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음을 드러내는 언어로서의 회화

        김유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works to represent my personal experience separated from the relationship and its related ideas by a visual image and language of the artist's own. This paper has a starting point of an idea that 'rupture of true conversation in relational difficulties is eventually an issue of my attitude seeing an object'. It aims at examining what meaning and relation an attempt of nonverbal gestures resulted from the complex of childhood has on the present painting in addition to aspects of such a relation based o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world. In the 1st chapter, Introduction, I describe my personal experience as a background of this paper and its flow connecting to the work, and explain theories by Martin Buber and Gaston Bachelard forming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work in the chapter 2. In the 3rd chapter <Consciousness & Unconsciousness>, I explain similarities between experimental narrative technique of 'A Day of Gubo, a Novelist' by Park Tae Won and my work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both are described with commentaries on the expressive technique and attitude of Max Ernst and painterly canvas composition of Ronald Brooks Kitaj. Also, comparative descriptions are given to characteristics of Sigmar Polke's layer painting and my canvas composition. In the 4th chapter<Work Analysis>, I analyze the work in terms of micro and macro expressions of forms and derive a conclusion. In those young days, language crouched down in the mind of a silent child exploded in the adulthood but an observational habit and anxiety about relations were not still solved. I wanted to get rid of anxiety in any way or outlet so came to find out an escape from works. In a circle of expansive relations, a turning point was related to the curiosity about myself, internal space generating the imagination, or things within a category of a relatum. If it is possible to observe an eye toward others, it seemed that I could know well myself and relations in the world. It is obvious that we are entities having a relation with someone while living in this world. Such 'someone' may be human, nature or god if he is a believer. My work always begins from ideas on the relationship. Relations refer to those between I and you, I and something, and I ponder upon a point where object becomes you or something. Our life is a continuity of relations, and in my opinion, we experience everything of the world in a daily life. Consistent with a view of observer for Gubo in 'A Day of Gubo, a Novelist', in this paper I describe a process to pay attention to and observe my surroundings-persons, objects and nature-contained in my entire works. Besides, I aim at examining my painterly attitude to draw an image on a canvas while putting, scratching and taking off paints. My painting originates from a question to myself 'As values of something are generated only from a relation with such a thing, is it a case that I can have the meaning and values from relations with someone?". Through images of recording and memory selected subjectively, I pursue describing important spots including time, emotion and relationship by expressive techniques of the plane and solid. 본 논문은 관계들 속에서 분리되는 본인의 자아 경험과 그에 대한 상념을 작가 고유의 시각적인 이미지와 언어로 재현하는 작품론이다. 본인의 논문은 ‘관계의 어려움에 있어서 참다운 대화의 단절은 결국 대상을 바라보는 나의 태도의 문제’라는 생각을 출발점으로 한다. 어린 시절 콤플렉스에서 비롯된 비언어적 몸짓의 시도가 현재의 회화 작업 안에서 어떤 의미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그 관계의 모습들을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장 서론에서는 본 논문의 배경이 된 개인적인 경험과 그것이 작업으로 이어지는 흐름에 대해 밝히고 본론 2장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에서는 작업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마틴 부버와 가스통 바슐라르의 이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3장 <의식과 무의식>에서는 박태원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실험적 서사 기법과 본인 작업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막스 에른스트의 표현기법 및 태도 그리고 로날드 브룩스 키타이의 회화적 화면구성을 언급하며 본인 회화와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그리고 시그마 폴케의 레이어 회화와 본인 작업에서 드러나는 화면 구성의 톡징에 대해 비교 설명한다. 4장 <작품 분석>에서는 작품을 미시적인 형태 표현과 가시적인 형태 표현, 두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어 결론을 지으며 논문을 정리하고자 한다. 