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RT-MIS 및 선박제원 DB를 이용한 부산항 입출항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김종진,신강원,Kim, Jongjin,Shin, Kangwon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산재되어 있는 부산항 입출항 선박의 개별 활동도(정박 접안 특성) 및 선박제원 정보를 기존 항만운영정보시스템(PORT-MIS) DB에 연계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연계 구축된 3가지 DB를 이용하여 18개월(2009.01~2010.06) 동안 부산항에 입출항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기본 활동도 변수만을 포함하고 있는 저해상도의 L-PORT-MIS DB에 각 선박의 정박시간 자료를 추가하여 중해상도의 M-PORT-MIS DB를 연계 구축하였으며, 각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엔진출력 등과 같은 선박제원 정보를 연계시켜 고해상도의 H-PORT-MIS DB를 구축하였다. 각 활동도 DB를 이용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결과, 선박 활동도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저해상도 및 중해상도의 선박 활동도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과거에 집계화된 정박 및 접안 특성에 의존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이 과다 산정되는 반면, 고해상도의 선박 활동도 자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각 선박의 개별 접안 정박 특성과 엔진출력이 고려되는바 H-PORT-MIS DB를 이용한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보다 신뢰성 높은 추정치로 판단된다. 이처럼 부산항을 입출항하는 개별 선박의 특성을 반영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했을 경우 그 추정치는 기존 추정치와 매우 달라질 수 있어 실효성 있는 온실가스 저감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DB의 연계 구축이 시급하다. This study presents the linkage method combining the existing Por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ORT-MIS) DB with the scattered vessel activity data sets including the hotelling and maneuvering characteristics and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vessels arriving and departing from the port of Busan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0. By linking the data sets, this study made three types of vessel activity databases: L-PORT-MIS DB with low-level vessel activities, M-PORT-MIS DB with medium-level vessel activities such as hotelling time, H-PORT-MIS DB with high-level vessel activities such as hotelling time, engine power, etc. The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otal GHG emissions decreases when the detailed vessel activities are employed. This decrease in the total GHG emissions by the level of vessel activities implies that the GHG emissions from the low and medium level vessel activities are overestimated due to the aggregated hotelling/maneuvering times and speeds resulting from the past vessel specifications. Therefore, the GHG emissions using the H-PORT-MIS DB are more reliable GHG emission estimates in that the vessel specifications and the observed hotelling time of each vessel are employed in the estimation process. Hence, the high-level vessel activity dataset should be constructed to implement more suitable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the GHG emissions in the port of Busan.

      • KCI등재

        박한영과 국학자의 네트워크와 그 의의

        김종진 ( Kim Jongjin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7

        石顚 朴漢永(1870~1948)은 19세기의 佛家 講脈의 계보를 계승한 인물이자 1910년대 후반에 불교잡지 『海東佛報』를 간행한 인물이다. 그는 19세기 후반부터 진행된 불교 승려 - 유학자 간의 인적 문화적 교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교유의 양상을 당시의 불교잡지에 소개하였다. 이는 『해동불보』는 물론 1920년대의 『佛敎』지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19c~ 20c 초에 섬진강 동쪽에선 선암사(화엄사 송광사 포함)를 중심으로, 섬진강 서쪽에선 구암사(백양사 선운사 포함)를 중심으로 근대 호남 유학의 선봉장이 된 인물들과 근대 호남 불교의 講脈을 수립한 승려들 간에 교유가 있었음이 확인된다. 특히 잡지에 소개한 한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의 이러한 교류 양상을 실증적으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박한영이 가졌던 이러한 지식 정보는 곧 1920년대의 국학자들이 박한영에게 기대하였던 불교 지식의 한 영역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박한영은 전통문화에 대한 교양과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도 민감했던 學僧 인데, 당시 조선의 정신을 학문 연구를 통해 강조하고자 했던 국학파들과 밀접한 교류를 나누었다. 이를 기반으로 『불교』誌에 이들이 외부 필진으로 참여하기도 하였고, 이광수, 최남선, 정인보 등의 국토기행문에 불교관련 내용이 충실하게 반영될 수 있었다. Park Hanyeong is the one who inherited the lineage of Buddhist Lecture Tradition of the 19th century and is the one who publishes a modern Buddhism magazine, "Haedongbulbo" in 1910s. He was interested in the human and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Buddhism monks and the Confucianis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and he introduced this aspect of Buddhism to his Buddhism magazine.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Haedongbulbo" and "Buddhism". It i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xchange between the leaders of modern Honam Confucianism and the monks who established the Buddhist Lecture Tradition of modern Honam Buddhism centered on Seonamsa (including Hwaeomsa Songgwangsa) in the east of Seomjin River and Guamsa (including Baekyangsa Seonunsa) in the west of Seomjin River between th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e Chinese poetry introduced in the magazine is significant in that it reflects this exchange aspec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an empirical way. This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Park Hanyeong possessed, seem to have become an area of Buddhism knowledge that the scholars of Korean studies of the 1920s expected from Park Hanyeong. Park Hanyeong was a scholar and monk who was sensitive to the liberal arts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the trend of new era, and he exchanged close ties with the sector of scholars of Korean studies which emphasized Josoen's things and Josoen's spirit through academic studies. Based on this,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magazine "Buddhism" as external writers, and his Buddhism-related contents would be faithfully reflected in Lee Gwangsu, Choi Namseon and Jeong Inbo’s land travel texts.

