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가하천 친수지구의 이용등급, 상세유형화 및 친수거점지구 지정 방법 개발

        이종소,이상은 국토연구원 2019 국토연구 Vol.102 No.-

        For national and local policie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welfare, culture and tourism, it is very important for river managers to designate and operate water-friendly river spaces in accordance with residents’ demands. Using mobile big data verified by the previous study (Lee, Lee and Choi 2019), this study aims to propose scientific ways to characterize water-friendly river spaces. First, it suggests clear criteria regarding how frequently a river space is visited by residents: river spaces are classified to five grades over the log-normal distribution in the number of visits per area. Second, it infers residents’ purposes to visit a river space: the purposes are characterized to five groups, which largely depends on whether a river space is used as a place for neighborhood-convenience facilities, or as one for culture and tourist facilities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hird, this study suggests a step-wise method for determining water-friendly hub spaces deliberately using all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river managers should apply more scientific ways to designate and operate water-friendly river spaces while monitoring residents’ visits closely with mobile big data. 도시의 개발, 재생, 복지, 문화 관광 등의 지역 정책과하천이용의 수요에 맞춰 하천 공간을 지정하고 운영하는 것이 한층 더 중요해졌다. 이에 본 논문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하천 공간을 지정・운영하기 위해선행연구에서 검증된 통신 빅데이터 이용지표를 사용하여 친수지구를 특성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한다. 첫째, 친수지구의 이용도를 판단하기 위해 면적당 이용객 수를 로그노멀 분포로 변환하여 5등급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여러 가지 통계분석을 통해친수지구를 5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친수지구가 근린친수와 친수거점의 어디에해당하는지 구분하였다. 셋째, 이용등급과 공간 활용의 유형을 고려하여 친수지구를 단계적으로 지정하는 방법과 기준을 제안하였다. 향후 중장기적인 모니터링과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근린친수지구와 친수거점지구로 지정해야 할 것이며, 본 논문의 결과는친수지구의 계획, 유지관리, 인・허가에 있어서 합리적인 결정을 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하천점용허가에서 통신 빅데이터의 활용: 친수지구의 편의시설 설치 허가를 중심으로

        이종소,이상은 국토연구원 2020 국토연구 Vol.105 No.-

        Governments have designated and operated water-friendly spaces in rivers in order to offer opportunities for refreshment and leisure to citizens.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provid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ose spaces, mainly because of a conservative tradition related to the river space use permit. In this regard, this study present a novel method to estimate the adequate number of toilets and parking lots, as examples of convenience facilities, which citizens have often asked to provide. This study suggests two-steps approach: first, estimating statistically the rough number of convenience facilities from the key design variable, i.e., number of visitors; second, adjusting the number based on auxiliary design variables, i.e., areas of spaces and per capita visiting distance. Moreover it is found that mobile big data could be a good data source for building the statistical equation and investigating design variables for each water-friendly space. Finally, it describes a need for further studies and importance of managers’ and practitioners’ participation in improving the proposed method. 시민들에게 휴식과 레저를 위한 공간부족을 해소하고, 복지 증진과 문화 관광 등의 활성화를 위해 하천공간에 친수지구를 지정하고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하천공간의 보전, 실질적 수요예측 등의 한계로 인해 친수기능 확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시민들이 친수지구를활용하는 데 불편사항으로 자주 지적된 화장실, 주차장 등 편의시설에 대한 주민 수요를 분석하여 적정수량을 파악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현재 친수지구별 이용객 수와 구축한 화장실, 주차장의 현황을 회귀분석을 통해 적정수량을1차적으로 판단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와 통신 빅데이터의 이용지표를 조합하여 2차적으로 시설의 적정수량을 조정하였다. 도출된 식을 적용한 결과 친수지구 별로 화장실과 주차장의 적정수량과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는데, 매우 부족하거나 과도하게조성된 친수지구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하천공간의 설치 수요에 대한 방법론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관련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지역‧주민 요청이 많은 화장실, 주차장등 편의시설에 대한 수요를 정량화하고 설치허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천의 홍수방어목표 적정화를 위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 적용: 하천 배후지역 이용현황에 따른 설계빈도 차등화를 중심으로

