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STM 기반의 sequence-to-sequence 모델을 이용한 한글 자동 띄어쓰기

        이태석(Tae Seok Lee),강승식(Seung Shik Ka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8 스마트미디어저널 Vol.7 No.4

        자동 띄어쓰기 특성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LSTM(Long Short-Term Memory Neural Networks) 기반의 RNN 모 델을 제시하고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문장이 길거나 일부 노이즈가 포함된 경우에 신경망 학습이 쉽지 않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입력 데이터 형식과 디코딩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고, 신경망 학습에서 드롭아웃, 양방향 다층 LSTM 셀, 계층 정규화기법, 주목 기법(attention mechanism)을 적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 데이터로는 세종 말뭉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학습 데이터가 부분적으로 불완전한 띄어쓰기가 포함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량의 학습 데이터를 통해 한글 띄어쓰기에 대한 패턴이 의미 있게 학습되었다. 이것은 신경망에서 드롭아웃 기법을 통해 학습 모델의 오버피팅이 되지않도록 함으로써 노이즈에 강한 모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실험결과로 LSTM sequence-to-sequence 모델이 재현율과 정확도를 함께 고려한 평가 점수인 F1 값이 0.94로 규칙 기반 방식과 딥러닝 GRU-CRF보다 더 높은 성능을 보였다. We proposed a LSTM-based RNN model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the automatic spacing characteristics. For those long or noisy sentences which are known to be difficult to handle within Neural Network Learning, we defined a proper input data format and decoding data format, and added dropout, bidirectional multi-layer LSTM, layer normalization, and attention mechanism to improve the performance. Despite of the fact that Sejong corpus contains some spacing errors, a noise-robust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no overfitting through a dropout method helped training and returned meaningful results of Korean word spacing and its pattern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LSTM sequence-to-sequence model is 0.94 in F1-measure, which is better than the rule-based deep-learning method of GRU-CRF.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공쌀분말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글루텐프리 쌀빵의 물리적 특성

        김원모(Won-Mo Kim),윤기홍(Ki-Hong Yoon),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0

        글루텐프리 쌀빵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순수한 쌀분말에 pre-gelatinized 된 가공쌀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빵한 후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공쌀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쌀빵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가공쌀분말의 첨가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며, 10% processed rice flour(PRF) 이상에서는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HPMC)로 제빵 한 control보다 높은 발효 팽창력을 나타내었다. 가공쌀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글루텐프리 쌀빵의 부피는 가공쌀분말을 10% 첨가량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ontrol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공쌀전분 함량이 10% PRF 이상인 글루텐프리 쌀빵의 수분 함량은 control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가공쌀분말을 첨가하여 제빵 하였을 때의 물리적 특성인 탄력성과 응집성은 가공쌀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씹힘성, 깨짐성, 경도는 가공쌀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ontrol은 1일 저장 후에는 가공쌀분말을 10% 이상 첨가하여 제조한 글루텐 프리 쌀빵들에 비해 쉽게 부서지고 단단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가공쌀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글루텐프리 쌀빵의 저장기간과 물리적 특성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주성분 분석을 하였을 때 control과 쌀분말만(0%-PRF)을 이용하여 제조한 글루텐프리 쌀빵은 저장기간이 지나면 단단하고 쉽게 깨지며 씹힘성이 강한 빵으로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나 가공쌀분말을 10% 이상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촉촉하고 부드러운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글루텐프리 쌀빵 제조 시 HPMC를 대체하여 가공쌀분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였고, 가공쌀분말을 이용하여 제빵 할 때는 10% PRF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make gluten-free rice pan bread, rice flour with various amounts of processed rice flour was used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dough expansion rate increased with increasing processed rice flour amount. The dough expansion rate of 10% processed rice flour (10% PRF)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ich had been made with 3%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instead of PRF. The volume of gluten-free rice bread made with 10% PRF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moisture contents in the breads containing more than 10% PRF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PRF content, but the chew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decreas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rol and 0% PRF (only rice flour) had high brittleness and hardness, but the breads with more than 10% PRF showed a smaller value after storage. In conclusion, the processed rice flour is a substitute for HPMC and 10% PRF is a good combination with processed rice flour for producing gluten-free rice flour pan bread.

      • SCOPUSKCI등재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가 식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원모(Won-Mo Kim),김기혁(Kee-Hyuk Kim),이규희(Gyu-Hee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0

        부드럽고 노화를 지연하는 빵을 제조하기 위해 호화밀가루반죽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제빵 하면서 제빵특성 및 저장성을 분석하였다.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반죽특성을 분석하였을 때 견도는 호화밀가루반죽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죽의 안정도는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gluten 형성 능력은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발효 팽창력이 높은 것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반죽하였을 경우였으며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발효 팽창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10%와 20%의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3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호화밀가루전분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수분 함량은 제조 당일에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분 함량의 변화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은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함량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 동안 수분 함량의 감소율은 낮았다. 색도는 각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제빵 직후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대조구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일 저장 시까지는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증가폭이 가장 적었다. 관능특성 강도 평가 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빵 하였을 때 쫄깃한 조직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기호도 조사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이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너무 많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제빵 적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10%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좋은 물성과 기호성을 나타내며 노화속도를 줄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o make soft and less stale bread, various amounts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were added for making pan bread. In the dough process, higher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showed higher consistency and dough development time but a lower dough stability time. Expansion during fermentation represented the highest value upon addition of 10%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GWFD), and this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Volume of bread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and lowest in 30% GWF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10% GWFD and 20% GWFD. Moisture contents of bread made with various amounts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ncreased with increasing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amount. Color values of bread made with various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hew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of bread made with control and 10% GWFD showed low values, whereas bread made with 20% GWFD and 30% GWFD showed high values. During storage, chew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in whole breads, whereas breads made with 10% GWFD showed the lowest increasing rate. In the sensory strength test, chewy texture increased upon addition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n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10% GWFD showed the most overall acceptance. In conclusion, bread made with 10%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is desirable for increasing softness and decreasing bread st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