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취업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 한국ㆍ미국ㆍ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김순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55

        Now,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provide the old with the opportunity to work, and as a result, various programs are suggested to the old people. However, current programs are likely to fail to succeed to provide the old with worthy opportunity to work.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provision of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now it's time for us to suggest the sustainable direction by which the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he ideal solution is, to compare the current programs of our country with the foreign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developed nations. The objectives of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Korea, America, and Japan are all similar, and the old people in the countries are agonizing factors of the countries. So, the policies of providing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the three nations will be compared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of this dissertation are, to compare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for the old of America and Japan, to figure out what are important matters, and to suggest the ideal solution to achieve the way th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to develop the programs qualitatively. The difference of the circumstances may exist, but the phenomenon or the desire that the old people face is not so different, regardless of the country where the old people belong. Comparing the cases is needed, because it has the pragmatic aspect to find out the novel approach regarding the policy. The difference of time and place exist between the countries, and the countries try to review and improve the policy. So knowing how the other countries are doing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olicy and what effect they got as a result helps solving our policy. Regarding th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the comparable standards by which the policies of the programs can be compared were selected,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policies will be figured out. And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descriptively, based on the literatures which concern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First, the approaching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will be reviewed, and the need to compare the cases will be also figured out. Second, the theoretical review will be done to set the comparing variables. Third, the frame of analyzing the programs of Korea, America, and Japan will be suggested. Last, the status of the programs of the three countries will be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ll be explored according to the comparing standards. And ultimately, the ideal plan to improve the program of providing the old with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will be suggested. The comparing standards are categorized by the three natures. First, the behavioral approach i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department in charge. Second, the institutional approach is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related law and conveying system. Third, by the functional approach, how the assets and programs are prepared can be figured out. The three approaches have the complementary nature, and are necessary to compare the matters specifically. Regard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grams, the jobs that the old people can have are somewhat restricted, so it can be seen that the jobs are similar. The departments in charge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regional government, private enterprises, and the welfare institution for the old, so they can be seen as the similar existences. Regarding the differences, first, as the cooperating existence, the governmental body was centered in the program in Korea. However, in America, the private institutions were centered and in Japan,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people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ere centered, so there were differences. Second, as the conveying system, Korea have the strata-based system,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 Do, Sigungu, and the designated institutions. In Japan,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central governmen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elf-help institutions, regional communities, and regional government. In America, the conveying system consisted of the private institutions, mediating centers, and governments(federal, state, and regional governments). Third, regarding the related law, in Korea, the focus were, establishing the law that supports the old directly and indirectly and revising it. In Japan, the focus was, revising the law that concerns prolongation of the retiring age to help the old people work more, followed by the compromise with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America, the focus were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arranging the jobs, and mediating function, based on the prohibition against the discrimination according to the age.