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정훈 대금 독주회 : '숨비소리' 공연발표곡에 관한 연구

        김정훈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79

        After graduating from college, I had an opportunity to work at Nan Gye Orchestra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evoted myself to studying traditional music, classical music, and creative music. However, since I had performed music as a group rather than an accompanist, a recital increased the burden laid on me. Perhaps, I thought that the chance to perform a concert for earning a master's degree came to me as my destiny when I considered to have an individual recital. First of all, I was much worried about choosing a tune. I liked to perform 'Chung-sung-ja-jin-han-yep', an endless instrumental tune for 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that needs a long musical performance career and studies and the general public are used to. And the tune was selected to perform deeply moving sounds that only Kim Dong Jin's style of san-jo has since it was the most distinctive pop that stands o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a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other instrumental tunes such as 'Kim Dong Jin's style of dae-guem-san-jo' that had opened my way of life. In addition, creative tunes such as 'Da-hyang' and 'Yeon', delight and splendid tunes, were selected for the recital that allowed the audience to get close tunes with comfort. I faced many difficulties while preparing the recital. Since I had a full schedule of a concert for public relation with an orchestra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an invitation concert, I often practiced in an out-of-the-way place or in a car in the early morning when no one appeared due to a lack of time. Furthermore, I was so tired physically since I played a leading role in preparing pamphlets, and setting up a stage, and lights to meet my high satisfaction level for my first recital. Although the recital was designed to earn a master's degree, I tried my best to make the recital wonderful. Chung-sung-ja-jin-han-yep: the most representative classic solo also it is also called Chung-jung-gok or Yo-cheon-sun-il-ji-gok that means high and clean. Kim Dong Jin's style of dae-guem-san-jo: created by Kim Dong Jin's brilliant artistry and creativity. Especially, the harmony between Ge-myun and Woo-jo and the power to appeal are excellent. Creative tune 'Da-hayng': used as a memorial tune for Kim Sung Jin. It begins with a slow tempo of 4/4 battuta, had cadenzai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Western music, in the style of exorcism (Guk-gu-ree) and Ja-jin-mo-ree, based on traditional rhythm and ends with stretta. Creative tune 'Yeon': the first performance tune that means 'flowing like water.' It was created by redefining the 'flowing, present perfect' beauty of a cello to the melodies on the piano under the definition that 'purity,' 'nature,' and 'humans' are the beautiful one. Finally, Dae-guem recital was finished successful. While performing my last tune, I wished that the last tune would never end and I would be with the wonderful audience at the wonderful stage. Lastly, as the title of the recital was 'Sum-bee-so-ree,' I promised myself to become a musician who makes an every effort for wonderful music, refreshing myself for next goal rather than simply breathing. When music as the scent of mind steals over a tune, the performance will move the audience. 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is self-discipline and the union of education, moral training, and physical exercise should precede for 'Juk-dae' of self-discipline.

      • 고전시가 교육의 실태와 효율적인 지도 방안 연구 : 정철의 `관동별곡`을 중심으로

