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간 위암 조직의 프로테옴 분석 : 암조직에서 Rho GDP dissociation inhibitor-1,-2의 과발현 /d金유娜 [저]

        김유나 경상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Gastric cancer remain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 worldwide. Advances in diagnostic and treatment technologies have enabled us to offer excellent long-term survival results for early gastric cancer, but prognosis of advanced gastric cancer still remains poor. The aim of this work was to figure out the protein components that are differentially expressed in stomach cancer tissues to develop the protein candidates for tumor marker.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proteomes of 152 stomach cancer tissue samples and compared with those of noncancerous tissues of the same patients. Human stomach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from resection materials of gastric cancer patients. The proteins of stomach tissues were analyz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stained with silver nitrate and the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aid of PDQuest^(TM). Of the 152 samples that gave readable gel image, 11 samples were positive for overexpression (with a cutoff value of 3.0) of the spot 3211 and 17 samples were positive for overexpression of the spot 3233. The spot was excised from preparative gels, digested by trypsin, and subjected to peptide mass fingerprinting. The spot was identified to be Rho GDP dissociation inhibitor 1 and 2, with the sequence coverage of 28% and 29%, respectively. In the previous studies reported, RhoGDI has been associated with tumor cell invasion in ovarian cancer and RhoGDI was overexpressed in breast cancer. We first found that RhoGDI-1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human stomach cancer.

      •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의 예술적 의의에 관한 연구 :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중심으로

        김유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인터랙티브 아트(Interactive art)에서 관객은 관조자에서 행위자로 역할이 변화한다. 인터랙티브 아트란 작품을 구성하는 행위자의 역할을 감상자에게 제시되는 형식의 예술이다. 즉,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객과 작품이 소통하는 구조를 가진다.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의 경험은 작품의 의미가 된다. 작품 안에서 관객의 경험은 개인과 작품이라는 환경 안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그리고 그 경험은 참여와 소통을 통해 작품을 완성하는 요소가 된다. 이는 과거에 예술가의 경험을 토대로 작품이 완성되었던 것과는 달리, 관객이 작품과 관계를 맺고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작품의 본질 혹은 의미를 찾아 작품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인터렉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에 의한 경험의 의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는가’라는 문제의 해결을 목표로 한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관객 참여를 통해 얻는 경험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존 듀이의 이론을 토대로 설명한다. 1절에서는 과거 서구철학에서 말하는 경험의 의미와 존 듀이가 주장하는 경험의 의미가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에서 핵심이 되는 '하나의 경험'에 대해서 다룬다. 2절에서는 존 듀이가 주장한 예술과 '미적 경험'이 과거 서구철학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알아보고, 존 듀이가 주장하는 '미적 경험'에 대해 규명 한다. 즉, 이 장에서는 '하나의 경험과 미적 경험 사이의 관계'와 '미적 경험'의 차별화된 특징이 무엇인지 논의한다. 3장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존 듀이의 경험이론을 인터랙티브 아트에 적용하여 예술적 가치를 규명한다. 1절에서는 현대 예술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고찰하고, 인터랙티브 아트의 대표적인 3가지의 특징인 공간, 인터페이스, 관객의 역할을 설명한다. 2절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존 듀이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음을 규명한다. 그리고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중에서 토니 도브(Toni Dove),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 모리스 베나윤(Mourice Benayoun)의 작품을 존 듀이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존 듀이의 ‘미적 경험’은 예술작품으로서 완성하는 경험이다. 존 듀이는 예술작품을 완성하는 것은 예술가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관객이 작품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경험으로 재창조해야 예술작품(work of art)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논문에서 주장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는 작가가 작품 안에 사회적, 문화적, 개인적인 내용을 담고 있고, 관객이 작품 안의 의미나 본질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를 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이 과정 안에서 관객은 질성적 사고에 의해 작품을 완성하는 ‘미적 경험’을 하기에 인터랙티브 아트가 예술적 의의를 지닐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Interactive art is a form of art that encourages spectators to play the roles of actors in the presentation of work. That is, it allows the audience to change their role from observer to actor and become a part of an artwork. This structure of interactive work between the audience and artwork is the essence of interactive art. The audience experience is the meaning of interactive artwork. In artworks, the audience experience occurs as a result of interactive environment between individuals and artwork. Furthermore, such experiences become elements that complete the artwork through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Unlike traditional art created through the artist experience, an interactive art is created when the audience engages and interacts with artwork in pursuit of its essence or meaning. In this sense, this study aims to tackl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experiences of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artwork can have artistic significance with reference to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n Section 2 of this study, the participating audience's experiences are analyzed and discussed on the basis of John Dewey's theory. Clause 1 describes how the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offers an explanation of "An experience," which is a key element of his Art as Experience. Clause 2 discusses how the "aesthetic experience" claimed by John Dewey is different from that defined previously in western philosophy and explains what "aesthetic experience" is. In other words, the author add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s well as how "the latter is differentiated from the former." In Section 3, interactive art is analyzed in details, and John Dewey's Art as Experience is incorporated in interactive art to determine artistic significance. Clause 1 provides insight into how interaction is created in contemporary art and the three essential elements of interactive arts: space, interface and the role of spectators. Clause 2 explains interactive art interpreted from John Dewey's viewpoint and suggests that the interactive art analyzed has significant value as art. To support this claim, interactive works of Toni Dove, Olafur Eliasson and Mourice Benayoun were analyzed in terms of John Dewey's theory. His aesthetic experience refers to experiences that are complete as an artwork. John Dewey asserted that work of artists can be recognized as work of art when the audience understands and recreates i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with the work, beyond the artists' contribution to their work. In this study, the author defined interactive art as an art form in which the artists utilize their own social, cultural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the audience becomes immersed into the meaning or essence of artwork for art production. During this completion process, the audience develops "aesthetic experience" derived from their qualitative thought, which lead to the conclusion that interactive art has special significance to the audience.

