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어린이집 부모의 인식

        지경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 국문요약 >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의 인식 지경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유보통합에 대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보통합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보 이원화체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보통합의 추진현황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보통합의 운영방식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5. 유보통합의 교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6. 유보통합의 관리감독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A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부모 3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연구 절차는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를 4주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보 이원화체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교육내용 및 프로그램에 차이에 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분리되어 있어 불편한 점으로 부모들은 동일한 연령(만 3-5세) 임에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이용 시간 및 비용에 차이가 있어 불공평하다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보통합의 필요성에 대해 대다수의 부모들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유보통합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고 향후 공교육화를 위한다는 응답이 제일 많았으며, 유보통합이 불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부모가 필요에 따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중에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유보통합 추진현황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은 유아학비와 보육료 결재카드 통일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용시간, 교육과정 등 통합을 다음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다수의 부모들은 유보통합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보통합의 운영방식에 대한 부모의 인식 중 유보통합에 참여하는 유아 연령 범위에 대하여서는 부모들은 만 3-5세, 정규적인 교육 및 보육시간으로는 부모들은 1일 8시간 이상 운영하는 종일제로 응답하였다. 교육 및 보육비용 부담에 대하여 기본과정은 국가가 부담, 방과 후 과정은 부모가 부담을 해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부지원을 받을 경우, 우선적 지원 분야에서는 교육비 지원으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람직한 운영 방식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구분을 없애고, 연령과 부모의 희망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해야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섯째,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자격 취득 방법으로는 지금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유보통합 시 통합교사 자격 구분 방법으로는 부모들은 연령(영아, 유아)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모들은 영아와 유아의 교사자격 구분의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유보통합 시 유아교육기관 설립유형에 대하여는 부모들은 지금의 형태로 유지하기를 원하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기관 명칭으로는 영아학교(만 0-2세)와 유아학교(만 3-5세)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행정관리 주체가 누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부모들은 교육부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 중국고전시가를 통한 중국어교육연구 : 중국교육부<소학어문교육대강>에서 추천한 시를 중심으로

        정혜영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中 文 要 約 A study on the Chinese education of using old poems 鄭 惠 英 順天鄕大學校 敎育大學院 敎科敎育學科 中國語敎育專攻 一般来说,外语教育目的在于语言沟通为主,但语言是包含一个国家的文化的因素。中国话反映了古典诗歌的影响,诗歌原先是语言、音乐、舞蹈的结合,后来 舞蹈和音乐满满离开了诗歌,最后中国的诗歌几乎只是语言的产物了。诗歌是一种最集中地反映社会生活的文学样式,它包含着丰富的想象和感情。因此学习中国话时,不仅要学习听,说,读,写的基本要素,更应该学习与语言有关的文化。 中国古典诗歌的名句是中国人在日常生活中频繁使用而习惯的词汇,它以简单明显的文章来表达个人的想法与情绪。例如,汉·乐府 ≪长歌行≫中的 “少壮不努力,老大徒伤悲” 是常用对青年人劝勉要珍惜光阴,有所作为。王维 ≪送元二使安西≫中的 “劝君更尽一杯酒,西出阳关无古人” 是常用对友人的关怀及深厚的友情。古典的诗歌不光在口语当中使用,也在报纸、电视、广告等使用。因此 把古典诗歌的作品学习中国话当中充分地使用。 本稿以中国教育部 ≪小学校语文教育大纲≫中推荐的80首为范围。以≪第7次高等學校教育课程中国课本(Ⅰ·Ⅱ)≫中提示的语言材料(发音、词汇、文法、文化)为分析。 本論共分為四個部分, 各章的內容概括如下: 第一章,绪论: 介绍本稿的目的,研究方法。 第一节 研究目的: 中国古典诗歌影响了中国话的全面,所以学习中国话时使用它的特点,也研究它的实用性。 第二节 研究方法: 以中国教育部 ≪小学校语文教育大纲≫中推荐的80首为参考,以发音教育、词汇教育、文法教育、文化教育为研究的方向 第二章,中国古典诗歌和中国教育。 第一节 中国古典诗歌的特微: 中国古典诗歌至少有三千年光辉历史了,中间有很多价值的东西,有利于学习中国话的帮助,也有利于中国社会文化的理解。 第二节 中国古典诗歌和中国话教育: 对中国人来讲,语言是从诗歌来口语化的,为了学好中国话的音律和声调先知道诗歌的特征,而且诗句里面的词汇也是现代中国话常用的,因此研究中国教育当中诗歌的效用。 第三章,通过中国古典诗歌的中国话教育 第一节 以发音教育的古典诗歌: 古典诗歌的音律来发音教育,有利于词汇能力的提高,也有利于声调变化的练习。 第二节 以词汇教育的古典诗歌: 诗歌反映了中国文化和中国人的思想,特别是把中国多样文化历史的价值以比喻和象征表现了,这帮助理解中国人价值观。而且在古典诗句里,丰富了不同的词汇,所以有利于多音词、同音词的教法。 第三节 以文化教育的古典诗歌: 在古典诗歌里 常用了副词、介词、能原动词、助词等文法的词类。本稿是把多用的副词和介词来分析了。 第四节 以文化教育的古典诗歌: 中国古典诗歌的历史悠久,总体博大精深,这成为中国全同文化的资料。比如说,中国风俗、节日的习惯,古代中国社会的景象等 给文化教育资料的帮助 第四章,结论: 考察中国话教育当中古典诗歌的必要性和教育的价值 经过中国古典诗歌考察来看中国话教育有一定的价值和必要,可是缺资料、学生对古典诗歌的观念、中高学生课程负担等 因这些的问题就忽视与轻视。

      •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