        김정훈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의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에게 ‘고전문학’하면 어떤 생각이 떠오르느냐 고 물어보면 그들은 약속이나 한 것처럼 비슷한 답변을 한다. 이구동성이라고 단정해도 될 만큼 고전문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이 흡사하다. 그들은 고전 문학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한다. 그저 구시대의 낡은 흔적으로 케케묵은 유물에 불과하며 어렵고 따분한 나머지 잠만 쏟아지 게 하는 수면제와 같은 것이라고 단정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을 더욱 곤혹스럽 게 하는 것은 어렵고 따분해서 피하고 싶은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언어영역 문제에서 상당한 비중을 가지고 매년 출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학 생들은 본인의 의도와는 하등의 상관없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고전문학 공 부에 매달려야 한다. 그들에게 있어 고전문학 작품은 삶을 총체적으로 바라보 고 문화를 향유함으로써 삶의 성숙을 기하는 매개체가 아니라 그들을 입시 지 옥으로 몰아넣는 지독한 대상일 뿐이다. 이처럼 오늘날 우리나라 고등학생들 에게 고전문학은 단지 대학입학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고통스러운 통과 의례일 뿐이다. 이러한 작금의 현실을 감안한다면 무엇보다 절실하고 시급한 것은 다름 아닌 고전문학을 그저 어렵고 고통스러운 것으로 여기는 학습자들을 고전문학의 세 계로 끌어들이는 일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흥미를 최대한 유 발시켜야 한다. 학생들에게 고전문학을 공부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는 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시도해 보는 것이 다.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어렵게 느껴지기만 한 고전문학 작품을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선학들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관동별곡>의 교수·학습 모 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직접 적용하고 응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도록 하겠다. 본고의 주안점은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관동별곡>에 대한 선입관이 나 편견, 거부감을 줄이고자 하는 데 있다 If question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f nowadays that what do you get some idea into their head for ‘ancient literature’, they give a similar answer as if they make a promise each other. The recognition of learners for ancient literature is exactly as alike as concluding with one voice. They don’t recognize that it has important value. They just conclude that it is nothing but an old-fashioned relic as old traces of the old era and it is equal to sleeping drug to make them feel sleepy in an excess of difficulty and languidness. But to make them look embarrassed, it is fact that the ancient literature has been taken a great deal of the linguistic questions in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test every year. So, students should stick to studying the ancient literature in the way of biting and bullet regardless of their intention. For them, the works of ancient literature is not a vehicle to mature their life by looking at their life in general an enjoying the culture but just a vicious object to drive them into exam hell. Like this, the ancient literature is just the distressing rite of passage in order to pass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test for them. Considering the recent realities, the most sincere and urgent thing is to draw the learners who think that the ancient literature is still difficult and painful into the world of the ancient literature. To do so, it is important that their interest must be caused as much as possible. That is, it develops and attempt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o that students go through the enjoyment of study for ancient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Kwandongbyeolgok> based on the results of former scholars’ research so that the learners approach friendly to the works of the ancient literature that they feel difficult, and to plan the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so that teachers apply and adapt the model at school by doing so. The keynote of this study is to decrease a preconception, a prejudice and rejection for <Kwandongbyeolgok> by causing the interest of learners.

      • 전통문화공간에서의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경로안내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 :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복궁 경로안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김정훈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통문화공간에서의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경로안내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 -스마트폰을 이용한 경복궁 경로안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계에는 수많은 형태의 공간이 존재하고 있고, 우리는 이러한 공간들을 이동하고 방문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우리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공간은 환경의 한 요소로 