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e focuses of this dissertation are, what existence constitutes to the assets more, and the existence of the difference of the point of view toward the subsidy. In Korea, the assets which support the program of the provision of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but in Japan, although the assets were provided by the government, the membership fee and the amount of the investment of the self-help institution of the old were the great portion of the assets. In America, the use of the state subsidy was restricted, and the assets were used mediating between the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old, supervising, and evaluating. As a suggestion of the policies, first, the cooperating system between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private institutions should be reinforced. Secon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veying system of hiring the old is important. Third, the regulation and law that concern employment of the old should be revised. And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old should be standardized, and it should be improved institutionally. Fourth, regarding the preparation of the assets that support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working opportunity to the old, the government should induce the private entities and enterprises to provide the fund, because the burden of assets can be reduced by the method, and the asse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Through this method of comparing the cases, the programs of providing the old people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of Korea, America, and Japan can be reviewed, and the ideal solution can be suggested, so this study is meaningful academically and pragmatically. Furthermore, comparing the policies of providing the old with the working opportunity helps us to hav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related theories. The analyzation through comparing the cases is necessary to study the welfare policies, and now, the importance of it is well-recognized. 현재 한국 정부는 노인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려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것만으로 미래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공을 이루는 것은 아니다.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발전하려면 지속가능한 방향을 제시할 시점이 되었다. 이를 위해 선진국의 노인고용정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실시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한국・미국・일본은 노인고용정책의 목표가 유사하고 노인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이 논문은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 성장을 목표로 미국과 일본을 비교 연구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환경의 차이가 있더라도, 어느 국가나 노인이 겪는 현상이나 욕구는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비교연구를 하는 이유는 정책에 대한 해결방안을 새롭게 찾을 수 있는 실용적 측면도 지니기 때문이다. 국가마다 정책의 시간적, 공간적 차이가 있으며 정책을 검토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한다. 다른 국가가 정책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으며, 어떤 효과를 얻는지에 관한 지식과 정보는 정책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에 따라 정책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도출했다.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고용정책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하는 서술적 방식으로 작성되었다. 첫째, 비교연구의 접근방법을 검토하고, 비교연구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비교변수를 설정하기 위한 이론적 검토를 한다. 셋째, 한국․미국․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비교하는 분석틀을 제시했다. 이어서 세 국가의 노인일자리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분석기준에 맞게 동질성과 이질성을 탐색했다. 이로서 한국의 노인고용정책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비교 기준은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행태적 접근은 협력 주체, 담당 부처로 볼 수 있다. 둘째, 제도적 접근은 근거 법률, 전달 체계가 중요한 기준이다. 셋째, 기능적 접근은 재정 확보, 프로그램을 알아보았다. 세 가지로 나누는 접근 방식은 상호 보완적이며, 구체적으로 비교를 하는데 필요하다. 분석 결과, 동질성에서 프로그램은 노인이 할 수 있는 직종은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동질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었다. 담당부서도 중앙, 지방, 민간 기업, 노인복지단체 등으로 비슷했다. 이질성은 첫째, 협력주체에서 한국은 거의 정부 주도 중심의 주체가 중심이며, 미국은 민간단체 중심, 일본은 노인의 자조 조직과 중소기업 중심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달체계에서 한국은 중앙, 도, 시군구, 지정단체와 같이 계층적 형태였다. 일본은 중앙, 중소기업, 민간 자조 조직, 지역사회 단체, 지방 정부로 구성되었고, 미국은 민간단체, 중개 센터, 정부(연방, 주, 지방)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근거법률에서 한국은 정부가 노인을 직접․간접적으로 지원하는 법률을 제정하고 개정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일본은 노인이 일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과 협의한 다음에 정년 연장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며, 미국은 노인 차별 금지를 바탕으로 노인 일자리 기회 제공, 취업 알선, 중개 기능이 중심이었다. 넷째, 재정확보는 어느 주체가 재정 부분에 더 기여하는지, 보조금에 대한 관점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한국은 노인고용관련 재정은 정부에서 지원했으며, 일본은 정부가 지원하지만 노인의 자조 조직 구성에 따른 회비나 출자금 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미국은 정부 보조금을 되도록 사용하지 않고, 민간단체와 노인이 연결되도록 하는 중개 비용, 감독과 평가 기능에 재정을 활용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정책 제언은 첫째, 정부․기업․민간단체의 협력체제 강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노인고용전달체계의 일원화도 중요하다. 셋째, 노인고용제도와 법률의 개편도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에 대한 개념을 통합하고, 제도적인 보완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노인일자리사업의 재정 확보는 정부가 민간이나 기업의 협력을 유도해 재정 부담을 덜고, 더 효율적으로 재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처럼 비교연구방법을 통해서 한국, 미국, 일본의 노인일자리사업을 검토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은 학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다. 노인고용정책을 비교하는 것은 행정학 지식 축적과 이론 정립도 가능하다. 이렇게 비교연구는 복지정책을 연구하는데 필요하며, 오늘날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 청소년 범죄의 예방 및 재범 방지에 관한 연구 : 경찰활동 중심으로