      •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김유나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youth, Career maturity which improve their abilities and interest is developed the most actively through the process which select and determine the future course. So, in spite that the school which the youth spend most of time should provide a opportunity of proper career research and education, a career maturity development task was relatively considered less important than academic achievement and college entrance exams.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at factor affects to school adjustment in 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which is not yet.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h the youth? secondly, how is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oh the youth? thirdly, how much does the youth's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have influence upo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568 students at their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of four school at Incheon, that is to say, four coeducational high school. 50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xcluding 25 copies having inadequate answers. The finding were as follows: A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eer maturity level had relation with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level did after the youth's general factor variables are controlled. Also, career maturity level had relation with grade and gender, control variables. The confidence and the orientation of sub-variables for career maturity which influence upon the youth's school adjustment, more specifically the confidence and the orientation influence upon school teacher-related adjustment,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school instruction-related adjustment, school friend-related adjustment,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Also, the decisiveness influence upon school friend-related adjustment, the independence influence upon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and fi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On the theoretical side, this study contributed to insistence and theory of pre-research about school adjustment by verifying the impact which career maturity influence upo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maturity can be a factor explaining some part of school adjustment. secondly, this study also supported insistence of pre-research which there is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by verifying that gender, grade, constituent family members have a relation with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the need about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nsultant program is emphasized through the result that career maturity affects school adjustment, and found that school adjustment can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factors of confidence and orientation. 청소년기는 자신의 흥미와 이에 맞는 능력을 개발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진로성숙이 가장 활발하게 탐색되고 발달되어진다. 따라서 청소년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는 학교에서 발달단계에 맞는 진로성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한 진로탐색 및 교육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업성취와 대학입시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진로탐색 및 진로성숙과 같은 발달과업이 상대적으로 경시되다가 최근에서야 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진로성숙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신의 적성과 진로탐색을 이룬 청소년이 자신이 계획한 진로를 이루기 위해 학교에서의 과업달성과 학교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최근의 관심을 반영하여,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진로성숙 요인이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청소년의 학교적응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청소년의 진로성숙 수준은 학교적응 수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본연구의 대상은 인천 지역에서 임의적으로 선정된 남녀공학 인문계 고등학교 4개교의 1학년과 2학년학생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01개의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체 학생은 남학생이 237명(47.3%), 여학생이 264명(52.7%)이었으며, 응답자 중 1학년은 244명(48.7%), 2학년은 257명(51.3%)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정의 월 평균 가계소득에 대한 결과로는 월 평균 200~300만원의 소득수준이 26.5%(133명)로 가장 많았으며, 300~400만원의 소득수준은 22.2%(111명), 400만원 이상의 소득수준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6.0%(8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에 대한 청소년들의 응답에서 친아버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6.8%(385명), 한부모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5.8%(79명), 재혼 가정이라고 응답한 학생은 10명(2.0%)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진로성숙의 전반적인 수준은 진로성숙의 총 평균이 134.27점이며, 그 하위변인은 진로준비성이 29.46점으로 가장 높았고, 진로목적성 23.12점으로 가장 낮았다.