그곳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환경인지 요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인지 요인들은 우리가 이동하면서 공간을 찾는데 주요한 인식요인으로 작용해 그곳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렇게 이동을 위한 어떤 공간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그곳으로 이동하는 행위를 길찾기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이동을 하면서 수행하는 길찾기 행위는 표지판, 건물의 특징, 유도 사인 등 주변에 있는 다양한 인지요소를 이용할 수 있어 쉬운 공간 인지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공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요소가 부족한 공간이거나 이런 공간에서 관람이라는 목적을 가지는 일상적이지 않은 길찾기 행위는 보행자에게 이동과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주게 된다. 조선시대에 건설된 다양한 건축물 가운데 서울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경복궁은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문화공간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곳이자 현재 수많은 국내·외 관람객이 방문하는 공간이다. 이곳을 방문해 보면 다양한 유형의 관람객을 만날 수 있는데 개별 관람객, 단체 관람객, 어린이, 성인 또는 처음방문한 사람, 한번이라도 방문한 사람, 자주 방문한 사람 등 각각의 목적을 가지고 방문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방문객들의 대부분이 이곳에 와서 하게 되는 말들은 ‘여기는 누가 살던 건물인가?’, ‘대장금이 살던 곳은 어디지?’, ‘안내 표지판이 안보여’, ‘다음은 어디로 가야하나?’, ‘태원전이 어디에 있어요?’, ‘근정전만 10번째 보는 거야.’, ‘매번 똑 같네.’ 등 관람에 대한 부정적인 대화가 주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대화가 발생되는 대부분은 현장을 방문한 관람객이 쉽게 공간인지를 할 수 없고, 효율적인 관람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지 못해 발생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고 그 요인을 공간의 문제, 안내 시스템의 문제, 콘텐츠의 문제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첫째, 공간의 문제를 살펴보면 경복궁 같은 궁궐은 대부분 자연과 어울려서 건물의 배치가 되어 있는 공간으로 관람객의 관람편의를 위한 인위적인 안내 동선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리고 비슷한 건물 형태와 좁은 공간에 담으로 둘러 싸여 있어 현장을 방문한 관람객들은 즉각적인 공간인지를 하기 어렵고 다음 관람을 위해 건물간의 이동 시 많은 문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관람을 위한 이동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둘째, 현재 경복궁의 안내시스템을 살펴보면 안내 브로우셔나, 소책자의 경우 경복궁 배치도와 건물 설명은 가지고 있으나 효율적인 관람을 위한 이동 경로표시를 가지고 있지 않아 관람객에게 별다른 도움을 주고 있지 못하다. 그리고 표지판의 경우 문화재라는 공간 특성으로 인해 설치에 대한 제약을 가지고 있어 관람객에게 적절한 경로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고 건물에 대한 설명도 다양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셋째, 경복궁을 방문한 관람객이 흥미를 못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콘텐츠의 부재를 들 수 있는데 현재 경복궁에서 볼 수 있는 콘텐츠는 건축적인 해설 위주로 구성된 건물 설명 표지판이 전부로 관람객은 경복궁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와 당시의 생활상을 들을 수 없어 단순히 건물만 보고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앞선 세가지의 접근을 통해 경복궁 관람의 문제를 종합해 보면 현재 경복궁은 효율적인 관람을 위한 동선(경로)안내가 부족하여 공간인지가 어려운 복잡한 공간에서 효율적인 길찾기를 통한 관람을 하기 어렵고, 그곳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듣거나 알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하여 방문객에게 경복궁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경복궁을 방문한 관람객이 효율적인 길찾기를 통해 다양한 관람을 할 수 있는 관람경로 제공 방법과 관람에 흥미를 줄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 이 두 가지를 혼합하여 항시 휴대가 가능한 경로안내 콘텐츠 개발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해 새로운 형식의 길찾기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물리적 환경인 경복궁에서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관람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경복궁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를 ‘건축적 이야기’, ‘인물관련 이야기’, ‘역사적 사건 이야기’, ‘체험 이야기’ 등 관람유형에 따른 스토리텔링으로 구성하고, 이러한 이야기들은 단순한 경로 및 해설의 전달이 아닌 캐릭터, 동영상, 증강현실, 가상현실, 파노라마 VR 등 최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접목한 콘텐츠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이야기에 도움을 주는 요소로 사용해 흥미 있는 관람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전통문화공간의 효율적인 관람을 위한 경로안내 콘텐츠의 핵심 구성과 운용기술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고, 이 두 가지를 효과적으로 관람객에게 전달 할 수 있는 스마트폰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예시를 제공하여 항시 휴대가 가능한 경로안내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장소에 관계없이 경복궁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사전에 습득할 수 있고, 현장에서는 GPS기능을 이용해 경로를 이동하면서 관람위치에 따라 해당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어 관람 환경요소의 개선과 새로운 유형의 궁궐 경로탐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경로 구성이 가능하고, 시·공간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연결 할 수 있는 콘텐츠로 업그레이드 되도록 할 것이다.

