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말 『미국민속학보(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에 소개된 한국시가의 특징

        김승우(Kim, Seung-u)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40

        본고는 19세기말 『미국민속학보』에 수록된 한국 관련 논문들의 분포를 개관하고, 그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애나 스미스의 「몇 편의 한국 자장가(Some Nursery Rhymes of Korea)」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서구 학계에 한국시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소개되었는지 그 궤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애나 스미스는 미국 연방정부에서 교육 행정가로 활동한 여성 명사였다. 특히 스미스가 담임했던 분야는 해외의 교육 정책이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해서도 예사 이상의 관심을 보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여성으로서, 또한 해외의 교육 문제를 다루는 관료로서 스미스의 관심사가 중첩되면서 한국 어머니들의 모성과 교육적 가치가 응축되어 있는 자장가(nursery rhymes)를 논의의 대상으로 포섭해 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그의 글에서는 한국의 자장가로부터 도출해 낼 수 있는 한국인의 전통적 인간관과 세계관 및 교육관이 시종 중시되었다. 스미스가 특히 주목했던 사항은 내세보다는 현세에서 자식이 출사하고 영달하기를 기원하는 어머니의 ‘실용적 충동’과 그러한 출사를 가능케 하는 기반으로서의 도덕적ㆍ인격적 수양, 입신양명의 유가적 기원과 자연스레 융합된 인과응보의 불교적 기원, 가족 관계와 가족 제도가 안정적으로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 등이었다. 한편, 스미스의 글에서 또 한 가지 두드러지는 내역은 한국시가의 율격적 특성에 대한 언급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그는 한국시가에서는 음절의 강약이 율격의 기저로 활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고서 강약률 이외의 율격모형을 모색하였으며, 그 귀착점으로 장단율을 하나의 가설로 설정하기에 이른다. 이상과 같은 스미스의 논의는 체계화된 자료 조사나 분석에 의거한 것이기 보다는 대개 개인적인 인상과 추정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었고, 따라서 그 학술적 의의 역시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스미스의 글은 미국의 유력 학술지인『미국민속학보』에 수록되었기 때문에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서구 학자와 지식인들의 뇌리에 한국의 문화적 특질을 각인하는 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요컨대 애나 스미스의 고찰은 그 적부를 차치하고라도 한국시가가 서구 학계에 소개되던 궤적과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으며, 이 같은 의미에 입각하여 그의 작업이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take a general view of the papers on Korea in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nd to examine how Korean poetry was introduced to the western academic world by particularly analyzing Anna Tolman Smith’s “Some Nursery Rhymes of Korea,” whi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writing of them. Smith was a distinguished woman as an executive official engaging in foreign educational systems in the U.S. federal government, so it is likely that her interest as a woman and specialist in foreign education led her to inquire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s which essentially reflect Korean mothers’ hope and lessen to their children. Consequently, she throughout tried to deduce Korean people’s view of life, the world, and education from several nursery songs. What she specially mentioned are Korean women’s ‘practical’ wish for their children’s success not in the world beyond the grave but in this world, and their serious consideration for the ethical value. Besides, she also paid attention to Koreans’ Buddhistic religion combined with Confucianism, and their inclination to maintain the traditional family system. Meanwhile, it is notable that she managed to conceptualize the versification structure of Korean poetry. After she found out that the stress of the syllables is not necessarily associated with the rules of the versification of Korean verses, she spotted the length of the syllables as the primary factor that makes the rhythm in Korean language and poetry. Strictly speaking, Smith’s inquiry into Korean poetry lacked scholarly exactitude since her study was based mostly on personal speculation rather than on thorough analyses. Nonetheless, because her paper appeared in 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 one of the most potent academic journals at that time in the U.S., it could have not only a large circle of subscribers but also a great influence on western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Such a feature made her writing acquire a certain level of importance which has not been found in the preceding westerners’ studies of Korean poetry.

      • 기술선택을 고려한 운송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방안의 평가

        김승우,이동근,전성우,Kim, Seung-U,Lee, Dong-Geun,Jeon, Seong-U 한국자원경제학회 1996 資源經濟學會誌 Vol.5 No.2

        운송부문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저감을 위한 정책대안을 통합적인 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시뮬레이션 모형은 일본의 국립환경연구소에 의해 개발된 AIM을 일부 수정한 AIM/KOREA이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의 3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기존차량에 비해 가격이 다소 비싸거나 동등한 에너지절약형 차량은 탄소세의 부과없이도 2005년에 가면 신규차량 전부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둘째, 운송부문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은 앞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감소를 목표로 하는 탄소세부과는 이산화탄소 배출저감에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전망되었다. 반면에 승용차 10부제의 시행은 이산화탄소배출량의 급격한 증가를 크게 둔화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에너지절약형 차량, 특히 전기자동차의 구입자에게 탄소세에 의해 확보된 재원을 이용하여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운송부문에서 이산화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평가되었다.

