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자이 오사무의 문학과 위로 : 오토기조시를 중심으로

        김언정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論文は太宰治の『お伽草紙』を心のイタワリという観点から考察した。まず、原本「御伽草子」の心のイタワリの性格をユングの分析心理学によって明白にして、つぎに太宰治の『お伽草紙』の主人公を通じてイタワリの対象と性格を考察した。 第1章「「御伽草子」は何だろう」ではお伽の原義を通じて、原本「御伽草子」に人を慰める機能があることを知った。太宰はこのように「御伽草子」のイタワリの機能を抱いて現代人を慰めている。 第2章「太宰治の文学の世界」では太宰の作品を前期、中期、後期にわけて考察した。特にパロディー作家としての盛んな作家活動を行なった中期文学を中心に考察した。太宰は中国、日本古典、聖書、神話、民話を素材とした多くの作品を発表した。そのパロディー作家としての才能を、太宰が口承文芸の有名な青森県の津軽出身だという点から調べてみた。津軽にはフォークロアがたくさん残っており、太宰はそれに囲まれながら育っていった。それが土台となり、太宰はパロディー作家として多くの作品を発表していったことがわかった。 第3章「民話に出ている象徴の意味」ではユングの分析心理学を通じて民話に出ている象徴の意味を調べてみた。ユングは民話,神話には人間共通の知覚を産み出すパタンーである元型が残っており,民話を解釈することによって人間の心理がわかるという。 第4章『「御伽草子」の母性元型と太宰の活用」』では「御伽草子」には森、海、月という母性元型が現れ、太宰はこの母性元型を活用して労りの気持を表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第5章「イタワリの対象とその内容」ではこの『お伽草紙』がだれを慰めているか、またどのように慰めているかを考察した。その対象は、庶民、弱いもの、プレッシャーを感じている人たちであった。太宰は戦争の中で,『お伽草紙』を通じてこのような人たちを応援している。 本論文を通じて、太宰は人を慰めるために原本「御伽草子」の母性元型を徹底的に利用していたことがわかった。原本の性格を徹底的に利用して、それを自分の作品の中で文学的に生かす才能こそが、パロディー作家としての彼の独特な才能だと言えよう。

      • 무용 전공학생들의 상해와 예방에 관한 실태 분석

        김언정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the research about the In-Practice injuries and its prevention related students who major a dance (hereinafter "students"). The following is study about statistics from 274 students of th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nd Gyungi province in Korea by questionnaire. 1) Occurrence of the injuries: 90.1% of students have experienced the injury in the practice and 42% of the injuries happened 1 year after they started the practice. 48.5% of the injured students regularly do the practice more than 2 hours. The In-Practice injuries mostly occurred during the personal training (48.2%) and the lesson (36.1%). And 65% majority of students got wounded in the winter and 54.7% of injuries happened in afternoon. 2) The causes of the injury: The major causes of the injuries are as follows: Careless (45.5%), Defect of gear and facilities (29.3%), Forced training by the coach (10.6%) 63.1% of the students injured by their careless have answered that they didn’t have enough warming-up, 68.6% of the wounded by defects of gears and facilities said that the inappropriate floor cased the injuries and 61.7% of the trainers who got hurt the student by the forced training gave them excessive training. The jumping and turning of ballet and Korean traditional dancing and the jumping and stretching of modern dance frequently hurt the students. When the students feel the pain 32% of them are patient, 22.3% get rest and 10.6% massage the affected part. 3) The diagnosis of the injuries: Ballet normally damaged to the ankle and toe and Korean traditional dancing and modern dancing also damaged to knee and ankle. In terms of skin damages, 50.6% of students who major ballet(hereinafter "ballet student") sustained from blisters and 44.6% of students who major modern dance(hereinafter "modern dance students") and 53.8% of the students who major Korean traditional dance(hereinafter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ents") suffered from abrasion. Regardless of the major, 64.6% of the damages on the bones were bruise, 40.5% on the muscle and tendon were contusion, 44.9% on articulations were sprains. 4) First-Aid and Treatment: 47.8% of the wounded student answered they cured by themselves, and after that 63.1% of them received medical treatment and 14.2% got traditional Korean remedy. As most effective remedy, ballet(37.9%) and Korean dance(40.4%) students choose medical treatment, 27.7% of modern dance student pointed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fter treatment 63.9% haven’t cured and 77.7% have recured. 38.3% of them have relapsed within 2~3 months and 20.1% within half year. 5) Prevention of Injuries: On the question "Do you have enough warming-up?", 32.8% of respondent answered "Yes" and 67% of them "No". And about "Do you have cooling-down?" 31.8% said "Yes", 68.2% said "No". This numbers shows us students neglected their warming-up and cooling-down. 86.9% of students didn’t trained of First-Aid, 66.1% answered that they didn’t have expertise about prevention of injuries. With reference to prevention of injuries in the practice 89.4% answered "Yes" and 90.9% said the organization and expert is needed.

