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5 세이상 임신에 관한 통계학적 고찰

        최동석(DS Choi),김윤하(YH Kim),임종신(JS Lim),송태복(TB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1980년1월부터 1987년 7월까지 만 7년 7개월동안 전남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하였던 총 8205명의 임산부중 35세이상의 임산부 280명을 조사군으로 하고 동기간에 분만하였던 경우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20-30세의 임산부 285명을 대조군으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35세이상 임산부의 발생빈도는 전체분만중 3.7%이었으며, 35세이상 초산부의 발생은 전체분만의 0.6%이었다. 2. 산모체중, 고혈압, 태반조기박리 및 제왕절개술은 노령임산부군에서 대조군보다 의의있게 높았고, 임신주수, 진통시간, 전치태반, 요로계감염, 산후출혈, 다태임신 및 조기파막은 두군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3. 낮은 Apgar점수와 자궁내 태아사망 및 거대아는 노령군에서 의의있게 높았고 태아성비와 태아기형은 두군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4. 노령임산부군에서의 안 좋은 infant outcome에 대해 산모체중, 고혈압, 또는 태반조기박리는 그 단독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노령임산부에서의 안 좋은 infant outcome은 산모체중, 고혈압, 또는 태반조기박리의 어떤 한 경우에 의해 영향받지 않았고 이는 아마도 여러 가지 복합적인 것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노령임신은 고위험임신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철저한 임신 및 분만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ith the changing life patterns for women in current society, there is often a postponement of childbearing . Thus the impact of older maternal age on pregnancy outcome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 It has been known that pregnancy outcome of women 35 years of age or older are considered to be less favorable. To examine this hypothesis, 280 pregnancy in women whose age was 35 or more years at delivery were compared with 285 pregnancy in women whose age 20 to 30 years at delivery at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0 to July 1987. The fetus under 1000 gm was exclud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Study group was 3.7% of total delivery 8205 cases .Primiparous women were 15% and multiparous women were 85% in the study group . 2. The older women had higher weights. There was also an increased frequency of hypertension, placental abruption and cesarean section in the older women, But gestational age, length of labor , the frequency of placenta previa urinary tract infection postpartum hemorrhage, multifetal pregnancy, preterm delivery, and PROM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 . 3. Low Apgar scores, intrauterine fetal death, and macrosomia were more frequency in the older women but there was a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fetal sex ratio, fetal anomaly, and LBW infant. 4. There was no infuence in the infant outcomes when women with obesity, placental abruption , or hypertension was exclued from analysis. This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pregnancy outcomes of women 35 years of age or older are considered to be less favorable than those of younger women. So careful antenatal and intrapartal care should be performed for the old aged pregnancy women.

      • KCI등재

        선행제왕절개 임부의 분만에 대한 임상적 고찰

        임장배(JB Im),은대숙(DS Eun),김윤하(YH Kim),최호선(HS Choi)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1982년 10월부터 1986년 3월까지 185명의 선행제절 임부의 분만을 가능한한 시험분만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험분만은 113예(61.1%)에서 시도되고 이중 경질분만 86예(76.1%)였고, 총제절예는 99예(53.5%)였다. 2. 계획제절적응증은 임부가 제절을 원하거나 난관결찰을 동시에 원했던 경우가 27예(37.5%)였고 다음은 선행제절술식이 자궁체부종절개인 경우가 13예(18.1%)순 이었다. 3. 선행제절적응에 따른 시험분만결과는 아두골반분균형이나 분만의 진행이 안된 예는 경질분만이 63.8%인데 반해 기타 적응군은 89.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 4. 자궁반흔상태는 시험분만군에 자궁열개가 1예(1.4%)있었지만 이는 계획제절군과 유의하지 않았다. 5. 시험분만군에서 교정조산기사망은 없었고 모성사망도 없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엄격히 선정된 선행제절임부의 시험분만은 비교적 안전하고 높은 성공률의 경질분만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of the 185 cases of delivery after prefious cesarean section from October, 1982 to March, 1986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Chonnam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113(61.1%) cases were allowed to trial labor and successful transvaginal delivery was 86(76.1%) cases and total repeat cesarean section was 99(53.5%) cases. 2. Indications for repeat cesarean section before labor were wanted tubal ligation in 27(37.5%) cases and previous classic section in 13(18.1%) cases. 3. Success rate of trial labor by indication of previous cesarean section CPD/FTP showed 63.8% whereas group of other than CPD/FTP revealed 89.1%. 4. One case(1.4%) of uterine dehiscence among the cases of trial labor was encountered. 5. There was no corrected perinatal or maternal mortality mortality among the cases of trial labor. Judging from the results obtained, trial labor controlled with under strict indications could expect satisfactory outcome.

