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김지숙,김기영,Kim, Jisuk,Kim, Giyeo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지속적 독서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독서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서울 소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환경요인, 학생 개인 특성 및 흥미, 그리고 독서교육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 독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환경개선과 긍정적인 독서태도를 형성하기 위한 흥미 중심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성별과 학년에 따른 독서교육방법의 차별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적 독서태도 강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to the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for making suggestion of the measures in reading education to strengthen the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First of all, a set of in-depth interviews as a pilot was conducte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to search the factors, the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ilot and existing research reports to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how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chool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and gender, interests, and perceptions of reading educ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statisticall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o suggest the practical direction of desirable reading education to strengthen the sustainable reading attitude.

      • KCI등재

        어촌 지역 관용 표현의 형태·의미 고찰 - 동해안 어민들의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김지숙(Kim, Jisuk)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이 글은 동해안 어민들의 구어 자료에 나타난 관용 표현을 통해 그 형태 구성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먼저 관용 표현의 범위를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구성과 의미 그리고 관용 표현의 특징인 대중성, 광역성, 고정성을 고려하여 관용 표현을 추출하였다. 구성 형태는 관용어, 관용구, 관용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 중 관용문에 대한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용문은 긴 구성 단위로 인해 구성 어휘 중 일부가 유의어나 비슷한 다른 단어로 대치되어 지역별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연스러운 구어 발화라는 점과 담화 상황이 다를 수 있다는 점으로 표현 양식의 미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 관용 표현을 의미 범주에 따라 나누어 살펴본 결과 어촌의 자연 환경과 어로 활동에 관한 표현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표현들도 주로 금기와 비방의 부정적인 의미로 나타나, 부정적인 의미 자질이 긍정적인 의미 자질에 비해 그 수와 종류가 다양하였다. 이는 어촌이라는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한 생활 습관이 언어에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다. 어민들이 사용하는 관용 표현은 대부분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관용 표현의 구축은 어촌 지역 어민들의 문화와 삶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게 하고 더 나아가 국어 어휘장이 풍부해지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discusses the forms and meanings of idiomatic expressions extracted from the spoken language in fishing villages. After examining the range of idiomatic expressions, they were extracted by considering their composition, meaning, popularity, and distributed nature. The morphological construction was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idiomatic word, idiomatic phrase, and idiomatic sentence. The idiomatic sentenc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Because of the lengthy construction of the idiomatic sentence, some of the composition words were replaced with synonyms or other similar words, which differed in each region. Even though there were subtle differences in the manner of expression of natural speech and different circumstances of discourse, the overall meaning was similar across regions. When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semantic category,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fishing village and fishing activity showed the high frequency. However, those expressions mainly conveyed a negative meaning, pertaining to taboo and slander; thus, the negative semantic quality was more varied compared to the positive semantic quality. This is due to everyday life habits reflecting on to language. The fishing villages had many idiomatic expressions and meanings that are not found in dictionaries. The construction of these expressions c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fishermen’s perception in fishing villages and for expanding the lexical field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동해안 어촌 지역의 언어 문화 연구

        김지숙(Kim Jisu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이 글은 급속한 사회 변화로 소멸해가는 동해안 어촌 지역의 언어를 통해 그 언어 현상을 그 지역 사회의 사회문화적 요소와 함께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촌 환경과 관련되는 바람, 물, 지형을 살펴본 후 동해안의 대표적인 어종인 오징어와 명태의 명칭 분화를 행위자에 따라 살펴보았다. 또 어촌에서 주로 먹는 음식과 어민들이 사용하는 관용표현을 통해 어촌의 사회적, 문화적 요소가 어떻게 언어에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동해안 어촌 지역의 언어 문화적 요소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는 농촌 지역과는 다른 하나의 사회방언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어촌의 언어와 문화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한 점에서 어촌의 배경을 바탕으로 한 이 글은 어촌 생활어 어휘망을 구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 어촌 지역의 환경, 어획물, 음식에 관한 어휘를 통해 농촌 지역과는 다른 어촌 지역만의 지역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동해안 언어문화 연구는 소멸 위기의 어촌 생활어를 발굴, 기록할 수 있다는 점 외에도 우리 민족과 역사를 같이 한 어촌에 대한 생활과 문화를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더 나아가 어촌의 언어와 문화를 정리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생활사를 기록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anguage practice of people in a fishing village in the East Sea region as fishing villages are disappearing because of rapid social change. The language and culture of fishing villages have not been studied much despite their import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laid the foundation for building everyday lexicon in fishing villages.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environment, fisheries, and food in the fishing region showed its unique loc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in rural regions. As part of the Korean history, this study o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East Sea region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serves as a documentation of the village’s basic everyday language that is at risk of perishing, in addition to their way of life and culture in fishing villages as part of the history of the nation. Moreover, a review on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fishing village has an implication of the early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Korean nation.