      • 아서 단토(Arthur C. Danto)의 미개념에 대한 연구

        김언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considers Arthur Danto's aesthetic concept as a pluralistic interpretation that appropriately explain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tworks and their aesthetic attitudes in everyday life, and aims to clarify and defend the structure of behavioral aesthetics through the universal values of beauty. There are two cores of arguments in Danto regarding the concept of beauty. First, when beauty is inherent in the meaning of a work of art, it leads to artistic excellence. Second, beauty is a value that can be discussed in a wide range of areas of culture as a way of life and symbolic system. The concept of beauty raised by Danto contributes to interpreting diversified modern art and popular culture and prospecting the future. He argues that beauty has the power to change something by his focusing on two concepts, intrinsic beauty and the third realm beauty in order to express his own opinion. This perspective makes us reconsider the role of beauty, which has not been treated as important in art since the 20th century and helps to clearly define the structure in which beauty acts as an aesthetic attitude in everyday behavior.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is to figure out the motivation of discussing the concept of beauty by finding out the reason why he emphasizes the universality of beauty and claims that beauty leads to change in art and life in his second half, beyond Danto's focus on defining art from a semantic point of view in his first half of the philosophy of art. In addition, he paid his attention that today's art museums are indifferent to aesthetically reproducing works according to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that they do not meet visitors' expectations by presenting works that adopt the shaping social discourse and realization of meaning as their main method of art production. It is also good point for him to find the cause and find a solution. As a result, the achievements of his aesthetic consideration could be summarized in several ways. First, it was to expand the position of beauty that has become insignificant in modern art by arguing that the abuse of beauty in art by avant-garde artists is a temporary phenomenon arising from a social and political standpoint. In other words, the long-standing customary thinking that art has aimed at beauty has formed a confused perception of beauty. Beauty is only one of the various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t, but the tendency to equate beauty with art has led to the point of exclusion of beauty by avant-garde artists. Next, Danto classified the types of beauty and secured a logical structure that relatively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beauty & artistic beauty and explains the spiritual aspects of artistic beauty. In this process, while highlight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natural beauty,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rt beauty are separated from this. And by presenting the intrinsic beauty of aesthetic beauty revealed through the meaning of works of art, he once again secures the position of beauty in art. Lastly, unlike natural beauty and art beauty, which have been mainly discussed traditionally, it is a re-examination of the beautification that has been lightly treated due to its practical use. He reinterprets beautif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research in the term "Third