      • 온-오프라인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 이용 결정요인 분석

        김종진 ( Kim Jongjin ),김병률 ( Kim Byung-ryul ),김성우 ( Kim Seongwoo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2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 No.하계

        온라인 플랫폼서비스 이용증가, 코로나19 등으로 농식품 온라인 유통채널이 급성장하면서 온-오프라인 간 혹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내부의 세부 채널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가구의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의 선택 및 구매액에 대한 정량적 분석 자료는 정부 및 관련 업체들의 정책 및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필요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의 판매액 결정요인 및 이들 채널 간의 경쟁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농식품 소매 유통채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부 채널별로 매우 상이하다. 둘째, 온라인 유통채널의 구매액은 주구입자 연령과 소득에 의해 결정되나 오프라인 구매액은 가구원 수의 영향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더하여 세부 채널별 구매액은 온-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세부 채널 간에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한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은 대체 관계로 추정되었으나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 내의 세부 채널들은 보완적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우수등재

        근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

        김종진(Kim, JongJin)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4 No.-

        근대불교잡지 특히 『불교』(1924.7-1933.7)에는 해외의 불교연구, 과학지식, 문학 작품 등 경전의 번역을 넘어서는 다양한 번역이 혼재되어 있다. 또 근대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그 시대에 불경 번역의 당위성을 제시하고 방법론을 모색한 불교 지성의 논설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정황은 그동안 선행연구자들이 근대불교 지성의 번역에 대한 인식과 당대인의 실천을 소극적으로 파악했던 것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요한다. 이 시기 전개된 번역담론으로는 권상로의 조선글화엄경을 보고 (불교43호, 1928.1), 백성욱의 역경의 필요는 ? (불교 58호, 1929.4), 김법린의 민중본위적 불교운동의 제창 (일광 2호, 1929.9), 이대문제(일광 3호, 1931.3) 에 대한 김법린과 한용운의 답변, 같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서 박한영의 설창한화 (일광 3호,1931.3), 한용운의 조선불교의 개혁안 ( 불교 88호, 1931.10) 과 역경의 급무 ((신) 불교 3집 1937.5) 등이 있다. 본고의 2 장에서는 근대불교 번역론에 대한 최근의 연구사를 검토하고 불교잡지 번역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장에서는『불교』를 중심으로 1920-30 년대 불교 잡지의 번역 담론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조선글화엄경」(1927, 1928) 간행 이후 박한영, 권상로, 한용운, 백성욱, 김법린 등 불교계를 대표하는 지성들 이 형식적 다양성을 지향하는 번역론을 전개했으며, 문화와 문학적 번역의 가치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논의를 전개했음을 확인하였다. 『불교』를 비롯한 1920-30년대 불교잡지의 번역담론은 백용성의「조선글화엄경」출간으로 촉발되었고 그 논리가 심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odern Buddhist journals, especially the magazine Bulgyo (Buddhism) published between 1920s and 1930s contains various translations covering overseas Buddhist research, scientific knowledge, poetry, novels, etc., more than the those of scriptures. These journals also present the various discourses by Buddhist intellectuals on the method of translation. This circumstance requires a reflective review on the fact that previous researchers have passively explored the modern Buddhist leading intellectuals’ view of translation. Therefore, in Chapter 2, this study reviews recent research on the modern Buddhist translations and raises the need for research on translation discourses through Bulgyo. In Chapter 3, this study explores in detail the translation discourses appearing in Bulgyo between 1920s and 1930s and extracted their characteristic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such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Buddhist world as Park Han-yeong, Kwon Sang-ro, Han Yong-un, Baek Seong-uk and Kim Beop-rin, etc. developed a translation theory aimed at formal diversity and that the discussions wer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affirming the value of culture and literary translation.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gyeong (Avatamsaka Stutra in Korean 1927, 1928) by Baek Yong-seong is followed by active discussions related to the translation work. Bulgyo and other magazines ( 彙報 ) and journals ( 宗報 ) contain articles on Joseongeul Hwaeom-gyeong. Various articles, commentaries, and advertisements of Buddhism were triggered by the publication of Joseongeul Hwaeom‐ gyeong, with the development of logic in depth.

