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어머니의 전통 - 근대 가치관과 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행동

        김지신(Ji Shin Kim),박성연(Seong Yeon Park) 한국아동학회 1997 아동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traditional-modern values, childrea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were 500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and peers in the same classroom.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maternal traditional values, perceived maternal childrearing practices,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s. Traditional maternal values focused on familial collectivism and politenes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Maternal traditional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aring practices in both maternal affection·rational guidance and authoritarian control. (2) Maternal traditional values did not directly influence children`s social behavior but showed an indirect moderating effect through maternal childrearing practice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raditional values on childrearing behavior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지연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지신 ( Ji-shin Kim ),아연 ( A-yeon Kim ),현진 ( Hyun-jin Kim ),민그래 ( G-rea Mi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5명이며, 사회성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2개 집단으로 나누어 총 20회기와 32회기로 소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나타난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집단은 지적 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동들 2명이다. 치료 초기에는 병행 놀이처럼 진행되었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상대 아동의 소리와 움직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후 상대 아동의 놀이 및 언어 표현 모방, 자신의 놀이로의 초대, 상대 아동의 관심을 유도하는 행동 증가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2집단은 언어ㆍ인지ㆍ사회성 면에서 발달 지연을 나타내고 있는 3명의 아동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함께 놀이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관심 범위가 제한적이고 놀이방법이 미숙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상대 아동과 갈등 상황을 많이 겪게 되었는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맥락에 맞는 언어 사용 및 자신의 요구와 감정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였고, 또래 간 갈등상황이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진행을 통하여 치료자가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놀이를 주도하지 않고 아동의 주도성을 격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아동들로 하여금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해 비구조화된 소집단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한 기초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ubjects were fiv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20 and 32 sessions respectively. For Group 1 of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essions were conducted like parallel play at the early stage and the children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sound and movement of their partners over time. After the sess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itation of their partners’ play and language expressions, invitation to their play, and increase in behaviors to attract their partners’ attention. Group 2 consisted of three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y had desire to play together, but the range of their interest was limited and they were inexperienced in how to play with ot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therapy, they had lots of conflicts with play partners. As the sessions went, however, their use of proper language and expression of their needs and emotions increased while conflicts between play partners de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encouragement of the children’s initiative by the therapist in the natural play setting improve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and adaptation to social contex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basic study that conducted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explor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반응성 교수(RT) 중재를 적용한 5세 발달지체 남아의 사례 연구

        지현 ( Ji-hyun Kim ),김지신 ( Ji-shi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3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5세 발달지체 남아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치료 시작 당시 35개월로 호명반응과 눈맞춤이 적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며 언어발달이 지연된 이유로 본 센터의 놀이치료에 의뢰되었다. 이에 아동의 불안감을 완화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하고 모와 의 애착관계를 기반으로 다양한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아동의 발달수준을 높이고자, 초기에는 아동중심 발달놀이치료와 모와 아동간의 상호작용 증진 놀이치료로 치료를 진행하였다. 이후에 보다 반응적이고 민감한 상호작용 증진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반응성 교수 (RT) 중재를 적용한 치료를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모가 아동에 대한 이해를 통해 민감성과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애착을 증진하며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도록 부모상담을 병행하였다. 또한 요구 수준이 높은 아동에 대해 모가 통찰을 기를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RT중재과정을 통해 반응적 상호작용 과정에 모를 참여시켜 피드백을 제공 하였다. 총 22회기로 구성된 RT중재 결과, 아동의 언어 발달과 상호작용 면에서, 모의 반응성 행동과 효율성 행동에서 향상이 있었다. 아동은 무엇보다 자발적 발화와 의도적 의사소통이 증가되었고, 상대방과의 공동주의와 공동활동에서의 효율성이 높아졌으며, 모는 아동에 대한 민감성과 반응성에서 뚜렷이 변화된 모습이 나타났다. This is a case study of a five-year-old boy who has development retardation. He was 35 months old when his parents brought him for therapy. He had difficulties in responding when his name was called and making eye contact. He also showed no interest in others and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t the initial stage, therapy was focused on child-centered developmental play therap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erapy to enhance emotional stability of the child by releasing his anxiety and improve his development level by facilitating various interactions based on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his mother. Later, Responsive Teaching (RT) intervention was administrated to improve more responsive and sensi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Parent counseling was also conducted to help his mother increase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and enhance secure attachment by understanding her child better and improve her psychological well-being by mitigating parenting stress. Through the RT intervention, the therapist provided feedback for his mother by involving her into the responsive interaction process to help her understand his needy child. The RT intervention of 22 sessions improved language development and interaction of the child and enhanced responsiveness and effectiveness of his mother’s behaviors. Above all, voluntary language expression and intentional communication of the boy were remarkably enhanced and effectiveness in joint attention and joint activity with others also increased. His mother's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also changed evidently.