Realm Beauty" to reveal the value of the concept of beauty that explains the diversified era after the end of art. Danto argues that beauty is the most powerful refractive factor that brings about the tremendous surprise of human consciousnes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lements that move the mind because humans are emotional beings. To argue this, he first organizes the confused perceptions of beauty and clearly distinguishes beauty and art. The reasons for Danto's separation without including beauty in the definition of art are as follows. That is, his art definition can be another art theory and is likely to be an exclusive theory if other conditions such as beauty or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added extra to one definition of 'implemented meaning.' Instead, Danto reconsiders beauty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including art, through the concept of beautification. While partially 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and artistic beauty, it is noted that beautification is close to everyday life, so that it can be newly established as the 'Third Realm Beauty'. In addition, as interest and research on popular culture become active due to changes in consciousness and media development today, he considers the aspect that the universality of beauty separated from art is revealed in everyday life and popular culture. I think this concept of beauty of Danto pays attention to the dynamics of beauty and sheds light on the ethical aspects of behavioral aesthetics. The existence of the power that beauty changes is possible because humans are beings of emotions and autonomy, and aesthetic consciousness can represent people's individuality and community spirit, so it can represent certain values. Therefore, Danto contributes to showing the virtuous cycle of beauty by arguing that beauty becomes a refractive factor that moves the mind in combination with meaning or innerness. Danto takes the intrinsic beauty and the third realm beauty as two axes explaining the function of beauty in art and daily life, and builds a new role of beauty with a pragmatics that has traditionally existed. As such, the concept of beauty he presented becomes a key element and driver of change that elicits the excellence and valuable behavior of art. As Danto emphasized again, beauty is an important aesthetic element with universality like truth and goodness. In this regard, although the concept of beauty of Danto is relatively poor in relation to popular culture or daily life compared to artistic-philosophical discussions, it has the justification to further study his arguments or theories. Key words: Beauty, Aesthetic characteristic, Intrinsic beauty, Third realm beauty, Refractive factor, Pragmatics, Behavioral aesthetics, The concept of beauty 본 논문의 목적은 미의 가치연구를 통해 행동 미학의 구조를 밝히고 미의 역할을 명료히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예술작품의 미적 특질과 일상적 삶의 미적 태도에 나타나는 미의 역할을 찾고 행동의 미학을 제시한 아서 단토의 미개념을 검토한다. 미개념에 관한 단토의 핵심 주장은 두 가지이다. 첫째, 미가 예술작품의 의미에 내재하는 경우 예술적 탁월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둘째, 미는 삶의 양식이자 상징체계로서의 문화가 지닌 광범위한 영역 속에서 논의될 수 있는 가치라는 것이다. 단토의 미개념은 다원화된 현대예술과 대중문화를 해석하고 향후를 전망하는 데 기여한다. 그는 자신의 주장이 옳음을 입증하기 위해 내재미와 제3영역의 미라는 두 가지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 안에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고 변화시키는 힘이 있음을 논증한다. 