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인 성별과 학년, 소득수준, 가족구성에 따라 진로성숙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청소년의 진로성숙은 여학생(M=136.47)이 남학생(M=131.83)보다 진로성숙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의 평균은 1학년(M=134.84)보다 2학년(M=133.74)이 다소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소득수준에 따른 진로성숙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F=1.342, P=.245), 가족구성에 따른 진로성숙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역시 친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을 가정과 한부모가정, 재혼가정, 부모님이 계시지 않는 가정, 기타의 각 항목별 진로성숙의 평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220, P=.927). 응답자의 학교적응의 전반적인 수준을 알아보았을 때, 학교적응의 총 평균은 134.27점이며, 학교교사적응(21.64점) 평균이 가장 높았고, 학교생활적응(14.93점)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학교적응의 평균과 학년에 따른 학교적응 평균의 차이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가구소득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는 150~200만원의 소득수준일 경우 평균이 91.23으로 가장 높았고, 100만원 이하의 소득수준일 때는 85.05로 가장 낮았으나, 본 연구의 소득별 학교적응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구성의 평균 차이는 친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는 경우 평균이 90.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각 집단별 평균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고(F=1.223, P=.300), 가족구성의 하위변인을 친아버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재분류하였을 때에는 친아버지와 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교적응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독립변수인 진로성숙이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독립변수와 통제변수를 포함한 각 변수들과 종속변수의 회귀모형을 세워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설명력은 12.7%로 나타났으며,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변수인 학년(=-.129, P=.003), 성별(=-.090, P=.041)의 유의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진로성숙(=.243, P=.000)은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성숙의 하위변수들로는 진로확신성(=.247, P=.000)과 진로준비성(=.300, P=.000)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더욱 구체적으로 학교적응의 각 하위변인에 대한 진로성숙 하위변인의 설명력을 분석해본 결과 학교교사적응, 학교생활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환경적응에는 공통적으로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인 진로확신성과 진로준비성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친구적응에는 진로결정성(=-2.064, P=.040)이 학교환경적응에는 진로독립성(=.224, P=.011)이 또한 영향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의 함의를 찾으면 다음과 같다.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첫째,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서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적응 중 일부를 설명해 주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이론을 뒷받침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이며 둘째, 청소년의 성별, 학년, 가족구조가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관계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서 성별과 학년에 따라 학교적응의 정도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실천적인 함의는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진로교육 및 진로상담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됨과 더불어 진로성숙의 하위변인인 준비성과 확신성의 요소를 강화하여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구심적 연방주의에 관한 연구 : 네팔민주연방공화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유나 한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다양성 가운데 통일성을 추구하는 원리인 연방주의는 정적인 측면과 동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과정개념으로서의 연방주의는 ‘구심력과 원심력의 긴장’으로 표현되며 통일성과 다양성 사이에서 통합과 분열을 되풀이하는 움직임이다. 이 러한 다이나믹은 사안마다, 시대적 요청과 각 국가의 상황에 따라 힘의 균형점을 찾아 역동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연방주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정도(degree)의 문제라 볼 수 있다. 주권론의 관점에서 설명하기 어려운 이중의 소속을 갖는 민주적 연방주의는 그렇기 때문에 주권이 아니라 헌법에 의 하여 제도화된다. 입헌주의의 관점에서 헌법상의 표현에 의해 연방정치체제를 구분할 수 있다면, 비집권의 관점에서 다극의 중앙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연방정치체제를 단방정치 체제와 구분할 수도 있다. 연방정치체제는 비집권화의 논리에 의해 권위의 집중을 각 장으로 분산하는 비집권적 문제해결단위를 형성한다. 이와 달리 단방정치체제는 중앙으로 권위를 집중하고 그 분여로서 분권화를 이룬다. 연방정치체제에 있어 서 비집중화의 구조는 종종 분권화와 혼동되어 사용되기는 하지만 결코 하나의 극점을 설정하게 되는 집권화의 논리와 같은 차원에 둘 수 없다. 단방정치체제에 있어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이 하나의 분석 틀인 것처럼, 비집권의 연방정치체제는 이와는 달리 권력의 구심적 형태와 원심적 형태라는 분석 틀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은 이처럼 비집권 혹은 다극의 중앙을 형성하는 원리인 연방주의에 있어서 연방단위체와 연방구성단위체의 권력의 집중 정도를 구심과 원심의 정도의 차이로 명명하는 것을 제안한다. 구심적/원심적 연방주의의 구분은 어디까지나 각 시대와 공간의 주어진 상황 속에서 연방정치체제를 대상으로 그 역동적 특성과 형성조건, 변화 등을 논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렇게 정치의 구심력과 원심력을 부등호로 표현하게 될 경우 연방주의의 동태적 개념이 더욱 잘 드러날 수 있다. 네팔은 2015년에 연방주의를 시작한 신생 연방국가이다. 단 한 번도 연방주의를 운영해 본 적이 없는 국가로서 깊은 중앙집권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단방국가의 오랜 형태를 연방국가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연방주의의 모습은 갖추었지만 굉장히 구심적인 형태가 드러난다. 네팔의 군주제 종식과 민주주의, 헌법제정 및 연방주의로의 이행은 1996년부터 10년간 있었던 마오이스트 항쟁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마오이스트 항쟁의 배경에는 동시에 네팔의 토착 민족들이 국가 통치에서 항상 배제되고 사회‧경제적으 로 심각한 불이익을 받아왔던 배경이 있다. 그러나 연방의 구조와 경계에 관하여 제1차 제헌의회에서는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주요 정당은 영토에 기반한 연방주의를 주장한 데 반하여 마오이스트 정당과 마데시 정당은 종족적 정체성에 기초한 연방주의를 주장하였다. 결국 제2 차 제헌의회에서 선택된 것은 영토에 기반한 연방주의에 가까운 형태였다. 이러한 논의의 과정에서 네팔의 연방주의를 구심적으로 이끈 것은 분리주의에 대한 위험이라고 할 수 있다. 분리주의에 대한 위험이 커질수록 위기의식에 대한 반작용으로 국가 주권과 영토적 통합에 대한 강제력 역시 커져갔다. 이 논문은 이 처럼 분리주의에 대한 위험을 독립 변수로 놓고, 권력의 구심화를 종속 변수로 평가하였다. 분리주의에 대한 위험을 강화시킨 것은 마오이스트들의 자결권에 대한 해석, 지역 정당 지도자들의 분리주의를 무기로 한 위협, 마데시를 대신하여 네팔 국내 정치에 개입한 인도의 영향이 있었다. 