      • 사업초기단계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 개발

        김정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decision making in the early phase of a project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entire project’s success. However, the information available that can be used in the early stage is limited, making it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 budget needed for construction.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ers utilize various methodologies in estimating the construction budget at the early stage of construction. Recently, a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 using ‘Case-based Reasoning (CBR)’ method has elicited much attention, and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udies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CBR-based prediction models. In such studies, the prediction was made with the information fixed in the early stage of construction.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stage of a project, there are considerable uncertainties. Also, since design alterations are common, there are limitations for such budget prediction models when it comes to decision-making. This research utilized Monte Carlo Simulation (MCS) to consider the probability of available information with uncertainties in the early stage of a project. A probabilistic prediction model for construction budget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and linking the methodology to Case-based Reasoning is proposed. The main points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is paper analyzed earlier researches on existing methodologies to predict construction budget, with earlier researches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in this research is explained in detail. Second, through situation analysis of existing CBR-based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s, the research identifi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xisting models, arguing the need for improvements. Third, the paper suggested a method to apply MCS for CBR-based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s and developed a probabilistic, hybrid,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 The paper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base built to attribute weighting of influence factors to be used in the retrieval stage in CBR. A hypothesis was created on the distribution types for each influence factor the findings of earlier researches. Through distribution types and fluctuation range for each influence factor, a random number combination of construction budget was created and used as basis for a similar case inquiry. The process of random number combination creation and inquiry process of similar cases was repeated at a regular basis. Based on the accumulated inquiry result, a probabilistic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result was extracted. Fourth, the research suggests average, mode, median value and budget range from the probabilistic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result for a project requiring budget prediction. Moreover, a probability of successful construction with a designated budget value could be given. Different budget values could also be given based on the risk. Fifth, case collection of apartment houses was done to check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e probabilistic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hybrid model. Findings were verified using the average value taken by considering uncertainties, reflecting all the cases in the prediction result. A comparative analysis for verification was conducted for cases including ① error rate (A) of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using CBR method and fixed influence factors; ② error rate (B) of predi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with fixed influence factor values; ③ error rate (C) of the result from using probabilistic values of influence factors; and ➃ error rate (D) for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method used for only a part of the influence factors. This research randomly selected 500 cases from 510 construction cases. The 10 leftover cases were used in the verification process. The average error rate on verified cases are as follows: error rate of method (A) that utilizes CBR and fixed influence factors is 8.9%; the construction budget error rate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fixed influence factors (B) is 7.0%; the result of probabilistic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 (C) showed a 3.5% error rate; and the error rate for application of probabilistic method used for only a part of influence factors (D) is 5.2%. Two cases using the probabilistic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 showed a relatively low error rate, therefore indicating high prediction performance. Unlike existing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s that require fixed values of influence factors, the hybrid construction budget prediction model suggested in this research can us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range of influence factors to predict construction budget with higher accuracy.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early phase of projects when available information is limited and more uncertainties are present. Decision-making of ordering bodies is expected to benefit from the advantages of this method. A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it was conducted on the retrieval stage of CBR, and correction was not done for inquired cases. A correction process would be needed in future researches, and detailed validity analysis of average values used for prediction result values in this research is also needed. Moreover, database building and additional verification for cases other than apartment houses facilities should continue. 건설산업에서 프로젝트 초기의 의사결정은 전체 사업의 성패에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에 사용 가능한 가용정보가 한정되어 있어 프로젝트의 공사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업초기단계 공사비 예측을 위하여 연구를 수행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사업초기단계에서의 제한된 정보를 활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였으며 확정된 공사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의 특성상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고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설계안이 빈번히 변경되는 특성이 있어, 한정된 프로젝트 정보를 바탕으로 확정적인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업초기단계에서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 CBR) 기반의 공사비 예측 모델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onte Carlo Simulation: MCS) 기반의 확률론적 개념을 추가하여, 사업초기단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의 개발과정 및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비 예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모델의 문제점과 한계점을 도출하였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도출된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MCS 기반의 확률론적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CBR 기반의 공사비 예측 모델에 MCS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였으며, 입력변수의 분포형태 가정 및 속성가중치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앞서 제시한 개발프로세스를 바탕으로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을 개발하였다. (1) 모델개발을 위해 510건의 실적사례 중 500건을 바탕으로 DB를 구축하였으며, (2) 구축된 DB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CBR의 조회단계(Retrieve)에 활용할 영향요인의 속성가중치를 도출하였고, 구축된 DB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입력변수(속성)의 분포형태를 설정하였다. (3) 개발된 Hybrid 모델을 활용한 확률론적 공사비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예측결과에 대한 해석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의 유효성 및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510건의 사례 중 모델개발에 사용된 500건을 제외한 나머지 10건의 사례를 활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은 4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기존 확정론적 방법에서 제시한 예측값과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살펴보면, CBR과 확정된 영향요인을 활용하는 방법(A)의 오차율은 8.9%이고, 회귀분석과 확정된 영향요인 값을 사용하여 도출된 공사비 오차율(B)은 7.0%,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모델 결과(C)의 오차율은 3.5%, 일부 영향요인만 확률론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오차율(D)은 5.2%이다. 따라서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모델 결과(C)가 가장 낮게 도출되어 모델의 예측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확률론적 공사비 예측 Hybrid 모델은 확정된 영향요인을 바탕으로 공사비를 예측하는 기존의 공사비 예측 모델과 달리, 영향요인의 확률분포와 변동범위를 이용하여 공사비를 예측하고 확률론적으로 예측결과를 제시한다. 또한, 확률론적 모델에서 제시한 평균값을 이용한 비교분석에서도 모델의 예측성능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모델은 가용정보가 적고 불확실성이 내제된 사업초기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발주자의 의사결정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는 CBR의 조회단계(Retrieve phase)를 위주로 연구를 수행하였기에, 제시된 확률론적 예측결과의 범위도 다소 넓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예측결과의 범위를 좁히기 위해서는, CBR의 보정단계(Revise phase)를 고려한 추가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개발된 모델을 이용한 검증과정에서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나, 중앙값 또는 최빈값을 사용한 추가분석도 이루어져야 한다.