어린 시절 말없는 아이의 마음 속에 웅크리고 있던 언어들은 성인이 되어서 폭발하듯 터져나왔지만 여전히 관찰하는 습관과 관계 맺는 것들에 대한 불안감은 해결되지 못하였다. 불안감은 어떤 구멍으로든, 어떤 방식으로든 해소되기를 바랐고 본인은 작품 안에서 탈출구를 찾아내었다. 포괄적인 관계라는 테두리 안에서 결국 되돌아 오는 지점은 나에 대한 궁금증, 상상이 생성되는 마음속 (내적)공간에 대한 궁금증, 관계항이라는 범주 안의 것들이었고 타인을 바라보는 시선을 관찰할 수 있다면 나 자신에 대해, 그리고 세상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해 좀 더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우리 모두는 이 세계에 살면서 누군가와는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것이 자명하다. 관계를 맺는 ‘그 누군가’는 인간이 될 수도 있고, 자연이 될 수도 있고, 신앙을 가진 사람이라면 신이 될 수도 있다. 나의 작업은 늘 관계에 대한 생각에서 출발을 한다. 관계는 나와 너의 관계이고 나와 그것의 관계를 말하는데, 대상이 너이거나 그것이 되는 지점에 대해 생각을 한다. 우리들이 사는 삶이란 관계의 연속이고 우리는 삶 속의 관계 안에서 세상 모든 것을 경험한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보씨의 일일’의 구보씨가 주변을 바라보는 관찰자적 시점처럼 나의 주변 - 사람, 사물, 자연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바라보는 과정이 나의 작업 전면에 어떻게 담겨지는지를 서술한다. 그리고 캔버스에 이미지를 그려내고 물감을 얹고, 긁고, 떼어내는 본인의 회화적 태도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본인의 회화는 ‘어떤 것의 소중함이란 오직 그것과 맺고 있는 관계에 의해서 생겨나듯이 내가 누군가와 맺는 관계 속에서 나의 의미와 가치를 갖게 되는 것이 아닐까?’ 라는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지며 시작된다. 주관에 의해 선택된 기록의 이미지와 기억의 이미지로 시간, 감정, 관계와 같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지점들을 평면과 입체 등의 회화적 표현기법을 통해 풀어내고자 하는 것이다.

      •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태도에 따른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연구 :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김유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Effects of Framing on Visual Materials Based on the Student’s Previous Attitudes - Views on Immigrant Workers - Yu - Ran Kim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Major Advisor: Jeong, Won-gyu, Ph.D. With the growth of the Korean economy and globalization, foreign labors and immigrations by marriage are on a gradual rise. This has reinforced the educational need to understand many cultures and cultivate mutual respec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designed to help minimize any conflicts and bias with an aim to enhance social integration. Visual materials are used as the most common tool in the educational settings. Those video clips are useful for learners to understand immigrant workers’ cultures and their issues. However, certain framing methods that emphasize specific topics about foreign workers may lead to creating or solidifying the prejudice the student has had, because people tend to process newly gained information in combination with their existing knowledge, instead of just accepting it. Most of the clips that have been used for multi-cultural class depicted foreign employees as the subject of compassion or sympathy, or people in need of help. This kind of framing not just creates a negative impression toward immigrant workers, but also further solidifies the previous mindset of the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various types of visual tools used in educating multi-culture, as well as student’s existing sense of social distance and its impact. To this end, the framing of the materials, teaching multi-culture with visual materials, and the established attitudes of the students towards the subjects were discussed. The hypotheses of the study are as below. Primary hypothesis]: Different visual framing methods will change the student’s previous sense of social distance depending on its previous extent. Secondary hypothesis 1] With the previous social distance remaining same, the sense of distance will be different after the different framing. Secondary hypothesis 2] With the previous social distance remaining different, the sense of distance will be different even after the same framing.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A similar experimental study was implemented among 243 students by using the "unable compassion” and “able respect” framings. After a statistic verification based on the survey, the primary hypothesis and secondary hypotheses 1 and 2 were adop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framing effect influenc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tudent’ established sense of social distance. Followings ar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rst, this study provided a chance to reflect on the previous framing of the visual materials about immigrant workers. By identifying how it influenced the students, the study ensured to suggest new framings designed to alleviate negative attitudes. Second,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interactions of the student’s sense of social distance with the framing of the material. 