분리주의의 위협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요 정당은 사회 정의를 위한 권리, 포용 적 민주주의, 포용적 비례의 원칙을 헌법에 대폭 받아들였다. 자결권을 부여하여 분리주의의 위험을 높이는 것보다 구체적으로 중앙 정치 권리를 비례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내전과 분리 사이의 실존의 양식으로서 연방주의를 택한 네팔의 현실이다. Federalism, the principle of persuasion of unity among diversity, has both static and dynamic aspects. Federalism as a process concept is expressed as the tension between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and is a movement that repeats integration and division between unity and diversity. This dynamic is determined dramatically by finding a balance of power in each case,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 situation of each country. For this reason, federalism can be viewed as a matter of degree with a broad spectrum. Hence, democratic federalism with dual affiliation is institutionalized not by sovereignty but by the constitution. If the constitutionalism point of view can distinguish the federal political system by the expression of the constitu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stinguish the federal political system with the logic of non-centralization which forms the multiple centers, from the unitary political system. The federal political system forms a non-centralized problem-solving unit that disperses the concentration of authority to each area according to the logic of non-centralization. In contrast, a unitary political system concentrates authority at the center and achieves decentralization as a distribution of authority. Although the structure of non-centralization in the federal political system is often confused with decentralization, it cannot be placed on the same level as the logic of centralization, which sets a pole. Just as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re one analytical framework in a unitary political system, a non-centralized federal political system can use an analytical framework of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ms of power. This thesis proposed to name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f power between the federal unit and the federal constituent unit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entripetal and centrifugal degrees in federalism, which is the principle that forms the non-centralization or multi-polarity. The distinction between centripetal/centrifugal federalism is a concept for discuss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formation conditions, and changes of the federal political system in the given circumstances of each era and space. If the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of politics are expressed as an inequality sign, the dynamic concept of federalism can be revealed more clearly. Nepal is a new federal-state that started federalism in 2015. As a country that had never run federalism, it had a deeply centralized structur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this old form of a unitary state to a federal state, federalism took shape, but a very centripetal form was revealed. Nepal's end of the monarchy and the transition to democracy, constitutional enactment, and federalism can be seen as a product of the Maoist uprising that took place for 10 years from 1996. At the same time, the background of the Maoist uprising is that the indigenous peoples of Nepal have always been excluded from the state's rule and have been severely disadvantaged socially and economically. However, no consensus was reached at the First Constituent Assembly regarding the structure and boundaries of the Federation. The major political parties advocated federalism based on territories, while the Maoist and Madhesi parties advocated federalism based on ethnic identity. Ultimately, what was chosen as a form is closer to territorial federalism. In the course of these discussion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fear of secessionism that has led Nepal's federalism centripetally. As the risk of secession increased, the coercive force for national sovereignty and territorial integrity also increased as a reaction to the sense of crisis. This thesis evaluated the risk of secessionism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entripetalization of power as a dependent variable. Reinforcing the risk to secession was the Maoist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 secessionist threat of regional party leaders, and the influence of India in intervening in Nepalese domestic politics on behalf of Madhesi. In order to prevent the threat of secession, major political parties have widely adopted the principles of the right for social justice, inclusive democracy, and inclusive proportional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It can be evaluated that this is because they thought that it was safer to allocate the central political rights in a proportionate way than to increase the risk of secession by gran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is is the reality of Nepal, which has adopted federalism as a mode of existence between war and secession.