        김초혜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이 어떠한지 분석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2-1.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2-2.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내에 소재한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 299명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과 대상에 맞게 설문지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설문지는 유희진(2014), 허민정(2019)이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의 배부 및 회수는 2020년 7월 27일부터 9월 11일까지 우편, E-mail 또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방문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연구도구의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을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독립변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들을 대상으로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 25.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하위영역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영역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평가, 편성·운영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서는 편성·운영, 교수·학습, 평가영역에서 10년 이상의 경력를 가진 유아교사의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은 최종학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편성·운영영역에서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 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수·학습영역에서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 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평가영역에서 4년제 졸업과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2,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교사보다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공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육학을 전공한 유아교사가 평가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교육학 외를 전공한 유아교사가 편성·운영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편성·운영, 교수·학습영역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의 인식이 높았으며 평가영역에서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편성·운영, 교수·학습, 평가영역에서 만5세반 유아교사가 만3세반, 만4세반, 혼합연령반 유아교사보다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혼합연령반 유아교사의 누리과적 운영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의 하위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정책에 대한 어려움이 가장 낮았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어려움, 전문성에 대한 어려움, 근무환경에 대한 어려움, 연수에 대한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배경변인에 따른 2019 개정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영역에서는 4-6년 경력을 가진 교사와 7-9년 경력을 가진 교사가 1-3년 경력을 가진 교사보다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보다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교사의 최종학력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전문성, 연수, 정책 영역에서 2,3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4년제 졸업의 학력을 가진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전공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연수, 정책 영역에서 유아교육학 외를 전공한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전문성 영역에서 유아교육학을 전공한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른 어려움 정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연수, 정책 영역에서는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과정 영역에서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가 누리과정 운영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어려움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근무환경, 교육과정, 전문성에 대한 영역에서 만4세 담당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가장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 정책에 대한 영역에서는 혼합연령 담당 유아교사가 어려움을 가장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현행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교육에 대한 분석과 제안

        박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중국의 경제적 성장과 국제사회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고등학교에서 제2의 외국어 과목으로 중국어를 선택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고, 중국어를 높은 선호도로 선택하는 학생들 또한 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중국어 교육은 이러한 변화현상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수능과 대학진학에만 목적을 두어 천편일률적인 주입식, 암기식 교육을 실시한다. 이에따라 중국어 교육은 변화와 개혁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되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변화의 한부분으로 문화교육을 통한 협동학습을 그대안으로 제시한다. 암기식 언어교육의 형식에서 벗어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문화교육을 통해서 중국어 교육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본고는 고등학교 1,2학년 중국어 수업시 협동학습을 활용하여 수업을 즐기며 자연스럽게 중국어를 배우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전체 4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밝히고 관련분야의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제2장에서는 중국어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한후, 협동학습의 개념을 알아본다. 또 협동학습의 유형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중국어 문화교육의 효과적인 협동학습의 수업모형 및 방법을 시각, 청각, 미각의 영역으로 나뉘어 기초단계, 초급단계, 중급단계, 고급단계로 학습모형을 제시한다. 제4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고 중국어 문화교육의 효과적이고, 재밌는 중국어 교육을 이룰수 있도록 협동학습을 통한 중국어 교육의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 그동한 중국어 교육에서 협동학습을 활용한 문화교육이 다양하게 연구되어진만큼 문화교육과 협동학습을 중국어 수업시간에 활용하여 교사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 되길 기대한다.