이러한 생각은 20세기 이후 예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미가 다시 주목되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또한 미가 일상적 행위에서 행동의 미학이 되는 구조를 규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먼저 논의의 출발점은 오늘날의 미술관이 사회·정치적 변화에 따라 미적으로 재현한 작품에 무관심해지고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일과 의미의 구현을 주된 예술 제작 방식으로 채택한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관람객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찾고 해결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미는 예술작품 수용자로부터 변화를 이끌어내고 일상적인 행위의 미적 태도에 영향을 준다. 필자는 단토가 화용론적 특질로 논증한 ‘미의 변화시키는 힘’이 이러한 미의 기능을 밝힌 것으로 간주하고 그 논의의 타당성을 고찰한다. 단토는 예술철학 전반기에 예술을 의미론적 관점에서 정의하는 일에 주력하던 것에서 나아가, 후반기 미의 보편성을 강조하고 미가 예술과 삶에서 변화를 이끌어낸다는 점을 논구한다. 단토의 미학적 성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위예술가들이 예술에서 미를 학대한 것이 사회·정치적 입장에서 비롯된 일시적인 현상임을 논증하여 현대예술에서 미미해진 미의 입지를 다시 확대한 것이다. 다시 말해 예술이 미를 목표로 해온 오랜 관행적 사고가 미에 대한 혼란한 인식을 형성하였을 뿐 미는 예술보다 넓은 범주에 속하며 진, 선과 같은 보편적 가치라는 점이다. 예술에서의 미는 다양한 미적 특질 가운데 하나일 뿐인데, 미를 예술과 동일시하려는 경향은 전위예술가들이 예술에서 미를 배제하게 만든다. 다음으로는, 단토가 미의 종류를 구분하여 자연미와 예술미의 특성을 비교적 명료히 하고 예술미의 정신적 측면을 설명하는 논리적 구조를 확보하였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자연미의 심미적 특질을 부각시키면서도 예술미의 의미론적 특질을 이것과 분리한다. 그리고 심미적 미가 예술작품의 의미를 통해 드러나는 내재미를 제시하여 예술에서 미의 자리를 다시금 확보한다. 마지막으로는 전통적으로 주요하게 논의되어온 자연미나 예술미와는 달리, 그 실용적 용도로 인해 가볍게 다루어진 미화를 재조명한 것이다. 그는 ‘제3영역의 미(Third Realm Beauty)’라는 용어로 미화를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예술의 종말 이후의 다원화된 시대를 설명하는 미개념을 제시한다. 필자는 단토가 내재미와 제3영역의 미를 예술과 일상에서 미의 기능을 설명하는 두 개의 축으로 삼으며, 전통적으로 상존해온 화용론으로 미의 역할을 새롭게 구축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가 제시한 미개념은 예술의 탁월성과 가치 있는 행동을 이끌어내는 핵심적 요소이자 변화의 동인이라고 간주한다. 단토가 재차 강조하였듯이 미는 진과 선처럼 보편성을 지닌 중요한 미학적 요소이다. 이러한 점은, 단토의 미개념이 예술철학적 논의에 비해 대중문화나 일상의 삶과 관련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그의 주장 혹은 이론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하는 당위성을 갖는다. 미는 인간이 경험하는 의식에 변화를 불러오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 이유는 인간이 감정적인 존재이므로 마음을 움직이는 미적 특질에 주목할 필요가 있고, 미가 미적 특질 가운데 무엇보다 강력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오늘날 의식의 변화 및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예술에서 분리된 미의 보편성이 일상과 대중문화에서 발현되는 양상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필자는 단토의 미개념이 미의 역동성에 주목하고 행동 미학의 윤리적 측면을 조명한다고 생각한다. 미의 변화시키는 힘은 인간이 다양한 의식적 경험을 추구하면서도 자율성을 지닌 존재이기에 가능하다. 미적 의식은 사람들의 개성과 공동체 정신을 대표할 수 있으므로 어떠한 가치를 나타낼 수 있다. 필자는 미가 예술과 일상에서 인간에게 가장 가치있는 의식의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 단토 미개념이 어떻게 이를 설명하고 있는지를 본 논고를 통해 밝히고자 한다. 주요어 : 미, 미적 특질, 내재미, 제3영역의 미, 굴절인자, 화용론, 행동 미학, 미개념

      • 수학 개념을 접목시킨 아동요리활동 프로그램 적용효과

        金彦廷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들어 통합적 아동 교육 방법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는 요리활동을 통한 학습법이 실제 아동들의 학습 능력 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실험하고 분석 실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최근 국내외에서 아동에 대한 요리 활동 교육이 단순히 음식을 만드는 과정을 익히는 것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감을 활용하여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성취감과 기쁨, 즐거움 속에서 아동발달영역과 연관된 생생한 학습법임을 입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 착안한 것이다. 본 연구는 특히 아동의 요리 활동 시 단순한 요리 과정에 대한 학습에서 더 나아가 요리와 관계된 사전 활동과 사후 활동을 요리 재료를 손질하여 준비할 동안이나 요리가 익혀질 때 동시연계활동을 진행하여 학습 효과를 증진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시도 되었다. 