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처리시설의 열처리분야(소각, 소각열회수, 열분해) 검사기준 및 방법

        김수향(Suhyang Kim),권준화(Junhwa Kwon),최정우(jeongwoo Choi),김장영(Jangyoung Kim),박찬(Chan Park),한태욱(Taeuk Han),손준익(Junik Son),김영란(Younglan Kim),강준구(Jun-gu Kang),전태완(Tae-wan Je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1

        현재 국내에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및 정기검사가 가능한 기관은 「폐기물관리법」 제 30 조의 2 에 따라 환경부령으로 정한 기관 또는 단체등 검사기관으로 규정이 되어 있으며, 시설별 검사가 시행되고 있다. 폐기물처리시설 검사대상 시설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제 41 조에 따라 소각시설, 매립시설, 멸균분쇄,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 시멘트소성로, 소각열회수시설, 열분해시설 등 총 7 개 분야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처리시설의 검사방법에 관한 규정」 (국립환경과학원고시 제 2023 ― 14 호) [별표 1 폐기물소각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별표 6 소각열회수시설의 세부검사방법], [별표7 열분해시설의 세부검사방법]의 검사기준 및 세부검사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 폐플라스틱 열분해시설의 공정 및 배출가스 성상분석 연구

        김수향(Suhyang Kim),박찬(Chan Park),최정우(jeongwoo Choi),김장영(Jangyoung Kim),권준화(Junhwa Kwon),한태욱(Taeuk Han),손준익(Junik Son),김영란(Younglan Kim),강준구(Jun-gu Kang),전태완(Tae-wan Jeon) 한국환경에너지공학회 2023 한국열환경공학회 학술대회지 Vol.2023 No.2

        국내 플라스틱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쓰고 버려지는 폐플라스틱 문제가 국제사회의 환경 위협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 해양의 미세플라스틱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폐풀라스틱을 처리하기 위한 순환경제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폐플라스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폐플라스틱 열분해가 주목받고 있다. 열분해는 무산소 조건에 서 폐폴라스틱을 가열함으로써 고분자 화합물을 저분자 화합물로 분해하여 재활용이 가능한 열분해오일을 생산하는 공정으로 환경부에서는 2030년까지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처리비중을 10%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열분해 시설에서 배출되는 공정 및 배출가스를 채취하여 가스상 9개, 입자상 7개 물질의 실측값에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8 의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올 준용하여 환경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환경성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PBL 수업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 효과 및 학습양식 간의 관계

        김수향 ( Soohy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이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자의 학습양식과 학습동기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대학에서 ‘아동권리와 복지’ 교과목을 수강한 40명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한 학기 총 15주차 수업 중 12주차 수업을 PBL로 진행하였다. PBL 수업의 효과와 학습자의 학습양식, 학습동기,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BL 수업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BL 수업은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BL 수업에서 학습자의 ‘참여형’ 학습양식 유형이 학습동기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높은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BL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개별학습자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보다 다양한 팀 기반 활동이 개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and learning styles in PBL calss. It recruited 40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of ‘Children’s rights and welfare’ in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as the subjects. Then, it progressed 12 sessions of the PBL class, among a total of 15 sessions during a semest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motivation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each of pre- and post-test of them was conducted.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First, PBL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motivations; Second, PBL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Third, learners’ ‘participatory’ learning style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ir learning motivation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e in the PBL class.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PBL, it should be considered individual learner’s characteristic and develop various types of team based lesson method.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Kim Soohya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만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36명이었으며, 문제해결 능력의 측정은 Hennessey와 Amabile(1988)의 문제해결 능력 측정척도로 평가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유아의 문제해결 과정을 본 연구자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으로 재구성하여 12주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실험집단과 동일한 그림책만 들려주고 일반적인 유치원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보다 문제해결 능력에서 유아들의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은 유아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of kindergarten children.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72 young children who were each five years old, and enrolled at "J" kindergarten in Ulsan. They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test scores. Each group had 36 children, one group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E) and the other as the comparative group (C). The tests used were the "Hennessy & Amabile(1998)'s problem 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E)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12 weeks. Data management was performed by SPSSWIN 10.0, T-test was use f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following: 1.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has enhanced problem-solving performance ability. 2.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has enhanced problem-solving applying the ide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the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with children's picture-books can help young childr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y. I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is truly a tool for solving problems, then it should be encouraged at an early age so that it becomes a natural and accepted part of children's intellectual functioning.

