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란탄수산화물과 수산화아파타이트를 이용한 음용수 중 불소제거 특성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lanthanum hydroxide and hydroxyapatite(HAp) for fluorid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s. A batch 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pH, presence of competing anions, contact time, initial fluor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sorption of fluoride on lanthanum hydroxide. The optimum fluoride removal was observed in the pHeq≤7.5. The presence of competing anions showed no adverse effect on fluoride removal. The equilibrium data reasonably fitted the Langmuir isotherm model, and the maximum monolayer sorp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242.2 mg/g at pHeq≤7.5 and 24.8 mg/g at pHeq>10.0.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described well the kinetic data, and resulted in the activation energy of 53.4-68.8 kJ/mol. It was suggested that the overall rate of fluoride sorption is likely to be controlled by the chemical process. Thermodynamic parameters such as ΔGo, ΔHo and ΔSo indicated that the nature of fluoride sorption is spontaneous and endothermic. The used lanthanum hydroxide could be regenerated by washing with NaOH solution.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e potential usability of lanthanum hydroxide as a good fluoride selective sorbent. A batch sorp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such as pH, presence of competing anions, contact time, initial fluorid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defluoridation by HAp. The equilibrium data reasonably fitted Langmuir and Fruendlich isotherm models. The maximum monolayer sorption capacity was found to be 27.93 mg/g at pHeq 6.5-7.0. The defluoridation capacity increased with decreasing pH of solution. The presence of competing anions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defluoridation except for HCO3-. The pseudo-second-order kinetic model described well the kinetic data. The sorption energy and activation energy for defluoridation by HAp were found to be 13.62 kJ/mol and 8.60 kJ/mol,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rption is governed by ion-exchange/ chemisorption mechanism. Thermodynamic parameters such as ΔGo, ΔHo and ΔSo indicated that the nature of fluoride sorption is spontaneous and endothermic. The used HAp could be regenerated by washing with NaOH solution
풍력발전용 스틸타워와 콘크리트 타워의 거동에 관한 비교 연구
김정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최근에 풍력발전용 타워는 대형화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스틸재료의 낮은 경제성의 문제점 때문에 여러 가지 대안들이 고려되고 있다. 이에 따른 대안으로서 건설비용 및 유지 관리 절감 가능, 좌굴 및 피로 파괴 방지 그리고 저렴한 원가로서 가격 경쟁력을 기대 할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기존의 스틸타워의 단점을 보완 하고자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풍력타워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타워의 거동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스틸 타워와 콘크리트 타워를 상용 소프트웨어(MIDAS Civil 2009)로 해석한 후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부적으로는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서 두 타입의 타워 모두 강도 안전율 2에 적합한 두께를 산정하였다. 또한 고유진동수 해석을 통하여 공진 여부를 판별하였고, 축 방향 하중에 대한 좌굴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각각의 타워에 대하여 사용 재료의 물량에 따른 비용을 비교해 보았다. Recently, wind turbine tower has a tendency to larger towers and several alternatives are being considered because the Steel material has a lower economic as wind turbine tower becomes more larger. As alternatives, it will be able to apply high-strength concrete that can be expected as effectiveness on costs of construction, maintenance, material and preventing of buckling and fatigue failure. Therefore,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wind tower using high-strength concrete. In this paper, steel tower and concrete tower were analyzed and then compared the behavior characteristic of both tower. In details, both tower were modeled by using Midas Civil 2009 and each thickness was calculated to satisfy the safety factor 2 of strength. In addition, It was determined whether or not resonance through analyzing the frequency of both tower and examined whether it is safe to buckling for axial load. Finally, the cost of each tower was compared in quantities.