이를 위해 기초적인 수학 개념을 활발히 익혀 나가고 있는 만 5 ~ 6세 유치원 취학 아동을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실시군의 아동들에게는“수학 개념을 접목시킨 아동요리활동 프로그램” 자료를 토대로 요리 활동을 실시하여 프로그램비실시군의 아동들과의 수학 능력 개발 정도를 검사한 후 이를 분석해 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검사도구는 아동의 수학적 개념 획득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Wadsworth(1978), Barron(1979), Copeland(1979), Kami(1986)가 사용한 바 있는 아동 수학능력검사 도구 항목을 본 연구과제에 맞게 재구성 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를 사용해 프로그램실시군과 프로그램비실시군의 아동들에 대해 분류, 측정 및 서열화, 수 개념, 공간 및 시간 개념에 대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학 개념을 접목시킨 아동요리활동 프로그램”을 수행할 경우 일반 유치원 교육과정만을 수행했던 경우에 비해 수학 능력 개발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재료의 무게, 부피, 길이, 모양 등의 개념을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요리의 특성 상 본 연구 상의 요리 활동과 동시연계활동 중에 프로그램 실시군 아동들이 가장 많이 접한 측정 및 서열화 개념의 성취도 부문에서 프로그램실시군과 프로그램비실시군의 차이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이를 통해“수학 개념을 접목시킨 아동요리활동 프로그램”이 일반적인 학습법에 비해 아동의 수학 능력 향상에 보다 효과적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and analysing how the learning method using cooking activities which recently attracts attention as one of integrated educational methods for children, influences on children's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derived from the recent situation home and abroad where studies about proving that cooking activity education is not just to teach how to make food, but the live education related to children's development areas which can help each development area of children to be improved through providing children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utilizing the five senses and making them feel self-accomplishment, joy, and pleasant, are lively conducted. This study especially, is attempted to prove that when a child is doing cooking activities, if not just staying in teaching simple cooking process, pre activities and post activities related to cooking are made during preparing cooking materials or the time when food is being boiled, its learning effects can increase. For reaching this purpose, children with 5~6 full years of age who were learning basic mathematic concept livel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divided into 2 groups - the program applied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n the study made the program applied group do cooking activities based on the cooking activity material for children, and after testing their degree of mathematic ability development, analyzed the test results. As a test tool used in the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children's degree of mathematic ability acquirement, the items for mathematic ability test which were once used by Wadsworth(1978), Barron(1979), Copeland(1979), Kami(1986) were reorganized proper for the study, and used for a follow-up test for children's classification, measurement and ordering ability, and number, space and time concept for both the program appli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The cooking activities program applied mathematic concept wa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children's mathematic ability than general kindergarten curriculum. Especiall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cooking activities during which one can meet materials' weight, volume, length, and shape concept much, in achievement of measuring and ordering concept which the program applied children met most during the simultaneous linkage activity with the cooking activities of the study,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 program applied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was widest. Through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ooking activity program applied mathematic concept for children wa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the children's mathematic ability than general curriculum.