      • ARCS 학습동기이론을 기반으로 한 중학교 합창 지도 방안

        김유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켈러의 ARCS 학습동기이론을 기반으로 한 중학교 합창 지도 방안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에 있다. 합창은 신체적ㆍ정신적 변화를 동시에 겪으며 성장하는 청소년들의 전인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활동이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성공적인 학습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점은 학습자의 동기이다. 동기는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고 방향을 제시하며 유지해 주는 내적인 힘으로, 수업의 과정에서 목표와 방향 그리고 학습 활동에서 노력의 정도를 결정하게 하며 만족감과 다음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나타날 수 있게 한다. 특히 합창 활동은 모두의 소리가 합해져 융합된 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하므로 교실의 학생들이 교사의 지도에 집중하고 서로의 목소리를 들어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내는 지속적인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합창 수업 설계에 있어서 학습자의 동기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교수ㆍ학습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토대를 위하여 합창의 교육적 의의, 변성기 신체ㆍ심리적 변화, 동기와 켈러의 ARCS 학습동기이론, 합창 지도의 기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 14종에 수록된 합창 제재곡을 장르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장르별 빈도수가 높은 제재곡 6곡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제재곡에 ARCS 학습동기이론을 적용한 합창 수업 전략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총 7차시 중학교 합창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연구에서 적용한 ARCS 학습동기이론은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의 4가지 요소와 그에 따른 각각의 3가지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교수ㆍ학습 방안에서는 동기 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학습 내용과 연계된 동기 전략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이 연구는 교수 방법에 대한 이론을 기초로 하여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 절차를 구체화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교사가 현장에서 학습자의 동기를 고려한 합창 수업을 설계할 때 어떻게 구성하고, 어떠한 학습 도구를 활용할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며, 연구에서 개발된 합창 지도 방안은 중학교 일반 음악 수업 혹은 자유학기제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iddle school choir instruction method based on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with reference to the 2015 revised music and curriculum. Choir is an important activity that affects the holistic development of adolescents who grow up experiencing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t the same time. The learner's motivation is the first thing to consider in order to effectively transmit such educational content and achieve successful learning. Motivation is the inner force that induces human behavior, presents and maintains direction, determines goals and directions in the course of a lesson, and the degree of effort in a learning activity, and inspires satisfaction and a sense of expectation for the next lesson. In particular, choir requires the ability of all voices to come together and produce a fused voice, so it needs a continual process of creating balance and harmony by paying attention to the instruction of a teacher and listening to each other’s voi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improving learner's motivation in choir lesson plan and tries to prepar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plan accordingly. For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hoir, metamorph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motivation and Keller's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and the basics of choir instruction. Next, the choral music songs recorded in 14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by genre, and 6 songs with high frequency by genre a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hoir lesson strategy and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that applied the ARCS theory to the selected songs, a total of 7 sessions of middle school choir instruction plan are developed.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applied in the study consists of four factors of attentional focus,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each with three subfactors. The teaching-learning plan uses a variety of motivational strategies to make learning effective, and describes specific sub-strategies linked to the learning cont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lans lessons based on the theory of teaching methods and makes the process concrete. Therefore, when a teacher designs a choir class considering the learner's motivation in the field, it presents various perspectives and directions on how to organize it and what kind of learning tools to use. The choir instruction plan can be used in middle school general music classes or free semester system.

      • 초등학생 대상 박물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조사 연구 : 둘리뮤지엄을 중심으로

        김유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사회와 환경의 변화로 인한 박물관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온라인 교육 의 새로운 해석과 참여를 통한 만족도 조사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둘리뮤지엄의 사례를 들어 초등학생 대상으로 진행되었던 박물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의 참여 만족도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환경변화와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대응,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대상을 둘리뮤지엄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둘리뮤지엄에서 운영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참여자 만족도에 관한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의 시대가 앞당겨지면서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대응은 여타의 박물관과 마찬가지로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옮겨갔다. 따라서 박물관의 대응과 온라인 교육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 매체 현황을 모색하고, 본 연구의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참여 만족을 증명하기 위해 온라인 교육의 특성 및 유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온라인 교육 커뮤니티 형성을 통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온라인 언어, 내적 동기의 정서적 경험인 온라인 몰입도 총 3가지의 개념을 살펴보고, 온라인 교육의 장점의 특성 및 유형, 온라인 교육 방식을 세부적으로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박물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단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기획, 설계, 개발, 평가 네 단계의 e-Learning 개발 프로세스를 활용하였고, 둘리뮤지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개발 단계 모형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온라인상에서 지식적 측면의 역사 중심교육, 기능적 측면의 다양한 교구재 활용, 전시물 기반의 감상교육이 이루어졌다. 설문은 크게 온라인 교육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 접근성, 운영방법, 상호소통, 학습만족도, 뮤지엄 평가로 구성하였다. 설문분석과 초등학생의 온라인 공간에서의 참여 활동을 토대로 도출한 만족도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교육과 대면 교육의 효과성 측정에서 학습자의 기대와 요구를 통해 비교하였을 때, 학습 전과 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온라인 학습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의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 원활한 상호소통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온라인 교육의 몰입도가 형성되어 만화의 역사를 통해 정서적 경험을 느끼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온라인을 통한 전시물 감상과 시대별 사용했던 도구를 체험활동 재료로 사용하고, 자기를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시대를 경험하고 나를 발견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체험할 수 있었다. 박물관은 향후 온택트 시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연구와 디지털 기반의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 소통 방식을 다각도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또한, 디지털 매체의 전반적인 매뉴얼과 다양한 온라인 교육의 사례 등을 공유하면서 효율적인 시스템 활용 및 시행착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본 논문이 박물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박물관과 학습자의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위한 사례로 활용되어, 박물관 온라인 교육이 ‘의미 있는 경험’을 창출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해본다.

