는 정책이나 지원을 효율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토대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적으로 중소기업이 정보전략계획 수립 과정에서의 정보화 요구사항들을 파악하고, 기업의 정보화 요구사항 도출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중소기업의 특성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정보전략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업의 명확한 정보화 요구사항의 도출과 분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고, 정보화 추진 여건과 역량 부족으로 정보화에 소극적이고 수동적일 수 밖에 없었던 중소기업 스스로가 자사에 적합한 정보화 요구사항을 도출해내어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정보화를 추진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의 수행은 2002년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에서 ‘e-컨설팅’사업을 수행하며 실제로 산출된 417개 중소기업의 e-컨설팅 성과평가보고서에서 설문지, 인터뷰, 보고서 조사 및 관찰을 통해 도출하여 정리된 ‘요구사항 및 개선과제’ 항목을 분석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417개 중소업체의 정보화 요구사항 총 3,167개 항목을 해체, 검사, 비교, 개념화, 범주화 하는 개방코딩(Open Coding)과정을 거쳐서 유목화하고, 이것의 신뢰성과 타당성의 확보를 위하여 삼각검증법과 전문가 그룹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정보화 요구사항 상위 항목 23개를 기준으로, 중소기업의 기본적 특성인 지역, 업종, 종업원 대비 매출액 규모, 1인당 PC 보유수, 보유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른 정보화 요구사항의 분포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 분석 결과, 중소기업의 정보화가 체계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단기적인 업무 효율성 향상과 가시적인 효과를 얻으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점과, 정보화 요구사항 도출 유형은 지역이나 업종보다는 정보화를 지원할 수 있는 기업 내부 역량과 정보화 설비 환경을 단편적으로 대변할 수 있는 규모, 1인당 보유 PC수, 보유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정보화 요구사항의 분포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낼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다차원적 특성을 고려한 중소기업 정보화 요구사항 분석 및 도출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을 위해 상위 항목들을 보다 구조화하고 개발하여, 이에 대한 타당성과 차원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통계적 검증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Despite the perceived importance of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SME)'s Informatizaion for the competitive advantages, the maturity level of SME's Informatization still falls short of the standard. Thus, this research proposed to analyze of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of SMEs in ISP contexts for successful induction of informatization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from a point of five dimensions. For the effective and insightful analysis of SME's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this research adopte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pproach.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nal reports of 417 SMEs' ISP consulting projects in 2002 and analyzed by open coding procedures. Through the procedure of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in open coding, the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of 3,167 was abstracted and categorized to 23 items and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the items from a point of five dimensions-types of industry, region, a scale of enterprise based on the number of employees and sales, a types of a holding software, a number of PC) According to the process, this research provides for SMEs to convince of importance of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analysis and to identify the suitable Informatization requirements for the SME, itself.