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n the condition that the learners are passive. However, this study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framing could differ by the active learners’ sense of social distance. Third, it fou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ocial distance toward immigrant workers in the venu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though previous research found out what affects over the social distance, they failed to examine the issues within the education site. However, this study carries a major significance because it found out the problems of the framing by analyzing the framing in use, students' sense of social feeling and its impact. It is necessary that follow-up work should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location of the participants, which was limited to the Inchon area, would have to be expanded to include other areas. Also, precise tools that can cover the quality of the variates of the sense of distance should be used. Addition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would change through multiple rounds of video framings, not through a one-time similar experimental study. Key word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raming effect, immigrant workers, student’s previous sense of social distance, social distance, prejudice, attitudes Student Number : 2010-21475 국문초록 경제성장과 세계화로 인해 우리나라로 이주 노동자와 결혼 이민자들이 꾸준히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확산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 중요한 교육적 과제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 편견완화를 목표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방법으로 영상물이 활용되고 있다. 영상물은 학생들에게 이주노동자의 문화를 이해하고 이들 문제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데 유용하다. 그러나 이주노동자에 대한 특정 주제나 내용을 강조하는 영상물 프레이밍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편견을 고착화 하거나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기 보다 자신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대상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대상에 대한 관점을 형성하는 능동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까지 다문화 교육에서 활용된 영상물은 이주노동자를 ‘동정이나 연민’의 대상, ‘도움을 받아야하는 존재’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프레이밍은 이주노동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태도를 활성화시켜 편견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되는 영상물의 프레이밍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과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영상물프레이밍과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영상물 교육에 대한 논의, 영상물 프레이밍과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대상에 대한 태도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주 가 설] : 서로 다른 영상물 프레이밍은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보조 가설 1] 사전 사회적 거리감이 같은 경우, 서로 다른 영상 프레이밍은 사후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을 다르게 한다. 보조 가설 2] 사전 사회적 거리감이 다른 경우, 서로 같은 영상 프레이밍을 사용해도 사후 사회적 거리감의 변화율은 다르다. 가설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능․동정’ 과 ‘유능․존경’ 프레이밍의 영상물을 활용하여 유사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 검증을 거친 결과, 주가설 , 보조가설 1, 2는 채택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영상물의 프레이밍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활용되었던 이주노동자에 대한 영상물 프레이밍을 반성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정은 영상물 프레이밍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의 편견을 완화하는 영상물 프레이밍을 제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거리감과 영상물 프레이밍과의 상호작용을 밝혀냈다는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학생들을 영상물에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는 존재로 인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은 의미를 만들어내는 능동적인 존재로 인식하여 학생들이 본래 가지고 있었던 사회적 거리감에 따라 영상물 프레이밍 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아냈다. 