      •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에 따른 거부민감성, 정서지능, 자기수용의 차이

        김유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groups depending on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loneliness, and identify whether each group is different in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college studen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nd Gyeongnam-do province using the scales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loneliness,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35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350 copies were used in analysis excluding 9 which had too many empty values or were answered insincerely.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25.0 program 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t test, and one-way ANOVA.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while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emotional intelligence, loneliness, and rejection sensitivity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loneliness i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and rejection sensitivity a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Second,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loneliness,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acceptance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that gender makes differences in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understanding of emotion of others, and emotional adjustment, that school year makes differences in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that whether one has boyfriend or girlfriend makes differences in loneliness, rejection sensitivity, understanding of emotion of others, and emotional adjustment. Third, on the levels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loneliness, this research classified respondents into four groups: the spontaneous solitude group, the relational anxiety group, the loneliness group, and the pro-social group. Fourth, to analyze differences in rejection sensi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ANOVA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for spontaneous solitude group,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were the highest, and rejection sensitivity was low; for the relational anxiety group, rejection sensitivity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intelligence was low, and self-acceptance was the lowest; for the loneliness group,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lowest, and self-acceptance was low; for the pro-social group, rejection sensitivity was the lowest,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acceptance were high. The above findings imply that, while solitude is related with adjustment variables, loneliness is elated with maladjustment variables. Depending on levels of self-determined solitude motivation and loneliness, each group show differen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 consultation intervention and program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groups.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각 집단이 거부민감성, 정서지능, 자기수용에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척도, 외로움 척도, 거부민감성 척도, 정서지능 척도, 자기 수용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59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그 중 누락된 문항이 있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설문지 9부를 제외한 총 35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은 거부민감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고 정서지능, 자기수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은 정서지능, 자기수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부민감성은 정서지능, 자기수용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외로움, 거부민감성, 정서지능, 자기수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 타인정서이해, 정서조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애인유무에 따라 외로움, 거부민감성, 타인정서이해, 정서조절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구분 결과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 수준에 따라 네 가지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집단은 특성에 따라 자발적고독집단, 관계불안형집단, 외로움집단, 친사회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각 집단에 따른 거부민감성, 정서지능, 자기수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발적고독집단은 거부민감성이 낮고 정서지능과 자기수용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불안형집단은 거부민감성이 가장 높고 정서지능이 낮고 자기수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집단은 거부민감성이 높고 정서지능이 가장 낮았으며 자기수용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집단은 거부민감성이 가장 낮았으며 정서지능과 자기 수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고독은 적응적이고 외로움은 부적응적인 변인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서로 다른 변인임을 재확인한 연구이다. 자기결정적 고독동기와 외로움 수준에 따라 각 집단은 다른 심리적 특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집단의 특성에 따른 상담적 개입과 프로그램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체육영재 프로그램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에 관한 연구

        김유나 안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체육영재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뇌 활성도를 분석하여 체육영재 프로그램이 다중지능과 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여 향 후 체육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2012년 A시에 위치하고 있는 A대학의 체육영재센터로 선정하여 총 22명을 유목적표집하였다. 22명의 자료 중 설문지 이해 부족과 뇌파검사에서 집중력 부족으로 판단되어 저학년 2학년 3명을 제외한 19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육영재 프로그램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 활성도를 분석하기 위해 Gardner의 다중지능 검사지와 Wise-8000 뇌파 기계를 이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를 통해 자료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모형을 토대로 연구 목적 및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0버전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방법은 독립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사후검증, 대응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성별, 학년, 종목)에 따른 다중지능에서 먼저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다중지능은 고학년이 저학년보다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중지능 하위요인 중 공간지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상, 수영, 체조 체육영재 종목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종목에 따른 다중지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특성(성별, 학년, 종목)에 따른 뇌파활성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는 신체운동지능, 언어지능, 자아성찰지능, 대인관계지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뇌파활성도에서 알파파, 베타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 전 체육영재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로 사전·사후 체육영재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 전 결과와 후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사후에 체육영재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간의 상관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체육영재 프로그램이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향 후 체육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보완에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체육영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체육영재 프로그램 효과검증을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This study applies the sports talent progra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activ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sports talent program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A 2012 study at the University of Sports Talent Center has a total of 22 people for the purpose of sampling. 22 of the questionnaire data, EEG because it was expected to be a lack of understanding in the second year 3 people 19 people except for the material used. In this study,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and gifted physical activity, to analyze EEG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d Wise-8000 EEG machine was used. Data collect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to characterize and study material for research purposes and research based on the model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version of SPSS 2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x, stocks do not differ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Grade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 younger on average than the older two were higher in spatial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s sub-factors, except for one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Seco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grade, and events) according to the EEG activity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ird, sports talent program, according to multiple intelligence's the difference between applying physical exercise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rth, according to the sports talent program applies EEG alpha wave and beta wave activit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according to Sports Talent program, students apply the pre-and post multiple intelligences and brain wave activity do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ut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pre-and post-data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refore, multiple intelligences and sports talen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brain waves.

