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술기업가정신을 통한 중소형 클래식 연주단체 운영 전략: ‘아카데미열정과나눔’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un Kyoung ),박윤정 ( Park Yun Jeong ),김세린 ( Kim Se Ryn ),김혜리 ( Kim Hye R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4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operational strategy of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performance groups based on the arts entrepreneurship, and suggests what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groups, which are in a relatively unstable group-run environment compared to large-scale performance groups, need to be competitive and self-sustaining in the market. Through a case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performance group, Academy Passion & Sharing (APS)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 of the group in terms of ‘innovativeness,’ ‘risk taking propensity,’ and ‘proactive personality,’ which are key elements of the arts entrepreneurship. The analysis shows that all of them are important in running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performance groups, but the financial crisis and risk factors of the group and the risk taking propensity to respond to changes in society and technology are the most important for them. It also shows that ‘human networks’ are of great importance in obtaining tangible or intangible things needed for better performance and continuous op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performance groups.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and self-sustaining for stable and continuous op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groups, first of all, the ability to preemptively predict and prepare crisis and risk factors that are detrimental to group operation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lso, small and medium-sized classical music groups should not neglect the work of networking with people in various fields other than music to get what they need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창의성 잠재 프로파일 분석: 창의적 학교환경의 예측력과 또래관계에서의 차이 검증

        김윤경(Kim, Yun-Kyo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아동의 창의성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유형별 또래 관계 양상의 차이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의 10차년도(2017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총 1,434명의 자료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아동들의 창의성 잠재 프로파일의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각각 낮은 창의성, 높은 독창성, 높은 민감성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창의적 학교 환경 중 또래의 지지가 잠재계층 구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분된 잠재계층에 따른 또래관계에서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높은 독창성 집단은 또래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의 원활함과 소외감을 모두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민감성 집단은 의사소통의 원활함과 또래 속에서의 신뢰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낮은 소외감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based on primary students’ creativity profile and to explore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 Data collected from The 10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as used and a total of 1,434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of creativity for third-graders were identified. Each group were named as low creativity, high originality, and high sensitivity. It was found that peer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classe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eer relations according to the classified latent classes. Specifically, the high-originality group perceived that they communicated well with their pe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felt loneliness among their peers. The high sensitivity group perceived high levels of trust with, communication and low levels of alienation from peer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ucial roles of peer support for promoting creativity of primary students.

      • KCI등재

        총체적 언어교육 관점의 토론교육을 위한 ‘극적 토론 모형’ 개발

        김윤경(Kim Yu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총체적 언어교육 관점의 토론교육(이하 총체적 토론교육)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문학과 드라마를 토론과 결합한 ‘극적 토론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체적 토론교육이란 ‘실제적이고 의미 있는 토론의 상황에서 이성과 감성이 통합되어 이루어지는 자연적인 토론교육’이다. 총체적 토론교육으로서의 ‘극적 토론’은 ‘문학작품을 예비텍스트로 한 극적 상황에서 자발적이고 총체적으로 이루어지는 즉흥적인 토론’이다. 극적 토론의 원리는 SIEM(자발성, 상호성, 체험성, 복합양식성)이며, 이 원리로 설계되는 극적 토론 모형은 [극적 상상→극적 토론→역동적 내면화]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극적 토론 모형의 실천을 통해 학생 참여자들은 인지적 측면에서 상상력이, 정서적 측면에서 공감력이, 신체적 측면에서 표현력과 실천력이 길러지게 될 것이다. 또한 극적 서사 속에서 자발적인 역할 선택과 참여자들 간의 대화적 탐색을 통한 상황 구성은 메탁시스(metaxis)적 성찰을 통한 프락시스(praxis)를 이루는 역동적이고도 총체적인 토론 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necessity of an education of Debate as whole language educational approach and to propose the Dramatic Debate(DD) as a practical method and then to develop the Dramatic Debate Model(DD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rinciple of the DD is SIEM: the Spontaneity as inner action of learners, the Interactivity as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e Experientiality as experience in the class, and the Multimodality as a composition of contents in the class. the DDM that is designed by SIEM consists of three step: Dramatic Imagination > Dramatic Debate > Dynamic Internalization. Through a practicing of the DDM, it is able to develop an imagination, an empathy, an expression and a praxis: aspects of the intelligent, emotional, and physical. This DDM is an efficient way to practice an debate education as whole language approach in the way that learners choose some roles spontaneously and discuss as the role, and then develop a power of execution that connect learners knowledge to real life in a dramatic situation grounded pre-text(literature).