셋째,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다문화 교육이 실시되는 교육현장에서 찾아냈다는 의의가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긴 했지만 그것을 교육 현장에서 찾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문화 교육에 활용되는 영상물 프레이밍과 학생들의 사회적 거리감과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 교육에서 활용되는 영상물 프레이밍의 문제점을 밝혀냈기 때문에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가 갖는 한계를 보완하는 여러 가지 노력이 필요하다. 먼저 연구 대상을 인천지역으로 한정한 것을 다른 지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영상물 프레이밍을 활용하여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프레이밍을 제안해야 하며, 일회적인 유사 실험연구가 아니라 여러 번의 영상물 프레이밍에 학생들을 노출시켜 학생들의 내적인 태도 변화까지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요어 : 다문화 교육, 프레이밍 효과, 이주 노동자, 학생들이 본래가지고 있던 사회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 편견, 태도 학 번 : 2010-21475

      • 패러디 글쓰기를 활용한 <공방전(孔方傳)>의 교수?학습 방법 연구

        김유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가전(假傳) 갈래의 특성에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에 패러디 글쓰기를 활용해 가전(假傳)을 지도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가전(假傳)은 독자적이고 체계화된 형식을 갖춘 고전 산문 양식의 하나로서 문학사적으로도 간과할 수 없는 위상을 갖고 있다. 그런데 가전(假傳)을 문학 교과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경우가 적다. 그리고 소개하더라도 일부분만 싣고 있어서 가전(假傳) 갈래의 특성을 탐구하기 어렵다. 한편 선행 연구를 살펴본 결과 가전(假傳)의 교수․학습을 위해 글쓰기를 활용한 사례는 많으나,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구체화한 연구는 없었다. 그리고 패러디 글쓰기를 교육활동에 도입하여 효과를 입증한 사례는 많지만, 가전(假傳) 갈래에는 적용해 성과를 거둔 사례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전(假傳) 갈래의 제재를 선정하여 패러디 글쓰기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전(假傳) 패러디 글쓰기의 교육 요소는 총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작품을 작가, 사회․문화적 배경, 상호 텍스트성 등 다양한 맥락을 고려해 이해하고 감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전(假傳)은 작가가 당대의 세태에 관한 생각을 밝히고자 창작된 갈래이므로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두 번째는 문학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짐을 이해하고 작품을 감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전(假傳)은 체계화된 형식을 통해 주제를 드러내는 갈래라는 점에서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번째는 작품을 읽고 다양한 시각에서 재구성하거나 주체적 관점에서 창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전(假傳)을 패러디하여 글을 쓰는 활동을 하면 학생들이 원작을 오늘날의 다양한 맥락을 고려해 재구성하고 주체적 창작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제재로는 <공방전(孔方傳)>을 선정했다. 가전(假傳) 중에서도 문학적․교육적 가치가 높고, 학습자의 관심 및 생활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될 수 있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교육 요소 세 가지를 반영해 학습 목표를 세우고, <공방전(孔方傳)>을 제재로 하여 총 5차시의 교수․학습을 전개했다. 교수․학습의 1차시에는 등장인물의 특성과 그에 관한 작가의 생각을 정리해 봄으로써 내용을 파악하도록 했다. 그리고 내용상 세 부분으로 구분해 봄으로써 가전(假傳)의 구성 방식을 이해하도록 도왔다. 2차시에서는 작품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작가의 삶에 관한 글을 제시하고, 이를 고려해 작품의 주제를 파악해 보도록 하였다. 3차시에는 음악 패러디와 관련된 법정 다툼을 소개하여 패러디의 개념과 조건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패러디의 개념과 유형을 소개한 뒤 예시를 제시해 학생들이 구분해 보도록 하였다. 4~5차시에는 의인화할 대상, 의인화할 대상과 유사한 것, 표현하고 싶은 주제 등에 관한 글쓰기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러디 가전(假傳)을 창작하는 활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패러디 글쓰기를 가전(假傳) 교수․학습에 활용하는 것은 작품을 탐독하여 갈래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글쓰기 효능감을 높이고, 자아 및 세계에 대한 성찰을 통해 바른 가치관을 함양하는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고전 문학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共同住宅 家族構成 類型別 電力消費特性에 관한 硏究

        김유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Korea is an energy-guzzling country. Economic reasons in the country force its households to save more energy. Korea's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has grown slow compared to other sectors and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per capita is lower than the OECD average. However, its per capita electricity consumption soared and expected to keep climbing mainly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y against a possible electricity shortage,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electricity energy consumption needs to be understood clearly first. This study adopted both general survey and detailed survey for people living in apartment housings and collected data on electrical appliance use according to individual schedule. Based on these data, the results tried to analyze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s resulting from energy using activities at resident and find out electricity consumption propensity according to each household member's characteristics in apartment housings.