      •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

        여경하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 문 요 약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 여 경 하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고 영 미)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주 이용자인 보육교직원과 부모를 대상으로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이용현황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이용현황 과 요구는 어떠한가? 1)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이용현황 은 어떠하며, 이는 보육교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요구는 어떠하며, 이는 보육교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 는가? 2.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이용현황과 요 구는 어떠한가? 1)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이용현황은 어 떠 하며, 이는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어떠하 며, 이는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2014년 4월 14일부터 5월 10일까지 4주간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질문지는 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제작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설치된 충남의 C시, 충북의 C시 소재의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273명과 만 0-5세 영유아를 둔 부모 1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보육교직원은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연수에 참여한 보육교직원과 어린이집을 직접 방문하여 보육교직원에게 질문지를 배부, 응답 후 회수하였다. 총 3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한 결과 282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질문지 중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부실한 질문지 9부를 제외하고 273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부모는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이용하는 부모에게 질문지를 배부, 응답 후 회수하였고,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부모는 가정통신을 통해 부모에게 전달되었고, 부모가 작성한 질문지를 방문 또는 우편을 이용하여 회수하였다. 총 200부의 질문지를 배부한 결과 183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질문지 중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부실한 질문지 6부를 제외하고 177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서비스에 대한 보육교직원과 부모의 이용현황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에 따라 빈도 및 백분율 또는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또는 F 검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이용현황을 알아본 결과, 교육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제공 서비스, 보육컨설팅 서비스, 상담 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정보제공 서비스는 평가인증 관련 정보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직접방문보다는 홈페이지를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나에게 필요한 정보 내용이 아니라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는 안전교육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인증지표 교육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방법으로는 센터집합교육을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나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이 아니라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컨설팅 서비스는 보육과정 컨설팅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센터집합교육, 어린이집 방문컨설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육컨설팅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컨설팅이 필요하지 않아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는 평가인증 관련 상담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상담이 필요하지 않아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5세 이상 집단이 35∼44세 이하, 34세 이하의 집단보다 모든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 전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8년 이상의 집단이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담 서비스는 8년 이상, 5∼7년 이하, 2년 이하의 집단이 3∼4년 이하 집단보다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이상의 집단이 고등학교 집단보다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원장이 보육교사보다 모든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인증 참여 횟수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평가인증을 1회, 2회 이상 참여한 집단이 평가인증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정보제공, 상담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회 이상 참여한 집단이 1회 참여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교육, 보육컨설팅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 이용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직원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알아본 결과, 교육 서비스를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보육컨설팅, 정보제공, 상담 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요구를 살펴보면, 정보제공 서비스는 평가인증 관련 정보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이용방법으로는 홈페이지를 통한 이용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는 상호작용 및 교수법에 대한 교육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센터집합교육을 통한 이용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컨설팅 서비스는 상호작용 및 교수법과 안전에 대한 컨설팅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컨설팅 방법으로는 어린이집 방문을 통한 컨설팅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는 평가인증 관련 