볼링 동호인의 경쟁상태불안 해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수행
김정환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여가활동으로 볼링에 참가하는 동호인들을 대상으로 경쟁상태불안 해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수행의 관계에 대하여 규명함으로써 동호인들이 실제 시합상황에서 가지는 경쟁불안을 극복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연구하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쟁상태불안의 방향해석이 경기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선행 연구에 따라 서울·강원도 지역에서 열리는 볼링 동호인 대회에 참여한 남·여 볼링 동호인을 대상으로 150명을 표집하여 경쟁상태불안의 방향해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수행 관련 설문지를 배부, 작성, 회수토록 하였다. 경쟁상태불안을 강도와 방향해석 2가지 범주로 나누어 자기효능감과 수행의 관계를 분석하고, 강도와 방향을 동시에 반영한 관계 또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방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경쟁상태불안의 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눈 뒤 긍정적 방향해석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수행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경쟁상태불안 강도가 높거나 낮은 두 집단 모두 긍정적 방향해석이 자기효능감에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경쟁상태불안 강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는 수행에서도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경쟁상태불안 강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는 긍정적 방향해석이 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인지적 상태불안이 운동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쟁상태불안을 세 가지 하위 요인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강도와 방향해석에 대한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신체적 상태불안 요인에서는 불안강도가 자기효능감 및 수행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에서는 방향해석이 자기효능감 및 수행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신감 요인에서는 방향해석이 자기효능감 및 수행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론을 정리하면 경쟁상태불안이 낮은 집단이 경쟁상태불안을 긍정적으로 해석하였고, 특히 세 하위 요인 중 인지적 상태불안을 긍정적으로 해석하여 좋은 수행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경쟁상태불안의 강도에서 신체적 상태불안 요인이 자기효능감과 수행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과 자신감 요인은 방향해석에서 자기효능감과 수행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measure to overcome competitive anxiety that athletes can have in performance and improve concentration by focusing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ccording to interpretation of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The survey was done with questionnaires in regards to anxiety interpretation and self-efficacy to 150 male and female balling amateur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lling contest held in Seoul and Kangwon province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previous studies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direction of anxiety can actually affect performance. Competitive anxiety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intensity and the direction interpretation to analyze both 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nd that between intensity and direction. Through the survey, it leaded me to the conclusion as below; First, when comparing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ositive interpretation of anxiety between the high intensity group and the low intensity group, the positive interpretation was not influential to self-efficacy in both cases that the competitive anxiety intensity was high and low. Moreover, the positive interpretation was not influential to performance when the competitive anxiety intensity was high. However, the positive interpretation was beneficial to performance when the competitive anxiety intensity is low. Especially cognitive anxie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performance. Second, competitive anxiety state was sub-categorized into three factors to compare the influence from the intensity and direction of anxiety. When it comes to physical anxiety state, the intensity is more influential factor to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cognitive anxiety state, the direction is more influential factor to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Moreover, as for the confidence factor, the direction is more influential factor to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To sum up, physical anxiety influenced to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the intensity of competitive anxiety. Cognitive anxiety and confidence influenced to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in the direction interpretation of competitive anxiety. Moreover, low intensity group in anxiety interpreted the anxiety-especially the cognitive anxiety more positively to enable to do better performance.