      • KCI등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김수향 ( Kim Soo-hy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6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유아안전교육의 내용과 그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사 114명과 예비유아교사 114명으로 총 228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5월4일부터 6월26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은 총 16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중 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3개로 소방안전, 자연재해안전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미디어안전, 질병안전, 도구사용안전은 나타나지 않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상위개념 유형은 16개로 그 중에서 교통안전, 소방안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약물오용남용예방안전, 환경오염안전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안전교육의 하위내용에 대한 개념형성은 유아교사는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소방안전 순으로, 예비유아교사는 소방안전, 성폭력아동학대예방안전 순으로 체계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개념수준은 유아교사평균 1.40, 예비유아교사는 평균 1.4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개념수준의 분포는 1.00.3.36사이로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의 개념에 대한 각 범주에 대한 개념형성은 취약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집단 내 유아안전교육의 개념 수준의 차이는 유아교사는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을수록, 예비유아교사는 유아안전교육 강의를 이수한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안전 전문성에 요구에 부합하는 교사들의 개인차를 반영한 교육과 제도마련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level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which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using a concept ma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4 in-service teachers and 114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4 to June 26, 2015. The results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16 super ordinate concepts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in-service teachers chose fire and natural disaster safety the most. However, media, disease, and tool safety were not chosen. In the case of pre-service teachers`` all super ordinate concepts were chosen. Traffic and fire safety were chosen the most.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drug misus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was chosen with low frequency. Second, In the subcategories of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safety in the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followed by fire safety was important.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fire safety followed by safety in terms of prevention of sexual abuse and child abuse was important. Third, the average of the concept level for the in-service teachers`` 1.40, and 1.43. for pre-service teachers. The average for both groups was nearly the same. All the subjects were within the range of 1.00.3.36 for the level of the concept. This value means that the teachers had a lack of the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urth, in the case of the in-service teachers, the difference in the level was caused by the teachers`` academic ability and career. However,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safety education courses for young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develop safety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KCI우수등재

        어린이집 입학상담의 지금-여기(here and now)

        김수향(Soo Hyang Kim),권은주(Eun Joo Kwon),정경화(Kyung Hwa Chung),이영림(Young Rim Lee) 한국아동학회 2011 아동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study is to understand how a principal of a child-care center and parents accept different episodes and experiences in admission counselling and their use of metaphorical expressions about this, and to illuminate the current state of play by examining the requirements of parents in selecting a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10 principals of private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the Gyeongsangbuk province of Korea, and the research materials for episodes and metapho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eans of in-depth and telephone interviews during an application period. In terms of the overall climate of the admission counselling, as shown in the various episod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n increase of parents`` demands occurred through a primarily consumer-centered environment, and the sudden increase in a fathers`` participation, the inside circumstances of admission counselling in progress throughout the year, the non-existence of respect and credibility and the continuity of conflicts and were all observed to co-exist. In terms of the emotional meaning of counselling via metaphors, the following emotions could be inferred; hopelessness, anger, lethargy, stress, fear and eagerness. It is anticipate that this study will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better illuminat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climates of here and now admission counselling.

      • KCI등재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에 미치는 영향

        김수향 ( Soo Hyang Kim ),한민경 ( Min Kyung Han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경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실습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4년제 A대학교 유아교육과의 재학중인 4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교육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요구를 토대로 연구자 3인이 구성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는 정서적 지원, 교육신념, 교수능력의 3가지이며 구성원은 실습지도교수, 실습지도교사, 수퍼바이저로 이루어진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은 크게 교육실습 전, 교육실습, 교육실습 후의 3단계로 이루어지며 총 12주차로 이루어진다. 협력적 멘토링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의 정도를 측정하고 사전, 사후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협력적 멘토링에 기초한 교육실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신념, 교사 효능감 및 실습불안·갈등을 사전·사후 비교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의 수준을 질적으로 높여주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육실습 수행, 교육신념,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협력적 멘토링 교육실습 프로그램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n "Cooperative Mentoring Program" for supervsing the ealr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mentoring program by measuring the differences of educational belief, anxiety·conflict on internship, and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as they went through this developed mentoring program. The fourty-o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mentored by supervisor and mentors for twelve weeks in a course of internship. Teachers` Belief, anxiety·conflict on student teaching,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from the research of Kang(2000), Shin(2004), and Chio(2007).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By the end of mentoring program,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both positive and negative educational belie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ir anxiety·conflict on internshi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their overall teaching efficac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