상담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이용방법으로는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한 상담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5세 이상, 35∼44세 이상 집단이 34세 이하 집단보다 정보제공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 서비스는 45세 이상 집단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8년 이상의 집단이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고, 정보제공 서비스는 8년 이상, 5∼7년 이하 집단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보육컨설팅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이상, 2, 3년제 대학교 집단이 고등학교 집단보다 정보제공, 보육컨설팅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의 모든 역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원장이 보육교사보다 모든 서비스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평가인증 참여 횟수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보육컨설팅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2회 이상 참여한 집단이 1회,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정보제공, 보육컨설팅 서비스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보육컨설팅, 상담 서비스에 대한 요구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이용현황을 알아본 결과, 정보제공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교육 서비스, 상담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정보제공 서비스는 장난감 및 그림책 대여를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연령에 맞는 장난감 선택 및 놀이방법, 어린이집 검색, 나들이 정보, 건강발달 정보, 지역사회전문기관 정보, 육아 소식지 제공에 대해서는 홈페이지를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고, 장난감 및 그림책 대여, 놀이체험공간은 직접방문을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정보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의 내용을 몰라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는 자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센터집합교육을 통한 이용방법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교육의 내용을 몰라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는 어린이집 이용에 관한 상담을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이용방법으로는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한 상담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상담서비스를 몰라서’ 이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력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이상 집단이 2, 3년제 대학교, 고등학교 집단보다 정보제공 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맞벌이 여부, 월평균 소득, 자녀수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상담 서비스의 이용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육아종합지원센터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알아본 결과, 교육 서비스를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정보제공, 상담 서비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 요구를 살펴보면, 정보제공 서비스는 놀이체험 공간 제공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다음으로 장난감 및 그림책 대여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용방법으로는 연령에 맞는 장난감 선택 및 놀이방법, 어린이집 검색, 나들이 정보, 건강발달 정보, 지역사회전문기관 정보, 육아 소식지 제공은 홈페이지를 통해, 장난감 및 그림책대여, 놀이체험 공간, 일시보육, 공동 육아나눔터 제공은 직접방문을 통한 이용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서비스는 자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이용방법으로는 센터집합교육을 통한 이용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상담 서비스는 육아에 관한 상담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이용방법으로는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한 상담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녀수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서비스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녀가 두 명 이상인 집단이 한명인 집단보다 정보제공, 교육 서비스의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 학력, 맞벌이 여부,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정보제공, 교육, 상담 서비스의 요구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이 논문은 2014년 6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지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 문 요 약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윤 지 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고영미) 본 연구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아산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의 만 5세 1학급 유아 14명과 I어린이집의 만 5세 2학급 36명으로 총 50명(남: 25명, 여: 25명) 이었다. A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4명(남: 7명, 여: 7명)을 실험집단으로, I어린이집의 유아 36명 중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A로, 18명(남: 9명, 여: 9명)을 비교집단B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5년 7개월이었다.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 도구는 이현경(2004)이 개발한 자아개념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인지적 자아’, ‘사회적 자아’, ‘정서적 자아’, ‘신체적 자아’의 4개 하위요소 총 7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절차는 검사자 훈련 및 예비연구, 예비실험, 본 실험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검사자 훈련는 2016년 2월 22일부터 2월 24일까지 3일 동안 이루어 졌고, 예비연구는 2016년 3월 2일부터 3월 4일까지 3일 동안 이루어 졌다. 