      • PPG신호를 이용한 동맥혈압 측정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정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Blood pressure is among the most significant measures that physicians use for broad clinical applications. As a result, Various noninvasive blood pressure(BP) measurement devices are using in the healthcare fiend and hospital. Particularly, using BP Measurement devices are getting smaller and more wearable in domestic healthcare. In order to keep following this trend, wearable BP devices have been demanded to be developed. In this paper, we use photoplethysmograph(PPG) to estimate arterial blood pressure. In fact, it has been used for measuring pulse rate and pulse oximetry sensor. However, with the intention of finding a correlation between BP and PPG signals, som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by PPG sensor that are made of light emitting diode(LED) and infrared(IR) photo-detector. and We also use a cuff with PPG sensor.

      • 설교에 있어서 효과적인 예화 사용에 대한 연구

        김정훈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회자에게 설교를 잘하는 것은 중요한 사명이다. 설교를 잘한다는 것은 말씀을 본문에 근거해서 잘 전달하여 청중의 삶에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청중의 삶을 변화시키는 진리의 말씀을 잘 전달할까라는 물음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과거 전통적인 설교는 말씀을 바르게 연구하고 해석하는 것에만 설교자로서의 임무를 마친 것으로 이해되었다. ‘무엇을 전할 것인가?’에 대한 초점이 맞추어져서 ‘어떻게 전할 것인가?’ 라는 설교 전달의 문제를 크게 고민하지 않았다. 또한 설교를 듣는 청중은 선포되는 말씀을 가만히 앉아서 그대로 받기만 하면 되는 수동적인 존재라 생각했다. 그러나 설교는 일방적인 선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성령 안에서 설교자와 청중 사이에 일어나는 대화이다. 설교의 목적이 말씀을 통해 청중이 변하게 하는 것에 있다면, 청중에게 말씀이 전달되도록 해야 한다. 최근 교회의 강단을 보면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을 본다. 클라이드 라이드(Clyde Reid)의 말처럼 한국교회 ‘강단은 텅 비어가는’(Empty Pulpit) 느낌이고, 갈수록 약화되고 있는 느낌이다. 한국교회 설교의 문제는 단순히 ‘이것 때문이다’라고 한 마디로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이유로 인해 위기를 맞고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전달의 문제라 생각된다. 전달이 시원찮으면 사람들이 하나님의 말씀 자체를 아예 듣지 않는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므로 설교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설교자의 선포나 독백이 아니라 말씀을 듣는 청중을 생각하고 청중의 귀에 들리는 설교를 해야 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인식 가운데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말씀을 잘 전달해서 청중에게 들리는 설교를 할까 라는 고민에서 연구를 출발했다. 연구자는 이야기로서 설교 예화를 효과적으로 사용한다면 청중의 귀에 들리는 설교 전달이 이루질 것으로 생각하고 설교에 있어서 효과적인 예화 사용에 대해 연구했다. 설교 전달에 있어서 설교의 핵심진리나 주제를 예화를 사용해서 설명하면, 청중에게 전달이 잘 된다. 연구자는 먼저 2장에서 예화의 일반적인 이해에 대해 연구했다. 일반적인 이해에는 예화의 정의, 필요성, 위치, 원천 등이 있다. 예화는 본문의 진리를 더 완전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문의 메시지를 해석하고 설명하여 청중의 귀에 말씀이 들리도록 만들어주는 설교의 보조 자료로서 대체로 이야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다음으로 설교에 있어서 예화의 필요성을 연구하면서 예화는 효과적이고 능력 있는 설교를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예화는 그 자체가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설교의 메시지를 밝히 보여주는데 목적이 있기 때문에 예화의 위치를 잘 생각해야 한다. 설교에 사용되는 예화의 종류와 원천은 다양하다. 설교자는 여러 가지 예화의 원천을 알고 그것을 설교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3장에서 예화에 대한 성경적인 이해 부분에서 성경에서 많은 예화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것은 성경이 예화 사용을 지지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신약 성경에 나타난 예수님의 예화와 사도행전의 바울과 베드로, 스데반의 예화를 보면서, 설교자들은 예화 사용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예화를 설교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4장에서 설교자가 예화 사용에 있어서 잘못된 예화를 사용할 수 있다. 예화가 아무리 감동적이라 할지라도 사실성이 없고, 너무 길고, 적실성이 없고, 사생활을 노출하고, 저속하며 무분별한 예화를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설교자는 예화를 바르게 선택해서 설교의 목적에 맞게 예화를 사용해야 한다. 5장에서 바람직한 예화는 어떤 것인가를 연구했을 때, 예화의 위치가 올바르며, 본문과 관련된 예화이며, 생생하며, 삶의 이야기, 성경 예화, 한국인의 정서에 맞는 예화, 1인칭 자기 이야기 예화, 구체적인 이야기 예화, 사람 이야기 예화, 현대 이야기 예화, 논리와 감정이 있는 예화이다. 이런 바람직한 예화의 효과적인 사용 방법을 통해 청중에게 귀를 기울이게 하는 설교 전달을 할 수 있다. 6장에서 박영재 목사, 고(故) 옥한흠 목사와 연구자의 설교 사례에서 그 동안 연구를 바탕으로 예화가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실례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한계와 앞으로 더욱더 발전시켜야 할 주제들에 대해 지적을 하고 본 논문의 결론을 맺었다. 예화는 설교에 있어서 아주 필수적인 중요한 요소이다. 