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초, 심화과정 시범운영을 통해 본 교육과정 개별화의 가능성과 한계

        김주아 ( Ju Ah Kim ),김홍원 ( Hong Won Kim ),김성식 ( Sung Sik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기초과정?심화과정 시범운영 결과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다르게 하는 교육과정 개별화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의 학생선발, 교수-학습, 이수트랙에 대한 시범적용 결과와 쟁점을 분석하였다. 기초과정의 경우 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출발점은 달리할 수 있지만 계절수업 등 추가이수를 통해서라도 도착점을 같이하는 추가이수모형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러한 교육과정 운영 방안은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의미가 있지만, 학생들의 학습 부담과 합류 이후 학습 부진 재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심화과정의 경우에도 보통교과를 모두 이수하고 심화교과를 추가로 이수하는 모형이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었다. 학업성취도 향상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기초과정은 이수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달리하는 개별이수모형이, 심화과정의 경우는 동시이수모형과 추가이수모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일한 과목 이수를 통한 형식적인 교육기회 제공이 아니라, 자신의 수준과 적성에 맞는 과목 이수를 통한 실질적인 교육기회제공을 통해 학생들이 더 잘 배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이수과목의 출발점과 도착점을 달리할 수 있는 개별이수모형이 기초, 심화과정에서 모두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and issues in conducting the pilot study of curriculum differentiation by tracking. The curriculum arrangements of student placement, classroom practices, course offerings are analysed and critical issues are identified. The patterns of differentiation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al norms. In most of schools which participate in the pilot study, teachers tends to choose the additional course takings rather than optional course takings as curricular accomodations to ensur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low track students. However, the results of student achievement progress analysis show that optional course takings are more effective than additional course takings to low track students especially in mathematics. This suggests that the ideal of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could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by differentiating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ptitude and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The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high track students could not be estimated accurately due to the incongruity between courses offerings and the required subjec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is study suggests optional course takings have to be encouraged based on the students` choice to ensure substantial educational equality.

      • KCI등재

        한국 치의학 교육 평가인증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김경년(Kyung-Nyun Kim),김윤진(Yun-Jin Kim),김주아(Ju Ah Kim),김지연(Ji-Youn Kim),김각균(Kack-Kyun Kim),이재일(Jae Il Lee),신제원(Je-Won Shin) 대한치과의사협회 2015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3 No.3

        The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KIDEE) was established in 2007 to provide the quality assurance in dental education. The KIDEE has been recog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Jan. 2015 for 5 years. KIDEE had accredited basic dental education programs of all 11 Korean dental schools. The dental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to encourage the improvement for dental schools, to ensure the quality of dental practice and most of all,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ly compatible system of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The accreditation system in Korea is supported by voluntary service of many dental professionals and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dental education program in all institutions. The accreditation by KIDEE let the students and the dentists be taught with assured education program and the all Koreans be cared by the qualified dentists. A quality education system thus provides a sufficient number of qualified dental health professionals to meet the workforce needs of the nation. Ultimately, this should result in quality oral health care for the public. Finally, by specifying the competencies of graduates, the standards will define the scope of dental practice. This may serve to define the profession of dentistry and differentiate it from other health professions, or to differentiate among the specialties in dentistry in the case of advanced dent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현대 명상공간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김주아 ( Kim Ju A ),황용섭 ( Hwang Yong Seup ),이돈일 ( Lee Don L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명상은 오랫동안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행해져 왔고, 그와 관련하여 육체와 정신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안정을 가져다주는 효과에 대한 논문이나 실험결과가 꾸준하게 이어져 오고 있다. 최근 명상이 단순히 종교적, 치유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건강과 생활의 안정을 위해 일반인들이 많이 찾게 되면서, 명상과 공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명상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인식과 함께 기존 명상공간사례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용목적에 따른 명상공간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이용목적에 따라 공간을 종교적 관점, 의료적 관점, 문화적 관점으로 분류하여 선행연구에서 공간별 특성 및 명상공간디자인 요소를 재정리하고 그에따른 세부평가항목을 도출, 분석틀을 활용하여 국내(외에서 대표되는 명상공간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교적 공간은 쾌적성, 활용성, 계획성 기능성 요소가 높게 평가되며 현재 종교적 공간에서 요구하는 사용 환경에 대한 다양성과 개방성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의료적 공간에서는 쾌적성, 활용성, 기능성, 지속성 요소가 높게 평가되며 공간이 주는 가치보다 치유효과에 집중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간에서는 조형성, 계획성, 지속성이 높게 평가되었는데 경험적 가치를 위한 공간에서 명상공간이 가지는 쾌적성, 기능성, 활용성 부문이 미비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는 추후 명상공간계획에 있어 인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고, 개개인의 성향과 목적에 따른 경험의 만족도를 높여 줄 것이라 기대해본다. For many years, meditation has been practiced in many cultures and through various methods. In this connection, th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releasing physical and emotional tensions has consistently continued. Recently, as meditation has been used for not only religious and healing but also the mental health and the stability of lif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editation space, to analyze problems of existing meditation space and to suggest directions of meditation space planning according to purpose of use. As a research method, there are precedent studies, dividing space into religious, therapeutic and cultural perspectives according to purpose of use, drawing spatial analysis elements through respectiv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meditation and each perspectives and analyzing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 of meditation space by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i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induce a positive effect on human in meditation space planning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experience according to individual tendency and comf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Religious space is highly evaluated for comfortable, utility, planning, functionalit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iversity and openness of the use environment that is required in the present religious space. In the therapeutic spac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focusing on the therapy effect rather than the value given by the space, because the purposefulness, utility,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are highly evaluated. Finally, cultural space is evaluated highly for formativeness, planning and Sustainability and is required to improve the comfortable, functionality and utility for experiential value of meditation space.