      • SCOPUSKCI등재

        요추 추간판 제거술중 발생한 대혈관 손상 수술 치험 -2례 보고-

        김승우,황윤호,Kim, Seung-U,Hwang, Yun-Ho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6

        하부 요추 추간판 탈출증시에 척추 후궁 절제술 및 추간판 제거술은 흔히 실행되며, 그로 인한 혈관 손상 합병증은 드물게 생기고 있다. 혈관 손상으로 인해서 수술 환자의 혈압이 떨어져도 외부로 출혈이 없으면 무시되기도 하지만, 만약 수술후 환자의 혈압이 심하게 떨어지거나, 저혈압 상태가 오래 지속된다면, 먼저 혈관 손상을 의심해야 하며, 즉시 개복술을 시행해야 된다. 부산 백병원 흉부외과 의국에서는 2례에 대한 경험을 했기에 보고한다. Conventional surgery for lower lumbar disc herniation is a common practice and its vascular complications have been reported rarely. If the hypotension is severe or prolonged postoperatively, one should suspect vascular injury and perform urgent laparotom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major vascular injuries following semi-laminectomy and discectomy.

      • SCOPUSKCI등재

        식도에 발생한 소세포암의 수술 치험

        김승우,류지윤,조광현,Kim, Seung-U,Ryu, Ji-Yun,Jo, Gwang-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9 No.8

        식도 소세포암은 매우 드문 악성 종양으로 알려져 있다. 본 인제 대학교 부산백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식도에서 발생한 소세포암 1례를 수술 치험하였다. 68세된 남자로서, 술전 위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신경내분비종양이 의심되어 식도절제술 및 위-식도 문합술을 시행하였고, 술후 경과는 양호하여 합병 증없이 퇴원하였다. Small cell carcinoma of esophagus is a rare malignant tumor Recently we experienced one case of small cell carcinoma in mid thoracic esophagus. The patient was a 68 year old male patient. On preoperative endoscopic biopsy, neuroendocrine carcinoma was suspected. Esophagectomy and esophagogastrostomy was performed.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specific complicalion.

      • 삼차원 영상인식을 위한 모아레 기술

        김승우,Kim, Seung-U 한국광학회 1998 광학과 기술 Vol.2 No.2

        오늘날 삼차원 영상인식에 대한 산업적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광계측 원리들이 개발되어 시험되고 있다. 모아레 기법도 삼차원 영상인식을 위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현재 시도되는 다른 광계측 방법들에 대해 다양한 기술적 경쟁력을 갖고 있다. 본 기술소개에서는 삼차원 영상인식을 위해 최근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모아레 기법의 현재의 연구 현황 및 앞으로의 발전 전망에 대해 정리하였다.

      • KCI등재

        20세기 초 프랑스 여행가에게 인식된 한국의 시와 노래 -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1904]에서 논의된 한국시가의 면면 -