본 조사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사전검사는 2016년 3월 7일부터 3월 11일까지 5일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자아개념 검사는 교실과 별도로 떨어진 상담실에서 본 연구자가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처치는 2016년 3월 14일부터 5월 6일까지 8주간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오후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어린이집 및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각각 총 16회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A는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어린이집에서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총 16회의 인성교육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B는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2016년 5월 9일부터 2016년 5월 13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자아개념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통제한 후 사후점수를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처리는 SPSS 18 Window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어린이집 연간교육에 의한 인성교육을 실시한 비교집단B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5.666, p=.0026).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비교집단A와 비교집단B의 유아에 비해 자아개념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자아(F=3.629, p=.034)’, ‘사회적 자아(F=4.094, p=.023)’, ‘정서적 자아(F=3.567, p=.036)’, ‘신체적 자아(F=7.446,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연계한 인성교육이 유아의 자아개념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논문은 2016년 8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영유아자녀를둔부모의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차선미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권혜진)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 준의 차이를 살펴보고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은 어 떠한가? 2.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차 이는 어떠한가? 3.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의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C시와 A시에 위치한 영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 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1세~ 5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293명으로, 영유아 부모의 자녀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소미현 등(2013)이 개발한 도구 및 보건복지부의 ‘구강건강을 위한 수칙’을 이봄이 (2014)가 수정·보완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추출하여 본 연구의 목적·대상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IBM SPSS Statistics 25.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 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 중요도-실행수준(IPA)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실 시하여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을 분석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영역과 구강건강교육영역 모두 중요도와 실행수준의 순위가 같았다. 구강건강관리영역에서는 ‘자녀가 치아가 아프다고 하면 빨리 치과에 가서 치료를 받게 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는 ‘자녀가 잠자기 전 칫솔 질 하도록 교육한다.’문항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가 간식을 먹 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 순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 간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강건강관리와 구강건강교육의 두 영역 모두 중 요도 보다 실행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관리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 의 간식을 준비할 때 되도록 충치를 잘 일으키지 않는 음식을 준비한다.’의 문 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구강건강교육영역의 문항에서는 ‘자녀가 간 식을 먹은 후 칫솔질 하도록 교육한다.’의 문항이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실행수준(IPA)분석 한 결과 구강건강교육영역에서 ‘충치는 예방이 중요하므로 자녀에게 칫솔질 방법을 교육한다.’, ‘자녀가 식사 후 칫솔질을 하도록 교육한다.’의 2개 항목들 이 자녀 구강건강교육에 있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이에 비해 행동으로 잘 실 행하지 않는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실행수준을 보이는 2사분면에 위치하여 우선적으로 교육이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행수준의 순위와 차이를 확인하고, 우선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알아 봄으로써 영유아 구강건강에 대한 부모교육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영유아 구강건강, 구강건강관리, 구강건강교육, 중요도, 인식, 실행수준 *이 논문은 2023년 12월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위원회에 제출한 교육학 석사(유아교육)학위 논문임

      •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전환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학생의 인식 조사

        이은철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의 전환교육과 청각장애 학생의 성인생활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설문지는 2개 영역 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성인생활에 대한 인식에서 총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영역은 4개의 하위영역(전환교육의 필요성, 전환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전환교육의 기대, 전환교육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1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두 번째 영역은 4개 하위영역(일반적인 성인생활적응, 성인생활에서 대학진학, 성인생활에서 결혼, 성인생활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에서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7개 청각장애 특수학교의 중학부, 고등부 학생들의 학부모 155명, 교사 155명, 학생 21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교육의 대한 인식에서 전환교육의 필요성은 전환교육이 학생들에 비해 학부모들에게서 그 필요성이 더 절실하게 인식되고 있다. 