      • 미술관 마케팅의 활성화 방안

        김언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environments of culture including that of art museum have been changing rapidly. The biggest factor of that change is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Due to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many changes are happening including arrival of industrialization age based on knowledge, diversified and democratic society, increase of value on the quality of life and institutionalized international exchange. Also, those changes are expanding the range of cultural area, including cultural exchange itself into market-oriented and vitalizing cultural marketing. As for art museum, which is cultural customer goods, its social role has been increased due to change of cultural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art museum can play a culture industrial role of creating cultur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activities in art museum and increasing international museum's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increase of multilateral exchange by using museum's various activities. But, compared with rapidly-changed environment, operating environment of art museum is only getting worse due to conservative trend which sticks to existing methods. In case of Korea, though popular culture including movies has already industrialized deeply thanks to active marketing, art museum can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rketing, losing ground to popular culture. Customers should select among various products for their limited leisure time. While art museum still remains in its own place, other attractive products are taking customers' time by approaching them. Now, it is time for art museum to make all kinds of efforts to attract the public. While until now, art museum has performed the operation where it shows works of art to people which it has, it is needed to manage the museums considering efficiency and market accessibility as a main agent which generates infinite added value. Accordingly, art museum should approach the public by learning and applying market strategies and techniques which companies have been making use of and by revitalizing museums. In order to satisfy the public's cultural nostalgia and to spread creative art culture through activities in the museums by strengthening its own display activit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the concept of cultural service, marketing is inevitable, which is a profit-making operation strategy. All marketing can be said to start from the understanding of customers. Accordingly, true marketing for art museum is to derive effective benefits such as financial ability to survive without damage to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and the goals as a nonprofit organization by approaching the public from a spectator's position who is a main agent of all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n by securing various groups of spectators and figuring out potential opportunities. Besides, it should recognize that it exists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market, and should be equipped with competitiveness which enables it to compete with other museums aswell as popular cultures through marketing. The world's most prominent museums with long history can also establish a solid foothold with their unique feature by undergoing trial and error. In order for art museums in Korea to become 21th century museums, they should make a prognosis of operating environment,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at prognosis, suggest the vision for the future and put a plan for vitalizing marketing in practi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social role of art museum, understand the concept of museum marketing and establishment of museum marketing strategy and suggest revitalization plan for museum marketing through application cases of museum marketing in Korea and abroad. 오늘날 미술관을 비롯한 문화 환경이 처한 주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변화의 가장 큰 요소는 세계화와 정보화라 할 수 있다.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해 지식기반 산업화 시대의 도래, 다원화되고 민주화된 사회, 삶의 질에 대한 가치 증대, 국제교류의 일상화 등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문화영역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문화 교류 자체를 시장의 논리를 포함시키고 문화 마케팅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 문화소비재인 미술관의 경우 문화 환경의 변화로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었다. 