        김승우 ( Kim Seung-u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4 No.-

        본고에서는, 1901년에 한국을 방문하고 당시의 견문을 수년 후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이라는 제목의 여행기로 출간했던 프랑스 시인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한국시가에 대한 인식과 논평을 검토하였다. 뒤크로는 자신이 관찰한 사항만을 다루려는 지향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한국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려는 지향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전자는 ‘관찰자’적 지향이라 칭할 수 있다. 한국을 분석이나 교화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한 발치 물러선 위치에서 한국인의 일상 풍경을 글로 옮기려 하였기 때문이다. 후자의 지향은 ‘직관’에 해당한다. 뒤크로는 자신이 접할 수 없는 한국인의 삶의 심층에도 관심을 두고서 나름의 직관으로 그 내막을 채워 나갔던 것이다. 양자를 종합하면 뒤크로는 ‘직관적 관찰자’의 입장에서, 또는 ‘관찰자적 직관’을 발휘하여 자신의 한국 체험을 서술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의 시와 노래에 대한 뒤크로의 인식을 살필 때에도 깊이 있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한국시가에 대해 당시까지 가장 학술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인물은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이다. 그러나 같은 프랑스인이지만, 쿠랑과 뒤크로가 한국시가를 다루는 방식과 목적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쿠랑은 최대한 객관적으로 한국시가의 존재 양상을 기술하려 한 반면, 뒤크로는 한국시가 자체의 존재상보다는 작품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일상 등 내용적 측면을 중시하였고 그 이면의 사정을 직관적으로 포착하는 데 유념하였다. 쿠랑과 뒤크로 사이의 이 같은 편차는 한국시가를 논의했던 영미권 인사들 가운데 제임스 게일(James Gale)과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가 노정했던 편차와 도 유사하다. 뒤크로는 자세한 시적 상황을 번역시에 개재하였던 헐버트의 영역 작업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큰 틀에서는 헐버트의 의역 방식에 따르면서도 뒤크로는 작품 본연의 맥락을 가급적 되살리려는 중용을 택하기도 하였다. 원작에 비교적 충실한 게일의 영역을 취하되, 유사한 주제를 지닌 서너 편의 시조를 하나의 맥락으로 재편함으로써 원작의 의미를 보존하면서도 서구 독자들이 한국시가의 느낌을 한결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일종의 ‘엮음’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뒤크로는 일부 시구 또는 시행을 누락하거나 원작에는 없는 표현을 삽입하여 시상을 자연스럽게 연결 짓는가 하면, 시조가 지닌 세 단계의 전개 방식을 번역시에 어떻게든 드러내고자 조처하였다. 아울러 뒤크로는 한국의 속담에서 발견되는 응축적이고 생기발랄한 표현력이 한국문학의 저변을 이룬다고 서술하였는데, 이는 속담과 한국시가의 표현 양상이 매우 유사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시가에는 고달픈 현실의 문제보다는 시간을 초월한 보편적 정서가 많이 나타난다는 뒤크로의 총평도 주목된다. 그의 언급은 질곡으로 점철된 한국인의 삶에 한국시가가 최적의 가치를 지닌다는 적극적인 평가와 잇닿아 있다.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정서를 환기함으로써 고난에서 한 발 비껴 설 수 있는 계기를 한국인들은 문학, 특히 시가를 통해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그가 한국시가 작품을 여러 편 번역하여 프랑스 독자들에게 선보였던 이유도 한국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가를 살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뒤크로는 한국문학을 논하였던 이 시기의 다른 어떤 서구인에 비하더라도 매우 진지하고 본격적인 탐색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French poet Georges Ducrocq visited Korea in 1901 and published a travelogue titled Pauvre et douse Coree(Poor and Douce Korea) several years later. This study examined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found in this book. Ducrocq intended to describe only the things he observed and the intention to depict the lives of Koreans in detail by activating his imagination. The former can be called the orientation as an ‘observer’ because he did not consider Korea as an object of analysis or edification but tried to write down the daily lives of Koreans from a distance. The latter orientation corresponds to ‘intuition’. Ducrocq was interested in the vivid life of Koreans that he could not see and imagined it with his intuition. So, it can be summarized that Ducrocq described his experiences in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an ‘intuitive observer’ or by demonstrating his ‘intuition as an observer’. This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when examining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The person who attempted the mo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poetry up to that time was Maurice Courant. However, although they are both Frenc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way and purpose of discussing Korean poetry between Courant and Ducrocq. While Courant tri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etry as objectively as possible, Ducrocq emphasized the contents of Korean poetry, such as Korean emotions and daily life, rather than its literary form, and he was careful to intuitively capture the situations behind the text. Such a difference between Courant and Ducrocq is similar to that of James Gale and Homer Hulbert, the Anglo-American missionaries who discussed Korean poetry. Ducrocq sympathized with Hulbert’s translation, which contained detailed poetic situations not found in the original text. However, while following Hulbert’s paraphrase method, Ducrocq chose the middle way to revive the work's original context as much as possible. He used Gale’s translation of sijo poems, which reflect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work relatively well, but reorganized three or four sijo poems with similar themes into one context. In this way, while utilizing the original work's meaning, Western readers were able to accept the feeling of Korean poetry more easily. Such a method can be called ‘weaving’.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he tried to smooth the poem's flow by omitting some phrases and lines or inserting expressions that were not in the original work and to reveal th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sijo poetry in his translation. In addition, Ducrocq described that the condensed and lively expressions found in Korean proverbs form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which means that the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proverbs and poetry are very similar. Meanwhile, attention is also paid to his general opinion that universal emotions that transcend time appear more frequently in Korean poetry than the problems of painful reality. His comments are linked to a positive evaluation that Korean poetry has the best value in the lives of struggling Koreans. It is said that Korea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step aside from hardship by evoking emotions that can be universally felt in any era or society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poetry. Ducrocq translated several works of Korean poetry and presented them to French readers because he decided that to understand the life of Koreans, one had to know their poetry. In this regard, Ducrocq can be evaluated as having carried out a very advanced and full-scale search compared to any other Westerners of this period who discussed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연산군대의 악장 개찬에 대한 연구