        김순자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는 산업화의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사회 구조와 가치관이 파괴되고, 물질만능주의 · 도시 집중화 · 개인주의가 기형적인 형태로 사회 전반에 확산 되어졌다. 가정해체와 핵가족화는 청소년에게 도덕 불감증을 초래하였으며, 경쟁위주의 교육환경은 청소년을 사회 제도 밖으로 내몰고 있다. 최근 급속도로 확산된 인터넷은 폭력·음란물이 범람하면서 그 순기능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의 정서에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불법행위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은 너무나 쉽게 일탈에 빠져들고 있으며 청소년의 비행행위는 질적으로 흉포화 되고 있다. 동기 없는 범죄의 빈발, 범죄의 조직화, 사이버 범죄 그리고 학생범죄의 증가는 과거와 비교할 때 사회적으로 우려할 정도의 심각성을 띄고 있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청소년 시기는 호기심이 많고 우발적인 행동을 범할 수 있는 미성숙기이다. 그러나 소년범에 대해서 제도적으로, 청소년의 인격 단계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현행법에 의해 전건을 형사입건하여 검찰 또는 법원으로 송치 시킨다. 이 경우 검찰의 처분이 결정되기까지는 보통 1개월에서 3개월까지의 기간이 소요되는데, 그 기간 동안 소년범에 대한 아무런 제지가 없기 때문에 죄책감은 희석되고 오히려 처분에 대한 반감만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 처분이 불기소처분이나 소년보호사건으로 내려 지더라도, 범죄자라는 낙인을 찍는 부정적 효과를 초래하여 재범을 유발하는 동기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은 1970년대부터 거의 모든 주(州)에서, 영국에서는 2000년 6월부터 각각 청소년 범죄를 전건 입건하지 않고 초기 단계에 경찰이 개입하여 선도조건부 훈방에서 선도프로그램까지 연계 하고 있으며, 소년전담경찰이 업무를 담당 하고 있다. 강도, 살인 등 중범죄자에 대하여서도 경찰단계에서 위원회와 함께 처분 결정에 상당한 재량권을 행사하고 있다. 이에, 본 논고에서 2003년부터 2007년 5년간의 경찰청 범죄정보시스템 통계, 관련자료 등을 토대로 분석하여 청소년 범죄의 예방과 재범방지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청소년 범죄는 예방뿐만 아니라 재범 방지에도 가정·학교·사회가 일치가 되어 국가적으로 시급히 문제점을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이다. 우리나라의 현행법에서는 청소년 범죄행위자를 무조건적으로 입건하여 전과자를 양산하고 있는데, 청소년은 처벌 대상이 아닌 선도·보호의 대상임을 국가적 차원에서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경찰은 사회적으로 청소년들이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천편일률적인 형사처벌보다는 적절한 시기에 가르침을 주어 건전한 사회인으로 성장 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청소년 전문 경찰이 필요하다. 경찰단계인 소년범의 수사 초기부터 심리전문가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처벌에 앞선 선도를 유도하는 것이 재범을 방지하고 전과자 낙인의 부정적인 효과도 피하는 최선책이라 하겠다. 경찰청 범죄정보시스탬(CIMS)통계에서 보면 청소년범죄는 67.7%가 대부분 가까운 주변 환경에서 우발적인 일탈로 저지르는 것임을 볼 때, 우선 처벌에 하는 현행 제도를 개정하여, 전문가의 상담 · 인성검사를 토대로 한 결과에 따라 바람직한 선도 · 처벌을 하는 것이 청소년 재범 방지에 중요하다고 제시한다. 청소년은 미래의 희망이요, 국가·사회의 내일을 책임질 주인공으로 청소년이 건전하고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대처하여,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더욱 빛나는 보석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With the rapid growth of its economy driven by industrialization, the Korean society has stopped succeeding in and promoting the traditional social structures and values to develop a deformity in terms of materialism, urbanization and individualism. Collapse of the family and phenomenon toward the nuclear family have brought about moral insensitivity, the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driving the juveniles out off from the social systems. The accelerated expansion of the Internet, albeit its positive functions,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sentiment of juveniles as well as facilitating the illegal acts and contacts, offering uncontrollable violent and obscene materials. In this kind of circumstance, the juveniles are ready to deviate and commit increasingly atrocious crimes. Compared with the past, the present frequencies of motiveless crimes, organized crimes, cyber and student crimes are rising enough to alarm the societies in its seriousness, which needs a in-depth discussion. The juvenile period is a immature time when the juveniles have a high level of curiosity and are easily attracted to accidental behaviors. However, the current policies for these young people are only focused on prosecuting the entire cases as criminal ones to stand the accused before the prosecutors or judges. In this case, it takes about one to three months for the prosecution to make a decision on each case, during which period the no restraint on the juvenile criminals attenuate their guilty conscience, rather raising an antipathy against their post-treatment. Even if the treatment comes down to a disposition not to institute a public action or juvenile protection, it can brand them as criminals who as a result may perpetrate the crimes over and over. In the US since 1970s in most of the states and in Britain since June 2000, they have not prosecuted the juvenile crimes, instead the police intervening into the cases in the early stages to release them with a warning on condition that they must get proper guidance or participate