석조 문화재의 경우 지진과 같은 횡력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쉽게 훼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훼손이 발생할 경우 문화재 본래 가치를 회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석조 문화재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좀 더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평가방법과 내진성능수준 및 지진재해 저감대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진하중을 받는 석탑 구조물의 동적거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별요소 해석기법을 통한 구조모형화 및 동적해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형상비에 따른 석탑구조물의 다양한 설계변수에 따른 동적거동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세 가지의 대표적인 석탑모델을 선정하고 재현주기에 따른 지진하중을 적용하여 응력 및 변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재현주기에 따라 지진하중은 석탑 구조물의 지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추정된다. 기록된 지진데이터는 기반암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석탑 구조물에 실제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진파로 변형된다. 이를 위해 기반암에 사용하는 기록지진의 가속도 값은 재현주기 동안에 우려되는 최대지반가속도 값으로 변환되고, 그 결과는 주어진 지반조건과 재현주기에 따라 산출된다. 재현주기에 따라 지진하중이 적용된 구조물의 해석결과는 수치적으로 시간위상의 알고리즘에 의해 설명된다.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석탑 구조물의 동적 거동 및 구조 성능이 평가된다. 이를 위해 석탑구조물의 지반조건에 따라 각 재현주기의 지진하중이 산정된다. 형상비 및 접촉상황에 따른 동적거동 특성 분석결과를 통해 총 높이가 높고 부재가 분할되 있을수록 변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조물이 높을수록 무게중심이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지진하중에 대한 저항특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적해석 결과, 불국사 3층 석탑이 정림사지 5층 석탑보다 낮지만 상부부재의 처짐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1층 및 2층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림사지 5층 석탑의 동적해석 결과 재현주기가 길고 상륜부의 처짐이 가장 클 때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탑신부의 두 번째 층 옥개석에 응력이 집중되지만 다른 위치의 수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국사 3층 석탑은 대부분의 부재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대부분의 층에서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국사 3층 석탑의 경우 하나의 층이 단일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끄러짐에 대해서 안전한 반면에 정림사지 5층 석탑의 경우 하나의 층이 다중부재로 구성되어 각각의 부재가 단일 거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지진 하중에 대한 안전성 평가결과 석탑의 구성형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재현주기가 길어질수록 석탑의 층간변위가 증가하고 더 많은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진 상황 및 다양한 손상요인들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heomseongdae is the masonry stone structure with the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But, this structure has the various damages such as cracks, gaps, slope variations and ground subsidence. So, the interests about the structural safety of Cheomseongdae have been increased. Bu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structural modelling process because of the discontinuum behavior characteristics of masonry stone structure.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e reasonable structural modelling and analysis to be able to consider the discontinuum behavior and contact surfa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type of Cheomseongdae. Also, this study checks the structural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Jeoksim and the swelling and displacement gap of the whole structure and the separation between the neighboring members. The analysis models are classified as two models, such as the basic damage model and ground subsidence model.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e basic damage model shows maximum stress about 0.4 MPa and maximum displacement about 5.7 mm. Also, the damage model of ground subsidence shows maximum stress about 1.5 MPa and maximum displacement about 144 mm. Thus, the damage model of ground subsidence shows the stress and displacement more than basic damage model. Also, through the behavior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Jeoksim, as the lateral pressure according to Jeoksim is higher, we can find out that the overall stress and displacement of structure are increased. Additionally, as this pressure generates the swelling and separation between the neighboring members, the reasonable repair and maintance are needed for the safe preservation of Cheomseongdae.
인터넷 가상현실을 이용한 통합 건축 교육 시스템 개발 연구
본 연구는 대학 기초학문의 토대위에 전문지식 연마를 통하여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능동적이며 총체적 지식기반을 갖춘 건축인을 양성하기 위한 건축 교육 시스템을 개발하여 건축교육방법을 진일보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정보화 시대인 현대 사회의 맞추어 건축 교육을 진일보시키기 위하여 인터넷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최첨단 통합교육시스템을 개발하고 기존의 이론적 건축교육방법에서 체험 실습을 통한 건축교육으로 진일보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가상현실의 정의, 역사적, 하드웨어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의 특징 등의 이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건축교육을 위한 컴퓨터프로그램 구성단계에서 엑티브월드를 베이스프로그램으로 하여 단계별로 통합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하였다.