      • 일반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에 관한 연구

        김유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자기결정권을 바탕으로 한 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과 개정으로 일반인들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를 파악하여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작성의지의 영향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태도, 작성의지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의료의향서에 지식, 태도, 작성의지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8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서울 일개 대학, 대형서점, 문화센터, 대형 쇼핑몰 등을 이용하는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173명을 조사하여 응답률이 불충분한 12부를 제외한 161부를 카이제곱 분석,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6.6±1.9점으로 조사되었고, 태도는 64점 만점에 43.4±3점으로 비교적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의 지식은 태도에 대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r=.285, p<.001), 사전의료의향서의 태도는 작성의지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281, p<.001),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의지는 지식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188, p=.017)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과 사전의사결정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생각하는 태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전의료의향서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해서는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하고 여러 대상자를 대상으로 교육하고 홍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write advance healthcare directives (AHD)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among lay people.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a large bookstore, a cultural center, and a large shopping mall in Seoul. A total of 161 adults aged between 19 and 65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the chi-squared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knowledge level on the AHD and the levels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AHD were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6.6±1.9 out of 9 and 43.4±3.7 out of 64, respectively. The knowledg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AHD (r=.285, p<.001). The attitud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willingness to write an AHD (r=-.281, p<.001). Besides, the willingness to write the AH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nowledge level on the AHD (r=-.188, p=.017).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write an AHD were age and the thought of the potential impact of AHD on family relationshi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lay people with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H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find ways to encourage people to have a positive attitude and increase the willingness to write the AHD.

      • 일반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활용 가능한 시스템 사고 기반 지구과학 탐구 모듈 개발 및 효과 :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의 적용

        김유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The study aims to develop an inquiry module that can be used in a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al environment by applying systems thinking and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o verify conceptual comprehension, curriculum consistency, and field suitability. The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general high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whe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mplemented is developed, and the effect is analyzed by applying it to general high schools whe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mplemented. Second, the core concepts are identifi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 body contents in a sementic network, and the connection between concepts is analyzed to use the analysis results as a criterion for systems thinking level evaluation rubric. Third, the developed inquiry module is combined and applied to general high schools' school curriculum and collaborative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Marine Club class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by analyzing the conceptual comprehens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through systems thinking. For this study, prior studies related to systems thinking, inquiry modules,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results, a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and a systems thinking evaluation rubric based on sementic network analysis were developed. The completed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and systems thinking evaluation rubric were applied to the school curriculum, the collaborative curriculum, and club activities of general high schools wher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implemented. 70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conceptual comprehension through systems thinking, and the response results were transcribed and compared to the results of sementic network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and analysis of six experts, educational fixation consistency and field suitability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standards for achiev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arth science, 2015 revised curriculum earth science I, and 6 textboo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arth science I, and developed 6 subject inquiry modules according to the 5th stage of the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model.