      • KCI등재

        초음파유도하 경피적 태아 제대혈채취의 이용

        송태복(TB Song),이계율(GY Lee),김윤하(YH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1993년 1월부터 1994년 8월까지 1년 8개월동안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21주에서 41주사이의 산모 50명을 연구대상을하여 50회의 초음파유도하 경피적 태아 제대혈채취 (PUBS)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결과를 얻었다. 1. 50명중 49명에서 성공하여 98%의 성공률을 보였다. 2. PUBS의 적응증을 보면 자궁내 태아발육지연 9예, 산모 혈소판 감소증 6예, 태아 신장이 상 6예, 수두증 4예, 양수과다증 4예, 비면역성 태아수종 2예, 태아복수 5예 등이었다. 3. PUBS시행시 임신주수를 보면 임신 26-30주가 18예(23%)로 가장 많았고 31-35주가 13예 (26%), 36-41주가 10예(20%), 21-25주 9예(18%)의 순이었다. 4. 주사침의 천자시도를 1회로 성공하었던 경우는 22예(44.9%), 2회 16예(32.7%), 3회 7예 (14.3%), 4회 3예(6.1%), 그리고 5회 시도후 성공했던 경우가 1예(2.0%)이었다. 5. 제대 천자부위를 보면 떠있는 제대를 이용했던 경우가 23예(46%)로 가장 많았고 태반 기 시부위 3cm이나개 16예(32%), 태반을 통해 바로 제대기시부로 천자했던 경우가 10예(20%), 태아복벽 3cm 이내가 1예(2%)이었다. 6. 성공적으로 천자가 되었던 49예에서 주사침을 산모복부를 통해 제대혈관에 성공적으로 넣을 때 까지 소요된 시간을 보면 3분미만이 20예(40.8%), 3분이상 6분미만이 11예(22.5%), 6 분이상 10분미만 2예(4.1%), 10분이상 30분미만 11예(22.5%),그리고 30분이상이 5예(10.2%)이 었다. 7. PUBS의 합병증으로 제대출혈 33예(66%), 조기진통 2예(4%), 태아서맥 4예(8%), 태아빈맥 1예(2%)가 발생하였으며 PUBS에 따른 자궁내 태아사망이나 조기분만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태아의 혈액채취는 숙련된 산과의사에 의해 시행될 때 높은 성공률과 더불어 비 교적 안전한 검사로서 선천성 이상의 산전 진단영역을 크게 넓혀 줄 수 있는 검사라고 사료 된다. Percutaneous umbilical blood sampling (PUBS) has become an important diagnostic tool in the evaluation of fetal status. Although fetal bradycardia and uterine irritability are recongnized transient side effects of PUBS,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fetal death appear to be quite uncommon.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50cases of PUBS performed between 21 and 41 gestational weeks at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3 to August 1994. Primary indications for PUBS included intrauterine fetal growth retardation, maternal thrombocytopenia, fetal renal disease ,fetal ventriculomegaly, hydramnios, nonimmune hydrops fetalis, fetal ascites, fetal pleural effusion, single umbilical artery, etc. PUBS was successfully performed in 49 cases (98%) among 50 procedures. The first atte mpt was successful in 22 cases (44.9%) and 45 cases (91.9%) succeeded within three attempts. The site of cord puncture were floating cord (46%), near the placental insertion(32%), base of the cord (20%), and near the fetal insertion(2%). Bleeding from the cord after needle removal was occurred in 66% and it persisted for longer than 1 minute in 20% of all cases. Four cases of fetal bradycardia, one case of fetal tachycardia, and two cases of preterm labor which were controlled by ritodrine were occurred. There was no procedure-related preterm delivery or fetal death. In conclusion, PUBS is safe and very useful procedure in the evaluation of fetal status when performed by experienced perinatologists with high success rate.