      • KCI등재

        공공미술, 또 하나의 접근법

        김윤경(Yun-Kyoung Kim),김현주(토론자) 현대미술사학회 2004 현대미술사연구 Vol.16 No.-

        Since its resurgence in the 1960s, public art has extended its definition from 'art in public places', through 'art as public space' to 'art in public interest or new genre public art'. Where once public space was considered to be at the artists' disposal, artists concerns for art-making in the public realm have moved on with these paradigm shifts toward discussing the public's life and its interest in the public realm. A temporary citywide exhibition project 'Culture in Action: New Public Art in Chicago' (which officially ran from May 20 through September 30, 1993), sponsored by the nonprofit public art organization Sculpture Chicago and directed by the independent curator Mary Jane Jacob, emerged as one of the primary examples of such art practices, which mainly focus on community liaisons and collaborative works. Eight artists or artist teams - Mark Dion, Kate Ericson and Mel Ziegler, Simon Grennan and Christopher Sperandio, 'Haha (Richard House, Wendy Jacob, Laurie Palmer, John Ploof)' Suzanne Lacy, Inigo Manglano-Ovalle, Daniel J. Martinez and VinZula Kara, and Robert Peters-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new' public art project. Over a year they created their projects in direct partnership with such specific target communities as high school students, public housing residents, union representatives, HIV/AIDS care volunteers, women's groups, community youths, and local ethnic communities, in addressing specific issues from each community group. This kind of public art practice has been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to the extant object-based or site-specific public art conventions, and seems to turn the tide in the arena of public art. It is, however, still open to such questions as: why do communities matter?; does it matter where the art is?; what makes the projects effective or successful?, and so forth. Reviewing the 'culture in Action' project, especially Haha's 〈Flood〉 and Manglano-Ovalle's 〈Tele-Vecindario〉, which showed visible evidence for Heartney's long-term effect on the communities' will offer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such questions, as well as the potential to re-discover the value of community and come closer to the long-lasting ideal of art as social intervention. Such processes also serve as the basis for re-framing and re-defining public art in the twenty-first century.

      • KCI등재후보

        AI 시대의 포스트휴먼 정체성 탐구 -넷플릭스 단편 애니메이션 < 지마 블루(Zima Blue) >를 중심으로

        김윤경 ( Yun-kyoung Kim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2021 인공지능인문학연구 Vol.9 No.-

        이 논문은 넷플릭스 단편 애니메이션 < 지마 블루(Zima Blue) >를 중심으로 SF 서사물에 재현된 포스트휴먼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I를 비롯한 기술의 발달은 기술과 융합된 신인류로서 포스트휴먼의 도래를 예견하게 한다. SF 서사물 속 포스트휴먼은 미래에 도래할 신인류에 대한 현인류의 욕망과 감정이 투영된다. SF 서사물 속에서 재현된 포스트휴먼 정체성은 몸의 혼종성, 기억의 혼융성, 장소의 편재성 및 특수성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기존의 SF 서사물이 휴머니즘 관점에서 포스트휴먼을 그렸던 것과는 달리, <지마 블루>는 독립적 주체로서 포스트휴먼을 형상화하고 있다. 화가였던 지마(Zima)는 우주와 교감하기 위해 사이보그가 되어 우주의 진실을 탐구한다. 우주의 진실을 깨달은 지마는 자신을 해체하는 퍼포먼스를 통해 자신의 근원적 장소였던 ‘수영장’으로 돌아간다. 포스트휴먼으로서 지마의 정체성은 개조와 변형으로 몸의 혼종성과 그로 인한 기억의 혼융성을 지닌 ‘사이보그’이자, 특정 장소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자기 삶을 자신의 목소리로 이야기하는’서사-주체’이다. 기술만능주의나 기술 혐오주의로 점철된 기존의 포스트휴먼 담론에 대해 주체적 사이보그인 지마는 AI 시대의 포스트휴먼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the posthuman reproduced in sci-fi narratives, focusing on the Netflix short animation < Zima Blue >.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luding AI, predicts the advent of the post-human as a new human being fused with technology. The post-human in the SF narrative reflects the desires and emotions of modern humans for the new humanity to come in the future. The posthuman identity reproduced in the SF narrative has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ity of body, hybridity of memory, ubiquity and specificity of place. Unlike the existing SF narratives that portrayed the post-human from a humanistic point of view, < Jima Blue > embodies the post-human as an independent subject. Zima, who was a painter, becomes a cyborg and explores the truth of the universe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universe. Realizing the truth of her universe, her Jima returns to her original place, the ‘pool’, through her performance of dismantling herself. Jima’s identity as a post-human is a ‘cyborg’ with the hybridity of the body and the fusion of memories through remodeling and transformation, and a ‘narrative-subject’ who talks about his life with his own voice based on the memory of a specific place. In contrast to the existing post-human discourse dotted with techno-omnipotence and technophobia, Zima, an independent cyborg, suggests new possibilities for post-human identity in the AI era.