예화를 바르고 효과적으로 사용해서 한국교회 강단을 새롭게 하는 일에 부족한 논문이 사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 어텐션 기반의 재구조화된 기계독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정훈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은 2016년 알파고 등장과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AI 기술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과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자연어 처리에서 AI 기술은 텍스트 분류, 유사도 측정, 챗봇, 기계번역, 기계독해 등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특히, 복잡하고 무한한 규칙을 갖는 자연어 처리에서 기계가 직접 패턴을 찾는 AI의 특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계독해(Machine Reading Comprehension)는 기계가 질문과 문서를 이해한 후 질문과 관련된 정답을 찾는 자연어 처리 작업 중 하나다. AI 이전의 기계독해는 인간이 질문을 검색하여 일치한 정답을 찾아주는 검색 기반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검색 기반 규칙은 정답률이 높지만, 질문이 많을 경우, 정답 규칙을 모두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오늘날 기계가 스스로 훈련하여 기계독해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이전 문제를 해결했다. 2016년 장단기 메모리(Long Short-Term Memory, LSTM), 어텐션 메커니즘(Attention Mechanism) 기반으로 연구가 되었으며, 2019년 사전훈련(Pre-training)과 파인튜닝(Fine-tuning)에 최적화된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가 등장함으로써 기계독해가 크게 발전했다. 사전훈련과 파인튜닝에 최적화된 BERT는 다양한 자연어 처리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며 대표적인 모델이 됐다. BERT는 몇 년 사이 사전훈련 데이터 부족과 다음 문장 예측(Next Sentence Prediction, NSP)이 사전학습에 유용하지 않은 문제가 발견된다. RoBERTa[7](A Robustly Optimized BERT Pretraining Approach)는 데이터를 보다 증가시킨 사전훈련, 다양한 단어에 마스킹을 적용하는 동적 마스킹(Dynamic Masking), NSP의 제거, 배치 사이즈(Batch Size)를 증가시킨 훈련 속도 및 성능이 BERT보다 향상됐다. RoBERTa에서 기계독해는 “< s > 질문문장 </ s > < s > 단락문장 </ s > ”와 같은 동시 입력 방법이다. < s > 는 문장의 시작을 의미하는 토큰이고, < /s > 는 문장의 끝을 의미하는 토큰이다. 동시 입력 방법은 주요 단어에서 질문문장과 단락문장의 관련 수치가 넓게 퍼지는 어텐션 분산 표현(Attention Separate Representation, ASP)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에 사용하는 RoBERTa의 질문문장과 단락문장의 어텐션 분산 표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RoBERTa에 기존 “< s > 질문문장 </ s > < s > 단락문장 < / s > ”에 “< s > 질문문장 </ s > ”와 “< s > 단락문장 </ s > ”을 포함시켜 총 세 가지 입력으로 변경하고, 각기 다른 세가지 RoBERTa를 훈련한 후 연결한다. 연결된 하나의 행렬을 두 개의 행렬로 변환하고, Co-attention 연산을 적용한 기계독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자연어는 다양한 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영어 및 한국어 두 가지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being studied in various fields with the advent of AlphaGo in 2016 and the development of hardware. AI technology is being researched in computer vision, speech recogni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fiel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I technology is solving various problems such as text classification, similarity measurement, chatbot, machine translation, and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In particular,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ith complex and infinite rule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as a feature of AI, in which a machine directly finds a patter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RC) is one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asks in which a machine understands a question and a document and then finds an answer related to the question. Machine reading before AI used a search-based method in which humans search for questions and find matching answers. Search-based rules have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ut there is a problem in implementing all correct answer rules when the number of questions is large. Today's machines have solved the previous problem by training themselves to implement machine reading patterns. In 2016,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Attention Mechanism, and in 2019,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 optimized for pre-training and fine-tuning appeared. The field of reading comprehension has advanced a lot. Optimized for pre-training and fine-tuning, BERT has shown high performance in a variety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has