        김승우 ( Seung U Kim ) 우리어문학회 2013 우리어문연구 Vol.47 No.-

        본고는 연산군대 이루어진 악장 개찬의 성격과 그 배경 및 주요 내역을 검토함으로써 조선전기 악장의 제작과 향유 양상을 보다 정교하게 도출해 내는 데 목적을 둔다. 조선조 들어 악장의 편수와 쓰임에 관해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된 시기는 태조에서 성종대에 이르는 기간이었고, 악장이 새로 지어지는 빈도도 성종대로 갈수록 점차 잦아들게 되지만, 유독 연산군대에만은 종래의 악장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이 시도되었다. 이는 연산군이 선대 임금들의 치세기에 정립된 전범이나 제도에 구속받지 않으려 했기 때문이기도 하면서, 특히 갑자사화를 전후하여 예술 일반에 대한 취미와 애호가 현저하게 표출된 데에도 그 원인이 있다. 더불어 연산군은 악장의 개찬을 통해 자신의 재위기에 달성된 일련의 성과들을 대내외에 현창하고자 의도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갑자사화 이후 중종반정까지 약 2, 3년의 기간 동안 다수의 악장 작품이 새로 제작되기에 이른다. 조선왕조 개창 이래 음악은 흔히 고려조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되 그 가사만을 개변하는 방식으로 악장을 제작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연산군대의 악장 역시 대개 종래의 작품 가운데에서 연산군의 기호에 부합하는 곡목들, 예컨대 ?봉황음?, ?납씨곡?, ?상대별곡?, ?천권곡?, ?감군은? 등을 취택한 후 거기에 노랫말을 새로 지어 붙이는 방향으로 개찬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산군대 악장 개찬의 성과들이 중종반정 직후 모두 폐기되고 악장의 곡목과 연행 방식 역시 이전 시기의 것으로 회귀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선, 악장은 선대의 전례에 대한 존숭이 다른 어떤 영역보다 중시되는 갈래임에도 불구하고 연산군은 종래의 악장을 개찬하는 데 별다른 거부감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가사를 완연히 새로운 내용과 취지로 뒤바꾸는 방식을 선호하였기 때문에 그 변개의 폭 또한 상당했다. 이처럼 연산군대의 신제 또는 개찬 악장은 악장 일반의 존립 기반을 갖추지 못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연산군대의 악장이 칭송 일색이라는 점 또한 문제시 될 만하다. 악장은 표면적으로 군왕과 왕조에 대한 칭송을 앞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이면에는 군왕의 근신을 당부하고 군왕의 책무를 상기시키는 이른바 규계의 지향이 뚜렷하게 존재한다. 연산군대의 악장 개찬은 규계의 지향을 소거하고 칭송의 지향만을 부각해 내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칭송의 대상 역시 연산군 자신이나 연산군 당대에 이루어진 업적에 치중되어 있었다. 그 같은 자기만족의 수사만으로는 악장이 존립하기 어려우며, 이 때문에 중종반정 직후 연산군대의 악장은 남김없이 폐기해야 할 우선적인 대상으로 지목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연산군대의 악장 개찬 양상과 중종대의 수습 과정은 선초 악장의 소통·향유 방식 및 악장의 갈래적 특성과 관련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how and with what intent a number of former lyrics of akjang(樂章) were revised in the reign of King Yeonsan. Basically, King Yeonsan paid little regard to almost every precedent established under the reigns of preceding kings. His addiction to art including music and poetry and desire to show off his regime grew in intensity especially after Gapjasahwa(甲子士禍). All of these factors led King Yeonsan to have his retainers revise many akjang works for the last two or three years of his reig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most lyrics of akjang were newly composed according to the Confucian ideal while its music from Goryeo dynasty were continuously used. Similarly, King Yeonsan just indicated several lyrics which he wanted to revise such as Bonghwang-eum(鳳凰吟),Napssigok(納氏曲), Sangdaebyeolgok(霜臺別曲), Cheon-gwongok(天眷曲), and Gamgun-eun(感君恩), and showed his retainers certain ways to revise them without any concrete comments on the music. Meanwhile, it is notable that all the revised akjang in the reign of King Yeonsan were abrogated right after he fell from power. It is not only because he felt no compunction to change the lyrics of akjang although the accumulated precedent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with akjang than any other genres of literature in the medieval age, but also because he wanted to display only the praise for himself and his achievement in the revised lyrics although akjang usually consists of both the praise for king and retainers` warning for king not to be arrogant. In conclusion, the prompt abolition of King Yeonsan`s revised lyrics after his dethronement clearly shows us the feature of akj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