      • KCI우수등재

        시, 도립 교향악단 성과의 조건 - 성과 조건으로서의 정부 재정지원의 중요성 검토 -

        김윤경 ( Yun Kyoung Kim ),하은희 ( Eun Hee Ha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3

        본 연구는 국내 시, 도립 교향악단을 사례로 문화예술 성과에 중요한 조건을 분석하였다. 특히 다양한 문화예술의 성과 조건 가운데 가장 전통적 형태인 정부 재정지원에 관하여 기존의 시론적, 탐색적 연구 수준을 넘어 실증적으로 정부 재정지원이 문화예술 성과에 중요한 조건이 되는지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문화예술 성과 연구에서 활용되지 않았던 퍼지셋 질적 비교 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방법을 통해 성과에 필요한 조건들 사이의 결합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향악단의 성과에 필요한 조건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레퍼토리 보유, 명성 있는 리더십의 존재, 그리고 문화예술조직 운영의 자율성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는 조직 환경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정 지원액의 많고 적음은 교향악단의 성과에 중요한 조건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정부는 단순한 재정 증액 및 지원을 통해 예술가 및 예술단체들의 생존을 돕는 기존의 방식을 넘어 이들 스스로 혁신적인 예술적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인적, 조직 운영 환경적 여건들을 지원, 조성해주는 정책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ditions that are important for the performance of culture and art with the case of municipal and provincial symphony orchestra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government funding, which has been the most traditional policy implement for supporting arts and culture in existing theoretical and exploratory level of research, is yet an important condition for arts sector.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ombination of conditions necessary for performance of public orchestra through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hich was not used in the performance research of cultural and arts.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formance career for creative and innovative repertoire, the existence of renowned and accomplished leadership, and the environment that guarantees the autonomy of organization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it finds that amount of government funding is not an important condition for the performance of public orchestra. Those results suggest that governments should focus on policy that support and foster the human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enable them to demonstrate their innovative artistic capacities, rather than simply seeking ways to help artists and arts organizations survive through simple financial increases and supports.

      • KCI등재

        사회 내 지식 노동자로서의 클래식 음악가와 그들의 지식 노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윤경 ( Yun Kyoung Kim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4

        본 연구는 클래식 음악가에 대한 정의를 사회과학분야에서 정의한 지식노동자의 정의를 빌어 새롭게 이해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다시말해, 사회 안에서 자신만의 전문적인 예술적 지식을 활용하여 직업을 갖고 경제 활동을 이어나가며 자신의 삶을 영위하는 클래식 음악가들을 지식노동자로 간주하는 것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또한 클래식 음악가들이 특수한 재능을 가진 예술가로서의 인식을 넘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양질의 문화예술적 생산물들을 사회에 제공하고 사회 안에서 다양한 역할을 감당하는 자들이라는 것을 인식함을 통하여 클래식 음악가들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데 본 연구가 이바지하고자 한다. 시론적 연구의 입장에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을 통하여 일반 사회과학분야에서 논하고 있는 현대 지식사회 내 지식과 지식노동자들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고 이를 예술가 및 클래식 음악가의 노동에 대입, 비교하였다. 결과, 일반 지식노동자들과 클래식 음악가들은 노동의 패턴에서 매우 흡사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클래식 음악가를 지식노동자의 정의적 맥락 하에 새롭게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통해, 사회 안에서 클래식 음악가의 지식 노동이 어떻게 보호 받고 발전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를 지식노동자의 개념 하에 후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틀을 마련하게 된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ims to justify and suggest a new concept that the labour of classical musicians can be considered as knowledge workers in society. In other words, the study premises that classical musicians, who get jobs, make income, and produce outcome with their artistic and profession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s knowledge workers. It implies that classical musicians should be understood as artists, but also as workers who create cultural outcomes with artistic knowledge and have diverse roles in society. Based on this idea, the study investigates diverse literature review about general concept of knowledge and knowledge work in society, and compares them with concept of labor of artists, especially that of classical musicians to justify the main argument of this study. It shows that patterns of artistic labor of classical musicians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general knowledge workers. In conclusion, it finds out that classical musicians who work with their professional artistic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s knowledge workers in society and implies that it should be covered how their knowledge works are protected in competitive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

        아동의 놀이성이 동조성향과 과제흥미에 따라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김윤경(Kim, Yun-Kyo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놀이성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개인의 동조성향과 과제흥미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5,6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놀이성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놀이성, 동조성향, 과제흥미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참여자의 과제 흥미가 낮을 때보다는 높을 때, 동조 성향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놀이성이 창의적 사고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동조성향이 낮은 학생의 놀이성을 통한 창의성 발현에 있어 과제흥미가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playfulness, conformity disposition, and task interest on one’s creative think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and analyzed by the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playfulness, conformity disposition and task interes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high-interest participants, those high on conformity disposition scored lower than the low on creativity thinking if they reported high levels of playfulnes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ucial roles of playfulness and task interest for promoting creative thinking and the needs to consider individual conformity disposition when planning for the play-based learning at primary scho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