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개발을 위한 역량 우선순위 분석 : The Locus for Focus 모형 중심으로

        양지희(Jihee Yang),리상섭(Sangseub Lee)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2

        청년실업의 대안으로 청년창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정부는 민간, 대학 등 유관기관과의 창업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다양한 창업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지원 정책을 기반으로 창업 시도가 늘어나는 만큼 실패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의 문제점으로 일반창업보다 낮은 청년창업의 생존율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청년창업의 생존 능력을 제고해 창업지속률을 높일 수 있는 지원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청년창업을 분석한 결과, 남성 청년창업에 비해 여성 청년창업은 시도는 늘고 있지만 창업지속률은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창업지속률을 높이기 위한 교육 대상으로 여성 청년창업가를 주목해야 함을 의미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창업지속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역량으로 셀프리더십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셀프리더십은 목표달성을 위한 영향력의 방향이 외적인 대상에서 자신에게 국한된 개념으로 특히 창업지속력의 중요 요소인 창업의지와 사회적 자본 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셀프리더십은 창업가 개인의 역량을 개발해야하는 창업교육에서 중요한 요소이나 그 중요도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여 창업지원기관에서 우선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는 셀프리더십 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첫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현재 보유도 및 미래 필요도와 둘째, 여성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 셋째, 여성 청년창업가 중 실제 청년창업가와 예비 청년창업가의 셀프리더십 역량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The importance of startups is increasing as an alternative to youth unemployment, and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startup support policies by forming a startup network with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private sector and universities. However, as the number of startup attempts is increasing based on the startup support policy, there are also cases of failure. The survival rate of young startups, which i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artups, is emerging as a major problem. This suggests that a support policy is needed to improve the survival of young entrepreneurs and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entrepreneurship. As a result of prior research analysis, I was able to derive self-leadership with individuals ability to positively influence the startup sustainability rate. Self-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will to start business and secure social capital, which are important elements of sustainability, as the direction of influence to achieve the goal is limited to oneself from external targets. Self-leadership is an important factor in startup education, which requires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capabilities of founders, but research is lacking in comparison to its importa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leadership ability education requirements for female young founders and to derive self-leadership ability that should be developed first by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First,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second,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and third, the self-leadership education requirements of young female founders and reserve youth founder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0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4 No.2

        평생교육은 제 4차 산업혁명, 사회적 갈등 증폭 등 불안정하고 급변하는 사회환경 속에서 지속 성장과 발전을 위한 핵심전략으로써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 필요 공간에 대한 평생학습의 주체인 시민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향후 평생교육 공간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평생교육 공간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평생교육의 필요 공간 및 구성안을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평생교육 공간별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25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도출된 평생교육 공간은 힐링공간, 첨단 스마트공간, 복합문화공간, 집중 학습공간의 4가지 대분류와 18가지 소분류로 분석되었다. 최종 제안된 4가지 공간의 세부 공간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힐링공간은 녹지공간, 카페 등 소통공간, 오락공간, 전신안마기 등이 비치된 휴식공간, 독립된 명상공간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첨단 스마트공간은 3D프린팅룸, XR(eXtended Reality, 확장현실)존, 드론체험장, 사물인터넷(IoT) 기술 융합 체험장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복합문화공간은 소공연장, 미술, 사진 작품 전시장, 세공, 드로잉 등의 실습장, 음악감상 및 악기 연주실, 사진 촬영 스튜디오로 구성하였다. 넷째, 집중 학습공간의 경우 도서관, 토론, 토의가 가능한 회의실, 개별 스터디룸, 오픈 스터디룸으로 구성하였다. 최종 도출된 18개의 평생학습 공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 평생학습 공간에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공간은 첫 번째가 도서관, 두 번째가 녹지 공간, 세 번째가 카페 등 소통공간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평생학습 주체인 시민의 요구에 맞는 효과적인 평생교육 공간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escalating social conflict, Lifelong education is increasingly needed as a core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amid unst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citize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derived necessary space and composition plan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confirmed the preference of each lifelong education space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th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analyzed in 4 sections and 18 subsections: The healing space, The high-tech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First, the healing space is composed of the green space, communication space, recreational space, rest space and independent meditation space. Second, The high-tech space is composed of 3D printing room, eXtended Reality zone, drone space and Internet of Things(IoT) technology space. Thirdly, The complex cultural space is composed of concert hall, exhibition, workroom for craftsmanship and drawing, music room for listening and playing and photo studio. Fourth, The intensive learning space is composed of library, conference rooms for discussion, individual study room and open study room. According to a survey on preferences of lifelong learning spaces, the first is a library, the second is a green space, and the third is a communicatio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reate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citizens who are the subjects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후보