      • KCI등재

        언어 접촉으로 육지 해녀의 언어에 나타난 제주 방언 연구

        김지숙 ( Kim Jisuk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그동안 언어 접촉에 의한 언어 변화는 동일 언어권 안에서 방언 간의 접촉에서 언어 내적 요인을 밝히는 데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제주 해녀와 육지 해녀 간의 언어 접촉을 사회언어학의 측면에서 언어 외적 요인과 언어 내적 요인을 함께 검토하였다. 육지 해녀의 언어에서 제주 방언을 쉽게 찾아 볼 수 있었는데, 제주 해녀들의 육지로의 이주와 결혼이 그 원인이 되었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육지 출신의 해녀들은 자신의 지역 방언 외에도 물질과 관계되는 어휘에서 자연스럽게 제주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제주 방언은 본래의 형태, 의미, 음운의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지만 대부분 원래의 제주 방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해녀들이 육지로 이주한 시기가 오래 되었음에도 육지 해녀의 언어에 제주 방언이 보전되었다는 것은 제주 방언이 이들 직업에서 특수화된 언어로 존재했기 때문이다. 즉 특정 지역의 언어라기보다는 특수 직업어로서 역할을 한 것이다. 그래서 육지 해녀들은 해당 지역 공동체에서는 해당 지역의 방언을 사용하면서도 이들이 속한 사회 공동체에서는 제주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처럼 육지 해녀의 언어에서 제주 방언이 나타난 것은 해녀들이 중복되는 여러 언어 공동체에 속하게 되면서 해녀 공동체의 사회 규칙과 더불어 새로운 의사소통 규칙을 습득해야 하는 필요와 요구 때문으로 볼 수 있다. So far, most of the language changes by language contact have been only performed by contact between dialects within the same linguistic sphere.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s on language change have tended to pay attention to revealing the internal factors of language. This study reviewed the language contact between Jeju female divers and land female divers together with the external factors of language in the aspect of sociolinguistics. Focusing on Jeju Language shown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it was verified in the category of man, tool, and collection. The external factors causing this language contact were Jeju female divers’ marriage and move to land. Because of this, the Jeju language could be easily found in the language of female divers originated from land. Even though this Jeju language showed some changes in the original form, meaning, and phoneme, mostly, i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riginal Jeju language. Even though it was a long time ago for the female divers to move to land, the Jeju language was preserved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because the Jeju language was existing as a specialized language for their occupation. In other words, it was working as a special jargon, rather than a language of a specific region. Thus, the land female divers used the dialect of the relevant region in the relevant community while they also used the Jeju dialect in their social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Jeju language was shown in the language of land female divers because those female divers who belonged to many overlapping linguistic communities were needed and required to acquire the communication rules and the social rules of female divers’ community.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가족 분화가 자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김지숙(Jisuk Kim),서미아(Mia Seo) 한국가족치료학회 2021 가족과 가족치료 Vol.29 No.4

        본 연구는 부/모와의 원가족 분화가 자녀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서울 및 경기도를 중심으로 만 1∼5세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 중 총 288부를 분석하였다.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의 원가족 분화가 자녀 양육 행동 중 과보호와 독립성지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애정, 거부/통제, 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의 원가족 분화가 자녀 양육 행동 중 애정과 독립성 지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고 거부/통제, 과보호, 일관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부/모와의 분화가 자녀 양육행동의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와 분화를 이루지 못한 기혼 여성들의 긍정적인 자녀양육행동을 증진하기 위하여 자기체계손상에 개입하여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behavior and to inquire into the mediation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Method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arried women with children aged 1-5 years, centering 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February to March of 2020. In total, 288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3.4. were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a mediating effect. Results: As a result, the traumatized self-system showed complet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from the father and parenting behavior in married women, as well as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of origin differentiation from the mother and parenting behavior. Conclu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with regard to having arranged a specific basis of family counseling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mong parents who have failed to experience the appropriate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 of origi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목적관계 연결어미 습득 양상 연구

        김지숙(Jisuk Kim) 한국중원언어학회 2013 언어학연구 Vol.0 No.29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acquisition aspects of the conjunctive endings expressing purpose in Korean, focused on ‘-reo’ and ‘-ryeogo’ in the utterance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The result shows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ccording to the age: high frequency of ‘-reo’ in the utterance of the early ages’ children, high frequency of ‘-ryeogo’ in that of the age of 5.10 and 7. In addition, this study uses the method of comparison and contrast to find out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quisition proces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at of the general families’ children. As a result, the acquisition aspects of the ending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re found equally in those of the general families’ children, which tells us that the acquisition steps and the frequency of use are not irrelevant.