      • KCI등재

        태변성 복막염 1 예

        송태복,김윤하,정진,이현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8

        전남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산전 초음파검사상 양수과다, 장관확장, 고음영 반향의 태변으로 장관폐색 소견이 의심된 40주 임산부에서 분만된 신생아를 수술적 처치시 태변성 복막염을 진단 하였던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관련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enatal sonographic diagnosis of the meconium peritonitis provides the preparation for proper management, decreasing mortality, and morbidity of the neonate.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meconium peritonitis and presented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요막관 낭종 (Urachal Cyst) 1 예

        송태복,김윤하,이지영,김은경,신진옥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저자들은 최근 임신 16주에 방광과 연결된 요막관 낭종 1예를 산전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uring embryonic development, the urachus connects the dome of the bladder to the umbilicus. After birth, the urachus becomes median umbilical ligament. Incomplete closure of the urachu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a cyst or cysts. We experienced a case of fetal urachal cyst, and report that with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출생 후 심박조율기 이식에 의해 교정된 태아 완전 심방실 차단 1 예

        송태복,김윤하,이지영,김은경,오봉석,이현수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저자들은 임신 29주에 태아 완전 심방실 차단을 진단하고 만기까지 임신을 유지한 후 제왕절개분만하고, 생후 7일째 영구적 심박조율기를 성공적으로 이식하여 정상 심박동을 보인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ongenital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is an uncommon congenital lesion, occuring in about 1 of 20,000 newborns. Most of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without additional structural heart defects were born to mothers who had either manifested connective tissue disease or tested positive for anti-Ro (SS-A) antibodies. Previously, this diagnosis was usually made after birth. Because fetal arrhythmias can now be evaluated prenatally by two-dimensional and M-mode echocardiographic and Doppler ultrasound techniques,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is more frequently identified during the fetal period. The natural history and in utero management of congenital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is not well documented.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ongenital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without associated anomaly followed by successful implantation of cardiac pacemaker at the 7th day of life and presented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제왕절개분만 환자에서 조기 경구 영양공급의 평가

        변지수,송태복,김윤하,이지영,김은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7

        제왕절개 수술이 비교적 젊고 건강한 여성에서 시행되어지고 개복수술이지만 장관의 조작은 거의 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왕절개 수술한 여성에서 수술 후 조기에 경구 영양공급을 하는 것이 고식적인 방법으로 채택되어져 온 장음이 들리고 가스가 배출된 후에 식사를 공급하는 것과 비교하여 위장관 기능에 이상 증상을 초래하는 빈도를 조사함으로써, 조기 경구 영양공급의 임상적인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1997년 5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제왕절개분만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사 수액제제의 투여 기간은 조기 경구 영양공급 군(연구군)에서 21.6±7.8시간으로 대조군의 32.2±9.0시 간보다 더 짧았고(p<0.01), 따라서 주사 수액제제의 투여량도 연구군에서 3.4±1.3 L로 대조군의 4.6±1.0 L보 다 의의있게 적은 양이었다(p<0.01). 2. 수술 종료 후 일상적인 식사가 가능하게 되는데 걸 리는 시간은 연구군에서 17.4±4.1시간으로 대조군의 37.6±11.4시간보다 더 짧았다(p<0.01). 3. 수술 후 처음으로 가스가 배출되는데 걸리는 시간 은 연구군에서 29.6±8.0시간으로 대조군의 33.6±8.6시 간보다 더 짧았다(p<0.05). 4. 위장관의 이상 증상으로 환자가 호소하는 복부팽만 이나, 오심, 구토 증상이 나타나는 빈도는 연구군에서 17.5 %이고 대조군에서 15.0%로 의의있는 차이가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로 제왕절개 수술 후 조기에 경구 영양 공급을 하는 것이 고식적인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위장 관계 이상 증상의 빈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더 빨리 일상식사가 가능하게 됨을 보았으며 이런 결과로 보아 조기에 경구 영양을 하는 것이 빠른 퇴원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patient acceptability of early oral feeding after cesarean delivery. From May 1997 to August 1997, eighty healthy women delivered by cesarean section were assigned alternately to either early initiation of oral feeding or conservative dietary management. In the early feeding group, the first postoperative oral feeding of regular hospital diet was provided within 8 hours after completetion of operation. In the conservative management group, the regular hospital diet was given only if the abdomen was not distended, bowel sounds were auscultated, and flatus had passed. The patient information and data on 1) the duration and amount of intravenous fluid administration, 2) the time of return to regular diet and first gas passage and 3) the rate of gastrointestinal complaints such as nausea, vomiting, or abdominal distension were recorded pro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uration of intravenous fluid administration in the early feeding group (study group)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1.6±7.8 versus 32.2±9.0 hours (p<0.01). Therefore, the amount of iv fluid in the study group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3.4±1.3 versus 4.6±1.0 L (p<0.01). 2.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y group had a rapider return time to regular oral diet, 17.4±4.1 versus 37.6±11.4 hours (p<0.01). 3.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y group had a significantly shorter mean interval to first gas passage, 29.6±8.0 versus 33.6±8.6 hours (p<0.05). 4. The frequency gastrointestinal complaints such as nausea, vomiting, or abdominal disten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oups; 17.5% in the study group versus 15.0% i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만기임신에서 Misoprostol에 의한 자궁경부숙화 및 분만유도에 있어서 Prostaglandin E₂ 질정과의 비교연구