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sementic network analysis, systems thinking scoring criteria were proposed, and the accuracy of the scoring results using sementic network analysis-based systems thinking scoring rubric was reaffirm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causal map and visual thinking map.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it to Earth Science I of the in-school curriculum, Advanced Earth Science of the collaborative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Marine Club class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mosphere and the ocean by applying systems thinking. In addition, based on the verified curriculum consistency and field suitability, a plan that can be used for high school science subjects was proposed. The systems thinking application inquiry module developed in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ers' ability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strengthen autonomy required b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for capacity building education to solve complex problems that meet the purpose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by analyzing systems thinking with rubric based on the results of sementic network analysis,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combination of sementic network analysis and systems thinking. These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the direction of writing textbooks by incorporating systems thinking into the next-generation revised curriculum. 과학기술산업의 발달에 따라 순수한 어느 한 분야에서 성공하는 것이 한계점에 이르렀고 여러 분야가 서로 상생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융합이 실행되고 있다. 융합은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교육 현장에서는 융합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복잡한 문제상황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시스템 사고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고등 사고 능력으로 교육 현장에 시스템 사고 기반의 탐구 활동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탐구 모듈을 시스템 사고와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개발하고 현장에 활용하여 개념 이해도, 교육과정 정합성, 현장 적합성을 근거로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사고를 기반으로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의 탐구 모듈을 개발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하고 핵심 개념과 개념 간의 연계성을 산출하여 시스템 사고 평가에 적용한다. 셋째, 시스템 사고 기반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탐구 모듈을 적용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개념 이해도를 분석한다. 넷째, 교육과정 정합성 및 현장 적합성 분석을 통해 시스템 사고 기반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탐구 모듈의 효과를 검증한다. 이 연구를 위해 시스템 사고, 탐구 모듈, 언어 네트워크 분석,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에 활용 가능한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 모형 및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의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반의 시스템 사고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과 시스템 사고 평가 루브릭을 고교학점제가 시행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적용하여 시스템 사고를 통한 개념 이해도를 분석하고, 응답 결과를 전사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는 재확인의 과정을 거쳤다. 또 전문가 6인의 내용 타당도 검사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정합성과 현장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하고, 탐구활동 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의 탐구활동 유형은 조사 및 자료 해석에 편중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DBAS 모형을 일반계 고등학교 환경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6개의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을 개발하였다. 둘째,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탐구 모듈별 시스템 사고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인과지도, 비주얼 씽킹맵을 채점하였다. 학생의 응답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한 결과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시스템 사고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개념 이해도를 분석하였다. 개발한 개념 이해도 검사지, 시스템 사고 채점 루브릭 및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생 활동지 응답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이 시스템 사고를 활용하여 학습한 개념을 이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개발된 탐구 모듈을 세 가지 유형으로 조합하여 학교 교육과정,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동아리 활동에 적용한 뒤, 학생의 성취수준 도달여부를 확인하였고, 전문가 6인의 내용 타당도 검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정합성과 현장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로 개발된 시스템 사고 기반 탐구 모듈은 고교학점제에서 요구하고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및 자율성 강화에 대한 대비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부합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 함양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에 근거한 루브릭으로 시스템 사고를 분석함으로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시스템 사고의 접목이라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개정 교육과정에 시스템 사고를 접목하여 교과서를 집필할 수 있는 방향성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려 사학 12공도의 교육과정과 그 특징