        A구 평생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평생교육 이해관계자를 중심으로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1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A구 평생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 및 인식과 평생교육 관계자의 평생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지역 주민의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구 평생교육관련 현존자료 및 선행문헌 분석을 실시하고, 지역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평생교육 관계자 및 주민 평생교육 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평생학습 참여 확대를 통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적 평생학습 네트워크 기반 마련이다. 지역을 연결하는 평생교육체계를 통해 통합적 평생학습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관내 기관 및 실무자 네트워크형성을 통해 평생교육 체계화 및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공감 평생교육 체계 마련이다. 학습자의 생애발달 단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습 정보, 홍보 등을 일원화한 온라인 학습 플랫폼 구축,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위한 운영제도를 개편하는 것이다. 셋째, 배움-나눔-재성숙의 평생학습 선순환 기반 마련이다. 학습동아리 발전 단계별 지원 체계, 지역사회 통합 평생학습운영 방안, 교육 사각지대 해소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넷째, 학습자 주도 평생학습 기반 마련이다. 학습자 연대 평생학습 운영 체계와 평생학습을 통한 배움-나눔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문적, 실천적 측면에서 개별 자치구 평생교육 참여 실태 및 인식 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 맞춤형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공한 점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자치구 주민을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을 활성화 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and awareness by local residents A district and to present way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by expand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To this end, the current condi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adult learners and authorized person.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25, an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Focusing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with authorized person and lifelong educational activist. it was analyzed using a method of repeated comparative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measure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are as follows for expanding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First, a cooperative lifelong learning network is needed. Secondly,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empathy among learners. Third, a virtuous cycle of learning, sharing and rematurity is being established. Fourth, we need a lifelong learning foundation led by learners. The research suggests that, from an academic and practical point of view, individual autonomous districts have provided ways to revitalize lifelong education tailored to local residents by expanding their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materials for revitalizing lifelong education for residents of each borough.

      • KCI등재
      • KCI등재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김인숙(Insook Kim),양지희(Jihee Yang)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3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컨설팅, 코칭 분야의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분야의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2019년부터 2023년에 발간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 연구는 지속적으로 전개되었으며, 2020년~2021년에 239편(53.95%)으로 나타났다. 둘째, 게재저널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는 타 분야와의 융·복합을 통해 전개·확장되었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컨설팅은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코칭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분야 분석결과, 컨설팅, 코칭 분야에서 모두 교육 관련 영역에 대해 주로 논의되었으며, 코칭은 스포츠, 군 코칭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결과, 컨설팅 분야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진 반면, 코칭은 변인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 분야의 컨설팅, 코칭 관련 연구 영역별 키워드를 범주화 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2020년~2021년 동안의 사회 환경적 배경, 연구 주제, 방향성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컨설팅과 코칭이 다양한 분야와 연관성을 가지며 상호작용하는 영역으로 진화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컨설팅과 코칭 분야의 연구에서 연구 방법 차이에 대한 맥락을 확인할 수 있는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컨설팅과 코칭 연구 분야의 지속적 확장과 동시에 학문적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컨설팅, 코칭 분야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컨설팅과 코칭 분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As a result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 total of 443 papers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pers were 116 consulting-related papers and 327 coaching-related paper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journal, research method, research field, research topic.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 the following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First of all, in-depth research is needed that categorizes keywords for each research area related to consulting and coaching in the education field. Second, in-depth research on soci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s, research themes, and directions between 2020 and 2021 is needed. Third, in-depth research is needed on the process in which consulting and coaching evolve into areas where they are related to and interact with various fields. Fourth,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ontext of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between consulting and coaching. Fifth, academic establishment is needed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 expansion of consulting and coaching research fields.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in the consulting and coaching field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Lee, Suk-Hyang),안혜신(An, Hyesin),최지혜(Choi, Jeehae),김아영(Kim, Ayoung),양지희(Yang, Ji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관리 및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특수학급 및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15명과 발달장애 학생 및 성인자녀를 둔 부모 2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특수교사와는 초·중·고 학교급별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부모와는 개별면담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4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주요 건강문제 및 대처 관련 쟁점, 2) 건강관리 및 교육의 실제, 3) 건강관리 및 교육 관련 지원요구, 4)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관련 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토대로 발달장애 학생의 건강 자기옹호 역량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자기주도적 건강관리를 위한 건강 자기옹호의 필요성 및 역량 강화, 2) 학교-가정연계 건강 자기옹호 프로그램 개발, 3) 지역사회의 협력 지원체계 및 관련 인프라 구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n health care an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develop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parents of stud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as follows: (a) major health problems and issues in addressing the problems, (b) practices in health care and education, (c) support needs for health care and education, and (d) needs related to development of health self-advocacy programs with school-home conn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necessity of enhancing health self-advocacy for self-directed health care, (b)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health self-advocacy based on school-home connections, and (c)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s for community collaboration and relevant infrastructur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