        변지수,송태복,김윤하,이경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만기임신에서 자궁경부숙화와 분만유도에 있어서 misoprostol 질식투여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prostaglandin E2(PGE₂) 질정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내과적, 산과적 이유로 유도분만을 시행하는 59명의 만기임산부를 무작위 추출하여 misoprostol 50㎍과 PGE₂ 3mg을 질식투여하였다. 59명중 30명에서 misoprostol을, 29명에서 PGE₂를 사용하였고, 첫번째 투여 6시간후 규칙적인 자궁수축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관숙화에 실패한 경우[Bishop score 7점미만]에는 동량을 한번 더 투여하여 6시간후 재평가하였다. 결과: 성공률은 misoprostol군에서 83.3%, PGE₂군에서 58.6%로 misoprostol군에서 의의있게 높았고, 1회 투여후의 성공률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60% vs 31%]. 성공군에서 분만까지의 평균소요시간, oxytocin 사용, 24시간내 분만 등에 있어서 양군간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분만방법, 제왕절개의 적응증, tachysystole이나 hyperstimulation syndrome의 빈도, 신생아에 대한 영향력 등에도 양군간 차이가 없었다. 결론: Misoprostol의 질식투여가 만기임신에서 자궁경관숙화와 분만유도에 저렴하고 효과적인 약제이며, 양군간의 부작용이나 합병증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afety and efficacy of intravaginal misoprostol with that of intravaginal PGE₂ for labor induction and cervical ripening in term pregnancy. Methods: Fifty nine patients with indications for induction of labor with unfavorable cervices were randomized to received either 50㎍ misoprostol or 3mg PGE₂ intravaginally. Among 59 patients recuited, 30 received misoprostol and 29 received PGE₂. The second dose was repeated 6 hours after first dose, if the cervices were unfavorable. At 6 hours after applying second dose, the cervices were reevaluated. Results: Regular uterine contraction and/or successful cervical ripening[Bishop score ≥7] after administration of one dose was statistically more often in the misoprostol group than that in the PGE₂ group[60% vs 31%, p$lt;0.05]. No difference was noted in successful induction rate after two doses administration between misoprostol group and PGE₂ group[23.3% vs 27.6%]. Total 25[83.3%] in misoprostol group & 17[58.6%] in PGE₂ group were achieved successful cervical ripening or labor induction by each drug[p$lt;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time to delivery, the need for oxytocin, delivery within 24hour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cesarean section rate, frequency of tachysystole[20% vs 10.4%] and hyperstimulation[3.3% vs 6.9%], and neonatal outcom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Intravaginal administration of misoprostol is an effective and inexpensive agent for cervical ripening and induction of labor. Misoprostol 50 ㎍ was acceptable as initial dosage for unfavorable cervices in term pregnancy compared with PGE₂ 3mg. Complication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악성 임신성 융모성질환에 대한 연구

        최호선,변지수,김윤하,위점숙,조용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1981년부터 1988년말까지 만8년동안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악성 임신성 융모성질환 129예에 대한 치료성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치율은 전체적으로 96.1%이었다. 2. 병기별 완치율은 stage I에서 III까지는 100%이었으나 stage IV군은 54.5%의 낮은 완치율이었다. 3. 완전 완해유도를 위한 화학요법의 평균횟수와 기간은 저위험군은 3.4주기, 80.3일, 고위험군은 6.2주기, 144.8일이었다. 4. 수술예의 분석에서 일단 완해된 후 3주기 이상 더 치료한 예에서 다시 혈청 β-hCG치가 상승을 보일 경우에는 반드시 병변부위를 찾으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며, 이 부위를 찾기위해서는 병변부위를 약간 키울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고 생각되며, 그 정도로 키운 것은 완치에 지장을 주지않았다. 5. 뇌에 전이된 예는 5예중 1예만 치료에 성공하여 20%의 완치율 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전통적인 치료법을 따른 저자들의 치료법이 뇌의 병변에는 충분한 치료효과를 주지 못하며, 뇌의 미세병변을 조기에 찾아내어 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를 행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 chemotherapeutic responses were clinically analyzed in 129 patients with malignant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who were admitted to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complete remission was 96.1 %. 2. The remission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was 100 % in stage I to III and 54.5 % in stage IV. 3. The mean number of chemotherapeutic courses until the induction of complete remission was obtained were 3.4 in low risk group and 6.2 in high risk group. 4. In the patient with recurrent TRD in spite of 2 to 3 courses of additional chemotherapy even after serum hCG level was returned to normal, surgery was considered to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t the time of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hCG titer after the chemotherapy was discontinued. 5. The complete remission rate of the brain lesions was 20 %, and we suggest that the brain metastatic lesions were not responded successfully by the treatment with traditional chemotherapeutic protocol.