      • 유아의 놀이성 및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우정의 질의 관계

        김유나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성 및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우정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광역시와 B시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의 만 5세 학급의 312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유아의 놀이성 척도,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 교사평가 척도, 유아 우정의 질 척도(FFQ)를 사용하여 유아의 놀이성, 행동적 자기조절력, 우정의 질 각각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단계선택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놀이성과 우정의 질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대체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정의 질의 하위요인 중 특히 인정과 돌봄, 교제가 놀이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관계의 불균형은 놀이성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우정의 질의 하위요인인 도움과 지원, 인정과 돌봄, 교제, 갈등과 불안, 친밀한 감정교류는 행동적 자기조절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배타적 감정과 관계의 불균형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우정의 질의 하위요인별로 도움과 지원에 대하여 자기통제와 자기주장이 62.8%, 인정과 돌봄은 인지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신체적 자발성이 85.5%, 교제는 자기주장, 자기통제,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이 49.5%, 갈등과 불안은 자기통제, 자기주장이 55.9%, 친밀한 감정교류는 자기주장, 자기통제가 21.5%, 배타적 감정과 관계의 불균형은 인지적 자발성이 각각 3.7%, 4.2%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아의 놀이성과 행동적 자기조절력이 유아기에 긍정적인 우정의 질을 형성하는 데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friendship feature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312 children in 5-year-old classrooms. To measure playfulness, behavioral self-regulation and friendship features, 'Children's Playfulness Scale', 'Teacher Rating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Friendship Features Questionnaire' were used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friendship features generall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Validation and caring and companionship which are subfactors of friendship featur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layfulness, while asymmetr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Second, help and guidance, validation and caring, companionship, conflict and betrayal, and intimate exchange which are subfactors of friendship featur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ehavioral self-regulation, while exclusivity and asymmetr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ird, regarding each subfactor of friendship features, self-inhibition and self-assertion explained help and guidance by 62.8%, cognitive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physical spontaneity explained validation and caring by 85.5%, self-assertion, self-inhibition, cognitive spontaneity, and expression of joy explained companionship by 49.5%, self-inhibition and self-assertion explained conflict and betrayal by 55.9%, self-assertion and self-inhibition explained intimate exchange by 21.5%, and cognitive spontaneity explained exclusivity and asymmetry by 3.7% and 4.2%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forming positive friendship features in early childhood.