미술관 활동을 통한 문화 지식과 정보의 창출이라는 역할과 미술관의 다양한 활동을 매개로 한 다각적인 교류의 증대로 국제적인 미술관의 경쟁력을 키워야 하는 문화산업적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하지만 급변하는 환경에 비해 미술관의 운영환경은 이전의 방식을 유지하는 보수적인 성격으로 대체로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영화를 비롯한 대중문화는 활발한 마케팅으로 이미 산업화가 깊숙이 진행되었지만 미술관의 경우는 마케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대중문화에 자리를 점차 빼앗기고 있다. 소비자는 제한되어 있는 여가시간에 다양한 상품들을 놓고 선택을 해야 한다. 그 동안 미술관이 자신의 자리를 시키고 머물러 있는 동안 다른 매력적인 상품들이 소비자의 곁으로 다가와 시간을 빼앗아 가고 있다. 이제 미술관도 대중을 사로잡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시점에 와 있다. 미술관은 이제까지 단순히 확보한 작품을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소장품을 보존하였던 운영을 하였다면 이제는 미술관 그 자체가 무한한 부가가치를 발생시키는 대상으로 효율성과 시장 접근 성을 고려하는 경영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미술관은 기업들이 구사해오던 마케팅 전략과 기법을 배우고 적용하여 미술관을 활성화시켜 대중에게 다가설 수 있어야 한다. 미술관 고유의 전시활동과 교육활동과 더불어 문화 서비스 개념을 강화시켜서 미술관 활동을 통한 대중의 문화향수의 충족과 창의적인 미술문화를 파급하기 위해서는 비영리적 경영방식에서 영리적인 운영 방식인 마케팅이 불가피 하게 되었다. 모든 마케팅은 소비자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미술관 마케팅은 모든 경영 활동의 주체인 관람객의 입장에서 접근함으로써 다양한 관람객 계층을 확보하고 잠재적인 기회를 파악하여 비영리기관으로서 설립취지와 목표에 손상이 가지 않고 재정적인 자생력 등의 효과적 이득을 취하는 것이다. 또한 미술관은 시장이라는 경쟁 환경에 존재함을 인식하고 마케팅을 통하여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다른 미술관과 경쟁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오랜 역사를 가진 해외 유수의 많은 미술관들 역시 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미술관 마다 고유한 특성으로 국제적인 입지를 다질 수 있었다. 국내 미술관이 21세기 미술관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미술관 운영환경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 수립을 하여 앞으로 나아가야 할 비전을 제시하고 활성화 방안을 계획하여 실천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을 살펴보고 미술관 마케팅의 개념과 미술관 마케팅의 전략수립을 이해하고 미술관 마케팅 국내·외 적용 사례를 통해 미술관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용서 프로그램이 성인의 용서 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언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or forgiveness on improvement of forgiveness of adult. The hypothesi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 The forgiveness program will increase forgiveness of adul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20 adult. They were divided into 2 group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involving 10 adult. who live in Daegu, Korea.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 each session for 90-120 minutes, and twice a week. it will last for 6 weeks.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was measured by Choi Mi-Ok(2007)'s translated version on Enright Forgiveness Inventory(EFI). The rating scale of forgiveness in this study consists of 3 sud-factors: emotion, behavior, cogni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follow up-test. All data were treated with SPSS for Windows 15.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 Forgiveness program is effective to increase forgiveness of adult, emotion, behavior and cognition in the sub-areas of forg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forgiveness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tried, and then its effect has been proved

      • 현대 에큐메니칼 선교신학 硏究

        김언정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21세기라는 새로운 선교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제까지는 복음주의 와 에큐메니칼 진영의 선교신학이라는 양극화의 분위기 속에서 선교가 진행되어왔다. 현대 선교현장의 사상과 종교와 문화적 흐름들은 복음주의를 뛰어넘어 에큐메니칼 선교 신학을 지향하게 한다. 분명히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실패한 부분들을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이 회복한 것은 발견할 수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것 또한 시대를 뛰어넘을 수 있는 완전한 선교신학이라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특별히 두 가지를 정리한다면 복음화에 있어서 인간화에 강조점을 두어 구원에 있어 개인의 회심이 약화 되었고, 하나님의 선교에 대한 편협한 해석으로 교회론에 있어 심각한 문제점 이다. 그러나 이제는 양극화를 극복하고 새로운 선교 신학을 만들어 가야한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최근 등장하고 있는 통전의 선교신학을 정리하였다. 그러면 과연 통전의 선교신학이 가능할 것인가? 통전의 선교신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통전성에 명확한 기준이 필요할 것이다. 복음화와 사회 참여를 동시에 중요하게 여기되, 어디에 강조를 두어야 하는지는 상황이 명시해 준다. 그리고 그 분위기가 우리로 하여금 어떠한 방법으로 증거를 해야 하는지를 지시해 준다. 바울은 고린도전서9장에서 유대인은 유대인 같이 된 것으로, 율법 없는 자에게는 율법 없는 자와 같이 된 것으로, 약한 자들에게는 약한 자와 같이 된 것으로 사람들을 구원코자 한다고 말했다. 오늘날 교회는 이 두 요소를 불가분리적인 한 개념으로 이해하고 하나의 삼위일체적 선교사역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데이비드 보쉬는 교회의 세계를 향한 선교 사명에 대해 "교회가 세계에 믿음의 빚과 소망의 빚, 사랑의 빚을 졌다"고 지적하며 그 회복을 요청한다. 기독교는 선교해야 한다. 선교는 기독교가 자신을 존속시키는 형식이다. 옛 교회는 이것을 알고 있었다. 교회의 시선은 역사의 종말, 지리적 의미에서 땅의 끝, 세계의 시간적 종말을 바라보고 있다. 이제 현대는 옛 교회의 사도적 전승을 이어받아 예수의 초림과 재림 사이에 주어진 교회의 시간동안 선교해야할 책임이 있다. 앞에서 새로운 길로서의 통전의 선교신학은 성서의 표준과 근거를 문제 해결의 근거로 삼아야 할 것이다. 어느 누구도 성서에서 벗어난 우선순위와 재해석을 감행 할 권리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부여받지 못하였다. 우리는 단지 증거 해야 할 뿐이다. 따라서 선교신학에 있어서 우선순위와 재해석의 문제를 화해시켜줄 방안으로서 통전의 선교신학은 연구, 발전되어 져야할 것이다. 21세기의 선교신학은 더 이상 양극화에 머물려서는 안 된다.