      • KCI등재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 , 양수 및 태아 혈청 요산농도

        박창수,변지수,송태복,김윤하,최진,김석모,이계율,김경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7

        목적: 정상 임신과 자간전증 환자의 혈청, 양수 및 태아 요산농도를 분석하여 자간전증시 이들의 변화와 상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임신과 태아 예후에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평가하고자한다. 연구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4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산부인과를 내원하거나 입원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하였다. 임신 28주이상의 자간전증 환자 47례와 임신주수가 비슷한 정상 산모 28예에서 혈액과 분만시 제대동맥 혈액을 얻었다. 임신 17주에서부터 27주사이의 정상 산모에서 양수채취는 염색체 배양검사를 하기위해 양수천자를 할 때 얻었고 이들 중 염색체 이상소견이 없는 태아의 양수 84예와 임신 28주이상의 정상 산모 양수는 제대혈액채취적응증인 경우 양수천자를 하여 정상 태아 양수와 제왕절개술을 시행하면서 28예를 얻었으며 임신 28주 이상의 자간전증 환자 47예에서는 양수천자와 제왕절개시 양수를 채취하였다. 요산은 Uricase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 임신시 양수내 요산은 17주 3.38±0.3 mg/dl, 24주 4.23±0.33 mg/dl, 28주 5.23±0.97 mg/dl, 34주 5.87±1.58, 38주 6.97±0.76 mg/dl으로 임신 주수가 증가할수록 농도가 증가하였다[n=112, r=0.75, p$lt;0.01]. 임신 28주 이 상에서 환자군의 산모 혈청 요산 6.33±1.55 mg/dl, 양수 요산 9.62±2.65mg/dl, 제대동맥 혈청 요산 6.44±1.49 mg/dl는 정상군의 산모 혈청 요산 4.37±0.64 mg/dl, 양수 요산 6.36±1.95 mg/dl, 제대동맥 혈청 요산 4.30±0.92 mg/d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lt;0.01]. 결론: 정상임신에서 양수내 요산농도가 임신주수가 증가 할수록 증가하였고, 자간전증에서 산모 혈청, 양수 및 태아 혈청의 요산 농도가 정상 임신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에따라 자간전증에서 산모의 고요산혈증은 신장기능의 장애로 인한 요산배설의 감소 뿐 만 아니라 태반 및 태아에서 생성된 것도 반영된 것으로 여겨지며 태아 예후 판정에 의미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uric acid concentrations of maternal serum, amniotic fluid, and fetal serum in normal pregnancy and preeclampsia. Methods: 112 samples of amniotic fluid obtained from normal pregnancies 17 to 38 weeks gestation, and 28 samples of maternal serum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obtained from normal pregnancies in third trimester. Samples of maternal serum, amniotic fluid,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were collected from 47 women with preeclampsia in third trimester. Uric acid concentration was measured by enzymatic spectrophotometric method using the enzyme uricase. Results: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progressively from 17 to 38 weeks gestation in normal pregnancy [17; 3.38±0.3, 24; 4.23±0.33, 28; 5.23±0.97, 34; 5.87±1.58, 38 weeks; 6.97±0.76 mg/dl, n=112, r=0.75, p$lt;0.01]. In third trimester,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with preeclampsia than with normal pregnancy [9.62±2.65 vs. 6.36±1.95 mg/dl, p$lt;0.01]. Maternal serum [MS] and umbilical arterial cord serum [CS] uric acid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women with preeclampsia than with normal pregnancy [MS; 6.33±1.55 vs. 4.37± 0.64, p$lt;0.01, CS; 6.44±1.49 vs. 4.30±0.92 mg/dl, p$lt;0.01]. Conclusions:Serum uric acid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gnant women and fetuses with preeclampsia. Increased production of uric acid in fetus and placenta may contribute to maternal hyperuricemia and high amniotic fluid uric acid concentration in preeclampsia par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