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효성 있는 재해예방형 도시계획을 위한 개선방향 고찰

        김슬예 ( Seulyea Kim ),김미은 ( Mieun Kim ),김창현 ( Changhyun Kim ),이상은 ( Sangeun Lee ) 한국안전학회 2017 한국안전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urban policy for more effective disaster prevention, as abnormal natural disasters are becoming more frequent. Up to now, the urban plan for disaster prevention in Korea merely includes basic principles and necessities of measures as an early stage. Furthermore, there are difficulties to make specific programs because the legal system, technical instruments, and financial supports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figures out problems in the current plan related to urban prevention after analyzing the legal system and practices. Resulting from case studies in developed countries, the study draw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follows: enhancing legally binding force; improving the procedures for the programs; establising technical infrastructure. It first suggests a way for the urban policy for disaster prevention by considering our local features comprehensively. It then defines the roles of central, local governemnts and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procedure for urban disaster prevention planning building on the individual roles. This study concludes that an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institutional tools necessary to publish technical guideline and establish the system so that urban planners more easily access to disaster risk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들의 해동검도 수련몰입이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슬예 ( Seul Ye Kim ),이재범 ( Jae Bum Lee ),김용국 ( Yong Kuk Kim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해동검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과 수련 경력에 따라 수련몰입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수련몰입과 자기 주도적 학습의 변인간의 다차원적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해동검도를 수련하고 있는 25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반응은 심리측정적 타당성 검증을 거친 평정척도를 통하여 얻어졌다.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다변인분산 분석(MANOVA) 결과, 수련몰입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수련 경력에 따라서는 해동검도 행위몰입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로, 중다회귀분석을 통한 수련몰입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와의 다차원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예언변인인 수련몰입의 행위몰입은 준거변인인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의 학습에 대한 주도성에 영향력을 미치며 수련몰입의 인지몰입은 학습에 대한 애착에 각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동검도 수련에 있어 수련몰입의 수준이 높은 참가자일수록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의 수준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raining flow and self directed learning according to gender and training experience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ere being trained in Haedong Gumdo, and to test the multi dimensional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training flow and self directed lear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1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were being trained in Haedong Gumdo, and their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n evaluation scale with psychometric validity tested. First, in the results of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training flow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but self directed learning attitude was different. In addition, difference was observed in Haedong Gumdo behavior flow and self directed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training experience. Second, in the results of testing the multi dimensional relation between training flow and self directed learning attitud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edicting variable behavior flow, one of the sub factors of training flow, had an effect on criterion variable initiative in learning, one of the sub factors of self directed learning attitude, and cognitive flow had an effect on attachment for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ose showing a high level of training flow in Haedong Gumdo training have a higher level of self directed learning attitude.

      • KCI우수등재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 연구

        남궁희,김슬예,강은지,김용근,Nam Koong, Hee,Kim, Seul-Yea,Kang, Eun-Jee,Kim, Yong-Ge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공원 공공성 인식 연구로 공원 내 텃밭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을 기반으로 공원 내 텃밭에 관한 인식과 공원 내 텃밭 공공성 평가,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텃밭 경작 참여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경작 참여 집단과 비참여 집단을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작 참여 집단은 비참여 집단에 비해 공원 내 텃밭 조성에 대한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공원 내 텃밭을 개인의 이익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어 공원의 공공성을 위협하고 있었다. 둘째, 공원 내 텃밭 공공성을 평가한 결과, 경작 비참여 집단이 참여 집단에 비해 도시공원 내 텃밭의 공공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원 내 텃밭 공공성 증진을 위한 텃밭 분양 방법 및 소비 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경작 참여 집단은 텃밭을 공공의 가치로 인식하기보다는 개인의 가치를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지속가능한 관리 운영을 위해서 두 집단 모두 공원 이용자 사이에 텃밭의 공공적 가치 인식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원의 기능과 텃밭의 기능이 상충되지 않고 도시공원 내 텃밭이 공원 공공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성 및 관리 운영되기 위한 이용자 측면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공원 내 텃밭이 조성되고 관리 운영함에 있어 공원의 공공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ed at understanding recognition of the park's community garden, public evaluation of it, and user awareness of the public enhancement plan. This was based on the problem that arose in the park community garden as public awareness research along with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participation within the urban park. In order to compare recognition differences along with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n analysis by dividing research participants into a cultivation participant group and non-participant group. As a result first, the cultivation participant group positivel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he community garden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group. However, they recognized the community garden as a space for private profit, which threatened the public aspect of the park.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community garden publicness, the non-participant group which was alienated from community garden use, had a negative opinion about the community garden. Thir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wareness of the community garden distribution method and consumption to promote publicness of the community garden, the cultivation participant group recognized the community garden as a space for private profi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oth groups to be aware of the public value of the community garden among the park users for sustainable management and op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e direction in the aspect of users to form, manage and operate the community garden in the urban park without damaging publicness of the park or conflicting between the function of the park and the function of the community garden. Henceforth,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to maintain publicness of the park in respect of formation of the community garden in the park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 KCI등재

        도시침수 고위험지역 선정을 위한 AHP-PROMETHEE 연계

        이상은,이종소,김슬예 국토연구원 2017 국토연구 Vol.94 No.-

        Risk assessment methods are becoming important in making decisions on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in urban areas. With a focus on urban flood, this study examines how risk hotspots are determined at the viewpoint of urban planning in municipal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s the hybrid method of AHP and PROMETHEE. AHP, a pair comparison, is used in effectively designing a complex decision-making problem and selecting and weighting evaluation criteria, whereas PROMETHEE, a priority approach, is used in finding grid alternatives at higher risk. after analyzing the Gwangju case, the proposed method indicates that flood risk hotspots lies in two areas. The first is located in some grids near a bend of the Mokhyun river. Because this area can be inundated with the high depth, its development needs to be regulated strictly. The second is located in a joint of the Mokhyun river and the Gyungan river. Because this area is currently used with a residential purpose and highly populated, it needs various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with designation of a special district.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 sufficient possibility as a tool for planning flood disaster prevention, in particular selecting flood risk hotspots objectively. 도시의 사전 재해저감대책 의사결정을 위해 위험도평가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도시침수에 초점을 두고 지자체의 재해 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차원에서 고위험지역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도시침수에 대한 고위험지역을결정하는 데에 다양한 위험정보를 토대로 쌍대비교법인 AHP와 우선순위 산정방법인 PROMETHEE를서로 연계하여 각 격자대안의 비교우위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도 광주시의 경우 전반적으로 목현동에 위치한 목현천 만곡부 연접지역과 송정동에위치한 경안천 합류부 연접지역의 두 지역이 고위험지역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었다. 목현천 만곡부의경우 지형특성상 하천 범람 시 높은 침수심이 예상되어 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되었는데, 향후 개발규제가우선되어야 할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송정동의 경우에는 인구가 매우 밀집된 주거지역으로서 방재지구지정과 함께 다양한 도시계획적 대책이 집중되어야할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론은 도시침수에 대한 예방대책을 위한 도구, 특히 고위험지역을 선정하는 객관적인 방법을 제공할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