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필요성 및 목적,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제 2장에서는 지식ㆍ정보화 사회에서 변화하는 교육 방식의 변화와 건축 교육 방법의 방향성, 그리고 가상현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제 3장에서는 인터넷 가상현실을 이용하여 통합적인 건축 교육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인터넷 가상현실을 이용한 통합 건축 교육 시스템에 들어가는 요소로 교육 부재와, 원격 강의를 구축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인터넷 가상현실을 이용한 통합 건축 교육 시스템의 최종 마무리 작업으로써, 각 전공 분야별로 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제 6장은 결론으로, 이와 같은 연구의 방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였다. This research has for its object that makes a base to improve the method of architecture education and uses it to train active architects who can cope with the demand of our society which is changing rapidly on the basis of the basic learning of university. Also, another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king a foundation that advances our architecture education from the theoretical method to the experience practice and developing the newest system of unity education by using the internet virtual reality in order to improve the architecture education that can meet the request of the modern information era. For this, I have studied on the definition, the history the hardware about internet virtual reality and perform a theoretical analysis on its feature from the point of technology. And I have analyzed and evaluated on the consist of unification program step by step by throughout "active world" in the phase of organizing the computer program for architecture education This study was preceded as the following. In chapter 1, to show the backgroung, the necessity, the purpose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In chapter 2, to consider the method and the direction of changing education in the knowledge & information society and virtual reality. In chapter 3, to organize the system of unification architecture education by using the internet virtual reality. In chapter 4, to make teaching material and cyber lecture by the factor for the system of architecture education by using the internet virtual reality. In chapter 5, to show the method of education for the field of each major in that the final work of the system of unification education by using the internet virtual reality. In chapter 6 , to summary the result was required by this study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사회에서 중간적 신분을 지닌 閭巷人들의 시각에서 당시 사회를 바라보고자, '洛社' 동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한시에 투영된 사회 비판 의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사주의적 방법과 비교문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洛社 동인들의 전반적인 문학 세계를 살펴보고, 사회 비판 의식의 양상을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본고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洛社 동인들은 林俊元(?∼1697)과 洪世泰(1653∼1725)를 중심으로 서울의 북부에 거주하면서 詩社를 결성하고 정기적인 모임을 가졌다. 그들은 스스로를 시인으로 자부하고 있었으며, 詩社를 통해 同類 意識을 가짐으로써 서로를 위로하기도 하였다. 때로는 不平之氣를 狂歌로 나타내어 함께 외쳐 부르기도 하며 자신들의 존재를 과시하였다. 이들이 활동한 시기는 대략 顯宗∼英祖朝에 이르는 약 50∼60년간이었다. 洛社는 순수 여항인들만으로 구성된 최초의 여항 詩社였으며, 동인들은 시사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그리고 이들은 天機論的 문학관을 자신들의 문학 활동의 이론적 토대로 삼았으며, 나아가 신분 문제까지 아우르는 논리로 삼았다. 洛社 동인들은 본격적인 여항 시집인 「海東遺珠」와 「昭代風謠」, 그리고 개인 문집을 활발히 간행함으로써 이후 여항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洛社 동인들의 가장 큰 주제는 신분 갈등 문제였다. 그것은 신분 상승 욕구가 강할수록, 그리고 포부가 강할수록 더욱 강렬하게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한 예로, 홍세태의 「嫩竹」은 욕망은 강한데 현실은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 데서부터 출발하고 있는데, 신세 한탄에만 머물지 않고 강한 도전 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낙사 동인들은 신분 문제를 다룰 때 '劍'을 즐겨 표현했다. 이득원의 「短劍篇」에서처럼 칼은 "무지개를 뿜어, 북두성까지 곧장 뻗치고, 밤에 걸어두면 용처럼 으르렁대고, 낮에 어루만지면 한낮에도 싸늘하며, 우레치면 문득 미쳐 날뛰어, 빈 산의 귀신처럼 울부짖"을 정도로 비범한 존재이다. 그러나 이 칼은 "천관에 바치고 싶지"만 이룰 수 없는, 당시 사회에서는 쓸 수 없는 무용지물이 다. 이것은 바로 여항인이라는 자신들의 신분적 제약을 확인한 자아 인식이다. 초기 六家 시인들은 신분 문제 해결에 매우 소극적인 것이었는데 비해, 洛社 동인들은 보다 적극적인 경향을 취하였다. 이들은 天機論을 자신들의 문학 이론으로 받아들임과 동시에 평등 의식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신분제 자체를 부정하는 단계에까지는 인식이 미치지 못하였으며, 따라서 常賤民의 신분 문제를 다루는데는 소홀하였다. 그러나 洛社 동인 가운데 洪世泰와 鄭來僑·鄭敏僑 형제는 신분 문제에만 얽매이지 않고 사회 문제에 대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비판하고 고발하는 등 치열한 시인 정신을 보여 주었다. 그들은 知的인 면뿐만 아니라 詩才로써 당시 양반 사대부들에까지 인정받는 명실 상부한 여항의 지식인이요 교육자였다. 이들의 공통된 점은 天機論을 바탕으로 비판 의식이 매우 강했다. 평생 가난한 가운데 간혹 지방 근무를 하면서 사회 제반 모순의 현장을 가까이에서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리고 지방의 吏胥들과는 달리, 선비나 시인으로 자부하고 있었기 때문에 신분은 비록 말단 관리에 불과하였지만 牧民과 濟民의 사고를 지녔다. 그들은 收稅 制度의 모순, 이를 담당했던 수령과 관속들의 부정 행위 등 삼정 문란의 실상을 간과하지 않았다. 특히 洪世泰의 「抄丁行」, 鄭來僑의 「農家歎」, 鄭敏僑의 「軍政歎」 등은 三政 紊亂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그리며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수작이다. 洛社 동인들은 恤民 의식뿐만 아니라 官에 의한 사회 구조적 모순도 비판하고 있다. 洛社 동인들은 사회 문제를 폭넓게 고찰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그들이 할 수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이해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의식은 근대 시민 사회로 나아가는 데 디딤돌 역할을 한 것은 틀림이 없다. 