      • KCI등재

        면宇(면우) 郭鍾錫(곽종석)의 「理訣(리결)」 硏究(연구)

        김종진 ( Jongjin Kim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면우 곽종석은 조선말기 큰 유학자였고, 스승 이진상을 계승한 그의 心卽理說은 한주학파를 대표하는 학설이다. 이 논문에서 검토한 理訣은 면우가 심즉리설을 세상에 전파하면서 그 이론적 바탕을 다지기 위해 종래의 諸家들이 주장해 온 설들을 오로지 主理의 입장에서 창조적으로 집대성한 것이며, 면우 성리 사상의 핵심이 들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결 28개 단락은 하나같이 한주학파 주리론을 뒷받침 하여, 면우의 성리설과 한주학파 심즉리설의 이론적 근거라 하겠다. 이결 은 理의 속성과 성향에서부터 리가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공효와 발현되는 세계를 체용론적으로 다루고 마침내 로 귀결되도록, ``主理`` ``明理`` ``循理`` 구성 되어 있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주기론을 배척하는 구도가 되었고, ``理爲氣先`` ``理制氣`` 등의 단락에서 보듯 사안에 따라서는 주기론을 제압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결 에서 보인 면우의 관점은 변함없이 이어졌으나, 만년에 ``리의 動靜``에서는 차츰 심화되어가는 변화도 있었다. 그것은 면우가 영남학파의 강한 비판에 대처하느라 자신의 논리를 더욱 강화하면서 나타난 변화였고, 그것은 한주학파가 퇴계학파와 변별되는 지점의 하나가 되었다. 이 이결 과 같은 서술 방식은 한국 성리학 역사상 독특한 것으로 학술 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저술이다. 또 면우가 이렇게 리를 중시한 주리론 자로서 氣에 대한 理의 우위적 가치를 주장한 思惟는 오로지 主理로 心의 본선을 강조하는 한주학파의 사상적 원천이 되어, 儒學의 도를 수호하고, 어지러운 세상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의지를 갖는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Myeonwu(면宇) Gwak, Jongseok(郭鍾錫) was a great Confucianist in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Simjeukri theory(心卽理說)`` of him who succeeded his teacher Lee Jinsang(李震相) is a theory representing Hanjoo(寒洲)``s scholastic group. Ligyeol(理訣) scrutinized in this paper can be addressed as the core of Myeonwu``s theory, which creatively complied various available theories accomplished by previous Conjucianists only in the perspective of Juri(主理)-philosophy, purposed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foundation while he started to disseminate ``Simjeukri theory``. Therefore, each individual 28 paragraphs of Ligyeol theoretically supported ``Juri-ron(主理論)`` of Hanjoo``s scholastic group and becam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Myeonwu``s theory as well as ``Simjeukri theory`` of Hanjoo. Ligyeol deals with the virtue and world which are specifically exposed by Ri(理) [basic principles of matters] from the properties and tendencies in Cheyong-ron(體用論) [theory of the essence and function of a matter]. Finally, they are composed to be concluded into ``Juri``, ``Myungri(明理)``, and ``Sunri(循理)``. In the meantime, a structure to exclude Jugi-ron(主氣論) [Gi(氣)-centered theory] was made. As seen in the paragraphs of ``Ri-wigisun(理爲氣先)`` and ``R-ijegi(理制氣)`` according to issues, an intention to surpass ``Jugi-ron`` was shown. In particular, the ``Ri-dongjeong(理의 動靜)`` published in his late years revealed gradually advanced changes, though his main perspective appeared in Ligyeol was seamlessly sustained. Such change was driven in the process of logically coping with the strong criticism against ``Simjeukri theory`` by Confucianism circles of Youngnam(嶺南) areas. It became a breakthrough that Hanju scholastic group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oegye(退溪) scholastic group. The descriptive approach like Ligyeol was noteworthy in the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thereby could be evaluated as a meaningful writeup in academic hierarchy. In addition, as a person who defended the theory of Primacy of Principle, his comprehensive way of thoughts thatplaced the superior worth of Ri against Gi became the ideological source of Hanjoo``s scholastic group.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became the foundation for him to have intention that the enlightenment of Confucianism should be protected and the troubled world should be restored by it.