      • 정보통신 컨버전스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박영규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1. 국내 정보통신서비스 현황 및 전망 : 정보통신산업은 1990년대 이래 세계 수준의 기술력 및 산업 인프라를 확보하였을 뿐만 아니라 1997년 IMF 극복의 동력 및 주력 수출산업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우리 경제에서 중추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내에서도 통신서비스산업은 타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치며, 컴퓨터, 반도체, 하드웨어산업의 최대 수요산업임과 동시에 인터넷비즈니스의 후방산업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후방 연관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지대한 산업이다. 따라서,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은 국가경제에 이바지하는 바가 크고 21세기 국가경제가 지향하는 대표적 지식기반산업의 하나로서 향후 국가발전의 핵심요소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국내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은 1998년 IMF 외환위기에 따른 경제위축의 시기를 제외하고는 2002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률을 시현하며 ‘무선의 유선대체’, ‘음성시장의 감소 및 정체와 데이터시장의 성장’을 통해 급속하게 성장하였다.그러나, 지난 몇 년간 폭발적 성장을 기록한 국내 정보통신서비스 시장도 각 서비스의 보급률 포화에 따라 2003년을 기점으로 두 자릿수 성장을 멈춘 것은 물론 향후 연4% 수준의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서비스 시장의 성장정체는 결과적으로 통신사업자의 수익성 악화와 이에 따른 신규 투자여력의 위축, 신규 투자의 위험성 증가에 따른 과감한 신기술 도입 지연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이에 따라 통신사업자들은 최근 컨버전스로 불리워지는 정보통신산업의 새로운 메가 트렌드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컨버전스는 기술, 고객, 규제 등 기업의 내외부 경영환경이 상호작용하면서 변화됨으로써 정보통신산업을 중심으로 개별 비즈니스간 융합화, 복합화가 진행되어 산업내에 새로운 가치사슬 구조를 구축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새로운 산업, 시장, 서비스가 창출되고 이를 기반으로 정보통신산업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2. 연구대상 서비스 선정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 정보통신산업의 재도약 필요성 및 디지털 컨버전스 등 새로운 메가 트렌드를 반영한 산업육성정책으로 IT839 정책을 발표하였다. IT839 정책의 골간을 이루고 있는 8대 서비스는 WiBro, 위성 및 지상파 DMB, 홈네트워크 서비스, 텔레매틱스, 전자식별(RFID) 등 5대 신규 서비스 도입과 WCDMA, 지상파DTV, 인터넷 전화 등 3가지 기존 서비스 활성화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5대 신규 서비스에 대해서는 적시성있는 사업자 허가와 함께 표준 및 서비스 방식 결정을 통해 정보통신서비스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그러나, IT839 발표이후 몇 년이 지나 각 서비스의 시범서비스 완료 또는 상용화가 이루어진 지금 실제 서비스 활성화 측면에서는 초라한 실적이어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았던 기대에 비해 현실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통신사업자들이 새로운 형태의 컨버전스 서비스를 통해 신규 수익원을 확보하고 이용자 편의를 증대시키고자 많은 노력과 투자를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기존 서비스 및 신규서비스간 대체, 보완 경쟁 등으로 그 수요가 틈새시장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상황이다.한편, 정보통신서비스시장은 디지털라이제이션의 보편화와 기술발전에 따른 네트워크의 광대역화를 통한 전송속도 및 전송량의 획기적 증가, 단말기 저장용량의 확대 및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통신서비스사업자의 적극적 데이터 서비스 도입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POC 확장 등에 따라 과거 음성중심 시장구조에서 데이터 중심 시장구조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정보통신서비스시장은 컨버전스 추세와 함께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심 구조로의 전환 추세가 결합되면서 이종 서비스간 결합ㆍ보완ㆍ대체 등 다양한 연계를 통하여 컨버전스된 형태의 개념으로 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러한 정보통신서비스시장의 트렌드를 고려하여 첫째, 정보통신산업적 관점에서의 향후 시장파급력 등 산업적 중요성, 둘째, 기존 정보통신산업 내ㆍ외적으로 이종의 서비스가 결합 또는 융합된 컨버전스적 성격의 명확성, 셋째, 시장의 활성화 또는 부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 용이성 측면에서 시범서비스 또는 상용화 단계에의 진입 여부, 넷째, 향후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서비스로서의 속성 보유 여부를 기준으로 WiBro, DMB, 홈네트워크서비스를 연구대상 서비스로 선정하였다.3. 