become a representative model. Optimized for pre-training and fine tuning, BERT showed high performance in variou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became a representative model. BERT has been found to have problems with lack of pre-training data and Next Sentence Prediction (NSP) for several years. A Robustly Optimized BERT Pretraining Approach (RoBERTa) has improved training speed and performance compared to BERT by pre-training the data more, dynamic masking that applies masking to various words, removing NSP, and increasing the batch size. In RoBERTa, machine reading is a simultaneous input method such as “< s > question sentence </ s > < s > paragraph sentence </ s > ”. ‘< s > ’ is a token that signifies the beginning of a sentence, and ‘</ s > ’ is a token that signifies the end of a sentence. Simultaneous input method has a problem of Attention Separate Representation (ASP) in which the related figures of question sentence and paragraph sentence spread widely in key words.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 of dispersion of attention in RoBERTa's question and paragraph sentence used for input, RoBERTa changed the existing “< s > question sentence </ s > < s > paragraph sentence </ s > ” to a total of three inputs, “< s > question sentence </ s > ” and “< s > paragraph sentence </ s > ”, We train three different RoBERTa. Afterwards, for interaction between question and paragraph sentence, we propose a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algorithm that combines three RoBERTa, creates two matrices, separates them into rows and columns, and applies operations. Since there are various languages in the natural language, we compare it with the existing model using data from both English and Korean.

      • PTFE 멤브레인이 코팅된 여과백을 이용한 여과집진장치의 미세먼지 집진특성에 관한 연구

        金正勳 順天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에 미세먼지가 대기환경 관련하여 이슈가 되고 있으며, 초미세먼지의 효과적인 집진을 위하여 대용량화가 용이한 여과집진장치가 상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여과집진장치 관련 다양한 설계 및 운전 조건에 따른 필터 전후단 발생 압력손실 및 집진효율과 같은 집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소형 여과집진장치를 제작하여,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배출될 수 있는 실리카 성분으로 다양한 입도범위를 갖는 먼지를 대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된 PTFE 재질의 부직포 여과백 또는 PTFE 멤브레인이 코팅된 PTFE 재질의 여과백을 이용하여, 주요 운전 변수 여과속도, 투입 먼지량, 탈진유형 등의 변화조건에서 PTFE 멤브레인 유무에 따른 영향을 고찰함으로 미세먼지 집진을 위한 여과집진장치의 적용 가능성 평가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여과속도가 낮을수록, 먼지 투입농도가 높을수록, 평균입도가 클수록 집진효율이 높았으며, 여과속도가 높고, 먼지 투입농도가 높을수록 압력손실이 높게 나타났다. 공극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PTFE 멤브레인이 코팅된 여과백을 사용한 경우, 기존 PTFE 여과백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집진효율이 높았으며, 표면여과로 포집 분진층 저항계수가 낮아 압력손실이 낮게 나타났다. PTFE 멤브레인이 코팅된 여과백을 사용하여 off-line 탈진을 수행할 경우 on-line 탈진에 비해 적정 여과속도 범위 내에서 PM2.5에 대한 집진효율이 99.99% 이상으로 기존 제작한 여과집진장치를 사용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었다. Health risks and reduced visibility are increasingly growing concerns in East Asia due to the increasing numbers of particulate matter, especially in particle sizes smaller than 2.5 m. There is μ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earch and investment in facilities for air-quality management and particulate-matter control in the affected countries of the region. Baghouses require a fairly high cost of initial investment, but the method is widely used by companies because it is easy to apply on a large scale, its maintenance is easy, and the concentration of emissions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manner. If particulate matter can be adequately controlled using the baghouse method, its application would be easy and economical, because existing facilities can be utilized. Multipl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oduction of filters using fine fabric and on the assessment of the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membrane-coated bag filters implemented on baghouses for the removal of particulate matter. However, there have only been limited experiments examining the effects of diverse design and operational variables (such as bag-filter material, pulsing type,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filtration velocity in using cylindrical bag filters) on the collection efficiency and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filter, as well as assessing the prospect of a large-scale system implementation.