        이종소,이상은,송창근,신은택 국토연구원 2021 국토연구 Vol.108 No.-

        In Korea, the flood defense level has been typically determined by the classification of river grade. Each river interval should, in principle, have different level necessary to consider the flood risk behind the river, which however is not currently applied in planning the river due to the lack of scientific methods. Therefore, to develop a reasonable method for zoning the flood defense levels of river intervals, the methodology of the QR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riginated from the reliability engineering was introduced to a river interval with highly urbanized area. First, the authors presented the FN curve showing the numbers of fatalities at various flood frequency conditions. Then, they evaluated the adequacy of flood risk comparing with the societal risk tolerance criteria for the river basin. Finally, they adjusted the flood defense level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s of population, land use, and buildings in riparian and checked whether it satisfied the risk criteria or not. 우리나라는 하천을 설계하는 데 하천 배후지역의 위험도를 고려하기보다는 하천등급에 따라 홍수방어목표, 즉, 설계빈도를 구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원칙적으로는 하천 구간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나, 과학적인 판단기준 및 분석방법이 불분명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공학에서 제안한 정량적인 위험도 평가를 응용하여 하천 구간별로 설계빈도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온천천 유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방법론의 유용성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다양한 설계빈도 조건에서 인명피해를 분석하고 FN곡선을 통해 위험도를 나타내었다. 다음으로는 해당 유역의 실정에 맞는 사회적 위험도 허용기준을 도출한 뒤 앞에서 산정한 위험도의 적정성을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천 배후지역의 인구, 토지이용, 건축물 등의 분포를 고려한 결과 인구밀도가 매우 높아지는 일부 구간에서 설계빈도 상향 조정 등 위험 저감대책이 필요함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향후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하천의 구간별 홍수방어목표를 적정화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가하천 친수지구 공간관리를 위한 통신 빅데이터 활용성 검토: 자료검증과 이용지표 선정

        이종소,이상은 국토연구원 2019 국토연구 Vol.101 No.-

        While local governments implement various policies related to urban development and regeneration, welfare, culture and tourism, the river space, in particular, which river managers designated as water-friendly space, provides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for their relaxation and leisures. As a local resource, the value of the space continues to increase. Hence, river managers recently recognized necessities to manage and operate the river space in accordance with visitors’ demands, and to examine usefulness in applying mobile big data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visitors’ demands. In these regards, the authors first validates the number of visitors obtained from mobile big data with several water-friendly space cases. The accuracy of mobile big data turns out to be quite good enough to significantly reduce river managers’ burdens in field surveys, although it remains to be improved further. By using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inferred with the data, the authors then define eight water-friendly space indicators. Those indicators seem very useful to understand how residents interact with river spaces. With all results, authors conclude that mobile big data and defined indicators have potentials as valuable data sources for river managers’ practices, especially, in making decisions upon classification of water-friendly space, establish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optimization of O&M budget, and deregulation on the river space use permission system. 하천이 도시・복지・문화관광 등의 지역정책에 맞춰주민에게 휴식과 레저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활기를 창출하는 자원으로 그 가치가 부상함에 따라 하천이용객 수요에 맞춰 하천공간의 관리와 운영이 한층더 중요해졌다. 본 논문은 국가하천 친수지구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통신 빅데이터 유동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이용도 조사를 실시하고, 이용지표를 시범적으로 산정하고자 하였다. 국가하천 내 친수지구를 도시구간과 비도시구간으로 구분하여 표본검증 대상지를 선정한 뒤 통신 빅데이터 자료의 정확도를 검토하였으며, 통신 빅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양한정보를 활용하여 이용지표를 정의하고 2017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통신 빅데이터는 친수지구 이용도 조사에 크게 유용한 방법을 제공하며, 하천계획, 유지・보수 등 관련 실무활용 및 정책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규칙기반 분류기법을 활용한 관계부처 합동 통합 가뭄 예・경보 단계 설정 연구

        이종소,이상은 국토연구원 2022 국토연구 Vol.114 No.-

        Since 2016, Korean governments agenc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ve operated drought warning systems in coordination with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Despite multi-ministerial efforts, the ministries designate and announce various drought stages by using their individual views and methods so that municipalities and citizens are largely confused when they try to understand the severity of current and future droughts. This study suggests a novel method for integrating drought stages from three ministries into a single stage at each municipality level. The method follows three steps in order to determine the integrated drought warning stage. First, municipalit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n legal grounds, which are intended to differentiate municipalities’ vulnerability to drought. Second, expert interviews and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are used to quantify the weights of three drought stages for each type of municipality. Third, three drought stage records and estimated weights are applied to determine the integrated drought warning stage for municipalities across the country. The case with the drought in June 2022 shows that proposed methods can describe drought severity in terms of a single yardstick which is useful to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public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s, reflecting regional vulnerability characteristics in a simplified mann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국토 전반에 걸쳐 가뭄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체계적으로 가뭄 예・경보를 시행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가뭄 총괄・조정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기상청은 기상 가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용수 가뭄, 환경부는 생활 및 공업용수 가뭄을 담당하고 있어 다양한 부처가 관계되어 있다. 하지만 다부처, 다기관 협동체계 구축에도 불구하고 개별 부처가 각자의 방법으로 가뭄 예・경보를 발령하여 매달 12개의 가뭄 정보 및 지도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국민과 지자체 담당자들은 가뭄의 심각성에 대한 인지와 상황판단을 하는데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부처에서 제공하는 가뭄 발령 단계를 기반으로 통합 가뭄 예・경보 기술을 개발하여 하나의 가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통합 가뭄 예・경보 기술은 세 단계에 걸쳐 개발되었는데 법제도 근거를 검토하여 지역 유형의 구분을 실시하고, 설문조사와 AHP 분석을 통해 통합 가뭄의 심각성을 정량화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통합 가뭄 예・경보 기술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2022년 6월 가뭄에 적용한 결과,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하나의 정보로 표현할 수 있었으며, 이는 일반 국민과 지자체 담당자에게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를 실무와 정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 재난으로부터의 효율적인 대비와 대응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