      • KCI등재

        대학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실태와 향후 과제

        김지숙(Jisuk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코로나19 사태는 오프라인 교육의 한계성과 동시에 온라인 교육 운영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다. 이 글은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실시간 온라인 교육의 현황을 통해 대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수업 경험에 대한 설문을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 시스템에 관한 기술적인 문제이다. 즉 온라인 강의의 문제점인 서버 오류, 인터넷 접속 불안정 등과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교수가 느끼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은 성적 평가에 대한 공정성이다. 셋째, 교수와 학생은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문제점은 상호 간 소통의부재이다. 넷째, 이러한 실시간 온라인 강의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강 인원을줄이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현재 온라인 교육은 ‘기술적 문제, 성적 공정성, 소통 부재’ 등의 문제가 있지만, 개선의 가능성 또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비록 다양한 온라인 수업 실태에 대해서 다루지는 못했지만, 대부분의 대학이 직면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문제를논의하여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While COVID-19 has shown u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offline education, it has also opened the opportunities of online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s of live online classes that has been introduced due to COVID-19 and figure out the next steps of changes that need to happen in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goals of the study, both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survey questionnaires regarding their live online class experience and also engaged in discussions surroun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issue is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the content and systems. It is urgent to resolve technical issues specifically related to online classes such as internet server issues, instabilities of the internet, and so forth. Secondly, professors have shared their concerns regarding the fairness of grading in live online classes. Thirdly,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that online classes lack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Fourthly, in order to maximize the advantages of the live online classes and minimize the challenges posed, it is pertinent to restrict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Lastly, although the current online education poses many challenges in the areas of “technical issues, evaluation fairness, and lack of communication and engagement,” it can be gleaned that there are also 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when addressing the areas of improvement. While the study was not able to resolve the various issues of online classes, it provided a baseline data to discuss the general challenges of live online classes across universities, so that we are aware of the condition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creating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 Media 충전 형태에 따른 질산화 효율 비교 연구

        박정태 ( Park Jungtae ),김만수 ( Kim Mansoo ),김지숙 ( Kim Jisuk ),원창연 ( Won Changyeon ),한주연 ( Han Juyeon ),이학범 ( Lee Hakbum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고도처리 강화에 대비하여 질소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media 공정은 미생물 부착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media를 이용하여 미생물 부착 및 고농도의 유효 MLSS를 유지함으로써 유입부하 변동에 대처하고, 짧은 HRT에서도 높은 질소제거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 질산화 미생물이 부착된 media 공정은 기존 공정보다 빠른 질산화 반응속도를 제공하여 질소 제거 공정의 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media를 이용한 공정은 그동안 media의 모양 및 재질에 따라 분류되고 상용화되어 왔으나 동일 재질, 충전형태에 따라 부착 및 생물막 형성, 반응속도 차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상의 media를 고정상 및 유동상의 충전 형태에 따라 부착성장 미생물의 부착특성을 비교하고 질산화 반응속도를 상호 비교하여 질산화 공정의 효율 개선 및 새로운 media 충전형 반응조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식종을 위해 media 충전 형태별로 구성된 각 반응조에 N 하수처리장 활성슬러지를 농축시켜 투입하였고 질산화 배양액은 NH<sub>4</sub><sup>+</sup>-N 30 mg/L로 제조하였다. 반응조에는 초기 식종 슬러지를 제외하고 MLSS는 추가로 주입하지 않았고, 1회/일 주기로 질산화 미생물 배양액을 투입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반응조는 media 충전 형태별로 회분식으로 운전하였고 질산화 효율 및 반응속도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질산화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media를 선별하여 HRT를 단계적으로 감소시켜 부하량에 따른 질산화 효율을 평가하였다. 실험 온도는 20 ∼ 25 ℃를 유지하였고, DO는 2 mg/L 이상으로 폭기하여 총 3개월 운전하였다. 운전결과 초기에는 각 반응조의 질산화 효율이 40 ∼ 60 % 이하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질산화 미생물 부착 및 활성화 순응 기간 부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점차 시간이 지날수록 질산화율은 증가하였고 유동상 media 반응조 40 % 보다 고정상 media 반응조가 90 %로 질산화율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정상 media가 미생물의 부착 및 생장에 유리하다고 판단하여 연속식으로 운전하였고, 그 결과 0.37 kg NH<sub>4</sub><sup>+</sup>-N/m3·d에서 질산화율은 87 %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동상 media 반응조에 비하여 고정상 media 반응조의 질산화율이 높았고, 고정상 media는 연속식 반응에서도 0.37 kg NH<sub>4</sub><sup>+</sup>-N/m3·d의 높은 처리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초기 질산화 미생물 식종 이후 부착된 미생물만으로도 고정상 media 공정이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질산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