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을 위한 기초조사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김지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부모교육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둘째, 부모교육 각 영역별 내용에 대한 지식정도와 요구정도의 파악 및 세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에 관한 견해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중류층,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203명의 어머니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예비조사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지이며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교육에 대하여 '자녀에게 올바른 습관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교육' '부모자신의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위한 교육'으로 인식하며 '자녀를 지도하는데 있어서의 인내력 부족' '자녀에게 부모로서 행동이나 습관에 모범이 되는 것'이 어머니로서의 부족한 점으로 언급되었다. 둘째, 부모교육 내용의 각 영역별 분석에 있어서 6개 하위영역 모두에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정도가 현재의 지식정도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나서 (P<.000)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한편 40개 하위문항의 전체적인 비교, 분석에 있어서 지식정도의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못한 습관이나 행동을 고쳐주는 방법' '부모 자신이 행복해야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등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요구정도의 경우에는 '부모로서 자신감을 키워주는 방법' '자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격려하는 방법'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세째, 부모교육이 가장 필요한 시기로서는 자녀가 유아기일 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오전 10시-오후 1시가 가장 적합한 시간으로 선택되었으며 1주에 1회 교육받으며 장소는 자녀가 다니는 유치원이 가장 많이 선호되었다. 또한 대상자의 61.6%가 부모교육에 참가할 의사가 있으며 자녀를 맡길 여건이 된다고 응답했다.

      • KCI등재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아동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김지신,안지영,오미경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

        This study examined children's communication with mother, empathy and ego-resili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Also, it examined if empath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s that communication with mother has on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ho were 545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other cities, completed several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empathy and communication with mothe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but ego-resilience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children with high empathy showed high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Second, empathic abilit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effect in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caused by communication with mother. Communication with mother affects defensive attitude toward bullying children, whereas indirectly affects on it through children's partial empathy ability.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children's empathy plays an important role in having a defensive attitude which is against bullying children and supports bullying victims.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아동의 공감능력 및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서울 및 지방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은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다중 및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공감능력은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긍정적이고 아동의 공감능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또래괴롭힘에 대한 방어적인 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공감능력은 부분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부분적으로는 아동의 공감능력을 통해서 또래괴롭힘 방어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와의 의사소통과 아동의 공감능력은 또래괴롭힘을 반대하고 또래괴롭힘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방어적 태도를 갖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전통 - 근대 가치관과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김지신(Ji Shin Kim),박성연(Seong Yeon Park) 한국아동학회 1997 아동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childrea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500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peers in the same classroo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aternal traditional values, perceived maternal childrea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Traditional maternal values focused on familial collectivism and politenes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Maternal traditional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aring practices in both maternal affection·rational guidance and authoritarian control. (2) Maternal traditional value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social behavior but showed an indirect moderating effect through maternal childrearing practice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values on childrearing behavio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발달지연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지신 ( Ji-shin Kim ),아연 ( A-yeon Kim ),현진 ( Hyun-jin Kim ),민그래 ( G-rea Mi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ubjects were fiv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20 and 32 sessions respectively. For Group 1 of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essions were conducted like parallel play at the early stage and the children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sound and movement of their partners over time. After the sess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itation of their partners’ play and language expressions, invitation to their play, and increase in behaviors to attract their partners’ attention. Group 2 consisted of three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y had desire to play together, but the range of their interest was limited and they were inexperienced in how to play with ot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therapy, they had lots of conflicts with play partners. As the sessions went, however, their use of proper language and expression of their needs and emotions increased while conflicts between play partners de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encouragement of the children’s initiative by the therapist in the natural play setting improve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and adaptation to social contex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basic study that conducted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explor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발달지연과 애착문제가 있는 유아의 통합치료 사례: 발달놀이치료, 사회성치료, 발달인지치료

        김지신 ( Ji-shin Kim ),조주연 ( Joo-yon Cho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4 No.1

        This is a case study about a 4-year-old boy who is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attachment problems. He has showed several problems such as retarded early language development and unstable attachment with his mother. He was absorbed in solitary play and could neither play nor interact with peers in his nursery school. Through 90 sessions in total, a comprehensive approach incorporating developmental play therapy, group therapy, and basic cognitive therapy was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sessions, he showed negative feelings when others touched his toys and felt anxious in strange situations. However, he gradually enhanced his verbal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social adjustment, and mother-child attachment. Then, he has begun to develop his basic cognitive abilities.

      • KCI등재후보

        유치원 부적응으로 의뢰된 7세 여아의 상담사례: 놀이치료와 인지치료의 단계적 접근

        조희원,김지신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8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 girl who is referred to as institutional maladjustment. The child who had demonstrated hypersensitivity since birth, had not been able to cope adequately in unfamiliar situations due to high tension and anxiety. The therapist performed a total of 36 sessions of child centered play therapy to facilitate emotional stability by forming a trusting relationship with her. It was to recognize and express her emotions properly in unfamiliar situations. The therapist further facilitated her mother to provide stable emotional support and parenting advice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to restore the parental relationship. In addition, a cognitive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in parallel to improve confidence in structured activities and reduce the sense of rejection of the new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essi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was positively promoted. So the child was able to recognize and verbally express her own emotions appropriately as the tension was relaxed.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various cognitive activities considering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an reduce the psychological anxiety and raise the self-confidence before entering the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유치원 부적응으로 의뢰된 7세 여아의 상담사례이다. 아동은 생후 초기부터 기질적으로 예민하였고 이후 낯선 상황에서 높은 긴장감과 불안감으로 인해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이에 치료사는 아동에게 신뢰로운 관계 형성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경험하고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인식하고 표현할 수 있도록 총 36회기의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또한 모에게는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정서적 지지 및 양육적 조언을 제공하여 모-아 관계의 안정적인 회복을 돕고자 하였다. 이와 연계하여 36회기 이후에는 새로운 자극에 대한 불안감과 거부감을 감소시키고 다양한 인지활동을 통해 자신감을 경험시키고자 인지치료를 20회기 진행하였다. 회기를 진행한 결과, 아동은 자신의 정서에 대해 적절하게 인식하고 언어화할 수 있게 되고, 타인과의 관계형성 및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데 있어 긴장감이 완화되었으며, 모-아 관계가 긍정적으로 증진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시기에 아동의 정서적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자극과 활동경험이 아동의 인지적인 기반을 형성하고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령후기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시라,김지신 한국발달지원학회 2018 발달지원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For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total 35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Second, rejection sensitivity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correlation with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in case of boys. Thir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but experiential emotion strategy was no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case of boy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identifying gender difference about media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of late school-aged children. 본 연구는 학령후기 남녀 아동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의 5, 6학년 남녀 아동 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은 정서조절방략, 또래관계의 질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정서조절방략과 또래관계의 질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거부민감성과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인지적, 행동적 정서조절방략은 남녀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남아의 경우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의 거부민감성과 또래관계의 질의 관계에서의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성별을 고려하여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