      • KCI등재

        기초,심화과정 등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실행 상에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 분석

        김주아 ( Ju Ah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학점제, 무학년제 도입의 전초전적 성격을 가진 기초·심화과정 등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시범운영과정 상에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교육과정, 학생선택중심 교육과정 등 기존의 학생중심 교육과정과 고교 교육력 제고 정책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분석하였고, 시범운영상의 나타난 교육과정 쟁점으로 기초·심화과정에 대한 오해, 기초·심화수준의 애매모호성, 교육과정편성 관행과의 충돌, 집중이수제와의 갈등, 학업상담기능의 도입, 절대평가와 상대평가의 불완전한공존, 대입에서 유불리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학점제, 무학년제 등 보다 융통성 있는 학생맞춤형 교육과정이 도입, 정착되기 위한 과제로 일반계고 개설 교과들 간의 관계 및 위계 설정, 심화과정의 발전적분화, 고교수준의 최소학력 기준 설정, 능력별 집단 편성에 따른 부작용 최소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identify issues which were raised in the pilot study of high school education enhancing policy. It was also pursued to extract implications and policy agendas for the future of student-tailored curriculum building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pilot schools` proposal and consulting reports of individual pilot schools. The issues are identified such as misunderstanding of basic and honor courses, conflicts with routine of curriculum planning, ambiguity of meaning of level of basic and honor courses, conflicts with focused course taking, needs of introduction of learning counseling, mismatch between curriculum design with student evaluation system, opaque prospects of advantages in college admiss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addre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student-tailored curriculum building at an individual school level: reorganization of subjects which high schools can open, developmental division of honor program and advance placement program, setting the standards of proficient level for the high school graduate, strategies of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ability-grouping.