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mall-scale baghouse system was developed to assess dust-filtration performance, such as the loss of pressure across the filter heads and ends and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various designs and operational conditions of the baghou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ilica dusts of various particle sizes emitted during the semiconductor production proces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according to dust-particle size. The assessment took into account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PM10, and PM2.5, the pulsing type (on-line and off-line pulsing) , the cylindrical PTFE type of non-woven fabric filter, and the PTFE membrane-coated fabric filter. The effects of major operational variables, such as bag-filter material, inlet dust concentration, and filtration velocity were also investigated. The filtration performance for particulate matter (such as PM2.5) was assessed in diverse experiment conditions and the potential for a commercial application of a large-scale baghouse system for particulate matter filtration was also investigated.

      •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 공상의 자각, 탈중심화, 심리적 안녕감 분석 연구

        김정훈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행복에 관한 인류의 연구는 계속해서 이어져 왔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행복과 삶의 만족에 목적을 두고 살아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시각장애성인은 각기 다른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가지며 시각상실로 인하여 삶의 전반에 걸쳐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 공상의 자각, 탈중심화 및 심리적 안녕감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S시에 위치한 직업훈련기관 2개소, 자립재활센터 및 장애인복지관 이용자들 그리고 지역사회 거주 일반 시각장애성인들로 20세 이상의 장애인 등록을 한 시각장애성인 25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무응답이나 부정확한 응답의 18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240명의 케이스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표집방법으로는 면대면 직접 수집과 전화, 이메일 그리고 음성 프로그램을 이용한 파일 작성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성별, 실명시기, 학력, 소속집단별로 자기자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연령, 장애정도와 결혼여부별로는 자기자비와 그 하위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자비와 하위요소에서 연령이 높아질수록, 장애는 경도일수록, 기혼의 시각장애인일수록 자기자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공상의 자각의 경우 사회인구학적 특성 중 장애정도, 실명시기, 학력, 소속 집단, 결혼여부별로 차이가 없었지만, 성별과 연령별로 일부 공상의 자각에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60대 이상이 4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 장애정도, 실명시기, 학력, 소속집단별로 탈중심화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연령, 결혼여부 별로는 일부 탈중심화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연령에서는 60대 이상이 30대 이하, 40대와 50대보다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의 통계적 유의도는 성별, 장애정도, 실명시기, 학력, 소속집단별로 차이가 없었지만, 연령과 결혼여부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서는 60대 이상이 30대 이하, 40대와 50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결혼여부에서는 기혼이 미혼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이는 시각장애성인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장애정도가 경도일수록, 결혼을 한 경우, 삶의 목적 및 만족을 위해 심리적 기제를 효율적으로 적절히 사용하여 시각상실로 인한 어려움을 조절해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시각장애성인의 자기자비, 공상의 자각, 탈중심화 및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각장애성인의 심리적 상태를 평가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성인의 재활, 상담, 복지 및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을 계획, 시행하는 데 필요한 기틀을 마련하는 초석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