in a guidance program under the superintendence of juvenile specialized police. For the felonies such as burglaries or homicides, the police execute a considerable control over the treatment along with committees. In this respect, based on the statistics and relevant data produced by Cri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on the 5-year period from 2003 to 2007, this study will address the needs for prevention of juvenile crimes and repetition of an offense. Juvenile crimes are what the families, schools and societies should altogether provide a solution quickly as a state-level policy on the prevention as well as barricading the repetition of those crimes. The current national law implies that the juvenile criminals should be prosecuted for all of their cases, which produces ex-convicts; the nation must recognize that juveniles are not the target of punishment but guidance and protection. In addition, the police should develop a juvenile specialized force that provide a timely discipline for the young criminals rather than monotonous prosecutorial punishments, so that these juveniles can grow properly to become sound social members. It will be the best solution to deploy some active psychiatric experts to the early stage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police for a precise and consistent guidance before any punishment is imposed, as a prevention and anti-reoccurrence measure. The statistics of CIMS(Crim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hows that 67.7% of all juvenile crimes are caused by accidental derailments in the proximate negative circumstances; this suggests that, to prevent the repetition of an offense, it is important to revise the current punishment-oriented system in order to guide and punish those juvenile in the right direction based on some consultation and personality test. Juveniles are our hope and key social members to lead the future of the nation/society. We should help them grow in the right direction and be a precious stone that will bring glories to the nation and society.

      • 30〜50대 직장여성의 미용관심도와 헤어스타일 선호도

        김순자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30∼50대 직장여성의 미용관심도와 헤어스타일 선호도 김순자 지도교수:박철호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최근들어 의학의 발전에 따른 생명 연장으로 인한 노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는 산업의 구조 변경으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여성들의 사회참여와 직업의 전문화가 가속되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일반화되고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져 외모에 대한 관심과 미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으며 아름다움에 대한 선호도도 질적향상이 진행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30∼50대 직장여성의 미용관심도 및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알아보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미용관심도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를 차이를 분석해봄으로서 강력한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직장여성을 위한 헤어스타일 개발 및 고객만족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30~50대 직장여성의 미용관심도와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를 위해 2014년 8월 5일부터 9월 8일 광주에 거주하는 30~5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 320부를 배포하고 총299부를 회수하여 통계에 사용하였다.본 연구는 연구문제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WIN version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로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사회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미용관심도에 대해 연구대상자의 사회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헤어스타일 선호도에 대해 연구대상자의 사회통계학적 특성 및 미용관심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셀의 기대빈도가 5이하인 셀이 20%이상인 경우 피셔의 직접 확률 검정(Fisher'sExactTest)값을 사용하였다. 30∼50대 직장여성의 미용관심도중 자신의 헤어스타일에 대한 만족도는 44.8%이며,헤어 변화 주기는 59.2%가 2개월 주기였다. 헤어스타일링은 드라이 후 스타일링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타일링 방법으로 퍼머와 염색을 중요시 하였다. 미용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심리적 자기만족 뿐 아니라 사회적,직업적 요구 및 유행에 부응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실을 옮기는 이유는 주변사람들의 권유나 멋진 헤어스타일을 한 주위 사람들의 스타일에 따라 자극을 받아서였으며, 헤어스타일 변화 후 가족보다는 친구 및 직장동료의 평가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헤어변화에 따른 평가가 부정적일 경우 새로운 스타일을 시도하였으며, 헤어스타일은 전문가(미용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0∼50대 직장여성의 헤어스타일 선호도는 머리길이는 아주 짧은 것보다는 단발 정도로 짧거나, 어깨정도의 중간머리를 선호하였으며, 퍼머 웨이브는 네추럴 웨이브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퍼머를 하는 이유는 볼륨감을 주기 위함이었다. 