        김유란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거란의 침입으로 혼란해진 고려사회는 사학이 발달하면서 쇠퇴한 학문을 다시 일으키게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고려의 유학발달에도 큰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시대의 사학발달이 고려사회에 끼친 영향에 주목해 그 원인을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내부적 요인인 교육과정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사학 12공도의 교육과정을 통해 사학 12공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그 발달원인을 살펴보았다. 사학 12공도의 교육목적은 경학중심의 학습을 통해 과거에 합격할 수 있는 유능한 관리를 양성하는 것이다. 또한 인의와 인륜도덕을 바로 세우고 그러한 유교적 예교의 실천적 정신함양과 수기치인의 정신이다. 교육평가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일종의 형성평가인 각촉부시이다. 또한 사시라고 하는 정식과거가 아닌 시험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며 고려말기가 되면 관학화 되면서 국가가 12공도생들을 평가하기도 하였다. 교육내용은 9재명을 통해서 유생으로서 학도들이 갖추어야할 덕목을 가르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9경과 3사, 시· 부· 사장등의 문학을 교육하였을 것이다. 사학 12공도는 과거급제를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것을 실현하는 교육방법은 대개 암기나 주입식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독특한 교육방법으로 자연과 더불어 풍류적 문장을 접하는 하과를 꼽을 수 있다. 또한 하과 중에 각촉부시를 실시함으로써 순발력과 과거의 연습으로 삼았다. 이러한 사학이 교육과정적인 면에서 갖는 관학과의 차이점으로는 국자감 초기에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수립이 부재하였던 것을 들 수 있다. 이것은 한발 앞서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수립하여 그에 적합한 교수를 하였던 사학 12공도에게 귀족들이 더욱더 매력을 느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예종대에 이르면 국자감에서 7재를 설치하였지만, 7재의 성격 또한 최충의 문헌공도에서 나온 9재의 성격을 모방하였음은 그 명칭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다. 이것은 국자감이 사학을 뛰어넘어 교육개혁을 한 것이 아니라 사학 교육과정의 형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계로 지적된다. 사학은 오랜 시간을 통해 그 교육과정과 운영의 전통이 확립되어 있는 상태였으므로 사학 교육과정의 형식을 벗어나지 못한 국자감의 7재는 귀족들에게 큰 매력으로 다가오지 못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국자감은 학교의 성격만을 가진 것이 아니라 국가에서 운영하는 행정기구의 성격도 가지고 있었으므로 교육적인 면에만 집중할 수는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교육과정 또한 형식적인 면을 고려해야 했으며, 그것은 실효를 가져다주는 교육과정과는 거리가 멀었으므로 사학이 국자감보다 더욱 발달하였으리라 추정된다. 사학 12공도는 실제 과거에 급제하여 많은 수의 학도들이 관리로 등용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12공도의 출신들이 고려사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인재가 되어 활약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사학교육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성과를 찾을 수 있으며, 사학 12공도는 교육의 양적기회와 질적 수준을 높이는 성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s during the Goryeo(高麗) period on Goryeo society, and tried to discover the reasons for the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of the school which is an internal factor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Through the curriculum of twelve private schools, the researcher was able to understand the twelve private schools, and, at the same time, investigated w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such private schools. The purpose of education of the twelve private schools was to train competent civil servant candidates through classical studies-oriented curriculum inasmuch as they could pass Gwageo (科擧). Furthermore, the purpose of training civil servant candidates was to restore humanness and righteousness as well as human imperatives and ethics or morality, and also it was aimed to encourage civil servant candidates to keep spiritual cultivation practically according to the disciplines of Confucian Ethics, upholding the spirit of 'Sugichiin' (修己治人). The thing that can represent education evaluation is 'Gakchokbusi' (刻燭賦詩), which is a kind of formative evaluation. It is presumed that probably there was an examination called private exams for classics or literary licentiate, which was not official state examination. Reaching the end of Goryeo period, occasionally the state evaluated the students from twelve private schools following the government policy to establish a government-operated academy. As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researcher found that the school had taught students the virtues that they should have to uphold as Confucian scholars through 'Gujaemyeong' (九齋名). Also, it is thought that the masters of school had taught 'Gugyeong' (九經) and 'Samsa' (三史) to their disciples, as well as literatures including 'Shi' (時), ‘Bu' (賦), 'Sajang' (詞章), and so forth. As the students of twelve private schools aimed for the success on the state examination, it is regarded as that they were taught most likely by means of rote memory or cramming in order to accomplish such goal. Meanwhile, however, one of most unique teaching methods shall be 'Hagwa' (夏課) in which students could have opportunity to deal with stylish prose and poetry satiating their appreciation for the arts living together with nature. In addition, during their summer camp, they sharpened their literary skills to be ready for the state examination by practicing 'Gakchokbusi.' As to the things underlying in the private schools which differ from 'Gwanhak' (官學) is the fact that there were no systematic efforts and procedures in order to develop curriculums at the early stage of 'Gukjagam' (國子監). In the meantime, the twelve private schools provided appropriate method for teaching to fit the situation one step ahead, having established curriculums in a systematic way. Even though the Seven-Hall Institute was established at 'Gukjagam' during the reign of King Yejong,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is was not educational reform that surpassed the system of the private schools, but regarded as the limits of the measure that the Seven-Hall Institute would not be able to get rid of the form of conventional curriculums practiced by the private schools. Also, this measure had produced no actual results because the aspect of formality had to be considered.