컨버전스 서비스 시장 현황가. WiBro 서비스WiBro(Wireless Broadband)서비스는 2.3GHz대역의 10MHz의 대역폭을 사용한 무선인터넷서비스로서 60km/h이하의 중저속환경에서 최대 50Mbps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서비스이다.WiBro서비스는 기존 셀룰러 기술 무선인터넷의 낮은 전송속도 및 비싼 요금 수준의 한계를 극복하는 한편 기존 WLAN서비스에 대비하여서는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QoS의 안정화를 추진함으로써 이동 중에 저렴한 비용으로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으며, Seamless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4G 기술의 전초적인 서비스 형태로 평가받고 있기도 하다. WiBro서비스는 이동전화에 비해 셀커버리지가 적은 대신 높은 주파수 전송효율과 낮은 전송원가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측면에서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서비스 초기 음성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 및 커버리지가 84개시로 제약되는 점, QoS가 상대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점 등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WiBro 단말기는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결합을 통해 이동성과 컴퓨팅 기능이 강화된 멀티미디어폰 형태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WiBro서비스시장은 WiBro를 통해 무선시장으로의 진입 및 영향력 확대를 꾀하는 KT의 공세적 전략과 무선영역에서의 마켓리더쉽을 수성하려는 SK텔레콤의 방어전략이 겨루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2006년 6월 세계최초 상용화의 명예를 얻고 화려하게 출범한 WiBro 서비스는 반년 가까이 지난 현재 전체 가입자 1천3명이라는 초라한 성과를 거두는데 그쳤다. WiBro 서비스 초기 시장규모의 제약은 첫째, 이동전화 보급률 80%의 포화된 시장에서 독자적 영역을 차지하기 위한 서비스 차별화의 미흡, 둘째, 서비스 커버리지 확대를 위한 투자 지연, 셋째, 단말기 개발 부진에 따른 단말 라인업 미흡, 넷째, 시장성에 대한 사업자 회의에 따른 마케팅 활동 부진 등을 이유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사업자들의 투자 확대 발표와 단말 라인업 강화 등에 따라 향후 WiBro 서비스가 재도약의 날개를 펼 것인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나. DMB 서비스DMB서비스는 디지털 모바일 컨버전스의 전개과정에서 등장함으로써 이동형 미디어, 개인형 미디어, 융합형 멀티미디어로서의 특징을 모두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형 이동방송이라는 측면에서 기존 이동전화의 무선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대비 전송속도, 이용요금, 콘텐츠 등 여러 면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이 때문에 고정형 방송매체와 차별화된 방송ㆍ통신 융합시대를 열어가는 대표적 미디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DMB는 대표적인 규제산업인 통신산업과 방송산업이 융합된 서비스인 만큼 두 산업의 주관부처인 정보통신부와 방송위원회의 정책적 의지에 따라 사업의 방향성이 좌우되는 특징이 강하다. 정책당국은 DMB 도입과정에서 위성DMB에 대한 지상파재전송을 규정하지 않고 사업자간 합의 사항으로 남겨두어 지상파DMB사업자인 공중파방송사가 위성DMB에 재전송콘텐츠를 제공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콘텐츠 경쟁력을 현저히 낮아지게 하였고, 지상파DMB는 공공성을 논리로 무료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설비투자 부진 및 재무적 부실화를 방조하는 결과를 낳았다.DMB시장의 경쟁구도는 SK텔레콤이 하이브리드 단말 기반의 위성DMB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동전화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KBS는 방송시장의 주도력을 유지ㆍ강화하고 자본력이 강한 SK텔레콤이 방송시장에 진입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하고 있으며, KTF, LGT는 SK텔레콤이 DMB를 통해 무선시장에서의 경쟁우위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견제하고자 지상파DMB 진영과 적극적인 제휴를 추진하고 있어 각각 기존 신, 방송 영역의 경쟁구도가 일정부분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현재 서비스 개시 1년이 넘은 상황에서 위성DMB는 가입자 100만명, 지상파DMB는 약 50만명인 상황에서 광고수입을 주요 재원으로 하고 있는 지상파DMB의 경우 언제 적정 규모의 가입자를 확보할 지 의문시 되고 있으며, 위성DMB의 경우도 최근 요금인하(13,000원→9,900원)까지 단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상파재송신 여부가 서비스의 생사를 결정할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DMB사업이 컨텐츠 조달, 재원조달 그리고 수익성 확보방안에 대한 정밀분석 없이 성급히 추진되었기 때문이며, 따라서 DMB사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콘텐츠, 기술, 제도 및 사업성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적지 않아 보인다.다. 홈네트워크 서비스국내에서 홈네트워크는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국내 대형 건설사가 사이버아파트를 중심으로 가스, 조명, 난방, 출입문 제어 등 홈오토메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으며, 여기에 통신, 방송사업자의 가세로 다양한 통ㆍ방 융합 서비스 모델이 발굴되고 있다.홈네트워크 서비스의 기술환경 측면에서의 화두는 표준화이다. 현재 사업자간 표준 경쟁은 상호 이해관계에 따른 합종연횡을 통한 특정 개별 기술에 대한 지지세력 구성이 확산됨에 따라 전송기술간 경합의 결과를 예측하기는 더욱 어려워진 상황이다.현재 홈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경쟁구도는 각 가치사슬 단계별로 분리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아파트 신축시장을 중심으로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가치사슬별 경쟁구도는 홈네트워크시장의 본격적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따라서, 향후 홈네트워크시장이 점차 활성화됨에 따라 각 가치사슬별 사업자간의 합종연횡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오랜 기간의 준비를 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원활한 보급을 위해 아직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남아있다. 문제점은 크게 기술적 요인과 기업의 전략적 요인, 그리고 낮은 시장 수요와 정책적인 지원의 부족 등이며 각각의 문제가 서로 맞물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난감한 상황이다.4. 국내 컨버전스 시장에 대한 분석가. 