염색시 갈색계열을 선호하지만 밝은 갈색 보다는 어두운 갈색을 선호하였으며, 자신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50대 여성의 미용관심도에 따른 헤어스타일 선호도에서 미용관심도에 따른 염색을 하는 이유로는 대체적으로 세련되게 보이기 위해서,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서 및 자신의 이미지 개선을 위해 염색을 하는 여성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현재 자신의 헤어스타일에 대해 만족하는 그룹은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염색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헤어(길이, 색상 등 모든 행위)에 변화를 주는 주기에 따라서는 1개월 미만은 세련되게 보이기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월, 6개월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3개월이라고 응답한 그룹은 세련되게 보이기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헤어스타일링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으로는 대체적으로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염색을 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신이 주로하는 헤어스타일링 방법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어두운 갈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스타일링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으로는 컷트(헤어길이), 클리닉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그룹은 세련되게 보이기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퍼머(헤어 디자인),염색(헤어색상)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룹은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미용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심리적 자기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타인에게 매력적이게 보이기 위해라고 응답한 그룹은 세련되게 보이기 위해 염색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직업적 요구에 의해서와 유행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라고 응답한 그룹은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염색을 한다고 응답해 차이를 보였다. 미용실을 옮기고 싶은 마음이 드는 이유에 대해서는 매번 같은 스타일이 지루할 때와 멋진 헤어스타일을 한 사람을 봤을 때라고 응답

      •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서 N-Terminal Pro Brain-type Natriuretic Peptide의 진단적 유용성

        김순자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 Even though the echocardiography has been recognized as a method of choice among various diagnostic tools to detect congestive heart failure (CHF), there were some limitations in relation to the consumption of time, labor and process. We analyzed results of N-terminal pro brain-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to clarify the diagnostic usefulness of NT-proBNP in detecting patients with CHF.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the sera of total 242 cases from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ich were requested from the cardiovascular section of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3 to May 2004.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order as shown below; Sampling, NT-proBNP analysis, data acquisition and data analysis. All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and echocardiographic findings was acquired by medical record review. Results : When classifying the study. population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the serum level of NT-proBNP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51-60% of LVEF (P=0.023). There were low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level of NT-proBNP and various parameters of the echocardiographic findings with LVESD (r=0.1513), LVEDD (r=0.0831), LVEF (r=0.2035), IVST (r=0.03) and LVPWT (r=0.0728), respectively. When comparing NT-proBNP with atrial and/or ventricular enlargement, the patient group with both left atrial and left ventricular enlargement (P=0.186) or only left atrial (P=0.105) or only left ventricular enlargement (P=0.256) showed higher level of NT-proBN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s than patient group with no enlargement. To search the optimal cutoff of the serum level of NT-proBNP, the sensitivity (98.9%) and the specificity (100%) was highest at the cutoff of 300 pg/mL than any other cutoff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analysis of NT-proBNP in serum might detect the patients with CHF earlier than echocardiography,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symptomatic or mild symptomatic CHF. In conclusion, NT-proBNP test was proved to be clinically useful to diagnose CHF patients.

      •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순자 동양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참여현황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지지 및 보상이 현재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의 우울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중년여성에 대한 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을 규명하는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여성 1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 분석은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WIN 12.0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해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를 통해 중년여성들은 가족의 지지를 많이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보상을 높게 받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었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새로운 경험,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접촉, 사회적 인정, 성취감영역 모두에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자원봉사활동 참여현황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지지와 보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지지와 참여현황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이 높을수록 중년여성들의 우울 인식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자원봉사활동 참여현황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지지와 보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가족지지와 참여현황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은 삶의 질에 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이 높을수록 중년여성의 삶의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우리 사회의 중년여성들에게 있어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보상이 중년여성들의 우울감소 및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들이 보다 많은 보상을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과 배려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