        목조(穆祖) 이안사(李安社)에 관한 전승 연구 - 장군수(將軍樹) · 호운석(虎隕石) 설화의 특징과 전승 양상 -

        김승우 ( Kim Seung-u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본고에서는 태조 이성계의 고조인 목조 이안사에 관련된 전승들 가운데 전주지역에 전해 오는 장군수와 호운석 설화의 특징 및 전승 양상을 해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성계가 외적을 방어하면서 명망을 떨쳤던 고려 말부터 전주에서는 그의 조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고, 특히 황산대첩 직후 이성계가 전주에 들러 종친들과 회합하면서 목조의 유년기 자취인 장군수가 본격적으로 부각된다. 호운석 또한 이 시기에 함께 회자되었으리라 보인다. 그러나 장군수와 호운석 설화가 후대에 전승된 방식은 다르다. 목조가 나무아래에 단정히 앉아 있으면 여러 아이들이 지나면서 절을 하는 모습이 관청에서 조회를 하는 모습과 흡사하였다는 정도의 내용으로만 구성된 장군수 설화는 오히려 그 같은 단출함 때문에 식자층의 관심을 받게 된다. 경험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내용인 데다 단순한 내용에 의미를 부여하면서 그 가치를 칭송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나무의 기상이 왕조의 유구한 기반을 환기하기에 장군수에 대한 흠모가 더욱 배가되기도 하였다. 장군수 설화가 「부사기」에 기록되거나, 관찰사와 임금이 주관하는 시험에 시제로 채택된 것도 그러한 흠모의 정이 투영된 결과이다. 한편, 호운석 설화에서는 목조가 하늘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져 결국 그 자손인 태조에 의해 왕조 창업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는 천명을 표출한다. 그러나 그 같은 주지를 구현하기 위해 신령스러운 호랑이를 등장시키고 동굴이 돌연 붕괴되는 우연적 사건을 개재하는 등 전반적으로 허구적 상상력에 의존하고 있어서 이 설화는 식자층 사이에서는 쉽게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호운석 유적을 추앙하려는 움직임이 표면화되지 않았고, 관련 설화를 관헌이나 조정에서 공인하였다는 기록도 발견되지 않는다. 반대로 호운석 설화는 민간에서 보다 활발하게 전승되고 다채로운 서사로 개작되면서 전주 이외의 지역으로까지 확산되어 갔다. This paper aim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ends of King Mokjo Yi Ansa (?-1274)―the legend of Janggunsu and the legend of Hounseok―passed down in Jeonju region. The dwellers of Jeonju supposedly started to respect the memory of King Mokjo and to disseminate his legends in the late 14th century when his descendant King Taejo Yi Seonggye attained fame as a renowned military hero for his successive victories over foreign invaders. The two legends differ from each other regarding the ways in which they have been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legend of Janggunsu―simply put, when young Yi Ansa sat down under a big tree, the neighborhood kids bowed to him politely as if they were subjects bowing to their king at court―was generally accepted by the literate class not only because the story was reliable but also because the tree could evoke the prestige of the royal family. On the other hand, the legend of Hounseok―thanks to a mandate from heaven, young Yi Ansa narrowly escaped being killed under a collapsing cave―has been chiefly passed down among the common people. The heavenly mandate in this story is embodied by a divine tiger, and the common people enjoyed such naive fantasy. Accordingly, the legend of Hounseok had not been certified by a governmental authority, which allowed the legend to be orally recomposed several times and to be spread far beyond Jeonju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