      • KCI등재

        18세기 승려 괄허취여(括虛取如)의 문학 세계

        김종진 ( Kim Jongjin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5

        括虛取如(1720~1789)는 18세기에 영남의 문경, 상주의 사찰에 주석하며 계율을 엄격히 지킨 수행자로 문집 『括虛集』을 남겼다. 본고는 『괄허집』 간행의 경과, 서문과 발문의 비평, 시와 산문의 세계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대사의 시에는 수행 과정에서 얻은 서정의 세계와 함께 律行에 엄격했던 대사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대사는 권상일, 정범조 등 그 시대의 유명한 유학자들과 교유를 나누었는데, 계율을 지키는 수행자의 자세와 유학자의 그것 사이에 공통분모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대사의 <雲山歌> <宗風曲>은 작품의 지향과 주제, 표현에 있어 동아시아 임제종 선사의 禪歌창작의 전통을 잇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30편의 산문은 대사가 주석했던 문경, 상주 일원의 사찰에서 重創한 전각, 불상, 탱화와 관련된 기문 및 상량문, 발원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기문은 주로 해당 사찰의 전경묘사, 역사적 자취의 기술, 현재의 인물과 상황을 연이어 제시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는 한정된 범위에서나마 佛家의 한문학에도 해당 지역의 공간성과 장소성이 담겨있는 구체적 사례로 제시할 만하다. 이런 점에서 대사의 문학은 지역문학으로서도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Gwalheo Chwiyeo (1720-1789) noted on the temples of Mungyeong and Sangju in Yeongnam in the 18th century and left anthology Gwalheojip as a disciplinant who strictly obeyed the Buddhism rules. Gwalheo and his literature rarely received much attention in literary history or Buddhist history, except for one of the Zen studies papers looking for reasons for Zen through landscape poems. In this article, we examined the progress of the publication of Gwalheojip, the criticism of preface and epilogue, and the world of poetry and pros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oem of Great monk reflects the lyric world from the process of self-discipline and the image of Great monk who was strict in the rules and that this was implemented in poetry or Seol (a writing style), which encourages the followers to follow the right path. In addition, the great monk interacted with the famous Confucianists of the time, such as Kwong Sang-il and Jeong Beom-jo, with whom there was a common denominator in the disciplinary attitude and the spiritual world of the Confucianists. Great monk's < Unsanga > and < Jongpunggok > revealed that they continued the tradition of Imjejong Zen monks in East Asia in the direction, theme, and expression of the work. About thirty pieces of his prose occupied most of the Gimun and Sangryangmun and Balwonmun associated with the palatial residence, Buddhist statues, altar portraits of Buddha in the temples in Mungyeong and Sangju where the great monk had commented on. Each Gimun consists of a foreground depiction of the temple, a description of the historical footprints, and a way of presenting the current person and situation. This is not to say, but to a limited extent, the Sino-Korean literature of the Buddhist sect as a concrete example of the spaceness and placeness of the area. In this sense, it is estimated that the great monk’s literature was evaluated as having enough value as a local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불교진흥회월보』의 전개와 문예 지면의 경향성