      • 기부행동 및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온라인 기부를 중심으로

        김유나 이화여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까지 개발되지 않은 자원인 우리 사회의 개인 기부자는 앞으로의 혁신적인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방법의 개발을 통해서 민간 자원 조달의 근간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위치를 점할 것으로 보여 진다. 특히 한국 사회의 정보화 추세와 급격한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 추세를 고려할 때, 개인 기부자들의 기부 참여와 관계 형성에 있어서 주목할 필요가 있는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은 인터넷 기술일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을 위한 민간 자원 개발과 시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활동의 장으로써 우리나라의 인터넷은 엄청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온라인 기부의 영향력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인터넷 공간에서의 온라인 기부 사이트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다. 새로운 기부 방식으로 등장한 온라인 기부를 기부 문화의 하나로 정착시키고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온라인 기부 참여자 수를 늘리는 일이 우선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기부자들의 기부 노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온라인 기부자 인구의 저변 확대와 온라인 기부자들의 기부노력 증대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기부자들의 특성 파악과 기부자들이 갖고 있는 특성들 가운데 어떠한 것들이 기부 행동과 기부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터넷 기부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특성 및 기부행동과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한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온라인 기부자들의 특성을 기술하고, 그들의 기부행동여부 및 기부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여 보고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온라인 기부자 저변 확대와 기부 노력 증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온라인 기부에 관한 학문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기부 행동 및 기부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보는데 있어서, 기존의 사회복지기관 후원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어진 연구들에서 검증된 변수들을 경제학적(항상소득가설, Permanent Income Hypothesis)·사회학적(상징적상호작용이론, 사회학습이론)·심리학적(자기확장이론, Self-extension Theory) 접근을 통해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기부 행동 및 기부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부자 특성을 다각도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살펴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기부 사이트 회원 및 온라인 실기부자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펴본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기부행동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요인이 기부 노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기부행동 및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종속변수는 기부행동과 기부노력으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연령, 학력, 직업), 경제적 변수(가구소득, 미래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사회적 변수(종교생활 경험, 자원봉사활동 경험, 기부동기), 심리적 변수(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로 설정하고 있다. 심리적 변수인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Drollinger(1997)가 개발한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 척도를 활용하였는데, Drollinger는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를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기관의 유용성 및 필요성에 대한 태도로 분류하여 하위척도를 설정하고 있다. 본 연구의 표본은 온라인 기부사이트 D사이트에 이메일이 등록되어 있는 4000명의 회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2년 4월 15일부터 4월 28일까지 2주간 이메일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 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기술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부현황을 살펴보면, 2001년 한 해 동안 온라인을 통한 기부행동을 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 응답자의 30.8%였고, 온라인 기부자들의 기부 금액 분포를 살펴보면 연 10만원 미만이 74.2%로 가장 많았고, 특히 연 3만원 미만의 소액기부자가 51.9%였다. 각 요인이 기부행동여부를 설명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 중 직업, 경제적 특성 변수 중 미래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사회적 특성 변수 중 자원봉사활동 경험, 심리적 특성 변수 중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 행동 여부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를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와 사회복지기관의 유용성 및 필요성에 대한 태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기부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업, 미래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자원봉사활동경험,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 사회복지기관의 유용성 및 필요성에 대한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부행동여부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주고 있는 변수는 심리적 변수인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이 기부노력을 설명하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경제적 특성 변수 중 가구소득, 미래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심리적 특성 변수 중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노력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태도를 하위 개념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경제적 변수인 가구소득, 미래재정상황에 대한 태도 변수와 심리적 변수 중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변수가 기부노력을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이 가운데 심리적 변수인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가 기부노력에 가장 유력한 설명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본 연구에서 설정했던 독립변수 중에서 심리적 변수인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가 기부행동 여부 및 기부노력에 가장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수록 온라인을 통한 기부에 참여할 확률이 높고, 기부노력 높아질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기부참여 확대 및 기부노력의 증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우선 기부참여 확대를 위해 첫째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해서 사회복지조직의 자원개발가로서 모금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온라인을 통해 효과적인 대상을 선택하여 집중 전개함으로써 실제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모금 전략의 수립에 있어서도 일반 시민에게 사회복지조직의 가치와 활동을 홍보하고 개인 기부자의 참여를 촉진하도록 계획하는데 직업군별 유의미함의 수준이나 직업에 따른 대상의 구분을 통해 타겟팅하여 활동할 수 근거가 된다. 둘째로, 경제적 특성과 관련하여 현재 기부를 하고 있지 않아도 미래의 재정 상황에 대하여 안정적인 태도를 가질 경우 온라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현재 기부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기부자가 미래에 재정 상태가 안정적이라고 인식하는 순간에는 기부행동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복지조직은 잠재적인 기부자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사회복지조직의 긍적적인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기부자를 확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부자가 아니더라도 사회복지조직에 관심이 있는 다양한 지역주민 및 회원,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성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과 부담 없이 편리하게 기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관계성의 질을 높여 나가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적 특성과 관련하여 자원봉사 경험만이 온라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히 자원봉사자를 온라인 기부자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 관리하는 것이 자원개발에 있어서 중요함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잠재적 기부자로서의 자원봉사자의 관리프로그램과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특성과 관련하여 온라인 기부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인 변수 가운데 기부대상 조직에 대한 태도로 나타났다. 즉, 기부 대상 조직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온라인 기부행동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조직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와 조직의 유용성에 대한 태도, 조직의 존재이유, 필요성에 대한 태도에 대한 파악이 온라인 기부행동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잠재적 기부자들에게 사회복지조직의 미션(mission)과 가치(value), 기능과 사회에서의 역할에 대해 뚜렷하게 전달함으로써, 이들의 관심을 유도하는 일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조직 역시 조직이 가지고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명확하게 홍보하고 이해시킬 수 있으며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부노력의 증진을 위해서는 첫째로, 경제적 특성과 관련하여 현재 가구 소득이 높을 수록 기부 노력이 정도가 낮으나 미래 재정상황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일 수록 기부 노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소득과 기부노력이 부(-)적인 관계가 나타나는 것은 기부자의 약 75%가 월평균 8,300원 미만을 기부하는 소액기부자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즉, 소득이 많은 사람 가운데 소액 기부자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따라서 사회복지조직 모금전략가들은 새로운 기부자 개발에 앞서 기부자들을 대상으로 한 철저한 고객관리를 통해 기부금 모금 증대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로, 심리적 특성인 사회복지기관의 신뢰성에 대한 태도가 기부노력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라는 점에서 기부 노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부자들이 사회복지기관에 대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기존의 온라인 기부자들의 참여를 지속시키고 기부노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사회복지기관 행정가들은 윤리적인 태도를 갖고 적절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기부금을 운용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결과를 기부자 관리에 있어서 뛰어난 정보전달력을 갖고 있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기부자들에게 전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즉, 인터넷을 통하여 기부자들에게 그들의 기부금 사용 내역과 정직하고 윤리적인 운용현황을 신속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기부자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사회복지기관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이들의 기부노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o online donations and online donation effor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conomic(permanent income hypothesis), sociological (symbolic interactionism, social learning theory), and psychological(self extension) theories were used in order to explain donations and philantropic effort. In this study, there are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sociodemograph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donors(members of online donation site) and donor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econd, Which factors influence a person to donate to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astly, Which factors influence a person to determine a degree of donation effort to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the data based on the responses of 351members of online donation site was used.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o online don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to online philantropic effort.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veal that job(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confidence to the future economy (economical characteristic), volunteerism(social characteristic), attitudes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re good indicators of the likelihood of someone being a online donor.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reveal that family income, confidence to the future economy(economical characteristic), attitudes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re good indicators of the degree of online philantropic efforts to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knowledge about online donors'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 practical implication for online fundraising strategie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