      • KCI등재

        발달지체를 보이는 아동의 단계적인 놀이치료 사례

        지현 ( Ji-hyun Kim ),고은애 ( Eun-ae Ko ),김지신 ( Ji-shi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2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발달지체로 인해 언어와 인지 및 사회성 발달 및 행동 조절의 어려움을 겪는 아동을 대상으로 단계적으로 놀이치료를 적용한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치료 시작 당시 만 5세 3개월이었으며 언어 발달이 지연되고 타인에게 관심이 없으며 어린이집 활동에 집중하기 어렵고 또래와의 갈등 문제로 인해 본 센터에 의뢰되었다. 아동의 발달적 요구에 따라 치료자의 역할과 개입을 조절 하며 총 71회기까지 치료가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아동중심 발달놀이치료로 아동과 안정적인 라포를 형성하면서 모와 아동 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상호작용 치료로 진행하였다. 이후 아동의 관심 범위를 확장하며 인지적 능력의 촉진 및 사회적 상호작용 기술을 증진하고자 인지치료와 사회성 치료를 함께 진행하였다. 동시에 치료 기간 동안 모를 지지하면서 부모상담과 부모교육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로 아동은 의사소통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포함한 전반적인 적응 능력이 증진되어 초등학교 입학준비기반이 형성되었다. This is a case study of an application of sequential play therapy for a child suffering difficulties in language, cognition, social development, and behavior modulation due to developmental delay. The subject was five years and three months old when his parents referred him to therapy. He showed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had no interest in others. He had difficulties in concentrating on activities in his nursery school and conflicted with peers. Based on his developmental needs, a total of 71 sessions were conducted by modulating the role and intervention of the therapist. At the initial stage, the therapist applied child-centered developmental play therapy to establish rapport with the 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erapy to enhance attachment between the child and his mother. After that, cognitive therapy and group therapy for social competence were administered to extend child's interest and enhance cognitive 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At the same time, parent counseling and education were conducted to support his mother. As a result, overall adjustment ability of the child was enhanced including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child could prepare for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정서조절이 미숙하고, 사회성이 부족한 아동의 놀이치료와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상담 사례연구