전환교육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학생들은 현재 상태에 만족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 학부모는 전환교육의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을 요구하는 태도를 살펴볼 수 있다. 전환교육에 대한 기대에서는 학생들의 평가가 긍정적인데 비해 교육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들은 가장 낮게 전환교육에 대한 기대를 보이고 있다. 전환교육의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은 학생과 교사는 취업 및 고용을, 학부모는 일상생활의 자립을 중요시하였다. 전환교육 담당자는 세 집단 모두 직업지도 교사가 담당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전환교육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지역관련업체의 인식 및 협조 부족을 첫 번째로 지적했고, 학부모는 시설/설비 및 프로그램 부족이 가장 높았고, 학생은 가족/부모의 협조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환교육 실시시기에 대한 인식은 교사는 중학교, 학부모와 학생은 고등학교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성인생활에 대한 인식 정도 항목 중 일반적인 성인생활적응에 대한 인식은 학생은 별 어려움이 없다고 생각한 반면 학부모의 평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생활에서 대학진학에 대한 인식은 학생, 학부모, 교사 순으로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생활에서 결혼은 학부모 평균이 높고, 교사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 평균이 높고, 학생 평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세 집단 모두에서 경제적 안정을 중요시하였다. 성인생활에서 직업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생은 취업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학부모는 상급학교 진학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희망하는 직업에 있어서는 세 집단 모두 일반 기업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위와 같은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전환교육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의 최근 동향을 감안하여 청각장애를 지닌 학생들이 학교졸업 이후에 보다 성공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고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청각장애 학생이 성인으로 성장한 후 성공적으로 결혼, 사회생활, 그리고 여가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전국 모든 청각장애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이러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우리에게 적합한 전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엄영숙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육활동에 있어서 컴퓨터 활용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 및 활용현황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위치한 사립유치원과 공립유치원 가운데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는 80개의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보면 교직경력이 5년 이하의 집단보다 5년 이상의 집단에서 필요성을 더 느끼고 있었고, 전문대졸보다는 대졸이상의 집단이, 반일제를 담당하는 교사보다는 종일제를 담당하는 교사가, 컴퓨터 활동기간이 길수록, 사립유치원교사보다는 공립유치원 교사들이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둘째, 컴퓨터 교육의 시작연령은 대체로 만 5세가 적절하다고 보고 있었고, 컴퓨터 활동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현재 유치원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기능으로는 Windows와 Word Processor이었다. 셋째, 컴퓨터 활용 현황을 보면 한가지 소프트웨어는 관련생활주제가 진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경우가 50.4%(64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평균 ' 1주일 이상-2주일 이하'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용 소프트웨어의 선택 할 때에는 교사연수 및 교육청에서 추천한 것을 먼저 고려하고, 그 다음으로 원장이나 동료교사의 추천이나 자신이 사용해본 것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구입 시 평가기준을 보면 유아의 흥미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교육적 가치, 용이성, 적합성, 우수성 등의 순 이었다. 다섯째,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용공간을 보면 77.2%(98명)가 교육 가운데 컴퓨터 영역을 설정하여 이용하고 있었고,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활동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면 컴퓨터를 사용하는 유아와 관심이 있는 유아가 함께 하도록 하는 것에 69.3%(88명)가 응답하였다. 컴퓨터 활동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제시순서를 보면 소프트웨어의 난이도에 따라 쉬운 것부터 제시하고, 그 다음으로 공인된 기관 등에서 추천된 소프트웨어, 반에 할당된 소프트웨어의 순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컴퓨터 활동 순서를 결정할 때에는 유아와 교사가 함께 결정하는 경우가 51.2%(65명)로 가장 많았다. 일곱째, 컴퓨터 소개 시 선행활동 정도를 보면 컴퓨터의 바른 사용법을 가장 많이 강조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컴퓨터 사용 시 지켜야 할 점, 간단한 컴퓨터 용어 및 작동원리, 유아와 함께 컴퓨터 관찰, 구체적 자료로 컴퓨터 활동시작, 컴퓨터가 이용되고 있는 사례 소개 및 견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유아들에게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기 전에 1-2번 정도 활동해보는 교사가 49.6%(63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충분히 활동해보는 경우가 40.2%(51명)정도였다. 