또한 중인들의 의식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음은 물론, 이후 전개되는 여항 문학의 전개에 견인차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양반 사대부나 서얼들에게서는 볼 수 없었던 집단적 의식 세계를 보여주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하겠다. This study is devoted to look into the late Choseon Dynasty through the eyes of Yeohang men that were in intermediate social status. Their social criticism reflected on their own poems has been studied. They lived mostly in northern part of Seoul and made up a Poets' Society to have periodical gatherings. Lim, Junweon and Hong, Setae were key figures. They called confidently themselves poets and tried to express everything by means of poetry. They acted together and comforted each other in the boundary of the Poets' Society as well. They sang together Kwang-Ga (mad song) to pour their discontent out and let people know their existence. They were active for about 50∼60 years between early Hyeonjong and early Yeongjo in Joseon Dynasty. Naksa was the first Poets' Society composed of pure Yeohang men and had such an importance to the members. They made big footprints publishing common collections of poems and private collections vigorously. This publication led the progress in Yeohang literature. The biggest subject was the social class complication. The bigger the desire and the ambition of class rise, the more this phenomenon prevails. They had a more aggressive tendency toward this issue while poets of Yuk-ka performed passively. They adopted Cheongiron as their literature theory and brought up the sense of equality in which they insisted they were same as Yangban (noble class). They, however, did not reach the denial of the whole class system because they neglected the problems with other lower classes. Hong, Setae and the brothers of Jeong, Raekyo and Jeong, Minkyo displayed articulate poets' spirit criticizing general social problems instead of merely cohering into the class matter. They were reputed as Yeohang intellectuals and Yeohang educators even acknowledged by the high nobility. They were known different from any local subordinate officials conceiving the thought of ruling and saving people though they were often placed in temporary petty officials as well. The social criticism of Naksa has not been broadly touched, but this is well understandable when we know there were not so much for them to do in rigorous class system like Choseon Dynasty Despite of this limit, their mind had surely been helpful to move to citizen centered society and contributed to enlightening middle class. They also spurred the Yeohang literature. It is another remarkable point that they performed in group mind which is not to be seen in nobility or illegitimate progeny from nobility.
비정규직 근로자의 학습과 적응방식에 관한 연구 : 기업 내 개발지원관계를 중심으로
개발지원관계는 공식적·비공식적 형태로 존재하며, 초기경력자의 학습과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개발지원관계들은 고용형태에 따라 그 유형과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업 내 개발지원관계에 초점을 맞춰 비정규직의 학습과 적응 방식이 정규직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밝히는 것이다.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비정규직은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 경험에 있어서 정규직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비정규직의 비공식적 개발지원관계망과 학습 및 적응은 정규직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비정규직의 공식적 관계학습과 비공식적 개발지원관계망이 학습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정규직과 비교해 어떠한가? 넷째, 비정규직의 개발지원관계를 통한 학습과 적응간의 관계는 정규직과 비교해 어떠한가?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34개 대기업에서 현 직장 재직기간이 3개월 이상 5년 미만인 초기경력자였으며, 비정규직은 정규직과 업무의 양과 질이 가장 비슷한 한시적 근로자로 한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 경험, 개발지원관계망 속성과 기능, 학습과 적응 영역으로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총 532부가 회수되어 추정된 회수율은 60%였다. 연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과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분석 대상은 총 417명(정규직: 260명, 비정규직: 157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를 거쳐 적합한 문항만을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자료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이다.설문조사를 통하여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 경험은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의 참여가 적었다. 둘째, 개발지원관계망 속성 변수 중 크기는 정규직이 컸으며, 부서·성별·업무동질성과 친밀도는 비정규직이 높았다. 지위의 경우 비정규직이 보다 낮은 지위의 사람들과 개발지원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를 통해 만난 사람들과 개발지원관계를 형성하는 비중이 정규직에 비해 높았다. 또한 학습과 적응 영역은 근로형태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나, 학습영역 중 긍정적 자기이해, 집단소속감. 직무숙련도에 대한 비정규직의 학습정도가 더 높았다. 셋째, 학습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와 개발지원관계망 변수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두 집단은 학습과 적응의 내용에 따라 다른 유형의 관계를 형성했다. 넷째, 학습과 적응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비정규직과 정규직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이상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첫째,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개발지원관계를 형성함에 있어 여러 가지 제약이 존재한다. 둘째, 비정규직의 학습과 적응에 있어 공식적 관계학습 참여의 효과는 대체적으로 정규직에 비해 더 크게 작용하며, 특히 두 집단 모두 실행공동체와 멘토링 제도 및 실행공동체 둘 다에 참여가 효과적이었다. 셋째, 비정규직의 개발지원관계를 통한 학습과 적응은 그 내용에 따라 정규직과 다른 접근을 취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비정규직과 정규직은 학습과 적응에 있어 개발지원자들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그들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두 집단 모두 비공식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업무적응은 별개의 문제일 수 있다. 여섯째, 학습과 적응간의 관계에 있어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해 적응이 보다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이러한 결과와 결론들을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