      • 중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유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Introduction and STEAM programs based on systems thinking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previous studie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developmental theme and model of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 first-graders and 4 third-graders in U middle-school located in the countryside of Kyungpook province.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students’ systems thinking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rubrics developed by Hung(2008). The results were reviewed by expert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In addition, the analyzing data from the rubrics, students’ awareness of systems thinking, word association, causal map and interviews were systematically compared to confirm the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program of the systems thinking and teachers’ guidebook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cept of systems thinking and causal map wa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The introduction program is consisted of familiar entertainment program - Infinite challenge (Muhandojeon) - with a theme of Global Warming. Second, the STEAM education program based on systems thinking was composed of 5 steps: Analysis – Design – Build – Assessment - Systems thinking. The major theme of the program was an air extinguisher. The developed STEAM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middle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bilities such as understanding system, relation within system and system generalization. In conclusion, the Introduction and STEAM program in this study could affect significant meanings to improve middle-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creative STEAM literacy with systems thinking.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향상에 적합한 사전 교육 및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생에게 적용하여 시스템 사고 능력의 효과를 검증 하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문헌 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의 방향을 시스템 사고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으로 정하고 프로그램 주제 및 개발 모형을 선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 초안의 적절성의 위해 2회에 걸쳐 예비 적용과 전문가 집단의 컨설팅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면 소재지 U 중학교 1학년 4명, 3학년 4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스템 사고의 분석은 Hung(2008)에 의해 개발된 루브릭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시스템 사고 전문가 1인, 박사과정 1인, 석사과정 1인에게 검토를 받아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루브릭 결과와 시스템 사고 측정 도구인 단어 간 관계 분석, 인과 지도의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면담을 통해 타당도를 재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시스템 사고의 개념과 인과지도 작성법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시키기 위해 시스템 사고 사전 교육 프로그램과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사전 교육 프로그램은 ‘지구 온난화’를 주제로 한 무한도전이라는 친숙한 예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과 지도 작성 방법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었고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사전 교육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분석(Analysis)-설계(Design)-제작(Build)-평가(Assessment)-시스템 사고(Systems thinking)의 5단계로 구성된 ADBAS 모형을 적용하여 ‘공기 소화기’ 주제의 시스템 사고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 사고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시스템의 이해 능력, 시스템 내 관계 파악 능력, 시스템 일반화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로 개발된 시스템 사전 교육 프로그램 및 시스템 사고 기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은 학생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돕는데 적합하며 시스템 사고와 융합인재교육의 접목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해 이 프로그램을 투입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어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Fetal bovine serum이 MTA 경화에 미치는 영향

        김유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2종의 white MTA를 fetal bovine serum과 접촉시켰을 때 MTA의 경화 양상을 관찰하고 이에 미치는 CaCl2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미세표면경도를 측정하는 것이었다. 2종의 white MTA(ProRoot? MTA 및 MTA-Angelus?)를 대상으로 각 MTA 마다 4개의 군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처리 하였다. 1군(saline군-control)-MTA를 증류수와 혼합한 후 saline에 침전시킴. 2군(FBS군)-MTA를 증류수와 혼합한 후 FBS에 침전시킴. 3군(FBS→saline군)-MTA를 증류수와 혼합한 후 FBS에 5분간 접촉시키고 saline으로 옮겨 침전시킴. 4군(FBS(CaCl2)군)-MTA를 10% CaCl2와 혼합한 후 FBS에 침전시킴. 4일 후 침전액과 접촉한 바닥으로부터 0.5mm, 2mm, 4mm에서 미세표면경도를 측정하였다. 미세 표면 경도의 측정 결과는 Two-way ANOVA를 이용해 측정 위치에 따른 군간 차이를 알아보았고, Tukey로 사후검정 하였다. P value < 0.05 수준을 통계적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다. 실험결과 0.5mm 및 2mm의 FBS군, 0.5mm Angelus-FBS(CaCl2)군에서는 MTA가 경화되지 않았으나 나머지 다른 군에서는 MTA가 경화되었다. 2mm 에서 FBS(CaCl2)군은 control 군과 유사한 미세 표면 경도를 보였다. 4mm에서는 모든 군에서 MTA가 경화되었으며, Serum군, FBS→saline군, FBS(CaCl2)군 모두 control군과 유사한 미세 표면 경도를 보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치근단 충전을 위해 MTA를 사용하는 경우 MTA가 생리적 용액에 접촉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경우 MTA 경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단, MTA가 치근단 부위에서 삼출액에 의해 지속적으로 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MTA를 혼합하는 액으로 10% CaCl2를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