        최윤정(Yun Jeong Choi),김지신(Ji Shin Kim) 한국발달지원학회 2020 발달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정서조절의 미숙과 사회성 부족을 주호소문제로 한 초등학교 4학년 남아에 대한놀이치료와 감정코칭을 활용한 부모상담 사례연구이다. 상담 의뢰당시 아동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거나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보였고, 친구관계에서 상황에 대한 인식과 대처방법이미숙하였다. 또한 형제관계에서 갈등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부모역할도 힘든 점이 호소되었다. 아동에게는 주1회 45분씩 개인 놀이치료를 총 50회기 진행하였고 모 상담은 놀이치료가 끝난 직후와 별도의 세션을 50분씩 총 12회기 진행하였다. 놀이치료 중반 이후에는 감정코칭을 적용하여 모 상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통해 아동과 치료자간 신뢰감과 정서적인 안정감 및 자기 통제력이 형성되었다. 둘째, 감정코칭을 통해 아동이 정서를 인식하고 다양하게 표현하며 조절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동생과의 짝치료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 증진과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였다. 넷째, 모가 아동을 이해하고 양육태도를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다섯째, 감정코칭을 활용한 모 상담을 통해 아동의 감정을 이해하고 아동의 정서 조절을 돕게 되었다. 본 사례연구는 놀이치료와 형제 짝치료가 아동의 정서조절 및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는 점과 감정코칭을 활용한 모 상담을 통해 부모상담을 더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모와 아동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and parents consultation using emotion coaching for child in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ich is mainly about lack of emotional regulation and sociality problem. For child, a total of 50 individual play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45 minutes, and followed by parent consultation sessions after play therapy, and total of 12 separate sessions for 50 minutes each. After the middle of the play therapy, emotion coaching was applied to conduct a consultation s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child-centered play therapy, a sense of trust, emotional stability and self-control between children and therapists were formed. Second, through emotion coaching, child s ability to recognize, express and control emotions has been improved. Third, Child has experienced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olving conflicts through pairing with his younger brother. Fourth, the mother was able to understand the child and recognize and improve her child s attitude. Fifth, through mother consultation using emotion coaching, she was able to understand children s emotions and help his emotional regulation.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play therapy and sibling pairing therapy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s emotional control and social improvement, and that parent consultation has been more actively involved through parent consultation using emotional coaching, contributing to positive changes in mother and child.

      • KCI등재
      • KCI등재

        신체적 · 정서적 억제 성향이 있는 11세 남아의 치료 사례

        조주연 ( Joo-yon Cho ),김지신 ( Ji-shin Kim ),현진 ( Hyun-jin Kim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1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신체적 · 정서적으로 억제 성향이 있는 초등학교 4학년 남아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내담 아동은 유아기에 시작된 옷에 변을 지리는 증상이 초등학교 입학 이후 더욱 심해졌다고 하며, 가정에서는 쉽게 화를 내고 짜증을 내는 한편 수업시간에는 조용히 딴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고 교사로부터 아동이 의욕이 없어 보이고 눈 맞춤이 안 된다는 이야기를 자주 들었다. 또한 학습 동기가 없고 좋아하는 게임을 할 때만 집중력을 보인다는 문제로 본 센터에 부모에 의해 의뢰되었다. 치료 초기에는 아동의 억제된 특성 파악과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통한 감정과 욕구의 분출에 초점을 두었고, 치료 중반 이후에는 아동의 정서적 안정을 기반으로 아동의 집중력 문제와 의욕 저하에 대한 인지 치료와 함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사회성 치료가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약 1년에 걸쳐 치료가 진행되었는데, 초반에는 억제 성향으로 인해 스스로 놀이실을 탐색하거나 놀이를 주도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보였으나 점차 아동이 신체적이고 구조물을 건설하는 등의 놀이를 통해 신체적인 억제 성향이 줄어들고 정서를 표현하기 시작하여 자연스럽게 유분증이 사라지는 등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This case study is about an eleven-year-old boy, a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has an inhibited tendency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His encopresis which started in his early childhood became worse after he entered the elementary school. He became angry easily at home and he often let his mind wander at school. His teacher often said that he was unmotivated and hardly made eye contact with her. His parents requested a play therapy for him since he had no motivation in studying and showed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only when playing his favorite games. Over a year, the therapy wa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child's inhibited characteristics and letting off his frustration through a child-centered play therapy. After the second half of the sessions, cognitive therapies on his concentration and motivation and a program for social competence were administered based on the child's emotional stability. In the beginning, he was uncomfortable about seeking through the playroom, leading plays, and showing his emotions. However, his inhibited traits were gradually reduced through construction plays and he started to express how he felt. Moreover, his encopresis was naturally dimin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