유아 컴퓨터 교육에 관한 정보는 주로 주변의 동료교사나 친구로부터 많이 얻고 있었고, 교사연수, 유아컴퓨터 관련도서를 통하여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습득 방법 가운데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은 교사연수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tual application of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and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using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The concrete objectives are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understanding of computer application in their teaching activities and effectiveness of present computer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computers in the kindergarten such as the method of computer application, the criteria to choose a computer program, the method to get information about compute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200 teachers of 80 kindergartens practising computer education in Chung-nam Province were sampl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alysis, and χ²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career felt more need for computer application than the teachers with under 5 years career, four-year college graduates more than two -year college graduates, teachers in charge of all day classes more than teachers in charge of half day classes and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more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58.5 percent of teachers thought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need of computer education was for the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2. Most teachers thought the age of five would be the most suitable time to begin learning computers. They also agreed with the fact that teachers themselves must be able to operate computers skillfully. At present Windows and a word processor program were the mostly used computer programs in kindergartens. 3. Regarding the duration of the use of a computer program, most teachers (50.4%) used a program all along with instructing related teaching materials, and the next frequent group of teachers used a program for one or two weeks. 4. To choose the computer program for early children, most teachers considered the ones recommended in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 or by the Educational Office mostly. Then they considered the ones recommended by the president of the kindergarten or peer teachers. When they purchased a computer program, they consider early children's interest most, then educative values, then easiness, then appropriateness, then superiority. 5. 77.2% of teachers preferred to establish special space for computer education, and 69.3% of them preferred to make pairs between the early children who could use computers and the early children who could not for the desirable computer education. And, 51.2% of teachers decided the procedure of computer activity together with their early children. When teachers teach the computer soft-ware, they would consider the degree of difficulty first, and then authority of institute recommended. 6. Regarding the preceding introductory activity of computers, they emphasized the proper way of using computers most, then cautions observed while using computers, then simple computer terms and its functions, and so on. 7. 49.6% of teachers exercised a computer program one or two times, and 40.2 % of teachers exercised it thoroughly before they introduced it to their early children. Most teachers got the information about computer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from the faculty around most, then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 the related books. Regarding the quality of information, they were satisfied with teachers' computer training courses most, then the related books, then acquaintances, then magazines, then TV, then newspapers.

      • 당진시민의 평생교육 참여실태 및 요구 분석

        최연숙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 문 초 록 이 연구는 당진시민들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평생교육에 대한 인지도와 참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이었으며, 관심도 역 시 ‘보통’보다 조금 높게 나타나 아직도 보급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당진시가 2012년에 평생학습도시로 지정된 사실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는 ?? 67.7%가 모른다’로 답하였다. 셋째, 평생교육에 처음 참여한다는 응답자가 45.9% 이었고, 평생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아니오’가 67.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평생교육 참여 실태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이다. 첫째, 평생교육 참여의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70.7%)’ 이었으며, 주요 참여 프로그램은 ‘인간관계 및 심리상담 프로그램’ (36.0%)및 ‘직업기술 전문교육’(36.0%) 등 이었다. 둘째, 교육기간은 ‘1~3개월이(36.5%)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3~6개월’(33.5%), ‘6개월~1년’(1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기관 선정 이유는, ‘본인의 참여 동기와 일치해서(52.8%)’로 가장 높고, 다음은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하고 질이 높아서(27.8%)’, ‘교육비용이 저렴하거나 무료이기 때문에106(22.6)’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 참여 만족도와 요구를 분석한 결과 ‘시간 부족’이나 ‘평생교육에 대한 안내 및 정보 부족’이 평생교육의 참여를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당진시민은 ‘자격증 취득, 취업 등 직업기술교육’과 ‘자녀 학습 코칭’ 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독서지도사, 방과후지도교사, 보육교사, 심리상담사’등 자격취득 교육을 가장 필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주요어 : 평생교육, 요구분석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