      • KCI등재

        기업휴게시설 명상공간의 디자인 특성 연구

        김주아 ( Jua Kim ),이돈일 ( Donil Lee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사회에서의 휴식은 근무 시간과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만들어지는 개념이었고 공간의 구분 역시 이에 적합한 형태였다면, 현대 기업 환경에서의 휴식은 보다 복합적이고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업무 중 가지게 되는 휴식의 형태 역시 단순한 육체적 재충전을 벗어나 정신적인 측면, 즉 스트레스 등에 대한 대응을 고려하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신적 대응의 구체적 형태의 하나로서 명상이라는 행위를 기업 휴게시설 측면에서 주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업무 환경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휴게공간의 형태에 주목하고, 기업의 휴게시설에서 새롭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명상공간의 디자인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다양한 선행 연구에 대한 조사를 통해 기업 환경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휴게시설이 가지는 중요한 특징들을 고찰한다. 둘째, 현대 기업의 휴게공간에서 등장하고 있는 명상공간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러한 새로운 현상의 시대적 흐름을 파악하고 명상공간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기업 휴게공간의 명상공간에 대한 주요 사례들을 수집하여 명상공간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특성을 분석하여 주요한 경향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기업 휴게시설의 명상공간의 디자인이 가지는 개념과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주요기업 10곳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 공간에서 주된 요소만 구성되어 운영이 용이한 점으로 명료성이 가장 높았으며, 불필요한 기능과 불편한 요소가 배제된 배치계획으로 접근성과 편의성이 비교적 높았다. 하지만 공간이 서로 다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이 다양하지 못해 다양성 요소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명상공간에 대해 이질적인 거부감은 없으나 시설환경에서 친근감이 느껴지기 어려웠다. 또한 유연한 환경으로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과 상호작용을 통한 공감대 형성이 어렵고, 유지관리의 측면, 다양한 요소의 통일감 부족으로 편안하지 않다는 점에서 유대감과 효율성이 낮게 나타났다. (결론) 새롭게 요구되는 명상공간에 대한 적절한 계획이 현재의 업무환경변화에 따른 휴게시설의 디자인 방향이며, 디자인 측면에서 명상공간이 가져할 조건은 효율성, 접근성, 명료성, 편의성, 다양성 측면의 물리적인 환경요소와 편안함, 균형감, 친근감, 쾌적함, 유대감의 심리적 환경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또한 지속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공간의 선택가능성과 시설환경의 색채, 공간배치, 위생적인 환경조성 및 유지관리로 지속가능한 공간이 되도록 계획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많은 기업의 근무자들이 업무와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심적, 신체적으로 편안하고 행복감을 가져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고, 이것이 기업의 생산성도 높여 그것이 다시 더 높은 수준의 복지향상이라는 결과를 가져오기를 기대해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the concept of rest has been clarified and the division of spaces has traditionally been distinct. In the modern working environment, the concept of rest is more complex and focused on stress responses. Meditation, a form of self-awareness of one`s own thoughts and movements, has become popular within corporate facilities and areas for meditation can be seen in corporate lounges or break room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 of resting spaces as they change the work environment, and aims to examine the design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meditation space. (Method)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changes in design of corporate environmen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before examining common features used in lounge facilities. Second, this study hopes to clarify the concept of a meditation space, determin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spaces, and understand trends within this relatively new phenomenon. Third, this study collects specific examples of meditation spaces included in corporate lounges and other rest areas, analyzing the design characteristics used in these spaces.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findings and presents the importance of both concept and meaning in the designing of meditation spaces for corporate break rooms. (Result) Results of an internal and external analysis of ten different corporate meditation spaces shows that clarity is rated highest, due to ease of oper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re also high, thanks to a successful layout that excluded unnecessary functions and inconveniences. However, diversity was the lowest rated, since the space was appropriate for a limited number of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and thus failed to meet the needs of multiple groups. The meditation spaces studied also lacked any sense of heterogeneity, making it difficult to feel familiarity in these facility environments. Finally, fellowship and efficiency were low because it is often difficult to form a consensus through fre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causing discomfort with the lack of unity. (Conclusions) Design choices made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work environment if meditation spaces are thoughtfully planned. Characteristics of meditation spaces should reflect its physical elements (efficiency, accessibility, clarity, convenience, diversity),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comfort, balance, affection, agreement, fellowship),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se spaces should also be sustainable and considerate of various types of user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meditation spaces in corporate lounges decreases employee reports of stress, both in regards to work stress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improves work efficiency by providing an employee area that encourages mental and physically comfort. Further, increased efficiency is often linked to an increase in productivity, which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economy and lead to improvements in the welfare of neighboring communities.

      • KCI등재

        영아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 연구

        김주아(Ju Ah Kim)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가정에서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한 부모의 인식과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 162명의 부모를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 여부는 자녀의 개월 수에 따라 달랐다. 둘째, 부모의 영아 스마트폰 사용여부에 따라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 다. 셋째, 영아들에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부모들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부모들은 영아들에게 주로 20개월 무렵 스마트폰을 보여주었고 혼자 본인이 원하는 앱을 실행하게 하였다. 부모들은 시 간을 때우기 위해서 스마트폰을 영아에게 사용하였으며 주로 부모가 먼저 스마트폰을 보여주었다. 부모들은 스마트폰 사용이 영아들의 인지발달에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정서적 발 달에 가장 부정적이라고 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par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their toddlers` smartphone use at home. One hundred and sixty two parents of toddlers attending day care center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o-do areas. First,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toddlers` smartphone use by the age of toddlers in number of months.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ir toddlers` smartphone. Third, the participants who allowed their toddlers to use smartphones had their toddlers watch content on smartphones when they were 20 months of age, and had their toddlers run apps on their smartphones alone. They toddlers to use smartphones to pass the time, and participants mostly showed smartphone ahead. They perceived that smartphone use effects cognitive development in toddlers in positive way, and effects emotional development in toddlers in a nega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