      • 韓末 ·日帝下 여성 白丁의 경제 활동과 '衡平女性會'

        김언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기존의 白丁 관련 연구나 衡平운동 관련 연구들을 살펴본 결과 白丁의 사회적 지위와 기원, 형평 운동 배경, 사회 단체와의 연대, 해소 논쟁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白丁들은 어떤 차별을 받았다’ 또는 ‘白丁들은 어떤 활동을 하였다’라는 말속에 남녀를 모두 아우르고 있기 때문에, 여성 白丁만의 문제나 여성 白丁의 활동 등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가 없었다. 물론, 衡平社 외곽 단체인 ‘衡平女性會’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언급되고 있지만 언제, 무슨 일이 있었다는 식의 사실 소개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衡平女性會’의 활동이 갖는 의미나 그들의 지향점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였다. 이러한 ‘衡平女性會’의 구체적 활동 내용을 알 수는 없지만 ‘衡平女性會’의 직ㆍ간접적인 활동을 통해 당시 1920년대 여성 白丁들은 자신을 드러내면서 신분 차별에 적극 저항하게 되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 차별에 대해 예전에는 굴욕적으로 참던 여성 白丁들도 이제는 더 이상 굴복하거나 복종하지 않게 된 것이다. 이 점이 바로 ‘衡平女性會’가 이루어낸 성과였던 것이다. 여성과 역사를 연구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은 여성에 대한 역사적 자료의 부족만이 아니라, 여성들의 삶이나 경험을 읽어낼 수 있는 여성주의적 시각의 부재라는 주장을 최대한 수용해 사료의 다시 읽기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과제를 안고 본 글에서는 白丁 공동체 내에서 경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후 전개된 형평운동에서는 자신들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衡平女性會’ 활동을 펼쳤던 여성 白丁들의 모습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여성 白丁들의 모습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들의 활동 공간인 白丁 공동체와 시대적 특수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白丁의 사회ㆍ경제적 변화와 여성 白丁의 경제활동에 대해 검토하였다. 여성 白丁들은 경제적 활동 과정 중에 사회적 차별을 겪게 되는데, 1920년대 여성 白丁들은 적극 저항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여성 白丁들의 저항과 의식의 각성은 천민 중의 천민으로서 비교적 자유롭게 바깥 활동을 할 수 있었던 바로 그 경험으로부터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行商이라는 경제활동의 참여를 통해 의식의 각성을 이루고 있었던 여성 白丁들이 당시에 고민하고 겪었던 여성의 문제를 주제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당시 신문에 보도된 여성 白丁 관련 기사들을 바탕으로 낭자실시의 문제, 문맹타파의 문제, 경제활동에 관한 문제, 가부장제도의 문제, 결혼문제로 주제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동시에 각 주제에 대해 1920ㆍ30년대의 ‘신여성’과 농촌여성들이 갖고 있었던 여성의 문제와도 비교해 보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성 白丁만의 문제가 무엇이었는지 다소 밝혀졌다. 한편, 당시 여성 白丁의 문제는 남성 白丁에게서도, 다른 계층의 여성에게서도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들을 인식한 여성 白丁들은 그들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운동과 조직의 필요성을 깨닫고 독자적인 ‘衡平女性會’를 결성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