        김종진(Kim Jong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간행된 한국의 근대 불교 잡지는 총 23종 430여 권이다. (신문포함, 일본어 잡지 제외) 초창기인 1910년대는 『조선불교월보』를 필두로 6종이 발행되었다. 이 가운데 본고는 『조선불교월보』, 『해동불보』에 이은 세 번째 잡지 『불교진흥회월보』를 대상으로 그 전개과정을 살피고 문예지면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불교진흥회월보』에는 「文藝」, 「雜俎」, 「小說」란을 두어 당시의 문예 창작의 성과를 다수 담아내었다. 「문예」란은 상량문, 중수기, 탑비 등 당시에 창작한 전통 불교문학의 양식을 수록하였다. 「잡조」란은 ‘雜錄’과 같은 의미로서, 흥미로운 이야기나 진기한 사건을 소개한 지면으로 異蹟談, 설화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설」란은 창작 서사물을 수록한 지면으로, 근대소설의 초기 작품과 講談 양식이 수록되어 있다. 「문예」란에 수록된 고승의 碑文, 법당의 上樑文, 한시 등은 비록 새로 창작되었다 하더라도 근대문학의 범위에서 논하기는 어려운 양식들이다. 그러나 이들 양식은 근대를 맞이해서도 보수적인 종교 영역에서는 이전 시대의 양식이 여전히 유효했던 사실을 드러내는 현상으로서 의의가 있다. 문학 창작에서 특기할 만한 작가는 양건식이다. 그의 강담 작품은 중국문학을 번안한 것으로 창작문학적인 의의는 크지 않으며, 그의 소설은 장르적으로 완성된 형태가 아닌 습작 수준의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서사물은 불교문화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근대적 문화 창조의 한 현상으로서, 그리고 신구 교체기의 문학사적 변화를 잘 드러내는 현상으로서 의의가 있다. 전반적으로 『불교진흥회월보』의 문학 관련 지면은 근대와 전근대가 혼효된 20세기 초 불교 지성들의 문학, 문화적 활동 양상을 고스란히 전해주는 보고로서 의의가 있다. From the 1910s to the pre-liberation period, Korea has published 430 books in 23 different types of Buddhism magazines(including newspapers but excluding magazines written in Japanese). In the early 1910s, six editions were published, starting with Joseon Buddhism Monthly Magazine(朝鮮佛敎月報). Following Joseon Buddhism Monthly Magazine and Haedong Buddhism Newsletter(海東佛報),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hird magazine(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佛敎振興會月報]) and analyzes the trend of literature and arts pages.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contained many achievements of literature and arts creation at the time by placing the “literature and arts(文藝),” “stories(雜俎),” and “novels(小說)” columns respectively. The “literature and arts” column contains the styles of traditional Buddhism literature created at the time, such as framework-raising records(上樑文), restoration notes(重修記), and inscriptions(碑文). The “stories” column has the same meaning as “miscellaneous writings(雜錄),” and contains strange talks(異蹟談) and narratives as pages(誌面) that introduce interesting stories or rare(珍奇) events. The “novels” column is a page containing creative narratives, the early works of modern novels, and the style of lecture talk(講談). The high priest’s inscriptions(碑文), the framework-raising records(上樑文) of Buddhist sanctum(法堂), classical Chinese poetry, etc. contained in the “literature and arts” column, even if they were newly created, are styles that are difficult to discuss within the scope of modern literature. However, even in the modern era, these styles are useful data as they reveal the fact that the styles of the previous era were still valid within the scope of conservative religion. Yang Geon-shik is a remarkable writer in literary creation. His lecture-talk works are an adapta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the significance of his creation is small. In addition, the modern novels that he built are not yet genre-completed but are at the level of learning. However, these narratives are significant as a phenomenon of the creation of modern culture in the realm of Buddhist culture and as a phenomenon that reveals the changes in literary histor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old and the new. Overall, the “literature and arts” page of the Buddhism Promotion Association Monthly Magazine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report that conveys the literary and cultural activities of Buddhist intellectuals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modern and the pre-modern were mix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