컨버전스 진행과정의 주요 이슈컨버전스 환경 도래에 따른 일련의 가치사슬의 재구성 과정에서 다양한 사업자간 역할 분담 속에서 부품, 디바이스, 네트워크 인프라 등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업자가 새로운 가치사슬을 재구성하는 데 있어 룰세터로서의 역할이 중요하며, 해외 일류기업들의 경우 컨버전스 트렌드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한 전략방향을 수립함으로써 가치사슬의 재구성을 선도해 나가는 룰세터로서의 지위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한편, 컨버전스의 최종단계인 산업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산업영역에 속해 경쟁관계에 있지 않았던 사업자간 경쟁관계가 형성되는 등 경쟁범위의 확대가 이루어지게 되며, 특히 각 산업영역에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던 선발사업자간 경쟁양상이 두드러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독립적인 산업영역에서 시장지배력을 보유한 비정보통신사업자의 경우 정보통신사업자의 컨버전스 사업 시도에 대해 산업전반을 대표하여 정보통신사업자의 시장진입을 저지하는 입장을 갖게 되며, 이를 통해 정보통신사업자에 대한 협상력을 강화하는 것이 보편적 추세이다.컨버전스 트렌드를 촉진함에 있어 기술, 고객, 규제, 기업과 같은 몇 가지 동인이 작용하며, 관련 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유발시키게 되지만, ’90년대말부터 컨버전스 트렌드에 대한 전망이 언급되면서 기술, 고객, 규제, 기업 측면의 다양한 변...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T) industry has gained a strong foothold in Korea with world-class technologies since its inception in 1990, and its ability to flex its export muscles even helped Korea overcome its 1997 financial crisis. But the industry’s exponential growth came to a halt around 2003 and is now growing at just 4 percent a year. To make matters worse, the saturated IT market has squeezed profits and investment in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slowing down the introduction of newer and more innovative technologies.In an effort to generate new momentum,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re now turning to a new mega-trend known as digital convergence. Digital convergence brings together technology, customers and regulation and melds them into a company’s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 The blend creates significant new value for all parties, and Korea’s IT industry is depending on this important commercial combination to move to the next level – and beyond.The key challenge is overcoming the structural limitations that inhibit the growth of digital convergence services at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It is still early, but there is already fierce competition among and between various industries, and it is damaging the infrastructure before the foundation is even laid out.Wireless Broadband (WiBro) service, which shares technological boundaries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s services, for example, will face resistance from wireless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working against WiBro service expansion. Similarly,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ervice is confronted by broadcasting businesses, which dominate the competitive broadcasting programs and contents that are critical to the successful convergence of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services. Finally, home network services will face limited and segmented market growth because companies without a clear set of profitable business models refuse to set rules that are necessary to create a meaningful market.To spur growth and fulfill digital convergence’s true potential, it’s crucial that we minimize the cost of competition in this market. To do this, we need clear guidelines on the positioning of new service introductions. Key factors such as interchangeability with existing services and the formation and sustainability of competitive business models for the new technologies need to be carefully considered. The decisions should be made by customers who benefit from the services, not by service providers. Partial government intervention is also essential. And the creation of an active business environment is required for each convergence driver.In case of WiBro service, there are three critical factors to be addressed: first, creating a service positioning for high-speed Internet service providers who meet fast-data demands in a mobile environment; second, minimizing the investment turnaround period by reducing investment costs with network infrastructure providers and third, enhancing handsets.In terms of DMB services, we need an advanced discussion on two central issues: first, an agreement between satellite DMB enterprises and current broadcasting companies and second, a partial or complete implementation of service charges for current broadcasting companies.Finally, home network services must address two requirements for successful market expansion: first, technology standards; and second, a regulatory and structural policy that supports the diversified services making up home network services.

      • HL7의 MDF를 이용한 임상병리 정보시스템 설계

        이윤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order to share the medical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hospital system, Health Level Seven(HL7) has been implementing and publishing HL7 2.x. since 1987. HL7 2.x is a message toolkit for transferring medical records between different hospital database system. The V2.x series of messages were widely implemented and very successful. It contains many optional data elements and data segments, making it adaptable to almost any site. While providing great flexibility, its optionality also makes it impossible to have reliable conformance tests of any vendor's implementation and also forces implementers to spend more time analyzing and planning their interfaces to ensure that both parties are using the same optional features.(www.hl7.org)/Compared with Version 2.x series, Version 3 addresses these and other issues by using a well-defined methodology based on a reference information (i.e., data) model. It will be the most definitive standard to date. Using rigorous analytic and message building techniques and incorporating more trigger events and message formats with very little optionality, HL7's primary goal for Version 3 is to offer a standard that is definite and testable, and provide the ability to certify vendors' conformance. Version 3 uses an object-oriented development methodology and a Reference Information Model (RIM) to create messages. The RIM is an essential part of the HL7 Version 3 development methodology, as it provides an explicit representation of the semantic and lexical connections that exist between the information carried in the fields of HL7 messages. /This study is designing the part of LIS(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using HL7 3.0 MDF and RIM by Rose Tool to realize the building medical standard data model for sharing medical record between heterogeneous hospital system./ 병원에서의 정보시스템은 병원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경영관리를 비롯하여 환자 정보의 효과적인 관리와 질 높은 정보 제공 등을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 정보시스템은 1990년대로 접어들어 우리나라 각 의료 기관들에 의해 도입과 개발이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병원 정보시스템의 개발에 있어서 병원 업무나 각 의료 기관에 따라 시스템 개발 과정과 방법이 상이하여 진료 정보의 공동 활용에 있어 많은 제약을 가져오고 있다./현 병원 정보시스템의 제약에 대하여 보건 의료 정보의 표준화 추진 기구인 HL7 위원회에서는 HL7 2.x의 데이터 전송 표준 프로토콜과 HL7 3.0의 보건 의료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방법론인 MDF(Message Development Framework)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HL7 위원회가 HL7 3.0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론인 HL7 MDF 3.3을 임상병리 정보시스템의 임상화학 검사 부분에 적용하여 방법론에 따른 병원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계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시스템 분석, 설계 및 구현 도구인 Rose Tool을 사용하여 HL7에서 표준화된 메시지로 규명된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을 시스템 설계 과정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메시지와 데이터 표준화를 통한 진료 정보 공동 활용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